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 ||<-3>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br]{{{+1 제6대 국회}}}[br]第6代國會}}}''' || ||<-3> '''{{{#580009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2> '''이전''' || '''이후''' || ||<-2> [[국가재건최고회의|{{{#000080 '''국가재건최고회의'''}}}]] || [[제7대 국회|{{{#580009 '''제7대 국회'''}}}]] || || {{{#CFA547 '''의원정수'''}}} ||<-2>175석[* 지역구 131석, 비례대표 44석.] || || {{{#CFA547 '''의장'''}}} ||<-2>'''전반기''': [[이효상]],,(1963.12.17.~1965.12.16.),,[br]'''후반기''': [[이효상]],,(1965.12.17.~1967.6.30.),, || || {{{#CFA547 '''부의장'''}}} ||<-2>'''전반기''': [[장경순(1922)|장경순]], [[나용균]][br]'''후반기''': [[장경순(1922)|장경순]], [[이상철(1893)|이상철]] || || {{{#CFA547 '''제1당'''}}} ||<-2>[include(틀:민주공화당)][br]|| || {{{#CFA547 '''원내정당[* 임기 종료시 기준]'''}}}[br][[제6대 국회#s-3|{{{#CFA547 {{{-3 '''[ 의석수 보기 ]'''}}}}}}]] ||<-2>[[민주공화당|{{{#835b38 민주공화당}}}]], [[신민당(1967년)|{{{#dc352a 신민당}}}]]|| [목차] [clearfix] == 개요 == [[제6대 국회의원 선거|1963년 11월 26일 실시된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대한민국의 여섯 번째 국회. 종전의 [[양원제]] 국회에서 다시 [[단원제]] 국회로 환원하였고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진다. 대한민국 의정 사상 처음으로 전국구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국회이자[* 그러나 전국구 비례대표제를 시행하면서 제1당에 전국구 의석 총수의 50%를 배정하여 민주공화당과 같은 권위주의 정부의 여당이 국회를 장악하는데 기여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비민주적 의석 배분은 민주화 이후인 13대 국회까지 지속되었다.] 최초로 [[임기 중 사망한 국회의원]]이 단 1명도 나오지 않은 국회다.[* 6대 이후로 [[임기 중 사망한 국회의원]]이 하나도 안 나온 국회는 57년 후의 [[제21대 국회]]다.] == [[제6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6대 국회의원)] == 원구성 == [include(틀:제6대 국회의 원내 구성)] === 의장단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의장)]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제6대 전반기 국회 의장단 (1963년 12월 17일 ~ 1965년 12월 16일) *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이효상]] ([[민주공화당|{{{#835b38 민주공화당}}}]], 경북 3[* 대구 남], 재선) * 국회부의장 * [[장경순(1922)|장경순]] ([[민주공화당|{{{#835b38 민주공화당}}}]], 전북 11[* 김제], 초선) * [[나용균]] ([[민주당(1963년)|{{{#332b43 민주당}}}]], 전북 8[* 정읍], 4선) * 제6대 후반기 국회 의장단 (1965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이효상]] ([[민주공화당|{{{#835b38 민주공화당}}}]], 경북 3[* 대구 남], 재선) * 국회부의장 * [[장경순(1922)|장경순]] ([[민주공화당|{{{#835b38 민주공화당}}}]], 전북 11[* 김제], 초선) * [[이상철(1893)|이상철]] ([[국민의당(1963년)|{{{#c2c247 국민의당}}}]], 충북 7[* 청양·홍성], 3선) === [[상임위원회|상임위원회 / 상설특별위원회]] === [[제5대 국회]]에 있었던 부흥위원회가 재정경제위원회에 흡수되고 예산결산위원회가 예산심의 기간에만 구성되는 특별위원회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건설위원회가 신설되면서 총 12개의 상임위원회로 재편되었다. * 국회운영위원회 * 법제사법위원회 * 외무위원회 * 내무위원회 * 재정경제위원회(부흥위원회와 통합) * 국방위원회 * 문교공보위원회(기존의 문교위원회) * 농림위원회 * 상공위원회 * 보건사회위원회 * 교통체신위원회 * 건설위원회(신설) === [[특별위원회|비상설특별위원회]] === 특별위원회는 모두 9번 구성되었다. * 일본자금사전수수발언진상조사특별위원회(위원장: [[조시형]](민주공화당, 부산 중)) * 국공유지등부정불하진상조사특별위원회(위원장: [[김장섭]](민주공화당, 포항·영일·울릉)) 등 특정사건을 조사하기 위한 특별위원회가 6번, * 한일간조약과제협정비준동의안심사특별위원회(위원장: [[민관식]](민주공화당, 동대문 갑)) 등 의안의 심사를 위한 특별위원회가 2번, 특정사안에 대한 대책강구 및 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1번 구성되었다. === [[교섭단체]] === 제6대 국회부터는 의원 10명만으로도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었고, 소속 의원들이 같은 정당 소속이 아니라도 가능해졌다. * 제6대 국회 개원 당시 기준 * 민주공화당 110명(대표의원: [[김용태(1926)|김용태]]) * 민정당 41명(대표의원: [[서범석(1902)|서범석]]) * 민주당(13명)과 자유민주당(9명), 국민의당(2명)이 합쳐 삼민회(24명)(대표간사: [[유성권]]) 결성 == 주요 활동 == 아래에 열거한 법률은 †로 표시한 것 외에는 이 문서 최종수정일 현재에도 시행 중인 법률(후에 개정된 것 포함, 폐지제정된 것 제외)이다. * [[1963년]] * 12월 17일: [[5차 개헌]] 효력 적용.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출범. * [[1964년]] * 8월 5일: †언론윤리위원회법[* 언론을 억압하기 위한 관제기관인 언론윤리위원회를 설치하는 법이었으나 언론계의 반대투쟁으로 위원회 설치가 무기한 보류되었고 이후 신군부가 언론기본법을 제정하면서 1980년 12월 31일부로 폐지되었다.] 제정. * [[1965년]] * 2월 9일: [[정치자금법|정치자금에 관한 법률]][* 현 [[정치자금법]].] 제정. * 8월 14일: [[한일협정]] 비준동의안 통과. * 12월 20일: 조세감면규제법[* 현 조세특례제한법.] 제정. * [[1966년]] * 2월 23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 제정. * 8월 3일: 하수도법 제정. * 12월 6일: 중소기업기본법 제정. * [[1967년]] * 1월 16일: 결핵예방법, †과학기술진흥법[* 2001년 1월 16일 과학기술기본법을 제정하면서 타법폐지.] 제정. * 2월 28일: 풍수해대책법[* 현 자연재해대책법.] 제정. == 관련 문서 == * [[법률]] * [[법률/목록]] * [[법률/목록(분류)]] * [[폐지된 법률]] [[분류:제6대 국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