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특공연대)] [include(틀:독립연대)] [include(틀:대한민국 국군의 특수임무부대)] ||<-7><:> '''{{{#df0a10 {{{+1 제700특공연대}}}}}}'''[br]'''{{{#df0a10 第700特功聯隊}}}'''[br]'''{{{#df0a10 The 700th Commando Regiment}}}''' || ||<-7><:>[[파일:700com.jpg|width=300]] || ||<-7><:> '''{{{#df0a10 조국이 원하면 어디든 간다!}}}''' || ||<:> '''{{{#df0a10 창설일}}}''' ||<-6><(> [[1983년]] [[7월 1일]](제708특공연대)[br] [[1996년]] [[12월 1일]]('''제700특공연대''') || ||<:> '''[[상징명칭|{{{#df0a10 상징명칭}}}]]''' ||<-6><(> '''충의특공부대''', '''독바위부대''', '''수리부엉이부대''' || ||<:> '''{{{#df0a10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 '''{{{#df0a10 상급부대}}}''' ||<-6><(> [[수도군단]] || ||<:> '''{{{#df0a10 규모}}}''' ||<-6><(> [[연대(군대)|연대]] || ||<:> '''{{{#df0a10 역할}}}''' ||<-6><(> [[수도군단]] 특수작전 임무수행 || ||<:> '''[[연대장|{{{#df0a10 연대장}}}]]''' ||<-6><(> [[대령]] ### || ||<:> '''{{{#df0a10 위치}}}''' ||<-6><(>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지구,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인문사회 규정의 '군사 분야' - '군대 관련 문서'에 따라 군대 관련 문서에서는 문서 최상단 또는 개요 본문 상단에 군대 표어(구호, 신조, 부대목표, 슬로건 등) 및 상징물(휘장, 로고, 부대마크 등)의 게시, 군사 장비 사진, 무기 사진, 작전 및 훈련 사진의 게시, 군가와 그 가사의 게시, 홍보영상 등 미디어의 게시가 금지됩니다. 상징물 등을 등록할 때에는 하위 문단을 개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지상작전사령부]] [[수도군단]]예하 [[대한민국 육군/특공대|특공]][[연대(군대)|연대]]이다. == 과거 == [[수도군단]] 관할지역인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충의특공대라 불리며 상징은 수리부엉이다. [[연대(군대)|연대]]라는 이름에 맞게 [[연대장]]은 [[대령]]이 역임한다. 1983년 7월 1일 부천 오쇠동에서 특전사하사관 및 차출병력으로 2개 대대가 출범하고 공항동에서 2개 대대가 편성되어 [[안양시]] [[수도군단]] 연병장에서 창설됐다. 이후 708특공의 4대대가 안동으로 전출되어 [[제201특공여단]]의 창설멤버가 되었다. 1989년 2개 중대가 707특공연대 창설을 위해 전출되었고 같은해 1대대가 정찰대로 창설되었지만 1999년도 정찰대가 해체되면서 다시 특공대로 편입된다. 원래 제708특공연대였는 1996년 12월 1일부로 제700특공연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래서 전우회 사이트에 들어가면 제700(708)특공 전우회 이런 식으로 병기한다. 1981년 20보병사단이 차량화사단으로변경되면서 예하 62연대 3대대 부대원 전원이 제700특공연대 창설부대로 전출되었다 === 연대 직할대 === * 본부중대 * 경비소대 * 수송소대 * 의무반 * 참모부 * 본부대본부 * 통신중대 * 지원반 * 운용반 * 통신대본부 === 제1대대 === * 본부중대 * 제1지역대 * 제2지역대 * 제3지역대 === 제2대대 === * 본부중대 * 제4지역대 * 제5지역대 * 제6지역대 === 제3대대 === * 본부중대 * 제7지역대 * 제8지역대 * 제9지역대 === 근무환경 === * 위수지역이 서울이기에 아주 좋은 출타 여건을 가지고 있다. 물론 간부들은 수원과 안양, 용인 이외로 나가지 말라고 한다. * 2017년도 전까지 1대대, 2대대는 구 막사 3대대, 연대본부는 컨테이너 생활이였지만 이후로는 신설된 막사에서 생활한다. 또한 병역식당도 새로 지어서 쾌적하다. * 주로 광교산 (형제봉)과 용머리에 자주 출몰한다. 그리고 광교호수공원에도 체력단련을 하는 병사들을 가끔 볼 수 있다. * 특공신병교육은 [[특수전교육단]]에서 3주 진행되며 군단에서 특공무술, 레펠을 교육 받는다.[* 현재는 부대에서 외부 파견 나가있는 지역대 생활관에서 특공 신병 교육을 4주 정도 한다. 주로 체력단련을 하고 사격, 특공무술 교육을 받는다. 이 과정을 통과해야 가슴에 부대 흉장을 부착할 수 있다.] === 부대가 === * 부대가는 따로 없고 수도군단가를 쓴다. === 부대영상 === '''↓2017년 - 수도군단 700특공연대 특공무술편↓''' [youtube(vu5sUqhrtPU)] '''↓2022년 - 수도군단 700특공연대 4주 연속 야외 집중전술훈련↓''' [youtube(ONAVaPBItqM)] '''↓2022년 - 수도군단 700특공연대 레펠 훈련↓''' [youtube(mN_Nm2N0ihg)] == 여담 == * 부대 인근에 [[광교신도시]]가 있다. 이 근처에 군사시설이 있는 지 모르는 주민들이 많다. * 1987.6월 항쟁때 [[대한민국 육군본부]]에서는 계엄령(작전명령 제87-4호)을 선포하고 무력진압하려고 했을 때 서울에는 20사단, 30사단, 공수특전여단(1, 5, 9)과 함께 특공연대(701, 705, 708)가 [[수도방위사령부]]에 배속되도록 했었다. * 안양 한라의 골리 [[한라성|맷 달튼]]이 2018년에 군부대 체험으로 왔었다.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수도군단]][[분류:연대(군대)]][[분류:대한민국 육군/특공대]][[분류:대한민국의 특수임무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