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white 역대 백상예술대상}}}''' || || [[제55회 백상예술대상]] || → || '''제56회 백상예술대상''' || → || [[제57회 백상예술대상]] || [목차] == 개요 == 2020년 6월 5일 개최된 [[백상예술대상]].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보통 매년 5월에 열려오던 시상식이 6월 초로 미뤄졌고, 일산 [[킨텍스]]에서 6월 5일 무관중으로 개최되었다. TV 부문은 전체 후보 40명 중 남자 예능상 후보인 [[희철|김희철]]을 제외하고 전부 참석했다. 특히 올해 TV 남녀 최우수 연기상의 경우, 후보 전원이 참석을 해서 수상 발표 직전 5분할이 인상적이었다는 반응이 많았다. 60년 가까이 진행된 시상식 역사상 TV부문 남녀 최우수 연기상 후보 10명이 전원참석한 해는 아직까지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심지어 올해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시상식이 개최될 수 있을지조차 미지수였던 것을 감안하면 꽤나 특별하다. == 심사위원 == === TV 부문 === * '''김옥영''' - '''심사위원장.''' 다큐멘터리 전문 제작사 스토리온 대표. * 김교석 - 대중문화평론가. * 김미라 -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 윤석진 - 충남대학교 교수. * 이동규 - 동덕여자대학교 교수. * 정덕현 - 대중문화평론가. * 홍경수 - 순천향대학교 교수. === 영화 부문 === * '''[[이현승(동명이인)#s-2.1|이현승]]''' - '''심사위원장.''' 영화감독, 중앙대학교 교수. * [[백은하(평론가)|백은하]] - 배우연구소 소장. * 변재란 - 순천향대학교 교수. * 엄용훈 - 삼거리픽쳐스 대표. * 최건용 - 극동대학교 교수. * 최용배 - 청어람 대표,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황영미 -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 연극 부문 === * '''김방옥''' - '''심사위원장.'''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 김미도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박상현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이진아 -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 이태섭 - 용인대학교 명예교수. == 수상 결과 == * TV 부문은 〈[[동백꽃 필 무렵]]〉이 압도적으로 4관왕을 기록했다. * 영화 부문은 〈[[기생충(영화)|기생충]]〉이 3관왕, 〈[[벌새(영화)|벌새]]〉와 〈[[남산의 부장들]]〉이 각 2관왕을 기록했다. === TV 부문 === [include(틀:영상 정렬, url=Jj1AyIH-N8w)] *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241/0003029312| [56회 백상] 심사 결과 공개… TV부문 어떻게 결정됐나]] ==== 대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ss_WcPYo_dA)] * '''<[[동백꽃 필 무렵]]> ([[KBS 2TV]])''' <동백꽃 필 무렵>이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부부의 세계]]>로 엄청난 신드롬을 일으킨 [[김희애]]나 지난 한 해 트롯 열풍을 불러일으킨 <[[내일은 미스터트롯]]>이 수상할 것이라는 다수[* 다만 다수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것이 부부의 세계가 방영되기 전까지 착한 드라마이며 2019년 하반기를 휩쓸었던 동백꽃 필 무렵의 수상을 점쳤던 의견이 드라마 커뮤니티에서 대다수였고, 현재 방영 중인 드라마에 화력이 몰리는 건 당연하다.] 네티즌들의 예상을 깬 수상이다.[* 시청률을 보면 <[[내일은 미스터트롯]]>과 <[[부부의 세계]]>는 <[[동백꽃 필 무렵]]>보다 높았지만 <내일은 미스터트롯>의 여러 논란, <부부의 세계>의 자극적 소재가 심사점수에 마이너스가 된 듯하다.] 수상 직후에는 지난 연기대상에서도 많은 상을 받은 작품에 굳이 백상에서도 대상을 줄 필요가 있었냐는 의견이 많았지만, 워낙 작품성에 대한 평가가 높았고 지상파 드라마를 연말 시상식이 있다고 안 챙겨주는 것은 오히려 역차별이라는 의견이 대두되며 오히려 백상의 공정성과 권위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TV부문 대상을 배우에게 잘 주지는 않는 백상의 성향이 반영됐다는 평가도 있다. (2000년 이후로는 배우에게 대상을 수여한 것이 김희애(2004, 완전한 사랑), 김혜자(2009, 엄마가 뿔났다), 고현정(2010, 선덕여왕), 현빈(2011, 시크릿가든), 전지현(2014, 별에서 온 그대), 김혜자(2019, 눈이 부시게) 총 6회 뿐이다.)] ==== 드라마 작품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FVlE-Fc4DU0)] * <[[동백꽃 필 무렵]]> ([[KBS 2TV]]) * <[[사랑의 불시착]]> ([[tvN]]) * '''<[[스토브리그(드라마)|스토브리그]]> ([[SBS]])''' * <[[킹덤(한국 드라마)|킹덤 2]]> ([[넷플릭스]]) * <[[하이에나(드라마)|하이에나]]> ([[SBS]]) <동백꽃 필 무렵>이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되면서, 나머지 4작품의 경쟁 끝에 <스토브리그>가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 예능 작품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3TGYiQsUusk)] * <[[구해줘! 홈즈]]> ([[MBC]]) * <[[놀면 뭐하니?]]> ([[MBC]]) * <[[맛남의 광장]]> ([[SBS]]) * '''<[[내일은 미스터트롯]]> ([[TV CHOSUN|TV 조선]])''' * <[[신서유기/외전|신서유기 외전]]> ([[tvN]]) <내일은 미스터트롯>과 <놀면 뭐하니?>가 마지막까지 경합한 가운데 <내일은 미스터트롯>이 수상했다. 그리고 아쉽게 상을 놓친 [[놀면 뭐하니?]]는 1년 뒤, [[제5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예능 작품상을 받는다. ==== 교양 작품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LmWxQlqoX2s)] * <[[다큐 인사이트]] - [[모던코리아|아카이브 프로젝트 모던코리아]]> ([[KBS]]) * <[[요즘책방 : 책 읽어드립니다]]> ([[tvN]]) * '''<[[자이언트 펭TV]]> ([[EBS]])''' * <[[PD수첩]] - 경찰기자단> ([[MBC]]) * ([[SBS]])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자이언트 펭TV>가 수상했다. ==== 여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Q1D3qlfAdyE)] * [[공효진]] - <[[동백꽃 필 무렵]]> ([[KBS 2TV]]) * [[김혜수]] - <[[하이에나(드라마)|하이에나]]> ([[SBS]]) * '''[[김희애]]- <[[부부의 세계]]> ([[JTBC]])''' * [[손예진]] - <[[사랑의 불시착]]> ([[tvN]]) * [[아이유|이지은]][* [[제55회 백상예술대상#s-2.1.5|제55회 시상식]]에 이어 2년 연속 여자 최우수 연기상 후보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 <[[호텔 델루나]]> ([[tvN]]) <[[부부의 세계]]>의 [[김희애]]가 수상했다. 사실 [[김희애]]의 경우 엄청난 파급력과 연기력으로 시상식 전부터 어느 정도 수상은 예상되었고, 대상을 받을 가능성 역시 언급되었다. 수상소감 중 같이 최우수연기상 후보에 오른 모든 배우들을 언급하고, 남자 최우수연기상 후보에 오르지 못했지만 <[[부부의 세계]]> 팀의 수상을 축하해주러 온 배우 [[박해준]]에게 감사함을 표했다.[* [[공효진]]과 2차 심사 끝에 수상자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 남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9-FXRokoByg)] * '''[[강하늘]] - <[[동백꽃 필 무렵]]> ([[KBS 2TV]])''' * [[남궁민]] - <[[스토브리그(드라마)|스토브리그]]> ([[SBS]]) * [[박서준]] - <[[이태원 클라쓰(드라마)|이태원 클라쓰]]> ([[JTBC]]) * [[주지훈]] - <[[하이에나(드라마)|하이에나]]> ([[SBS]]) * [[현빈]] - <[[사랑의 불시착]]> ([[tvN]]) <[[동백꽃 필 무렵]]>의 [[강하늘]]이 수상했다. 여담으로 '''이번 시상식에서 가장 치열한 부문'''이라는 평을 받은 부문이 바로 남자 최우수 연기상이다. 결과는 <[[스토브리그(드라마)|스토브리그]]>의 [[남궁민]]이나 <[[사랑의 불시착]]>의 [[현빈]]이 받을 것이라는 다수 네티즌들의 예상을 깬 강하늘의 수상. 소감 도중 [[강하늘]]의 모습을 보면 본인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듯하다. 하지만 타이틀롤이 아니었음에도 [[강하늘]]이 보여준 연기가 매우 훌륭했다는 의견이 방영 중부터 많았고, 수상 후에도 충분히 받을만한 사람이 받았다는 반응이 많았다.[* 이후 공개된 심사결과 기사에 의하면, 남궁민과 3차 심사까지 가는 접전 끝에 수상했다고 한다.] ==== 기타 ==== * 여자 조연상: [[김선영(배우)|김선영]] - <[[사랑의 불시착]]> ([[tvN]]) * 남자 조연상: [[오정세]] - <[[동백꽃 필 무렵]]> ([[KBS 2TV]]) * 여자 신인 연기상: [[김다미]] - <[[이태원 클라쓰(드라마)|이태원 클라쓰]]> ([[JTBC]]) * 남자 신인 연기상: [[안효섭]] - <[[낭만닥터 김사부 2]]> ([[SBS]]) * 여자 예능상: [[박나래]] - <[[나 혼자 산다]]> ([[MBC]])[* [[제53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수상 후 3년 만에 재수상.] * 남자 예능상: [[유재석]] - <[[놀면 뭐하니?]]> ([[MBC]])[* TV부문 대상 수상자가 남자 예능상을 수상한 최초의 사례.] * 연출상: 모완일 - <[[부부의 세계]]> ([[JTBC]]) * 극본상: 임상춘 - <[[동백꽃 필 무렵]]> ([[KBS 2TV]]) * 예술상: 장연옥 (미술) - <[[대탈출|대탈출 3]]> ([[tvN]]) === 영화 부문 === [include(틀:영상 정렬, url=_hQw8NQLCjc)] ==== 대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eo_Zfofr0b0)] * '''[[봉준호]] - <[[기생충(영화)|기생충]]>''' 봉준호 감독과 <기생충>을 두고 고민한 결과 봉준호 감독이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 작품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5kXFG6bpW0Y)] * '''<[[기생충(영화)|기생충]]>''' * <[[남산의 부장들]]> * <[[벌새(영화)|벌새]]> * <[[엑시트]]> * <[[82년생 김지영(영화)|82년생 김지영]]> 심사위원 전원 만장일치로 <기생충>이 수상했다. ==== 감독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UaeBQZU8oso)] * '''[[김보라(감독)|김보라]] - <[[벌새(영화)|벌새]]>''' * [[봉준호]] - <[[기생충(영화)|기생충]]> * [[우민호]] - <[[남산의 부장들]]> * 이종언 - <[[생일(영화)|생일]]> * [[정지영(영화 감독)|정지영]] - <[[블랙머니(영화)|블랙머니]]> 봉준호 감독이 대상 수상자로 선정되어 감독상 수상이 자동 불가해진 가운데, 김보라 감독과 우민호 감독을 두고 심사위원 간에 격론이 벌어졌다.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5차 투표까지 실시한 끝에 4표를 받은 김보라 감독이 3표를 받은 우민호 감독을 1표 차이로 제치고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 여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m27_gov76OQ)] * [[김소진(배우)|김소진]] - <[[미성년(영화)|미성년]]> * [[김희애]] - <[[윤희에게]]> * '''[[전도연]] - <[[생일(영화)|생일]]>''' * [[정유미(1983)|정유미]] - <[[82년생 김지영(영화)|82년생 김지영]]> * [[조여정]] - <[[기생충(영화)|기생충]]> 김소진, 김희애, 전도연이 격돌한 끝에 1표 차이로 전도연이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 남자 최우수 연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9EZ2zhHvjS4)] * [[송강호]] - <[[기생충(영화)|기생충]]> * '''[[이병헌]] - <[[남산의 부장들]]>''' * [[이제훈]] - <[[사냥의 시간]]> * [[조정석]] - <[[엑시트]]> * [[한석규]] - <[[천문: 하늘에 묻는다]]> 이병헌과 송강호가 격돌한 결과 6표를 얻은 이병헌이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 기타 ==== * 여자 조연상: [[김새벽]] - <[[벌새(영화)|벌새]]> * 남자 조연상: [[이광수]] - <[[나의 특별한 형제]]> * 여자 신인 연기상: [[강말금]] - <[[찬실이는 복도 많지]]> * 남자 신인 연기상: [[박명훈]] - <[[기생충(영화)|기생충]]> * 신인 감독상: 김도영 - <[[82년생 김지영(영화)|82년생 김지영]]> * 시나리오상: [[이상근(영화감독)|이상근]] - <[[엑시트]]> * 예술상: 김서희 (분장) - <[[남산의 부장들]]> === 연극 부문 === * [[https://isplus.com/article/view/isp202006080060| [56회 백상] 심사 결과 공개… 연극부문 어떻게 결정됐나]] ==== 백상연극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kI7B93cyfJA)] * <스푸트니크> (작품) * '''신유정 (연출) - <그을린 사랑>''' * 이연주 (작가) - <이게 마지막이야> * <휴먼 푸가> (작품) ==== 기타 ==== * 젊은연극상: 0set 프로젝트 (극단) - <사랑 및 우정에서의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 * 여자 연기상: 김정 - <로테르담> * 남자 연기상: 백석광 - <와이프(WIFE)> === 특별상 === * [[TikTok]] 인기상: [[손예진]], [[현빈]] * 바자 아이콘상: [[서지혜(배우)|서지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상예술대상, version=970)] [[분류:백상예술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