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진 재보궐선거, rd1=2018년 재보궐선거)] [include(틀:대한민국의 주요선거)] [include(틀: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 {{{#fff {{{+1 '''대한민국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_KpherTEA0, width=100%, height=280)]{{{-2 출구조사 발표 영상}}}}}} || ||<-2> {{{#!wiki style="margin: -7px -12px" || {{{-2 [[2014년]] [[6월 4일]]}}}[br][[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회 지선]] || → || {{{-2 [[2018년]] [[6월 13일]]}}}[br]'''7회 지선''' || → || {{{-2 [[2022년]] [[6월 1일]]}}}[br][[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선]] ||}}} || || {{{#e7408e '''투표율'''}}} ||60.20%{{{-3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red,#ff0000 ▲ 3.4%p}}}]]}}} || ||<-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단체장|{{{#ffffff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당''' ||<-2> '''당선인 수''' || '''비율''' || || [[더불어민주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004EA2;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더불어민주당'''}}}}}}]]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7.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04EA2 82.4%, #C9151E 82.4%, #C9151E 94.6%, #808080 94.6%)" }}} || '''14명''' || '''82.35%''' || || [[자유한국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C9151E;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자유한국당'''}}}}}}]] || 2명 || 11.76% || || [[무소속|{{{#!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80808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무소속'''}}}}}}]] || 1명 || 5.88% ||}}}}}}}}} || ||<-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ffffff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당''' ||<-2> '''당선인 수''' || '''비율''' || || [[더불어민주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004EA2;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더불어민주당'''}}}}}}]]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3.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04EA2 66.8%, #C9151E 66.8%, #C9151E 90.3%, #43B02A 90.3%, #43B02A 92.5%, #808080 92.5%)" }}} || '''151명''' || '''66.81%''' || || [[자유한국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C9151E;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자유한국당'''}}}}}}]] || '''53명''' || '''23.45%''' || || [[민주평화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43B02A;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민주평화당'''}}}}}}]] || 5명 || 2.21% || || [[무소속|{{{#!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80808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무소속'''}}}}}}]] || 17명 || 7.52% ||}}}}}}}}} || ||<-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ffffff '''교육감 선거 결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향''' ||<-2> '''당선인 수''' || '''비율''' || || [[진보주의|{{{#!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79D2CC;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진보'''}}}}}}]]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7.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79D2CC 82.4%, #B0483B 82.4%, #B0483B 94.6%, #808080 94.6%)" }}} || '''14명''' || '''82.35%''' || || [[보수주의|{{{#!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B0483B;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보수'''}}}}}}]] || 2명 || 11.76% || || [[중도|{{{#!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80808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중도'''}}}}}}]] || 1명 || 5.88% ||}}}}}}}}} || ||<-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의원|{{{#ffffff '''광역의회의원 선거 결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당''' ||<-2> '''당선인 수''' || '''비율''' || || [[더불어민주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004EA2;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더불어민주당'''}}}}}}]] ||<|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04EA2 78.7%, #C9151E 0%, #C9151E 95.2%, #FFCC00 0%, #FFCC00 96.5%, #00B4B4 0%, #00B4B4 97.1%, #43B02A 0%, #43B02A 97.5%, #808080 0%, #808080 99.4%, #000000 0%)" }}} || '''652명''' || '''78.65%''' || || [[자유한국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C9151E;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자유한국당'''}}}}}}]] || '''137명''' || '''16.53%''' || || [[정의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FFCC0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000000 '''정의당'''}}}}}}]] || 11명 || 1.33% || || [[바른미래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00B4B4;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바른미래당'''}}}}}}]] || 5명 || 0.60% || || [[민주평화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43B02A;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민주평화당'''}}}}}}]] || 3명 || 0.36% || || [[무소속|{{{#!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80808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무소속'''}}}}}}]] || 16명 || 1.93% || || [[교육의원|{{{#!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 1px solid #00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000000 '''교육의원'''}}}}}}]] || 5석 || 0.60% ||}}}}}}}}} || ||<-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의원|{{{#ffffff '''기초의회의원 선거 결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당''' ||<-2> '''당선인 수''' || '''비율''' || || [[더불어민주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004EA2;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더불어민주당'''}}}}}}]] ||<|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1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04EA2 56.0%, #C9151E 56.0%, #C9151E 90.5%, #43B02A 90.5%, #43B02A 92.2%, #FFCC00 92.2%, #FFCC00 93.1%, #00B4B4 93.1%, #00B4B4 93.9%, #EE5927 93.9%, #EE5927 94.3%, #808080 94.3%)" }}} || '''1,640명''' || '''56.03%''' || || [[자유한국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C9151E;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자유한국당'''}}}}}}]] || '''1,009명''' || '''34.47%''' || || [[민주평화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43B02A;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민주평화당'''}}}}}}]] || 49명 || 1.67% || || [[정의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FFCC0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000000 '''정의당'''}}}}}}]] || 26명 || 0.89% || || [[바른미래당|{{{#!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00B4B4;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바른미래당'''}}}}}}]] || 21명 || 0.72% || || [[민중당(2017년)|{{{#!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EE5927;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민중당'''}}}}}}]] || 11명 || 0.38% || || [[무소속|{{{#!wiki style="margin: 0 -10px; padding: 2px 3px; display: inline; background: #808080;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ffffff '''무소속'''}}}}}}]] || 171명 || 5.84%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7대 전국동시지방 선거 결과(광역자치단체장).sv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7대 전국동시지방 선거 결과(기초자치단체장).svg|width=100%]]}}} || ||<-2>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2>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 [[민주평화당]] || [[무소속]] || [목차] [clearfix] == 개요 == ||<-3> [[파일:slogan_img.png|width=180px]] || ||<-3> {{{#ffffff {{{+1 '''아름다운 선거 행복한 우리 동네'''}}}}}} || ||<-3> [[http://www.nec.go.kr/vt/main.do|중앙선거관리위원회]] || || [[http://news.naver.com/main/election/region2018/index.nhn|네이버]] || [[http://election.daum.net/20180613|다음]] || [[http://news.nate.com/vote2018|네이트]] || [[2018년]] [[6월 13일]]에 [[대한민국]]의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장]], [[교육감]] 및 [[지방의회의원]]을 뽑기 위해 연 7번째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율은 60.2%를 기록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d2bBnwgmaE, 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aV8S8J7Ng, width=100%)]}}} || || {{{#ffffff 정책선거 TV CF - '''정책이 묻습니다 투표로 답해주세요'''}}} || {{{#fff 민관협업 프로젝트 '''613투표하고웃자 - 웃기지마세요'''}}} || == 선거 일정 == || '''날짜''' || '''실시 사항''' || '''기준일''' || || 2018년 1월 15일까지 || 인구수 등의 통보 || 인구의 기준일 후 15일까지 || ||<|2> 2018년 2월 3일까지 || 선거비용제한액 공고·통지 ||<|2> 예비후보자등록개시일 전 10일까지 || || 예비후보자홍보물 발송수량 공고 || || 2018년 2월 13일부터 || 예비후보자 등록[br],,[시·도지사 및 교육감선거],, || 선거일 전 120일부터 || || 2018년 3월 2일부터 || 예비후보자 등록[br],,[시·도의원, 구·시의원 및 장의 선거],, || 선거기간개시일 전 90일부터 || ||<|2> 2018년 3월 15일까지 || 각급선관위 위원, 향토예비군 중대장이상의 간부, 주민자치위원, 통·리·반의 장이 선거사무 관계자 등이 되고자 하는 때 그 직의 사직 ||<|2> 선거일전 90일까지 || || 입후보제한을 받는 자의 사직 || || 2018년 3월 15일 ~ 6월 13일 || 의정활동 보고 금지 || 선거일 전 90일부터 선거일까지 || || 2018년 4월 1일부터 || 예비후보자 등록[br],,[군의원 및 장의 선거],, || 선거기간개시일 전 60일부터 || || 2018년 4월 14일 ~ 6월 13일 ||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금지 || 선거일 전 60일부터 선거일까지 || ||<|4> 2018년 5월 22일 ~ 5월 26일 || 선거인명부 작성 ||<|4> 선거일 전 22일부터 5일 이내 || || 거소투표자신고 || || 거소투표자신고인명부 작성 || || 군인 등 선거공보 발송신청 || || 2018년 5월 24일 ~ 5월 25일 || 후보자등록 신청[br],,(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선거일 전 20일부터 2일간 || || 2018년 5월 30일까지 || 선거벽보 제출 || 후보자등록마감일 후 5일까지 || || 2018년 5월 31일 || 선거기간개시일 || 후보자등록마감일 후 6일 || || 2018년 5월 31일 ~ 6월 12일 ||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대담·토론회 개최 || 선거운동기간 중 || ||<|2> 2018년 6월 1일까지 || 선거공보 제출 || 후보자등록마감일 후 7일까지 || || 선거벽보 첩부 || 제출마감일 후 2일까지 || || 2018년 6월 1일 || 선거인명부 확정 || 선거일 전 12일 || ||<|3> 2018년 6월 3일까지 || 투표소의 명칭과 소재지 공고 ||<|2> 선거일 전 10일까지 || || 거소투표용지 발송[br],,(선거공보, 안내문 동봉),, || || 투표안내문,,(선거공보 동봉),, 발송 || 선거인명부확정일 후 2일까지 || || '''2018년 6월 8일 ~ 2018년 6월 9일''' || '''사전투표소 투표'''[br]''',,(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선거일 전 5일부터 2일간 || ||<|2> '''2018년 6월 13일''' || '''투표'''[br],,('''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2> '''선거일''' || || 개표[br],,(투표 종료 후 즉시),, || [*주요사무일정표 [[파일:제7회 동시지방선거 사무일정표(요약)001.png|width=300px]] ] == 투표 연령 == 선거일 기준 만 19세에게 선거권이 있다.[* 생일을 기준으로 자르기 때문에 같은 1999년생이라도 선거권이 있는 사람이 있고 선거권이 없는 사람이 있다.] 따라서 '''1999년 6월 14일까지 출생한 사람'''[* 선거 연령의 계산에서는 초일산입을 한다. 태어난 날과 선거일 당일을 모두 세기 때문에 선거일 다음날이 생일인 사람이 포함된다. 그렇기에 투표날 만 19세 이상인 사람이 아니라 당선인이 당선되는 날(선거 다음날) 만 19세 이상인 사람이 유권자가 되는 셈.]이 해당된다. == 주요 이슈 ==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원래 일정이었던 2017년 12월 20일에 치러졌다면, 본 선거는 제19대 대통령이 취임한 뒤 불과 4개월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치러지는 선거가 되어 대선의 연장선이 되었을 공산이 크다. 하지만 [[헌법재판소]]가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인용하여 [[궐위로 인한 선거|대통령 궐위로 인한 조기 대선]]에서 당선된 19대 대통령 취임 이후 약 1년 1개월 뒤에 치러지는 선거가 되었다. 지금까지 대통령 선거 이후 1년 만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총선]], [[전국동시지방선거|지선]]은 구조적으로 여당에 유리했기 때문에 이번 선거도 [[문재인 정부]]에 힘을 실어 주는 선거가 될 가능성이 높다. 대선 패배 이후 정당 지지율이 많이 떨어진 야당들에게 회생의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정계 개편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선거가 몇 달 안 남은 [[평창올림픽]] 폐막 직후에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나머지 정당들은 한 자리 수 지지율에 허덕이고 있다. 자유한국당도 [[박근혜 대통령 탄핵]] 등의 후유증으로 지지 기반이 예전과 비교해 많이 약해졌다.] 제19대 대통령 임기 중 [[10차 개헌]]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이 개헌안에 대한 가부를 묻는 [[국민투표]] 시기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에 같이 진행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이 계획대로 진행되었다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선거와 [[국민투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첫 사례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국민투표법 개정 문제로 결국 2018년 4월 24일 무산되었다. 원내 3·4당이었던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바른정당]]이 합당하여 [[바른미래당]]을 창당하였고, 이 과정에서 국민의당 합당 반대파가 탈당하여 [[민주평화당]]을 창당했다. 야권의 정계 개편이 다시 이루어지면서 선거에서 어떤 영향을 줄지도 관심거리이다. 견고한 조직을 바탕으로 번갈아 가면서 정권을 잡아 온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나머지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은 이 지방선거에서 패배한다면, 해체 단계로 접어들 수도 있다. 이에 반해 [[자유한국당]]의 경우 2018년 리얼미터 조사를 기준으로 약 20%, 한국갤럽 조사를 기준으로 약 10% 초반의 콘크리트 지지층을 가지고 있고 지지층이 나머지 네 정당의 지지층과 큰 차이가 있어 무너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정의당]] 역시 약 5%의 콘크리트 지지층이 있고 당원의 성향이 다른 4당과 크게 달라 해당 지지층을 다른 정당이 대체하는 것이 힘든 편이라 자발적으로 해체될 가능성은 낮지만 만약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의 지방선거 결과가 좋지 못할 경우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민중당(2017년)|민중당]] 등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의 정계 개편이 있을 수 있다. 3월 5일,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안희정 성폭력 의혹|성폭력 사건]]이 밝혀졌다. 이로 인해 안 전 지사가 속해 있었던 [[더불어민주당]]에 어느 정도 타격이 갈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곧 이어진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이슈로 오히려 전국적으로 민주당 지지율이 오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충청권에서의 지지율 이탈도 사실상 없어 이 사건이 지방선거에 끼칠 영향은 생각보다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10차 개헌]] 이슈가 전체 정국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었다. 여론조사상 국민들은 4년 중임제 개헌 또는 현행 헌법 유지를 지지하는 여론이 60% 정도이지만[* [[6월 민주 항쟁]]의 기억이 강하게 남아 있어서 [[대한민국]]에서는 [[의원 내각제]]나 [[분권형 대통령제]]를 반대하는 여론이 강한 편이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여야 모두 의견차를 보여 결국 2018년 4월 24일, 동시 개헌투표가 불발되었다. 이에 따라 정치권 대부분이 책임론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이 발생했다. 이것이 현 정부와 관련이 있다는 의혹이 하나라도 사실로 밝혀진다면 이를 야권이 여권에 대항하고 효과적으로 압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이 사건에 대한 특검을 요구하며 공세를 강화하는 중이다. 결국 [[더불어민주당|민주당]]은 2018년 5월 14일 정부의 추경 예산을 같이 처리해 주는 등의 조건으로 드루킹 특검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하지만 드루킹 이슈가 터진 지 시간이 제법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민주당의 정당 지지율과 사건의 한복판에 서 있는 [[김경수]] 경남도지사 후보의 지지율이 이렇다 할 변동을 보여주지 않는 데다가,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기존 보수층들 이외에는 특검 지지도가 높은 수준이 아니라 특별한 변수가 되지는 못할 가능성이 크다.[[http://www.realmeter.net/2018/04/%EB%93%9C%EB%A3%A8%ED%82%B9-%EC%82%AC%EA%B1%B4-%EA%B2%80%EC%B0%B0%EC%88%98%EC%82%AC%EB%A1%9C-%EC%B6%A9%EB%B6%84-52-vs-%ED%8A%B9%EA%B2%80-%EB%8F%84%EC%9E%85-38/|리얼미터 조사]] 4월 27일,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남북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이 발표되었다. 아무래도 여권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정상회담이 끝난 뒤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의 국정 수행 지지율과 정당 선호도가 일제히 상승 추세로 조사되었다. 더구나 앞으로 [[북미정상회담]]까지 예정되어 있어 야권, 특히 보수 정당들에게는 상당히 곤란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5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6월 12일에 [[싱가포르]]에서 [[2018년 북미정상회담|북미정상회담]]을 한다고 발표하였다. 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국 시간으로 5월 24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18년 북미정상회담|북미정상회담]]을 취소 서한을 북한에 보냈다. 회담 등이 결렬되거나 앞으로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가 나올 경우 집권여당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런데 하루도 지나지 않아서 미국이 다시 한 번 북미정상회담 개최를 암시했고, 게다가 [[2018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비밀리에 성사되면서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이 다시 힘을 받는 상황이며 [[2018년 북미정상회담|북미정상회담]]이 다시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으로 유례 없을 정도의 대형 이슈가 연달아 터지면서 중앙 정치에 지방 정치가 완전히 매몰되는 '깜깜이 선거'가 우려되고 있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5/27/0200000000AKR20180527045700022.HTML?input=1195m|#]][[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335457|#]] 특히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등 남북한 평화 무드로 이어지는 [[남북관계]] 관련 이슈들로 인해 '신(新) [[북풍]]'이라는 표현까지 나오며, 정치권이나 언론에서도 이를 거론하고 있다. 이전까지의 '[[북풍]]'은 [[북한/대남 도발|북한의 대남 도발]]을 이용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 정당]]들이 혜택을 받았지만, 이 '신 북풍'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혜택을 받는 것도 포인트다. 5월 10일 [[썰전]]에서 [[박형준]] 교수 역시 거의 [[제19대 대통령 선거|대통령 선거]]처럼 흘러간다며 평했고, [[유시민]] 작가 역시 "인물은 안 보이고 구도와 이슈가 압도하는 선거 국면"이라고 평했다. 이에 대해 유 작가는 "[[자유한국당]]이 중앙 이슈에서 벗어날 생각을 않고 자꾸 이슈로 만들어서 그렇다"고 비판했으며, 바른미래당 [[하태경]] 최고위원 역시 "지방 정치의 쟁점이 될 수 없는 국가적 이슈를 자유한국당이 정치적 쟁점으로 삼고 있다"고 비판했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5/27/0200000000AKR20180527057100057.HTML?input=1195m|#]] 가장 심각한 건 교육감 선거로, [[http://www.hankookilbo.com/v/c6b203c3a3dd40178229b06733fc3009|#]] 상기 방송에서 박 교수는 "누가 나왔는지, 단일화를 했는지 안 했는지도 모르고 끝날 수도 있다"고 평했을 정도다. 여론조사에서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각 여론조사마다 후보 자체를 모르거나 지지 후보를 정하지 못하였다는 부동층/무당층의 비율이 유난히 높으며, 교육감 선거 등 일부 선거 후보들은 여론조사마다 순위 자체가 뒤바뀔 정도로 혼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선거 구도가 지속되는 경우 사실상 정당 선호도와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율이 득표율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데, [[더불어민주당]]의 정당 선호도와 대통령 지지율이 높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여권에선 연일 쾌재를 부르는 중이다. 호남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정당과 무관한 교육감 후보들조차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608_0000330549&cID=10809&pID=10800|문재인 정부와의 연관성을 주장하며]] 대통령 지지율을 득표로 연결하기 위해 힘쓸 지경이다. == [[/선거구|선거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선거구)] == 진행 상황 == === [[/지역별 상황|지역별 상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상황)] === [[/정당별 상황|정당별 상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상황)] === [[/출마 선언|출마 선언 상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출마 선언)] == 선거 운동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공약|선거 공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공약)] === TV 토론회 === * 공직선거정책토론회 || 횟수 || 날짜 || 분야 ||<-2> 참석 || 영상 || || 1차 || 3월 30일 || 사회 || 원내 5당 || [*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자유한국당 [[전희경]], 바른미래당 [[이언주]], 민주평화당 [[김경진(1966)|김경진]], 정의당 [[강은미]]] || [[https://www.youtube.com/watch?v=XY7z5TO5k7s|#]] || || 2차 || 4월 30일 || 경제 || 원내 5당 || [*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자유한국당 [[김종석(1955)|김종석]], 바른미래당 [[이혜훈]], 민주평화당 [[유성엽]], 정의당 [[추혜선]]] || [[https://www.youtube.com/watch?v=kFit0A7YrBw|#]] || || 3차 || 5월 17일 || 정치 || 원내 5당 || [*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자유한국당 [[강연재]], 바른미래당 [[오신환]], 민주평화당 [[유성엽]], 정의당 [[김종대(1966)|김종대]]] || [[https://www.youtube.com/watch?v=ugSukkhonmw|#]] || ---- * [[서울특별시장]]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30일 ||<-2> [[KBS]] || [*B [[민중당(2017년)|민중당]] 김진숙 후보, [[대한애국당]] [[인지연]] 후보,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신지예]] 후보, [[우리미래]] [[우인철]] 후보, [[친박연대]] 최태현 후보 초청대상 제외] || [[https://www.youtube.com/watch?v=zENmA0zQyfY|#]] || || 6월 4일 ||<|2>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2> [[KBS]] || || [[https://www.youtube.com/watch?v=Bnz-xtRRlzM|#]] || || 6월 7일 || [*B [[민중당(2017년)|민중당]] 김진숙 후보, [[대한애국당]] [[인지연]] 후보,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신지예]] 후보, [[우리미래]] [[우인철]] 후보, [[친박연대]] 최태현 후보 초청대상 제외] || [[https://www.youtube.com/watch?v=2A-H-pSLnw8|#]] || ---- * [[부산광역시장]]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7일 ||<-2> [[부산문화방송|부산MBC]] || [*C 전원 참석] || || || 6월 5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KBS부산]] || || || ---- * [[대구광역시장]]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6월 4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대구문화방송|대구MBC]] || || || || 6월 8일 ||<-2> [[TBC]] || || [[http://www.tbc.co.kr/tbc_news/n14_special_vod.html|#]]|| ---- * [[인천광역시장]]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8일 ||<-2> [[KBS]] || [*C]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6&aid=0010580852|#]] || || 6월 4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MBC]] || || [[https://www.youtube.com/watch?v=MW7LjVXvxPE|#]] || ---- * [[광주광역시장]]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6월 7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KBS광주방송총국|KBS광주]] || || || ---- * [[대전광역시장]]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5일 ||<-2> [[TJB]] || [*C] || || || 5월 29일 ||<-2> [[대전문화방송|대전MBC]] || [*C] || || || 6월 7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KBS대전]] || || || ---- * [[울산광역시장]]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6월 7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KBS울산]] || || || ---- * [[세종특별자치시장]]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9일 ||<-2> [[KBS대전방송총국|대전KBS]] || [*C] || || || 6월 4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대전MBC]] || || || ---- * [[경기도지사]]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9일 ||<-2> [[KBS]] || [* [[민중당(2017년)|민중당]] 홍성규 후보 초청대상 제외] || [[https://youtu.be/6xvJCiLohvA|#]] || || 6월 5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MBC]] || || [[https://www.youtube.com/watch?v=HKCLdvVbh8s|#]] || ---- * [[강원도지사]]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2> 5월 28일 ||<-2> [[CJ헬로|CJ헬로비전강원방송]] || [*C] || || ||<-2> [[KBS춘천방송총국|춘천KBS]] || [*C] || || || 6월 7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춘천MBC]] || || ---- * [[충청북도지사]]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8일 ||<-2> [[KBS청주방송총국|청주KBS]] || [*C] || || || 6월 7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MBC충북]] || || || ---- * [[충청남도지사]]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8일 ||<-2> [[KBS대전방송총국|대전KBS]] || [* [[가자코리아]] 차국환 후보 불참] || || || 6월 7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대전MBC]] || || || ---- * [[전라북도지사]]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8일 ||<-2> [[전주문화방송|전주MBC]] || [*C] || [[https://www.youtube.com/watch?v=y7fdg5vjzIE|#]] || || 6월 7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KBS전주]] || || || ---- * [[전라남도지사]]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6월 7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광주MBC]] || || || ---- * [[경상북도지사]]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8일 ||<-2> 티브로드대구방송 || || || || 5월 29일 ||<-2> CJ헬로비전영남방송 || || || || 6월 5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KBS대구]] || || || || 6월 7일 ||<-2> [[TBC]] || || ---- * [[경상남도지사]]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6월 7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KBS창원]] || || || ----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날짜 || 주최 || 방송 || 참석 || 영상 || || 5월 25일 ||<-2> [[KCTV제주방송]] || [*C] || || || 5월 28일 ||<-2> [[KBS제주방송총국|제주KBS]] || [*C] || || || 5월 31일 ||<-2> [[제주문화방송|제주MBC]] || || || || 6월 5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 [[KBS제주방송총국|KBS제주]] || ||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여론조사|여론조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여론조사)] == [[선거방송]] == ||<-4>
''' 지상파 방송사 ''' || || [[한국방송공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파일:KBS 로고.svg|width=50]]}}}]]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width=50]]]] || [[SBS|[[파일:SBS 로고.svg|width=60]]]] || [[OBS경인TV|[[파일:OBS경인TV 로고.svg|width=60]]]] || || [[KBS K 개표방송#s-4.3|2018 선택! 대한민국[br]우리의 미래]] || [[MBC 선택/역사#s-2.20|선택 2018]] || [[2018 국민의 선택]] || [[OBS 선거방송]] || ||<-4> '''종합편성채널 방송사''' || || [[채널A|{{{#!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파일:채널A 로고.svg|width=40]]}}}]]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MBN|[[파일:MBN 로고(2011-2019).svg|width=50]]]] ||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svg|width=60]]]] || || [[채널A 약속|약속 2018]] || [[2018 우리의 선택]] || [[MBN 하나되는 대한민국|2018 하나되는 대한민국]] || [[TV CHOSUN 결정|결정 2018]] || ||<-4> '''보도전문채널 방송사''' || ||<-2> [[YTN|{{{#!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파일:YTN 로고.svg|width=60]]}}}]] ||<-2> [[연합뉴스TV|[[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width=70]]]] || ||<-2> [[YTN 선택|민심 2018]] ||<-2> [[연합뉴스TV 선택|선택 6.13]] || === [[출구조사]] === ==== 결과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width=180]]||{{{#ffffff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br]방송 3사 공동 출구조사'''}}} ||}}} || || 의뢰기관 ||<-2>2018 지방선거 방송사 공동예측조사위원회[br](한국방송협회, [[KBS]], [[MBC]], [[SBS]]) || ||<|3> 수행기관 ||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코리아리서치센터]] ||서울, 대전, 충북, 전북, 경북, 제주 || || [[한국리서치]] ||부산, 대구, 경기, 경남, 전남 || || [[칸타코리아|칸타퍼블릭코리아]] ||인천, 광주, 울산, 세종, 강원, 충남 || || 수행기간 ||<-2>2018년 6월 13일 06:00 ~ 17:00 || || 조사대상 ||<-2>전국 640개 투표소 유권자 17만명[br],,(매 5번째 투표자 등간격),, || || 표본오차 ||<-2>95% 신뢰수준 ±1.6~3.4%p || ||<-3> {{{#ffffff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ffffff 광역자치단체장}}}]] 출구조사 결과''' ,,(총 17명),,}}} || || [[더불어민주당|{{{#ffffff {{{+1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ffffff {{{+1 '''자유한국당'''}}}}}}]] || {{{#ffffff {{{+1 '''무소속'''}}}}}} || || {{{+1 '''14''' }}} || {{{+1 '''2 '''}}} || {{{+1 '''1''' }}} || ||<-3><^|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000000,#e5e5e5 '''지역'''}}} ||<-2> {{{#000000,#e5e5e5 '''예측 1위'''}}} ||<-2> {{{#000000,#e5e5e5 '''예측 2위'''}}} || || 서울 || {{{#ffffff '''박원순'''}}} || '''55.9%''' || {{{#ffffff '''김문수'''}}} || 21.2% || || 부산 || {{{#ffffff '''오거돈'''}}} || '''58.6%''' || {{{#ffffff '''서병수'''}}} || 35.4% || || 대구 || {{{#ffffff '''권영진'''}}} || '''52.2%''' || {{{#ffffff '''임대윤'''}}} || 41.4% || || 인천 || {{{#ffffff '''박남춘'''}}} || '''59.3%''' || {{{#ffffff '''유정복'''}}} || 34.4% || || 광주 || {{{#ffffff '''이용섭'''}}} || '''83.6%''' || {{{#000000 '''나경채'''}}} || 6.2% || || 대전 || {{{#ffffff '''허태정'''}}} || '''60.0%''' || {{{#ffffff '''박성효'''}}} || 29.4% || || 울산 || {{{#ffffff '''송철호'''}}} || '''55.3%''' || {{{#ffffff '''김기현'''}}} || 38.8% || || 세종 || {{{#ffffff '''이춘희'''}}} || '''72.2%''' || {{{#ffffff '''송아영'''}}} || 18.0% || || 경기 || {{{#ffffff '''이재명'''}}} || '''59.3%''' || {{{#ffffff '''남경필'''}}} || 33.6% || || 강원 || {{{#ffffff '''최문순'''}}} || '''66.6%''' || {{{#ffffff '''정창수'''}}} || 33.4% || || 충북 || {{{#ffffff '''이시종'''}}} || '''65.4%''' || {{{#ffffff '''박경국'''}}} || 26.6% || || 충남 || {{{#ffffff '''양승조'''}}} || '''63.7%''' || {{{#ffffff '''이인제'''}}} || 34.6% || || 전북 || {{{#ffffff '''송하진'''}}} || '''75.0%''' || {{{#ffffff '''임정엽'''}}} || 17.8% || || 전남 || {{{#ffffff '''김영록'''}}} || '''82.0%''' || {{{#ffffff '''민영삼'''}}} || 8.3% || || 경북 || {{{#ffffff '''이철우'''}}} || '''54.9%''' || {{{#ffffff '''오중기'''}}} || 34.8% || || 경남 || {{{#ffffff '''김경수'''}}} || '''56.8%''' || {{{#ffffff '''김태호'''}}} || 40.1% || || 제주 || {{{#ffffff '''원희룡'''}}} || '''50.3%''' || {{{#ffffff '''문대림'''}}} || 41.8% ||}}}}}}}}} || ||<-4> {{{#ffffff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ffffff 교육감}}}]] 출구조사 결과''' ,,,(총 17곳),,,}}} || || [[진보주의|{{{#ffffff {{{+1 '''진보'''}}}}}}]] || [[중도주의|{{{#ffffff {{{+1 '''중도'''}}}}}}]] || [[보수주의|{{{#ffffff {{{+1 '''보수'''}}}}}}]] || {{{#ffffff {{{+1 '''경합'''}}}}}} || || {{{+1 '''13'''}}} || {{{+1 '''0'''}}} || {{{+1 '''0'''}}} || {{{+1 '''4''' }}} || ||<-4><^|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000000,#e5e5e5 '''지역'''}}} ||<-2> {{{#000000,#e5e5e5 '''예측 1위'''}}} ||<-2> {{{#000000,#e5e5e5 '''예측 2위'''}}} || || 서울 || {{{#ffffff '''조희연'''}}} || '''47.2%''' || {{{#ffffff '''박선영'''}}} || 34.6% || || 부산 || {{{#ffffff '''김석준'''}}} || '''49.0%''' || {{{#ffffff '''김성진'''}}} || 26.2% || || 대구 || ''{{{#ffffff '''강은희'''}}}'' || '''39.8%''' || ''{{{#ffffff '''김사열'''}}}'' || 38.7% || || 인천 || {{{#ffffff '''도성훈'''}}} || '''43.7%''' || {{{#ffffff '''고승의'''}}} || 30.5% || || 광주 || ''{{{#ffffff '''이정선'''}}}'' || '''38.3%''' || ''{{{#ffffff '''장휘국'''}}}'' || 35.4% || || 대전 || ''{{{#ffffff '''설동호'''}}}'' || '''51.6%''' || ''{{{#ffffff '''성광진'''}}}'' || 48.4% || || 울산 || {{{#ffffff '''노옥희'''}}} || '''36.7%''' || {{{#ffffff '''김석기'''}}} || 16.9% || || 세종 || {{{#ffffff '''최교진'''}}} || '''52.7%''' || {{{#ffffff '''최태호'''}}} || 28.9% || || 경기 || {{{#ffffff '''이재정'''}}} || '''40.4%''' || {{{#ffffff '''임해규'''}}} || 23.8% || || 강원 || {{{#ffffff '''민병희'''}}} || '''55.0%''' || {{{#ffffff '''신경호'''}}} || 45.0% || || 충북 || {{{#ffffff '''김병우'''}}} || '''57.9%''' || {{{#ffffff '''심의보'''}}} || 42.1% || || 충남 || {{{#ffffff '''김지철'''}}} || '''42.4%''' || {{{#ffffff '''명노희'''}}} || 31.5% || || 전북 || {{{#ffffff '''김승환'''}}} || '''40.5%''' || {{{#ffffff '''서거석'''}}} || 30.0% || || 전남 || {{{#ffffff '''장석웅'''}}} || '''40.1%''' || {{{#ffffff '''고석규'''}}} || 33.1% || || 경북 || ''{{{#ffffff '''임종식'''}}}'' || '''30.9%''' || ''{{{#ffffff '''안상섭'''}}}'' || 26.7% || || 경남 || {{{#ffffff '''박종훈'''}}} || '''48.8%''' || {{{#ffffff '''박성호'''}}} || 23.7% || || 제주 || {{{#ffffff '''이석문'''}}} || '''52.6%''' || {{{#ffffff '''김광수'''}}} || 47.4% || ||<-5> {{{-3 '''예측 1·2위 후보명이 기울임체로 표시된 것은 출구조사 결과가 __경합__이다.'''}}} ||}}}}}}}}} || ===== 광역자치단체장 세대별 예상 득표율 ===== * 서울시장(박원순 당선 예측) * 20대 60.0% 김문수 {{{#696969 8.8%}}} 안철수 19.7% * 30대 69.3% 김문수 10.2% 안철수 {{{#696969 16.3%}}} * 40대 '''69.7%''' 김문수 10.3% 안철수 17.0% * 50대 54.2% 김문수 22.4% 안철수 '''20.6%''' * 60대이상 {{{#696969 35.2%}}} 김문수 '''43.6%''' 안철수 19.9% * 경기지사(이재명 당선 예측) * 20대 61.9% * 30대 72.0% * 40대 '''75.5%''' * 50대 57.0% * 60대이상 {{{#696969 35.9%}}} * 인천시장(박남춘 당선 예측) * 20대 72.6% * 30대 74.3% * 40대 '''74.6%''' * 50대 57.5% * 60대이상 {{{#696969 38.1%}}} * 부산시장(오거돈 당선 예측) * 20대 69.7% * 30대 '''77.9%''' * 40대 73.4% * 50대 60.9% * 60대이상 {{{#696969 36.9%}}} * 울산시장(송철호 당선 예측) * 20대 62.7% * 30대 '''69.7%''' * 40대 68.1% * 50대 56.9% * 60대이상 {{{#696969 32.4%}}} * 경남지사(김경수 당선 예측) * 20대 71.9% 김태호 22.2% * 30대 '''79.3%''' 김태호 {{{#696969 17.3%}}} * 40대 74.5% 김태호 21.7% * 50대 54.1% 김태호 43.7% * 60대이상 {{{#696969 30.7%}}} 김태호 '''67.6%''' * 대전시장(허태정 당선 예측) * 20대 68.5% * 30대 '''72.9%''' * 40대 72.5% * 50대 56.1% * 60대이상 {{{#696969 38.1%}}} * 충북지사(이시종 당선 예측) * 20대 74.2% * 30대 76.9% * 40대 '''78.2%''' * 50대 63.3% * 60대이상 {{{#696969 51.3%}}} * 충남지사(양승조 당선 예측) * 20대 81.6% * 30대 '''85.3%''' * 40대 85.1% * 50대 64.1% * 60대이상 {{{#696969 41.5%}}} * 세종시장(이춘희 당선 예측) * 20대 75.1% * 30대 79.0% * 40대 '''83.1%''' * 50대 71.4% * 60대이상 {{{#696969 62.2%}}} * 대구시장(권영진 당선 예측) * 20대 29.3% * 30대 {{{#696969 28.5%}}} * 40대 33.4% * 50대 60.0% * 60대이상 '''79.9%''' * 경북지사(이철우 당선 예측) * 20대 30.5% * 30대 {{{#696969 25.1%}}} * 40대 36.6% * 50대 56.6% * 60대이상 '''77.6%''' * 광주시장(이용섭 당선 예측) * 20대 {{{#696969 84.1%}}} * 30대 '''89.2%''' * 40대 85.1% * 50대 86.8% * 60대이상 88.9% * 전북지사(송하진 당선 예측) * 20대 76.5% * 30대 72.9% * 40대 '''77.2%''' * 50대 {{{#696969 71.3%}}} * 60대이상 76.3% * 전남지사(김영록 당선 예측) * 20대 81.9% * 30대 '''86.0%''' * 40대 83.0% * 50대 81.7% * 60대이상 {{{#696969 80.8%}}} * 강원지사(최문순 당선 예측) * 20대 82.4% * 30대 '''84.7%''' * 40대 84.5% * 50대 69.2% * 60대이상 {{{#696969 50.5%}}} * 제주지사(원희룡 당선 예측) * 20대 42.8% * 30대 {{{#696969 37.4%}}} * 40대 42.4% * 50대 55.3% * 60대이상 '''63.0%''' 대선과는 달리 각 지역별 후보들의 인물경쟁력 차이라는 변수가 있기 때문에 지역별 편차가 큰 편이기는 했지만 19대 대선 이후 1년 정도가 지난 시점에서 세대별 정치성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는 조사 결과다.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대한 지지도는 전 세대에서 고르게 압도적인 지지를 보낸 호남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30대>=40대>20대>50대>60대 이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역시 호남 및 최근 새로운 민주당의 텃밭으로 떠오른 세종시, 그리고 민주당 후보들의 개인경쟁력이 상대 후보에 비해 매우 뛰어났던 지역(충청북도, 강원도)이나 부족했던 지역(제주도), 그리고 50대에서도 자유한국당 후보가 우세를 보인 대구, 경북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지역에서 20대~50대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지지율이 1위를 했고 60대 이상 세대에서만 자유한국당 후보의 지지율이 1위를 했으나 이전에 비해서 지지율 차가 대폭 좁혀지면서 가까스로 60대 이상 세대에서의 우위를 유지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19대 대선에 이어 20대의 더불어민주당 후보 지지율이 30대, 40대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는 것으로 현 20대의 30대-40대 대비 상대적 보수성이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는 점이다. 단,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사실상의 양자대결이 이루어진 지역에서는 20대의 자유한국당 후보 지지율이 30대-40대보다 약간 더 높게 나왔으나 서울시장 선거의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와 같이 경쟁력 있는 제3후보가 나온 지역에서는 20대의 자유한국당 지지율이 30대-40대보다 더 낮게 나오고 대신 제3후보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여 현 20대의 자유한국당에 대한 불신 또한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례 없는 전 연령별 더불어민주당 초강세 기조 속 가히 콘크리트 지지율이라 할만한 탄탄한 지지를 보낸 30대-40대와는 약간 다른 표심을 보여준 20대와 50대의 상대적 보수성이 앞으로의 문재인 정부 및 더불어민주당의 지지도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는 출구조사 결과였다. 한편 바른미래당의 경우 그나마 경쟁력이 있었던 안철수 후보의 결과로 어느 세대에서 지지를 얻었는지 유추해보자면 대체적으로 전 세대별로 고른 득표율을 올렸으나 30-40대에서 상대적으로 부진하고 20대, 50대, 60대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 20대의 경우 작년 대선에서는 안철수의 득표율이 가장 낮았지만 바른미래당 합당으로 유승민 표가 안철수 쪽으로 일부 결집한 것으로 보이고 50대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는 점은 작년 대선과 마찬가지로 50대에서 안철수가 가진 개인 경쟁력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는 평이다. 그러나 60대 이상에서나마 1위를 지킨 자유한국당과는 달리 어느 세대에서도 1위를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안철수와 바른미래당의 한계를 보여준 결과였다. ==== 심층 출구조사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width=180]]||{{{#ffffff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br]방송 3사 심층 출구조사'''}}} ||}}} || || 의뢰기관 ||2018 지방선거 방송사 공동예측조사위원회[br](한국방송협회, [[KBS]], [[MBC]], [[SBS]]) || || 수행기관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 칸타퍼블릭코리아 || || 수행기간 ||2018년 6월 13일 06:00 ~ 17:00 || || 조사대상 ||전국 66개 투표소 유권자 3,403명[br],,(매 25번째 투표자 등간격),, ||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2%p || 이번 출구조사는 [[19대 대선]]에 이어서 두번째로 심층 출구조사를 진행했다. 심층 출구조사는 누구를 선택했는지 외에 찍은 이유와 후보 결정 요인 등 민심을 추적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조사이다. [[파일:20rmfovlr180613.jpg]] [[파일:30rmfovlr180613.jpg]] [[파일:40rmfovlr180613.jpg]] ||<-4> {{{#ffffff '''후보 선택 이유'''}}} || || -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인물'''}}} || {{{#ffffff '''공약&정책'''}}} || || 전체 || 40.4% || 28.9% || 26.1% || ||<-4> '''{{{#ffffff 투표 후보 정당별 (단위: %)}}}''' || || '''{{{#ffffff 더불어민주당[br]후보 투표자 }}}''' || 47.1% || 27.4% || 22.4% || || '''{{{#ffffff 자유한국당[br]후보 투표자 }}}''' || 38.6% || 31.8% || 25.2% || || '''{{{#ffffff 바른미래당[br]후보 투표자 }}}''' || 27.0% || 30.9% || 34.3% || ||<-5> {{{#ffffff '''2017 대선 지지자의 선택'''}}} || || 2017대선 지지자[br](↓) || '''{{{#ffffff 더불어민주당 }}}''' || '''{{{#ffffff 자유한국당 }}}''' || '''{{{#ffffff 바른미래당 }}}''' || {{{#ffffff '''무소속&기타'''}}} || || '''{{{#ffffff 문재인 후보 투표 }}}''' || 80.4% || 4.2% || 2.2% || 13.3% || || '''{{{#ffffff 홍준표 후보 투표 }}}''' || 6.7% || 85.3% || 3.6% || 4.4% || || '''{{{#ffffff 안철수 후보 투표 }}}''' || 31.0% || 21.2% || 29.3% || 18.4% || ||<-4> {{{#ffffff '''투표 후보별 지지 정당&정치 성향'''}}} || || 투표 후보 정당별[br](↓) || '''{{{#ffffff 더불어민주당[br]후보 투표자 }}}''' || '''{{{#ffffff 자유한국당[br]후보 투표자 }}}''' || '''{{{#ffffff 바른미래당[br]후보 투표자 }}}''' || ||<-4> '''{{{#ffffff 투표 후보별 지지 정당 (단위: %)}}}''' || || '''{{{#ffffff 더불어민주당 }}}''' || 85.9% || 14.0% || 24.6% || || '''{{{#ffffff 자유한국당 }}}''' || 2.0% || 70.9% || 10.1% || || '''{{{#ffffff 바른미래당 }}}''' || 1.8% || 6.5% || 48.3% || || '''{{{#ffffff 민주평화당 }}}''' || 0.6% || 0.1% || 0.0% || || '''{{{#000000 정의당 }}}''' || 6.3% || 2.2% || 3.2% || ||<-4> '''{{{#ffffff 투표 후보별 정치 성향 (단위: %)}}}''' || || '''{{{#ffffff 매우 보수 }}}''' || 3.0% || 7.9% || 3.9% || || '''{{{#ffffff 보수 }}}''' || 11.7% || 45.5% || 21.8% || || '''{{{#ffffff 중도 }}}''' || 40.9% || 32.8% || 49.0% || || '''{{{#ffffff 진보 }}}''' || 35.7% || 8.7% || 16.9% || || '''{{{#ffffff 매우 진보 }}}''' || 4.4% || 0.1% || 1.4% || ||<-4> {{{#ffffff '''이번 지방선거에 대한 성격'''}}} || || - || {{{#ffffff '''정부여당에 힘 실어줘야'''}}} || {{{#ffffff '''정부 여당을 견제해야'''}}} || {{{#ffffff '''잘 모르겠다'''}}} || || 전체 || 64.2% || 25.8% || 10.0% || ||<-4> '''{{{#ffffff 연령별 (단위: %)}}}''' || || 19세,20대 || 64.7% || 17.8% || 17.5% || || 30대 || 77.7% || 10.9% || 11.4% || || 40대 || 76.4% || 17.5% || 6.2% || || 50대 || 65.1% || 28.0% || 7.0% || || 60대 이상 || 47.3% || 42.5% || 10.2% || ||<-4> '''{{{#ffffff 지지 정당별 (단위: %)}}}''' || || '''{{{#ffffff 더불어민주당 }}}''' || 86.7% || 7.5% || 5.8% || || '''{{{#ffffff 자유한국당 }}}''' || 21.8% || 70.5% || 7.7% || || '''{{{#ffffff 바른미래당 }}}''' || 28.5% || 61.3% || 10.2% || || '''{{{#ffffff 민주평화당 }}}''' || 47.2% || 34.6% || 18.2% || || '''{{{#000000 정의당 }}}''' || 70.6% || 19.0% || 10.4% || ||<-4> '''{{{#ffffff 투표 후보 정당별 (단위: %)}}}''' || || '''{{{#ffffff 더불어민주당[br]후보 투표자 }}}''' || 85.8% || 7.9% || 6.3% || || '''{{{#ffffff 자유한국당[br]후보 투표자 }}}''' || 29.1% || 62.3% || 8.6% || || '''{{{#ffffff 바른미래당[br]후보 투표자 }}}''' || 35.5% || 53.6% || 10.9% || 먼저 이번 선거 성격에 대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4.2%가 "[[문재인정부|정부]]·[[더불어민주당|여당]]에 힘을 실어줘야한다"고 답했고 견제해야 한다는 응답은 25.8%에 그쳤다. 모른다는 응답은 10%를 차지했다. 민주당과 평화당, 정의당 지지자들은 정부여당에 힘을 실어줘야한다는 응답이 많았고,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지지자들은 견제해야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연령별 조사 결과도 모든 연령대에서 정부여당에 힘을 실어줘야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60대 이상은 정부여당 견제에 대한 응답도 비등하게 나왔다. ||<-6> {{{#ffffff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율'''}}} || || - || {{{#ffffff '''매우 잘함'''}}} || {{{#ffffff '''대체로 잘함'''}}} || {{{#ffffff '''별로 못함'''}}} || {{{#ffffff '''전혀 못함'''}}} || {{{#ffffff '''잘 모르겠다'''}}} || || 전체 || 33.3% || 46.9% || 11.5% || 3.6% || 4.7% || ||<-6> '''{{{#ffffff 지역별 (단위: %)}}}''' || || 서울 || 35.2% || 44.7% || 10.3% || 4.3% || 5.5% || || 인천&경기 || 37.8% || 46.1% || 8.8% || 2.9% || 4.4% || || 대전&세종&충청 || 29.6% || 49.5% || 11.6% || 4.8% || 4.5% || || 광주&전라 || 49.0% || 47.0% || 2.4% || 0.5% || 1.2% || || 대구&경북 || 17.6% || 45.1% || 24.5% || 5.6% || 7.2% || || 부산&울산&경남 || 25.0% || 48.4% || 16.9% || 4.0% || 5.6% || || 강원&제주 || 32.2% || 52.9% || 7.3% || 3.3% || 4.2% ||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80.2%가 나왔다. 전 지역에서 모두 긍정평가가 높게 나왔다.[[http://naver.me/5ElmWIM7|#]] 후보 결정요인은 정부의 경제정책을 응답한 유권자가 많았고 세대별로는 30대~50대는 경제정책, 20대와 60대이상은 도덕성을 응답한 유권자가 많았다. 정당별로는 민주당, 평화당, 정의당을 지지하는 유권자가 경제정책을,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을 지지하는 유권자가 도덕성을 후보 결정요인으로 꼽았다.[[http://naver.me/GehsdVME|#]] 그 외에도 개헌은 문재인 정부 임기 내에 해야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세금과 복지수준에 대해서는 세금 인상과 복지 확대에 대한 응답이 높았으나(44.7%) 세금 유지와 복지 유지를 응답한 유권자도 40.5%에 달했다.[[http://naver.me/IDJLIS6X|#]] [[파일:0010586430_002_20180614073511116.jpg]] [[파일:0010586430_003_20180614073511133.jpg]] [[파일:0010586430_004_20180614073511149.jpg]] == 결과 == ||<-3> [[파일:제7대 전국동시지방 선거 결과(광역자치단체장).svg|width=100%]] || ||<-3> {{{#ffffff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단체장|{{{#ffffff 광역자치단체장}}}]]''' ,,(총 17명),,}}} || || [[더불어민주당|{{{#ffffff {{{+1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ffffff {{{+1 '''자유한국당'''}}}}}}]] || {{{#ffffff {{{+1 '''무소속'''}}}}}} || || '''14''' || 2 || 1 || ---- ||<-4> [[파일:제7대 전국동시지방 선거 결과(기초자치단체장).svg|width=100%]] || ||<-4> {{{#ffffff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ffffff 기초자치단체장}}}]]''' ,,(총 226명),,}}} || || [[더불어민주당|{{{#ffffff {{{+1 '''민주'''}}}}}}]] || [[자유한국당|{{{#ffffff {{{+1 '''한국'''}}}}}}]] || [[민주평화당|{{{#ffffff {{{+1 '''평화'''}}}}}}]] || {{{#ffffff {{{+1 '''무소속'''}}}}}} || || '''151''' || 53 || 5 || 17 || ||<-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통계,,}}} ||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자유한국당|{{{#ffffff '''한국'''}}}]] || [[민주평화당|{{{#ffffff '''평화'''}}}]] || {{{#ffffff '''무'''}}} || {{{#ffffff '''총원'''}}} || || 서울 || {{{#fff '''24'''}}} || 1 || 0 || 0 || '''25''' || || 부산 || {{{#fff '''13(13/0)'''}}} || 2(2/0) || 0 || 1(0/1) || '''16(15/1)''' || || 대구 || 0 || {{{#fff '''7(7/0)'''}}} || 0 || 1(0/1) || '''8(7/1)''' || || 인천 || {{{#fff '''9(8/1)'''}}} || 1(0/1) || 0 || 0 || '''10(8/2)''' || || 광주 || {{{#fff '''5'''}}} || 0 || 0 || 0 || '''5''' || || 대전 || {{{#fff '''5'''}}} || 0 || 0 || 0 || '''5''' || || 울산 || {{{#fff '''5(4/1)'''}}} || 0 || 0 || 0 || '''5(4/1)''' || || 경기 || {{{#fff '''29(28/1)'''}}} || 2(0/2) || 0 || 0 || '''31(28/3)''' || || 강원 || {{{#fff '''11(5/6)'''}}} || 5(1/4) || 0 || 2(1/1) || '''18(7/11)''' || || 충북 || {{{#fff '''7(2/5)'''}}} || 4(1/3) || 0 || 0 || '''11(3/8)''' || || 충남 || {{{#fff '''11(7/4)'''}}} || 4(1/3) || 0 || 0 || '''15(8/7)''' || || 전북 || {{{#fff '''10(5/5)'''}}} || 0 || 2(1/1) || 2(0/2) || '''14(6/8)''' || || 전남 || {{{#fff '''14(3/11)'''}}} || 0 || 3(0/3) || 5(2/3) || '''22(5/17)''' || || 경북 || 1(1/0) || {{{#fff '''17(6/11)'''}}} || 0 || 5(3/2) || '''23(10/13)''' || || 경남 || {{{#fff 7('''5'''/2)}}} || {{{#fff 10(3/'''7''')}}} || 0 || 1(0/1) || '''18(8/10)''' || ^^'''{{{#000,#e5e5e5 ( / ) 괄호 안의 숫자는 (시장·구청장 / 군수)를 구분하여 표기한 것이다.}}}'''^^}}} || ---- ||<-6> [[파일:GY_2018M15J2.png|width=100%]] ---- [[파일:7회지선광역의원.png|width=100%]]|| ||<-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의원|{{{#ffffff '''광역의회의원''' ,,(총 824명[* [[소선거구제]] 지역구 737명, 비례대표 87명],,{{{#ffffff ,,),,}}} [br]{{{-3 {{{#ffffff 칠해진 색은 그 지역 의회의 제1당이다.}}}}}}}}}]] || || [[더불어민주당|{{{#ffffff {{{+1 '''민주'''}}}}}}]] || [[자유한국당|{{{#ffffff {{{+1 '''한국'''}}}}}}]] || [[정의당|{{{#000000 {{{+1 '''정의'''}}}}}}]] || [[바른미래당|{{{#ffffff {{{+1 '''바른'''}}}}}}]] || [[민주평화당|{{{#ffffff {{{+1 '''평화'''}}}}}}]] || {{{#ffffff {{{+1 '''무'''}}}}}} || || '''652''' || 137 || 11 || 5 || 3 || 16 || ||<-6> 무투표 당선자 ([[더불어민주당|{{{#004ea2,#5dabff '''민주'''}}}]]: 16명, [[자유한국당|{{{#c9151e,#ea363e '''한국'''}}}]]: 7명) 있음 || ||<-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통계,,}}} ||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자유한국당|{{{#ffffff '''한국'''}}}]] || [[정의당|{{{#000000 '''정의'''}}}]] || [[바른미래당|{{{#ffffff '''바른'''}}}]] || [[민주평화당|{{{#ffffff '''평화'''}}}]] || {{{#ffffff '''무'''}}} || {{{#ffffff '''총원'''}}} || || 서울 || {{{#fff '''97(5)'''}}} || 3(3) || 0(1) || 0(1) || 0 || 0 || '''110''' || || 부산 || {{{#fff '''38(3)'''}}} || 4(2) || 0 || 0 || 0 || 0 || '''47''' || || 대구 || 4(1) || {{{#fff '''23(2)'''}}} || 0 || 0 || 0 || 0 || '''30''' || || 인천 || {{{#fff '''32(2)'''}}} || 1(1) || 0(1) || 0 || 0 || 0 || '''37''' || || 광주 || {{{#fff '''20(2)'''}}} || 0 || 0(1) || 0 || 0 || 0 || '''23''' || || 대전 || {{{#fff '''19(2)'''}}} || 0(1) || 0 || 0 || 0 || 0 || '''22''' || || 울산 || {{{#fff '''15(2)'''}}} || 4(1) || 0 || 0 || 0 || 0 || '''22''' || || 세종 || {{{#fff '''16(1)'''}}} || 0(1) || 0 || 0 || 0 || 0 || '''18''' || || 경기 || {{{#fff '''128(7)'''}}} || 1(3) || 0(2) || 0(1) || 0 || 0 || '''142''' || || 강원 || {{{#fff '''32(3)'''}}} || 9(2) || 0 || 0 || 0 || 0 || '''46''' || || 충북 || {{{#fff '''26(2)'''}}} || 3(1) || 0 || 0 || 0 || 0 || '''32''' || || 충남 || {{{#fff '''31(2)'''}}} || 7(1) || 0(1) || 0 || 0 || 0 || '''42''' || || 전북 || {{{#fff '''34(2)'''}}} || 0 || 0(1) || 0 || 0(1) || 1 || '''39''' || || 전남 || {{{#fff '''50(4)'''}}} || 0 || 1(1) || 0 || 1(1) || 0 || '''58''' || || 경북 || 7(2) || {{{#fff '''38(3)'''}}} || 0 || 0(1) || 0 || 9 || '''60''' || || 경남 || {{{#fff '''31(3)'''}}} || 19(2) || 0(1) || 0 || 0 || 2 || '''58''' || || 제주 || {{{#fff '''25(4)'''}}} || 1(1) || 0(1) || 1(1) || 0 || 4 || '''38''' || ^^'''{{{#000,#e5e5e5 ( ) 괄호 안의 숫자는 비례대표 의석수이다.}}}'''^^}}} || ---- ||<-7> [[파일:GC_20180613_2.png|width=100%]] || ||<-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의원|{{{#ffffff '''기초의회의원''' ,,(총 2,926명[* [[중선거구제]] 지역구 2541명, 비례대표 385명],,{{{#ffffff ,,),,}}} [br]{{{-3 {{{#ffffff 칠해진 색은 그 지역 의회의 제1당이다. 제1당과 제2당이 동수일 경우에는 단체장의 당적을 따랐다.}}}}}}}}}]] || || [[더불어민주당|{{{#ffffff {{{+1 '''민주'''}}}}}}]] || [[자유한국당|{{{#ffffff {{{+1 '''한국'''}}}}}}]] || [[민주평화당|{{{#ffffff {{{+1 '''평화'''}}}}}}]] || [[정의당|{{{#000000 {{{+1 '''정의'''}}}}}}]] || [[바른미래당|{{{#ffffff {{{+1 '''바른'''}}}}}}]] || [[민중당(2017년)|{{{#ffffff {{{+1 '''민중'''}}}}}}]] || {{{#ffffff {{{+1 '''무'''}}}}}} || || '''1639''' || 1009 || 49 || 26 || 21 || 11 || 171 || ||<-7> 무투표 당선자 ([[더불어민주당|{{{#004ea2,#5dabff '''민주'''}}}]]: 28명, [[자유한국당|{{{#c9151e,#ea363e '''한국'''}}}]]: 33명) 있음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통계,,}}} ||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자유한국당|{{{#ffffff '''한국'''}}}]] || [[민주평화당|{{{#ffffff '''평화'''}}}]] || [[정의당|{{{#000000 '''정의'''}}}]] || [[바른미래당|{{{#ffffff '''바른'''}}}]] || [[민중당(2017년)|{{{#ffffff '''민중'''}}}]] || {{{#ffffff '''무'''}}} || {{{#ffffff '''총원'''}}} || || 서울 || {{{#fff '''219(30)'''}}} || 134(23) || 0 || 5 || 8(1) || 0 || 3 || '''423''' || || 부산 || {{{#fff '''87[br](16)'''}}} || 69(9) || 0 || 0 || 0 || 0 || 1 || '''182''' || || 대구 || 45(5) || {{{#fff '''53(9)'''}}} || 0 || 1 || 2 || 0 || 1 || '''116''' || || 인천 || {{{#fff '''62(9)'''}}} || 39(7) || 0 || 0 || 0 || 0 || 1 || '''118''' || || 광주 || {{{#fff '''46(9)'''}}} || 0 || 9 || 1 || 0 || 3 || 0 || '''68''' || || 대전 || {{{#fff '''33(5)'''}}} || 21(4) || 0 || 0 || 0 || 0 || 0 || '''63''' || || 울산 || {{{#fff '''22(5)'''}}} || 19(2) || 0 || 0 || 0 || 1 || 1 || '''50''' || || 경기 || {{{#fff '''252(37)'''}}} || 128(16) || 0 || 3(2) || 3(1) || 2 || 2 || '''446''' || || 강원 || {{{#fff '''74[br](19)'''}}} || 59(4) || 0 || 0 || 1 || 0 || 12 || '''169''' || || 충북 || {{{#fff '''74[br](12)'''}}} || 40(3) || 0 || 0(1) || 0 || 0 || 2 || '''132''' || || 충남 || {{{#fff '''83[br](15)'''}}} || 55[br](11) || 0 || 0 || 1 || 0 || 6 || '''171''' || || 전북 || {{{#fff '''126(21)'''}}} || 0 || 14 || 2(4) || 2 || 0 || 28 || '''197''' || || 전남 || {{{#fff '''150(28)'''}}} || 0 || 23(3) || 2(1) || 0 || 4 || 32 || '''243''' || || 경북 || 38[br](12) || {{{#fff '''146(25)'''}}} || 0 || 1 || 2 || 0 || 60 || '''284''' || || 경남 || 89[br](15) || {{{#fff '''113(20)'''}}} || 0 || 2(1) || 0 || 1 || 23 || '''264''' || ^^'''( ) 괄호 안의 숫자는 비례대표 의석수이다.'''^^}}} || ---- ||<-3> [[파일:GY_2018JB14BS3.png|width=100%]] || ||<-3> {{{#ffffff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ffffff 교육감}}}]]''' ,,(총 17명),,}}} || || [[진보주의|{{{#ffffff {{{+1 '''진보'''}}}}}}]] || [[보수주의|{{{#ffffff {{{+1 '''보수'''}}}}}}]] || [[중도주의|{{{#ffffff {{{+1 '''중도'''}}}}}}]] || || '''14''' || 2 || 1[* 대전광역시교육감은 중도보수로 분류되기도 한다. 때문에 기사에 따라선 그냥 보수 후보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었다.] || === 투표율 === ||<-7> '''지역별 투표율''' || || '''지역''' || '''선거인 수''' || '''사전 투표수''' || '''사전 투표율''' || '''총 투표수''' || '''총 투표율''' || '''기권수''' || || [[서울특별시|서울]] || 8,380,947 || 1,600,558 || 19.10% || 5,020,153 || 59.9% || || || [[부산광역시|부산]] || 2,939,046 || 504,421 || 17.16% || 1,727,730 || 58.8% || || || [[대구광역시|대구]] || 2,047,286 || 336,422 || '''{{{#blue,#0000ff 16.43%}}}''' || 1,172,495 || 57.3% || || || [[인천광역시|인천]] || 2,440,779 || 429,112 || 17.58% || 1,350,786 || '''{{{#blue,#0000ff 55.3%}}}''' || || || [[광주광역시|광주]] || 1,172,429 || 277,252 || 23.65% || 694,252 || 59.2% || || || [[대전광역시|대전]] || 1,219,513 || 239,713 || 19.66% || 706,803 || 58.0% || || || [[울산광역시|울산]] || 942,550 || 202,482 || 21.48% || 610,882 || 64.8% || || || [[세종특별자치시|세종]] || 222,852 || 55,149 || 24.75% || 137,608 || 61.7% || || || [[경기도|경기]] || 10,533,027 || 1,840,150 || 17.47% || 6,089,681 || 57.8% || || || [[강원도|강원]] || 1,296,196 || 288,488 || 22.26% || 819,724 || 63.2% || || || [[충청북도|충북]] || 1,318,186 || 273,562 || 20.75% || 782,146 || 59.3% || || || [[충청남도|충남]] || 1,740,413 || 340,196 || 19.55% || 1,011,997 || 58.1% || || || [[전라북도|전북]] || 1,527,729 || 424,883 || 27.81% || 997,228 || 65.3% || || || [[전라남도|전남]] || 1,577,224 || 500,468 || '''{{{#red,#ff0000 31.73%}}}''' || 1,092,500 || '''{{{#red,#ff0000 69.3%}}}''' || || || [[경상북도|경북]] || 2,251,538 || 550,705 || 24.46% || 1,457,807 || 64.7% || || || [[경상남도|경남]] || 2,765,485 || 658,923 || 23.83% || 1,819,856 || 65.8% || || || [[제주특별자치도|제주]] || 532,515 || 118,413 || 22.24% || 351,110 || 65.9% || || || '''합계''' || 42,907,715 || 8,640,897 || 20.14% || 25,842,758 || '''60.2%''' || || ||<-7> '''시간대별 투표율''' || ||<-7> 선거인 수: 42,907,715명 || ||<|3> '''{{{#000,#e5e5e5 시간}}}''' || '''누적''' || '''투표율''' || '''누적''' || '''투표율''' || '''누적''' || '''투표율''' || ||<-4> 사전투표일 ||<-2> 선거일 당일 || ||<-2> 6월 8일(금) ||<-2> 6월 9일(토) ||<-2> 6월 13일(수) || || 7시 || 146,988 || 0.34% || 3,918,635 || 9.13% || 929,161 || 2.2% || || 8시 || 298,136 || 0.69% || 4,094,654 || 9.54% || 1,976,429 || 4.6% || || 9시 || 532,188 || 1.24% || 4,349,689 || 10.14% || 3,288,226 || 7.7% || || 10시 || 875,891 || 2.04% || 4,711,843 || 10.98% || 4,918,715 || 11.5% || || 11시 || 1,253,768 || 2.92% || 5,136,106 || 11.97% || 6,717,292 || 15.7% || || 12시 || 1,593,825 || 3.71% || 5,574,918 || 12.99% || 8,438,680 || 19.7% || || 13시 || 1,928,502 || 4.49% || 5,999,889 || 13.98% || 18,644,764 || 43.5%[* 선거 당일 이 시각부터 사전 투표와 거소 투표가 합산되어 집계된다.] || || 14시 || 2,311,835 || 5.39% || 6,479,401 || 15.10% || 20,093,379 || 46.8% || || 15시 || 2,687,882 || 6.26% || 6,984,781 || 16.28% || 21,518,219 || 50.1%[* 실수치가 50.14'''99998'''3%로, 단 '''0.073명''' 차이로 내려진 반올림값을 가졌다. 네이버 초기 화면에는 50.2%로 적혔다가 이후 50.1%로 수정했다.] || || 16시 || 3,040,308 || 7.09% || 7,501,197 || 17.48% || 22,836,413 || 53.2% || || 17시 || 3,391,391 || 7.90% || 8,034,394 || 18.72% || 24,067,041 || 56.1% || || 18시 || 3,762,449 || 8.77% || 8,640,897 || 20.14% || 25,842,758 || '''60.2%''' || 6월 8~9일 이틀 동안 사전 투표를 진행하였다. 최종 사전투표율은 20.14%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11.49%)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12.19%)보다 높았다. [[제19대 대통령 선거]](26.06%)보다는 조금 낮았다. 최종 투표율은 60.2%로 마의 60%를 뚫었는데 이것은 1회 지방선거 이후 처음이다. 특히 전남은 투표율이 70%에 육박했으며, 자치구/시/군까지 따지면 전북 장수군의 투표율이 82.7%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대선 이외의 전국 단위 선거에서 60% 이상의 투표율을 기록한 것은 2004년 17대 총선 이후 처음이다. 투표 열기를 올리기 위해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사전투표율 20%, 총 투표율 60%를 넘으면 소속 의원들이 머리카락을 파란색으로 염색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그리고 실제로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441242&code=61111111&cp=nv|투표율이 기준을 넘자 이 공약을 실행했다.]] 먼저 사전투표 직후 [[박경미]], [[백혜련]], [[유은혜]], [[이재정(1974)|이재정]], [[진선미]] 의원이 파란색으로 염색하고 인증샷을 올렸다. 그리고 선거 다음날인 6월 14일 임종성, 김민기, 김정우 의원이 머리를 파란색으로 염색하였다. ---- ||<-6> 시군구별 투표율 순위 || ||<-3> 최고 투표율 1위~10위 ||<-3> 최저 투표율 1위~10위 || || '''1위''' || '''[[전라북도]] [[장수군]]''' || '''82.7%''' || 1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 50.3% || || 2위 || [[경상북도]] [[울릉군]] || 82.6% || 2위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남구]] || 51.6% || || 3위 || [[경상북도]] [[영양군]] || 82.3% || 3위 || [[경기도]] [[시흥시]] || 52.9% || || 4위 || [[경상북도]] [[군위군]] || 81.9% || 4위 || [[경기도]] [[오산시]] || 53.1% || || 5위 || [[전라남도]] [[구례군]] || 81.4% || 5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 53.1% || || 6위 || [[전라북도]] [[순창군]] || 81.0% || 6위 || [[경기도]] [[평택시]] || 53.2% || || 7위 || [[전라남도]] [[고흥군]] || 80.7% || 7위 || [[충청남도]] [[아산시]] || 53.2% || || 8위 || [[전라북도]] [[무주군]] || 80.5% || 8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 53.3% || || 9위 || [[경상남도]] [[의령군]] || 79.7% || 9위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 53.5% || || 10위 || [[경상남도]] [[하동군]] || 79.3% || 10위 || [[대구광역시]] [[서구(대구광역시)|서구]] || 53.6% || ---- [[파일:l_2018091801002136000170912.jpg]] 성별, 연령대별 투표율. === 득표율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 ,,(17개 선거구),,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서울]]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2|[[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2|부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3|[[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3|대구]]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4|[[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4|인천]]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5|[[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5|광주]]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6|[[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6|대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7|[[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7|울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8|[[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8|세종]]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9|[[파일:경기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9|경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0|[[파일:강원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0|강원]]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1|[[파일:충청북도 휘장(1998-2023).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1|충북]]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2|[[파일:충청남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2|충남]]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3|[[파일:전라북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3|전북]]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4|[[파일:전라남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4|전남]]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5|[[파일:경상북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5|경북]]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6|[[파일:경상남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6|경남]]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7|[[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s-4.17|제주]] ||<-3>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226개 선거구),,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서울특별시|[[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서울특별시|서울]]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부산광역시|[[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부산광역시|부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대구광역시|[[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대구광역시|대구]]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인천광역시|[[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인천광역시|인천]]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광주광역시|[[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광주광역시|광주]]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대전광역시|[[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대전광역시|대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울산광역시|[[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울산광역시|울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경기도|[[파일:경기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경기도|경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강원도|[[파일:강원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강원도|강원]]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충청북도|[[파일:충청북도 휘장(1998-2023).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충청북도|충북]]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충청남도|[[파일:충청남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충청남도|충남]]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전라북도|[[파일:전라북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전라북도|전북]]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전라남도|[[파일:전라남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전라남도|전남]]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경상북도|[[파일:경상북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경상북도|경북]]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경상남도|[[파일:경상남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경상남도|경남]]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 ,,(17개 선거구),,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서울]]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2|[[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2|부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3|[[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3|대구]]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4|[[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4|인천]]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5|[[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5|광주]]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6|[[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6|대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7|[[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7|울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8|[[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8|세종]]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9|[[파일:경기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9|경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0|[[파일:강원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0|강원]]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1|[[파일:충청북도 휘장(1998-2023).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1|충북]]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2|[[파일:충청남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2|충남]]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3|[[파일:전라북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3|전북]]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4|[[파일:전라남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4|전남]]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5|[[파일:경상북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5|경북]]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6|[[파일:경상남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6|경남]]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7|[[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width=20px]]]][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s-3.17|제주]] ||<-3> || ==== 정당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득표율 ==== ||<-3> {{{#ffffff '''정당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득표율'''}}} || ||<|2> '''정당''' || '''득표수''' ||<|2> '''당선인''' || || '''득표율''' ||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14,191,438''' ||<|2> '''{{{#004ea2 14명}}}''' || || '''56.01%''' || ||<|2> [include(틀:자유한국당)] || '''7,884,768''' ||<|2> '''{{{#C8171E 2명}}}''' || || '''31.12%''' || ||<|2> [include(틀:바른미래당)] || '''1,912,643''' ||<|2> - || || '''7.55%''' || ||<|2>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502,752''' ||<|2> - || || '''1.98%''' || ||<|2> [include(틀:민주평화당)] || '''295,701''' ||<|2> - || || '''1.17%''' || ||<|2> [include(틀:무소속)] || '''204,975''' ||<|2> '''{{{#808080 1명}}}''' || || '''0.81%''' || ||<|2> [include(틀:민중당)] || '''199,402''' ||<|2> - || || '''0.79%''' || ||<|2> [include(틀:녹색당)] || '''95,062''' ||<|2> - || || '''0.38%''' || ||<|2> [include(틀:가자코리아)] || '''23,012''' ||<|2> - || || '''0.09%''' || ||<|2> [include(틀:우리미래)] || '''11,599''' ||<|2> - || || '''0.05%''' || ||<|2> [include(틀:대한애국당)] || '''11,222''' ||<|2> - || || '''0.04%''' || ||<|2> [include(틀:친박연대)] || '''4,021''' ||<|2> - || || '''0.02%''' || || '''선거인 수''' || 42,907,715 ||<|3> '''투표율'''[br]60.20% || || '''투표 수''' || 25,832,076 || || '''무효표 수''' || 495,481 || ==== 광역의원 비례대표 합산 전국 득표율 ==== ||<-2>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 [[더불어민주당]] || 12,996,592표 || 51.42% || 전 지역 출마. || || || [[자유한국당]] || 7,017,554표 || 27.76% || 전 지역 출마. || || || [[정의당]] || 2,267,690표 || 8.97% || 전 지역 출마. || || || [[바른미래당]] || 1,973,141표 || 7.81% || 전 지역 출마. || || || [[민주평화당]] || 385,202표 || 1.52% || 10개 광역시도 출마.[* 대전, 세종, 충남 등의 범 충남권과 대구, 울산, 경남의 범 영남권, 그리고 제주에서 출마하지 않았다.] || || || [[민중당(2017년)|민중당]] || 245,437표 || 0.97% || 세종시를 제외한 전 지역 출마. || || ||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 175,988표 || 0.70% || 세종·경북을 제외한 전 지역 출마. || || || [[대한애국당]] || 97,828표 || 0.39% || 9개 광역시도 출마.[* 서울, 부산, 대구, 인천, 울산, 경기, 강원, 경북, 경남] || || ||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 60,913표 || 0.24% || 9개 광역시도 출마.[*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제주] || || || [[우리미래]] || 27,444표 || 0.11% || 3개 광역시도 출마.[* 서울, 경기, 충북] || || || [[친박연대(2017년)|친박연대]] || 18,840표 || 0.07% || 서울·경북에서만 출마. || || || [[새누리당(2017년)|새누리당]] || 7,978표 || 0.03% || 강원도에서만 출마. || || || [[국제녹색당]] || 2,559표 || 0.01% || 서울에서만 출마.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지역별 결과]] === * [[/지역별 결과/수도권]] * [[/지역별 결과/강원도]] * [[/지역별 결과/충청권]] * [[/지역별 결과/전라권]] * [[/지역별 결과/대경권]] * [[/지역별 결과/동남권]] * [[/지역별 결과/제주도]]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 참고.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결과|정당별 결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결과)]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당선인 통계|당선인 통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당선인 통계)] === 격전지 === ==== 광역단체장 ==== * 경기지사 연천군: 392표 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승 * 경기지사 여주시: 607표 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승 * 충북지사 보은군: 771표 차 더불어민주당 이시종 승 * 경남지사 고성군: 917표 차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승 ==== 기초단체장 ==== * 강원 평창군수: '''24표 차''' 더불어민주당 한왕기 승 * 경북 영양군수: '''59표 차 '''자유한국당 오도창 승 * 경북 봉화군수: 134표 차 무소속 엄태항 승 * 전남 목포시장: 292표 차 더불어민주당 김종식 승 * 경기 여주시장: 309표 차 더불어민주당 이항진 승 * 경남 함양군수: 429표 차 무소속 서춘수 승 * 인천 옹진군수: 467표 차 더불어민주당 장정민 승 * 충남 청양군수: 585표 차 더불어민주당 김돈곤 승 * 전남 신안군수: 611표 차 무소속 박우량 승 * 강원 양구군수: 612표 차 더불어민주당 조인묵 승 * 강원 속초시장: 655표 차 더불어민주당 김철수 승 * 강원 화천군수: 691표 차 자유한국당 최문순 승 * 경북 성주군수: 687표 차 자유한국당 이병환 승 * 경북 울릉군수: 687표 차 자유한국당 김병수 승 * 경기 양평군수: 738표 차 더불어민주당 정동균 승 * 전남 강진군수: 844표 차 더불어민주당 이승옥 승 * 전남 장흥군수: 849표 차 무소속 정종순 승 * 충북 옥천군수: 887표 차 더불어민주당 김재종 승 * 전남 진도군수: 917표 차 더불어민주당 이동진 승 * 경남 통영시장: 930표 차 더불어민주당 강석주 승 ==== 교육감 ==== * 전남교육감 완도군: 진보성향 고석규 20표 차 승 * 전남교육감 고흥군: 중도성향 오인성 24표 차 승 * 전남교육감 함평군: 진보성향 고석규 105표 차 승 * 충남교육감 계룡시: 진보성향 김지철 317표 차 승 * 경기교육감 과천시: 진보성향 이재정 354표 차 승 * 강원교육감 강릉시: 진보성향 민병희 365표 차 승 * 대구교육감 북구: 진보성향 김사열 378표 차 승 * 전남교육감 장성군: 진보성향 장석웅 419표 차 승 * 강원교육감 양양군: 보수성향 신경호 501표 차 승 * 충남교육감 청양군: 보수성향 명노희 584표 차 승 * 경기교육감 포천시: 보수성향 임해규 625표 차 승 * 전남교육감 화순군: 중도성향 오인성 636표 차 승 * 경기교육감 연천군: 보수성향 임해규 659표 차 승 * 전남교육감 구례군: 진보성향 장석웅 834표 차 승 * 대전교육감 유성구: 진보성향 성광진 864표 차 승 * 제주교육감 서귀포시: 보수성향 김광수 960표 차 승 * 강원교육감 양구군: 진보성향 민병희 990표 차 승 === 총평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AGAIN 2006]]"''' >---- >당시 언론보도에서[* 자신들의 텃밭(호남/TK)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패배를 당했다는 점이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너무 판박이라서 언론에서 이렇게 쓰인 것이다.] 1987년 체제 이후 보수정당은 몇번의 선거에서 쓴맛을 마신 적이 있지만, 대체로 보수 분열이 주원인이었고 참패했어도 텃밭인 영남은 확실히 사수했으며 이후를 준비할 여력은 마련할 수 있었다. 직전 선거인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19대 대선]] 때도 참패는 했으나, 19대 대선은 '''촛불혁명''' 직후 치러졌다는 특수성이 있었다. 당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의 득표율은 24.03%로 혁명의 심판을 받았지만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입장에서만 보자면 문재인 후보의 득표율은 41.08%로 과반을 넘기지 못했다. 이는 안철수, 유승민 후보에게 표를 던진 약 28%의 중도층의 표심이 이후 어느 정당으로 향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중도층의 향방이 반영된 이번 지방선거는 민주당의 압승, 한국당의 몰락으로 나타났고, 특히 보수정당 입장에서 3당 합당 이후 내내 텃밭이었던 [[부울경|PK]]가 민주당으로 넘어간 것이[* 반대로 말하면 민주당 세력이 다시 되찾아온거라고 볼 수도 있다. 원래 3당 합당 이전까지만 해도 PK(특히 부산, 창원과 같은 동남부 대도시권) 지역은 [[김영삼]] 계열의 민주 세력이 세를 떨치던 지역이었기 때문. 물론 자유한국당도 [[김영삼]] 계열의 민주 세력이 일부 섞인 정당이긴 하지만 당권 장악 측면에서 완벽한 주류라고 보긴 어렵다.][* 다만 2020년 부산시장인 [[오거돈]]이 사퇴하고 2021년 [[국민의힘]] 소속인 [[박형준]]이 부산시장이 되었으며, 얼마 뒤에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지사직 상실로 인해 완전히 살린 곳은 [[울산광역시]]만 유일하게 살렸다.] 가장 뼈아픈 충격이었다. 보수정당의 중앙 권력과 지방 권력이 민주당으로 완전히 넘어간 적은 전례없는 일이었다.[* 이후 2020년 [[21대 총선]]을 통해 의회 권력까지 내주게 된다.] [[TK 자민련]]으로 전락한 한국당은 설상가상으로 PK 뿐만 아니라 심장인 [[대경권|TK]]에서도 민주당의 유례없는 약진을 허용했다.[* 구미시에서 사상 최초로 민주당 시장이 배출되었고, 대구를 위시한 상당수 TK 지역(주로 구미, 포항 등 공단지역)에서도 다수의 광역, 기초의원들이 배출되었다.] 남북 화해 무드와 북미간 첫 정상회담이라는 훈풍은 드루킹 사건과 미투 운동이라는 리스크를 잠식하여 촛불정부와 허니문 기간으로 이미 민심의 독점적 우위를 점하고 있던 민주당을 견고하게 해주었고, 촛불혁명의 여파 속에서도 제대로 된 변화를 보여주지 못한 채 반대를 위한 반대라는 구태의연의 이미지로 점철된 한국당에 대한 민심은 여전히 참담했다는 것을 보여준 선거 결과였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으로 만들어진 [[바른미래당]]이라는 실험은 정체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19대 대선 당시 유승민 후보의 득표율에서 소폭 상승한 것에 그치며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 20대 총선에서 국민의당, 19대 대선에서 안철수를 지지한 중도층의 대다수는 미래당이 아닌 민주당으로 향했다는 것을 방증한다. [[정의당]]은 예상보다 선전했지만 동시에 전국적/대중적인 지지를 받아야 하는 숙제를 부여 받았다. [[http://heri.kr/964828|#]] 이번 지선은 1987년 체제 이후 처음으로 보수정당이 몰락했고 진보우위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한국당이 얻은 성과가 있다면 바른미래당이 궤멸하면서 사실상 유일 보수야당이자 대안정당이 되었다는 것이다. 바른미래당은 단체장에서 전멸했으며 광역의원조차 5명 밖에 배출하지 못했다. 광역단체장으로 서울에 출마한 안철수 후보가 야권단일후보로 나올 경우 그나마 승산이 있었지만 한국당이 전직 경기지사(...) 출신 김문수 후보를 서울에 전략 공천하면서 3위로 낙선하는 치욕을 당한다.[* 이는 홍준표에게 바른미래당의 싹을 사전에 잘라내려는 의도가 다분히 있었다고 보인다.] 결과적으로 바른미래당은 한국당과의 교섭없이는 다음 총선을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고 이후 미래통합당으로 보수 진영의 통합이 이뤄지는 결과가 나왔다.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이야깃거리|이야깃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이야깃거리)] [[분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