||<-2>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width=50]]]]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영화|{{{#ffffff '''영화'''}}}]][br]{{{#fff [[파일:제8일의 밤 로고.png|width=100]] (2021)[br]The 8th N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8일의 밤.jpg|width=100%]]}}} || || '''{{{#ffffff 장르}}}''' ||[[미스터리]], [[호러물|공포]], [[스릴러]], [[다크 판타지]], [[오컬트]], [[코즈믹 호러]] || || '''{{{#ffffff 각본 | 감독}}}''' ||김태형 || || '''{{{#ffffff 제작}}}''' ||- || || '''{{{#ffffff 출연}}}''' ||[[이성민(배우)|이성민]], [[박해준]], [[김유정(배우)|김유정]], [[남다름]] 외 || || '''{{{#ffffff 촬영}}}''' ||- || || '''{{{#ffffff 조명}}}''' ||- || || '''{{{#ffffff 미술}}}''' ||- || || '''{{{#ffffff 음악}}}''' ||- || || '''{{{#ffffff 편집}}}''' ||- || || '''{{{#ffffff 제작사}}}''' ||[[곰픽쳐스|[[파일:곰픽쳐스_로고.png|width=50]]]] || || '''{{{#ffffff 배급사}}}'''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 || '''{{{#ffffff 촬영 기간}}}''' ||[[2019년]] [[5월 19일]] ~ [[2019년]] [[9월 26일]] || || '''{{{#ffffff 공개일}}}'''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아이콘.svg|width=20]]]] [[2021년]] [[7월 2일]] [br]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9월 1일]][* '넷플릭스를 CGV하다'라는 이름의 기획 하에 [[CGV]]에서 상영] || || '''{{{#ffffff 화면비}}}''' ||- || || '''{{{#ffffff 상영 시간}}}''' ||115분 || || '''{{{#ffffff 제작비}}}'''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등급}}}]]'''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1년 7월 [[넷플릭스]]로 공개된 한국 영화.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 8일의 밤 티저 포스터.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8일의 밤.jpg|width=100%]]}}} || ||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7l--PDuXzU)]}}}||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30h92k69LY)]}}}|| ||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7개의 징검다리를 건너 세상에 고통으로 가득한 지옥을 불러들일 ‘깨어나서는 안 될 것’의 봉인이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 벌어지는 8일간의 사투 == 등장인물 == 좌측부터 배우와 영어 성우 * 박진수(선화스님) - [[이성민(배우)|이성민]]/컹 심 * 김호태 - [[박해준]]/리치 팅 * 애란 - [[김유정(배우)|김유정]] * 청석(정훈) - [[남다름]]/K. 케빈 최 * 박동진 - [[김동영(배우)|김동영]]/이반 목 * 하정스님 - [[이얼]]/[[키오니 영]] * 김준철 교수 - [[최진호]]/핑 우 * 처녀보살 - 고서희 * 류성환(밀렵꾼) - 류성현 * 서경숙(모텔녀) - 김정현/재클린 미사예 * 정신환(모텔남) - [[전신환]] * 가출 여고생 - [[박세현(배우)|박세현]] * 터널녀 - 박소은 * 배달남 - 김한솔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8th_night,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62)] [include(틀:평가/IMDb, code=tt14781176, user=5.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8th-night, user=2.4)]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93116,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77652, user=3.00)]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97800, user=3.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3131,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3457597, user=5.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9p2mG, user=2.1)]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92634, light=11.54)]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5949,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4.49)]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29444, expert=<전문가 평점>, user=4.7)] == 흥행 == === [[넷플릭스]] === ||<-4>
'''{{{#fff 넷플릭스 시청 시간}}}''' || || '''날짜''' || '''전체 순위''' || '''비영어 순위''' || '''주간 시청 시간''' || || 2021-06-28(월) ~ 2021-07-04(일) || 14위 || 4위 || 4,480,000시간 || || 2021-07-05(월) ~ 2021-07-11(일) || 14위 || 4위 || 5,960,000시간 || || 2021-07-12(월) ~ 2021-07-18(일) || 19위 || 9위 || 1,860,000시간 || || '''{{{#fff 누적 시청 시간}}}''' ||<-3> '''12,300,000시간''' || ||<-4> [[https://top10.netflix.com/|{{{#fff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 == 기타 == * 이성민이 남다름의 팔을 잡고 말하는 주문은 반야심경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의 [[산스크리트어|범어]] 버전이다.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Bodhi Svāhā)". * 이성민과 박해준은 미생에서 3팀으로 나온적이 있다. * 영화의 주무대 중 하나인 대구 교방동은 없는 동이며 영화에 나오는 지도상 실제 위치는 대구 서구 원대동이다. 그러나 실제 재개발은 추진 중이며 인근으로 점집 및 철학관이 다수 소재한다. (+ 처녀보살집 인근 촬영장소는 대구가 아니라 인천광역시 우각로 99번길이다.) 교방동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존재하는 동이다. * 감독은 금강경 제32품을 주제로 만들었다고 하는데 내용은 "금강경에서 네 구절만이라도 받아 지녀서 읽고 외우고 남에게 쉽게 설명하고 모든 법에 집착 말고 한결 같아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왜 그런가 하면 몸이나 생명이나 형체 있는 모든 것은 [[몽환포영|꿈 같고 환상 같고 물거품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또한 번갯불과 같으니 이렇게 잘 관찰해야 하기 때문이다."와 같다. 그리고 이 문장은 영화 마지막 하정 스님이 이성민에게 말하는 독백에 인용된다. * 숫자 8은 영화 소개에서 옆으로 누이면 무한을 의미하며, 8일의 밤은 무한의 밤 즉 지옥을 의미한다고 함. 그런데 숫자 8은 깨달음의 의미도 있음. 이성민이 8일째 복수 대신 깨달음을 얻으며, 그 증거로 영화 마지막 이성민의 이마에 빛이 보인다. * 불교종단 진각종에서 발간하는 <밀교신문>에 이 영화에 대한 칼럼이 실렸다. [[http://milgyonews.net/news/detail.php?bo_table=news&wr_id=34034|#]] == 둘러보기 == [include(틀: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영화(2021~2025))] [[분류:2021년 영화]][[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영화]][[분류:한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한국 공포 영화]][[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한국의 다크 판타지 영화]][[분류:오컬트 영화]][[분류:15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