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23년]] 개최되는 46기 [[명인전]] 대회. 이번 대회부터 우승 상금이 '''7천만원'''으로 인상됐다. 준우승 상금도 역시 2천5백만원으로 인상되었다. == 예선 == * 예선은 7월 20일 부터 시작하며 20일에 대회 개막식과 1회전 대국 후 2회전 부터의 나머지 대국은 24일 부터 27일까지 진행한다.[* 단 선수 개인 사정에 의해 지연되거나 사전에 진행되는 대국도 있다. 2회전 21일 대국, 1회전 당일 13시(정규 : 10시) 또는 19일 개시 등이 그것.] * [[http://m.baduk.or.kr/square/F01_view.asp?noti_no=3858|예선 대진표]] * 예선은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3회로 진행한다. || 라운드 구분 || 대국일자 || 조 구분 || 중계 구분[* 수순인 경우 "수", 유튜브중계인 경우 "Y"로 표기. 4일차 이후에는 TV중계인 경우 "K"] ||<-2> 대국 || 결과 || || 1회전 || 7월 20일 || 8조 || 수 || '''김현빈''' || 조승아 || 312수 흑 반집승 || || 2회전-오전 || 7월 24일 || 4조 || 수 || '''원성진''' || 문민종 || 304수 백 5집반승 || ||<|2> 2회전-오후 ||<|2> 7월 24일 || 8조 || Y[* 한프바(고윤서 해설)] || '''차주혜''' || 박소율 || -수 -승 || || 11조 || 수 || '''오유진''' || 안국현 || 195수 흑 불계승 || || 3회전[br]조별8강 || 7월 25일 || 4조 || 수 || '''한우진''' || 최철한 || 271수 흑 불계승 || || 조별준결 || 7월 26일 || 4조 || 수 || '''한우진''' || 김민서 || 274수 흑 6집반승 || ||<|3> 조별결승 || 7월 27일 || 5조 || 수 || '''나 현''' || 김진휘 || 231수 흑 7집반승 || ||<|2> 8월 21일 || 1조 || 수 || '''변상일''' || 원제훈 || 152수 백 불계승 || || 3조 || 수 || '''김채영''' || 박건호 || 190수 백 불계승 || ---- 예선을 통과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조별구분 ||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6조 || || 진출선수 || 변상일 || 김승구 || 김채영 || 한우진 || 나 현 || 한상조 || || 조별구분 || 7조 || 8조 || 9조 || 10조 || 11조 || 12조 || || 진출선수 || 윤민중 || 박종훈 || 허영호 || 이창호 || 이창석 || 박지현 || * 이번 대회에서는 신예급 기사들이 상당히 많이 본선에 진출했다. 한우진을 비롯해 김승구, 윤민중, 박지현 등이 본선에 진출했다. 여자기사인 김채영은 자력으로 예선을 뚫어 본선에 진출했다. == 본선 == * [[제45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전기 시드]] : [[신민준]] (전기 우승), [[신진서]] (전기 준우승) * 예선 통과자 : 김승구, [[나현(바둑기사)|나현]], 한상조, 윤민중, [[허영호(1986)|허영호]], 박지현, [[이창호]], [[한우진(바둑기사)|한우진]], 박종훈, [[이창석(1996)|이창석]], [[변상일]], [[김채영]] * 후원사 시드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김은지(2007)|김은지]][* 세간에서는 김은지 후원사시드에 대한 논란이 있다. 명인전이 여자선수에게 후원사 시드로 개방한다지만 예선도 참가안한 선수를 시드로 바로 본선을 올리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 * 본선은 8월 28일 부터 평일 오후 1시에 진행한다. * 중계 : [[K바둑]] (캐스터 - 장혜연, 김규리, 정지우 / 해설 - [[송태곤]] 九단, [[안형준(바둑)|안형준]] 五단, 이상헌 五단) ||<:><-6>'''{{{#fff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16강 대진}}}'''||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46기 명인전 대진표.png|width=100%]]}}} || ||<:>대진||<:>대국자1||<:>대국자2||<:>대진||<:>대국자1||<:>대국자2|| || A || 김은지 || 허영호 || B || 신민준 || 이창석 || || C || 박종훈 || 김채영 || D || 나현 || 변상일 || || E || 김승구 || 박정환 || F || 한우진 || 윤민중 || || G || 신진서 || 한상조 || H || 박지현 || 이창호 || * 16강 대진은 예선 종료 후 8월 21일에 후원사 시드 배정 선수와 함께 동시에 발표했다. * 승자, 패자조 대진은 해당 문단 참고. ||<-3><#240638> '''{{{#fff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 생존/탈락자}}}''' || ||<|2><#dcdcdc,#383b40> '''생존자''' ||<#dcdcdc,#383b40> '''승자조''' || 변상일 || ||<#dcdcdc,#383b40> '''패자조''' || 신진서 || ||<-3><#240638> || ||<#dcdcdc,#383b40><-2> '''패자 1회전 탈락''' || 김승구, 윤민중, 이창호, 김채영 || ||<#dcdcdc,#383b40><-2> '''패자 2회전 탈락''' || 이창석, 한상조, 허영호, 나현 || ||<#dcdcdc,#383b40><-2> '''패자 3회전 탈락''' || 박종훈, 신민준 || ||<#dcdcdc,#383b40><-2> '''패자 4회전 탈락''' || 한우진, 김은지 || ||<#dcdcdc,#383b40><-2> '''패자 5회전 탈락''' || 박지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1708d; font-size: .9em" {{{#000 '''4위'''}}}}}} || ||<#c63><-2> '''{{{#fff 패자 결승 탈락}}}''' || 박정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8860d; font-size: .9em" {{{#000 '''3위'''}}}}}} || === 16강 === ||<:> {{{#fff '''대국'''(대진)}}} ||<:> {{{#fff '''일정''' (13시 개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fff 결과}}}''' || || 1국(B) || 2023년 8월 28일 || '''신민준''' || 이창석 || 139수 흑 불계승 || || 2국(F) || 2023년 8월 29일 || 윤민중 || '''한우진''' || 232수 백 불계승 || || 3국(G) || 2023년 8월 30일 || '''신진서''' || 한상조 || 187수 흑 불계승 || || 4국(D) || 2023년 8월 31일 || 나 현 || '''변상일''' || 154수 백 불계승 || || 5국(C) || 2023년 9월 4일 || 김채영 || '''박종훈''' || 281수 백 2.5집승 || || 6국(E) || 2023년 9월 5일 || 김승구 || '''박정환''' || 212수 백 불계승 || || 7국(A) || 2023년 9월 6일 || '''김은지''' || 허영호 || 237수 흑 불계승 || || 8국(H) || 2023년 9월 7일 || '''박지현''' || 이창호 || 231수 흑 불계승 || ---- ||<-2><#240638> '''{{{#fff 승자조 / 패자조 배치 (선수 나열은 16강 대국일 기준 순)}}}''' || ||<#dcdcdc,#383b40> '''승자조''' || 신민준, 한우진, 신진서, 변상일, 박종훈, 박정환, 김은지, 박지현 || ||<#dcdcdc,#383b40> '''패자조''' || 이창석, 윤민중, 한상조, 나현, 김채영, 김승구, 허영호, 이창호 || * 개막전에서는 중앙전에서 급격히 바둑이 신민준에게 기울어지며 단 139수 만에 허무하게 바둑이 끝이 나버렸다. * 한우진과 윤민중의 대국에서는 한우진이 우상과 우변에서 크게 우세를 잡고 출발했는데 중간에 한 번 형세가 미세해졌으나 윤민중의 실수가 나오며 다시 바둑이 기울어져 한우진의 완승으로 끝이 났다. * [[제9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응씨배]] 우승 후 첫 공식대국을 치른 신진서는 한상조를 상대로 중반에 리드를 잡아 승자조로 갔는데 중앙에서 좋은 맥점까지 찾아내는 명장면을 보여주었다. * 변상일은 나현을 상대로 상변에서 엎치락뒷치락 하다가 우세를 잡으며 154수 만에 승리를 거두고 승자전에 진출했다. === 승자조 === ==== 대진표 ==== ||<:><-5>
'''{{{#fff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승자조 대진표}}}'''|| || '''승자 8강''' || || '''승자 4강''' || || '''승자 결승''' || ||<#97ecab,#006118> '''김은지''' ||<|2> '''{{{+3 {{{#240638,#81708d ➡}}}}}}''' ||<|2> 김은지 ||<|4> '''{{{+3 {{{#240638,#81708d ➡}}}}}}''' ||<|4><#97ecab,#006118> '''변상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1708d; font-size: .9em" {{{#000 '''결승 진출'''}}}}}} || || 신민준 || || 박종훈 ||<|2> '''{{{+3 {{{#240638,#81708d ➡}}}}}}''' ||<|2><#97ecab,#006118> '''변상일''' || ||<#97ecab,#006118> '''변상일''' || ||<#97ecab,#006118> '''박정환''' ||<|2> '''{{{+3 {{{#240638,#81708d ➡}}}}}}''' ||<|2><#97ecab,#006118> '''박정환''' ||<|4> '''{{{+3 {{{#240638,#81708d ➡}}}}}}''' ||<|4> 박정환 || || 한우진 || || 신진서 ||<|2> '''{{{+3 {{{#240638,#81708d ➡}}}}}}''' ||<|2> 박지현 || ||<#97ecab,#006118> '''박지현''' || ==== 대국 결과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46기명인전승자조 - 10/26기준.png|width=100%]]}}} || ||<:><-2> '''{{{#fff 대국}}}''' ||<:> {{{#fff '''일정''' (13시 개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fff 결과}}}''' || ||<|4><#dcdcdc> {{{#240638 '''승자[br]8강'''}}} || 1국 || 2023년 9월 18일 || '''박지현''' || 신진서 || 157수 흑 불계승 || || 2국 || 2023년 9월 19일 || '''박정환''' || 한우진 || 141수 흑 불계승 || || 3국 || 2023년 9월 20일 || '''김은지''' || 신민준 || 191수 흑 불계승[* [[신민준|45기 우승자]]와 [[신진서|44기 우승, 45기 준우승자]]가 손잡고 패자조로 가는 또 다른 이변이 벌어졌다. 김은지는 이 대국에서 승리하며 승단 점수를 채워 七단으로 승단했다.] || || 4국 || 2023년 9월 21일 || '''변상일''' || 박종훈 || 177수 흑 불계승 || ||<-6><#240638> || ||<|2><#dcdcdc> {{{#240638 '''승자[br]4강'''}}} || 1국 || 2023년 10월 25일 || '''박정환''' || 박지현 || 175수 흑 불계승 || || 2국 || 2023년 10월 26일 || '''변상일''' || 김은지 || 211수 흑 불계승 || ||<-6><#240638> || ||<-2><#dcdcdc> {{{#240638 '''승자 결승'''}}} || 2023년 11월 4일 || '''변상일''' || 박정환 || 159수 흑 불계승 || * 이번 승자조 8강은 '''헌국랭킹 1~4위([[신진서]],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변상일]], [[신민준]])[* 2023년 9월 랭킹 - 1위 신진서, 2위 박정환, 3위 변상일, 4위 신민준. / 참고로 이 네 선수는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대표팀 선수이며 이번 명인전 승자조 8강에서 네 기사 모두 아시안게임 전 마지막 공식 대국을 치른다.]'''와 '''신예기전에서 활약이 두드러졌던 4인([[김은지(2007)|김은지]][* 2023년 9월 랭킹 66위(여자 2위) / 제1기 조아제약 루키바둑영웅전' 우승 (국내 여자기사 첫 혼성 신예기전 우승)], [[한우진(바둑기사)|한우진]][* 2023년 9월 랭킹 19위 / [[제10회 글로비스배 세계 바둑 U-20]] 우승, 최단 기간 九단 승단(입단 후 4년 5개월).], 박종훈[* 2023년 9월 랭킹 20위 / 2016년 하찬석국수배 우승, [[박영훈(바둑)|박영훈]] 九단의 육촌 동생], 박지현[* 2023년 9월 랭킹 67위 / [[제11회 하찬석 국수배 영재최강전]] 우승])'''의 대결 구도로 승자조 8강이 짜여졌다. * 8강 1국과 3국에서 대회 최대 이변이 벌어졌다. 먼저 1국에서는 박지현이 [[제44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44기 명인전]] 우승자인 한국랭킹 1위 [[신진서]]의 대마를 잡고 신진서를 패자조로 내려보내며 승자조 4강에 진출했다. 심지어 중반까지도 신진서가 유리했던 바둑을 대마불사만 생각하여 너무 낙관한 결과 대마 잡는 승부수를 놓친 것이라 더더욱 충격적이었다. [* 참고로 신진서는 이번 패배가 자신 보다 어린 기사에게 당한 첫 패배였다.] 3국에서는 [[김은지(2007)|김은지]]가 [[제45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전기 우승자]] [[신민준]]을 상대로 초반 우상귀 정석에서 승기를 잡아 대마를 잡은 바둑으로 끝나버렸다. 신민준은 아예 초반부터 바둑 설계 자체를 잘못하면서 단 30분만에 알아서 바둑을 헌납해버린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 심지어 대국 막판에는 자책하는 모습도 크게 보였다.[* 승자조 경기의 경우 승자와 패자가 모두 인터뷰에 참여하는데 신민준은 충격이 큰 나머지 국후 인터뷰를 포기할 정도였다.]이러면서 '''[[제45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s-3.4|지난 대회 결승]]에서 격돌했었고, 명인전 부활 후 최근 2시즌([[제44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44기]], [[제45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45기]]) 우승을 나눠 가진 '[[신진서|양신]] [[신민준|(兩申)]]'이 모두 패자조로 내려갔다.''' * 승자조 준결승에서는 이변없이 상위랭커인 박정환과 변상일이 나란히 승자조 결승에 진출했다. 두 기사 모두 각각 박지현과 김은지를 상대로 완승을 거두어 승자조 결승에 진출했다. 변상일은 김은지를 상대로 시종일관 싸움을 피하는 전략으로 승리를 챙겼고, 한우진을 상대한 박정환은 몇번 실수가 있던것을 제외하고는 우세한 형세를 유지하며 승리했다. * 한국랭킹 2위와 3위의 대결로 펼쳐진 승자조 결승에서는 변상일이 우상귀 전투에서 큰 우세를 잡으며 단 159수만에 항복을 받아내고 결승에 진출했다. 변상일은 44기 결승에 이어 2년 만에 명인전 결승에 진출했다. 박정환은 또 다시 승자 결승에서 고배를 마시고 패자조 결승으로 내려갔다. 참고로 이번 명인전 승자조는 8강부터 결승까지 모두 흑을 잡은 쪽이 승리를 하는 '흑번 필승'의 양상으로 전개됐다. === 패자조 === ==== 대진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9>
'''{{{#fff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패자조 대진표}}}'''|| || '''패자[br]1회전''' ||<#97ecab,#006118> '''허영호''' || --김승구-- ||<#97ecab,#006118> '''이창석''' || --윤민중-- || --김채영-- ||<#97ecab,#006118> '''한상조''' ||<#97ecab,#006118> '''나 현''' || --이창호-- || || ||<-2> {{{#240638,#81708d ➘}}} ||<-2> {{{#240638,#81708d ➘}}} ||<-2> {{{#240638,#81708d ➘}}} ||<-2> {{{#240638,#81708d ➘}}} || || '''패자[br]2회전''' ||<#97ecab,#006118> '''신진서''' || --허영호-- ||<#97ecab,#006118> '''박종훈''' || --이창석-- ||<#97ecab,#006118> '''한우진''' || --한상조-- ||<#97ecab,#006118> '''신민준''' || --나 현-- || || ||<-2> {{{#240638,#81708d ⬇}}} ||<-2> {{{#240638,#81708d ⬇}}} ||<-2> {{{#240638,#81708d ⬇}}} ||<-2> {{{#240638,#81708d ⬇}}} || || '''패자[br]3회전''' ||<-2><#97ecab,#006118> '''신진서''' ||<-2> --박종훈-- ||<-2><#97ecab,#006118> '''한우진''' ||<-2> --신민준-- || || ||<-4> {{{#240638,#81708d ➘}}} ||<-4> {{{#240638,#81708d ➘}}} || || '''패자[br]4회전''' ||<-2> --김은지-- ||<-2><#97ecab,#006118> '''신진서''' ||<-2><#97ecab,#006118> '''박지현''' ||<-2> --한우진-- || || ||<-4> {{{#240638,#81708d ⬇}}} ||<-4> {{{#240638,#81708d ⬇}}} || || '''패자[br]5회전''' ||<-4><#97ecab,#006118> '''신진서''' ||<-4> --박지현-- || || ||<-8> {{{#240638,#81708d ➘}}} || || '''패자[br]결승''' ||<-4> --박정환-- ||<-4><#97ecab,#006118> '''신진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1708d; font-size: .9em" {{{#000 '''결승 진출'''}}}}}} || }}} ==== 대국 결과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46기명인전패자조 - 11/03기준.png|width=100%]]}}} || ||<:><-2> '''{{{#fff 대국}}}''' ||<:> {{{#fff '''일정''' (13시 개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fff 결과}}}''' || ||<|4><#dcdcdc> {{{#240638 '''패자[br]1회전'''}}} || 1국 || 2023년 9월 12일 || 김승구 || '''허영호''' || 172수 백 불계승 || || 2국 || 2023년 9월 13일 || '''이창석''' || 윤민중 || 163수 흑 불계승 || || 3국 || 2023년 9월 14일 || 이창호 || '''나 현''' || 216수 백 불계승 || || 4국 || 2023년 9월 15일 || 김채영 || '''한상조''' || 142수 백 불계승 || ||<-6><#240638> || ||<|4><#dcdcdc> {{{#240638 '''패자[br]2회전'''}}} || 1국 || 2023년 10월 5일 || 한상조 || '''한우진''' || 184수 백 불계승 || || 2국 || 2023년 10월 6일 || '''박종훈''' || 이창석 || 267수 흑 불계승 || || 3국 || 2023년 10월 12일 || 허영호 || '''신진서''' || 206수 백 불계승 || || 4국 || 2023년 10월 13일 || '''신민준''' || 나 현 || 191수 흑 불계승 || ||<-6><#240638> || ||<|2><#dcdcdc> {{{#240638 '''패자[br]3회전'''}}} || 1국 || 2023년 10월 23일 || 박종훈 || '''신진서''' || 128수 백 불계승 || || 2국 || 2023년 10월 24일 || 신민준 || '''한우진''' || 270수 백 불계승 || ||<-6><#240638> || ||<|2><#dcdcdc> {{{#240638 '''패자[br]4회전'''}}} || 1국 || 2023년 11월 2일 || '''박지현''' || 한우진 || 151수 흑 불계승 || || 2국 || 2023년 11월 3일 || '''신진서''' || 김은지 || 213수 흑 불계승 || ||<-6><#240638> || ||<-2><#dcdcdc> {{{#240638 '''패자 5회전'''}}} || 2023년 11월 8일 || '''신진서''' || 박지현 || 199수 흑 불계승 || ||<-6><#240638> || ||<-2><#dcdcdc> {{{#240638 '''패자 결승'''}}} || 2023년 11월 10일 || '''신진서''' || 박정환 || 237수 흑 불계승 || * 패자 1회전에서는 허영호, 이창석, 나현, 한상조가 살아남았다. 반면 이번 대회 본선 진출자 준 유이한 여자기사였던 김채영은 한상조에게 패하며 패자조에서 탈락했으며 명인전 최다 우승자 이창호도 나현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 승자 8강에서 이변의 희생양이 되어 패자 2회전에 합류한 신진서와 신민준은 각각 허영호와 나현을 상대로 완승을 거두어 패자 3회전애 진출해 신진서는 이창석을 꺾은 박종훈, 신민준은 한상조를 잡고 올라온 한우진을 각각 상대하게 됐다. 패자 3회전은 두 판 모두 승자 8강에서 패한 선수들 끼리 대결로 대진이 짜여졌다. * 패자 3회전에서 양신이 엇갈렸다. 신진서는 박종훈에게 완승을 거두어 패자 4회전에 올라간 반면 전기 우승자 신민준은 한우진에게 역전패를 당해 탈락하며 명인전 2연패의 꿈을 접게 됐다. * 패자 4회전에서 박정환에게 승자 4강에서 패해 내려온 박지현은 한우진을 상대로 상대전적 1승 5패로 밀렸으나 한우진의 무리수를 응징해 승리를 거뒀고, 신진서는 변상일에게 패자 4강에서 패해 내려온 김은지를 상대로 제대로 완급조절과 희망고문의 끝을 보여주면서 완승을 거두고 패자 5회전에 진출했다.[* 신진서는 이날 승리로 국내 프로기사 사상 최초로 '''연간 100승'''을 달성했다 ] 이로써 승자조 8강에서 맞붙었던 박지현과 신진서가 패자 5회전에서 다시 맞대결을 하게 됐다. * 패자 5회전에서는 신진서가 중반 한때 위기가 있었으나 결국 승리를 거두며 패자조 결승에 진출했다. 박지현은 신진서를 상대로 중반까지 대등하게 두며 앞서는 내용을 보여주기도 했으나 아쉬운 역전패를 당하며 패자 5회전에서 이번 대회를 마무리하게 됐다. * 패자조 결승에서는 신진서가 150수 이후부터 우세를 잡았고 이후 끝내기 수순에서 차이를 벌리며 완승을 거뒀다. 박정환은 3년 연속으로 승자조 결승 패배 후 패자조 결승 패배로 탈락하며 또 다시 대회 3위로 이번 대회를 마무리했다. 신진서는 승자 8강 패배 이후 패자조에서 '''5연승'''으로 44기에 이어 다시 한 번 '패자조의 저승사자'가 되어 3년 연속 명인전 결승에 진출했다. === 최종 결승전 === ||<-5> '''{{{#240638,#81708d 제46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결승 3번기''' | [[변상일]] 0 : 0 [[신진서]] || ||<:> '''{{{#fff 대국}}}''' ||<:> '''{{{#fff 일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fff 결과}}}''' || || 1국 || 2023년 12월 15일 || - || - || -수 -승 || || 2국 || 2023년 12월 16일 || - || - || -수 -승 || || 3국 || 2023년 12월 18일 || - || - || -수 -승 || || '''{{{#000 우승}}}''' ||<-4> ''' - ''' ( - ) || 결승 3번기는 [[변상일]]과 [[신진서]]가 [[제44기 명인전]] 결승 이후 2년 만에 결승 대결을 벌이게됐다. 공교롭게도 44기때와 결승까지 올라온 스토리가 비슷한데 변상일이 승자조에서 승승장구한 반면, 신진서는 패자조에서 험난한 여정 끝에 결승에 올라왔다. 다만 44기와의 차이점은 두 기사가 16강 첫 판에서 맞대결을 벌여 승패가 갈린 후 결승에서 리매치가 됐던 44기와는 달리 두 기사는 이번 대회에서는 결승 3번기 전까지 맞대결을 하지 않았다.. 신진서는 명인전 두 번째 우승에 도전하며 변상일은 우승시 명인전에서 우승하는 11번째 선수가 된다. == 대회 결과 == ||
'''{{{#fff 순위}}}''' || '''{{{#fff 선수}}}''' || || '''{{{#gold 우승}}}''' || ''' - ''' (상금 7천만원) || || '''{{{#c0c0c0 준우승}}}''' || (상금 2천 5백만원) || || '''{{{#b8860d 3위}}}'''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 '''{{{#fff 4위}}}''' || 박지현 五단 || [[분류:명인전]][[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