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상징명칭(을지)이 같은 부대, rd1=을지부대)] [include(틀:여단)] [include(틀:보병여단)] [include(틀:제15보병사단 예하부대)] ||<-7> '''{{{#f6eb13 {{{+1 제39보병여단}}}}}}'''[br]'''{{{#f6eb13 第39步兵旅團}}}'''[br]'''{{{#f6eb13 The 39th Infantry Brigade}}}''' || ||<-7> [[파일:39rgt.jpg|width=300]] || ||<-7> '''{{{#f6eb13 }}}''' || || '''{{{#f6eb13 창설일}}}''' ||<-6><(> [[년|0000년]] [[윌|00월]] [[일|00일]](제39보병연대)[br] [[2020년]] [[12월 1일]]('''제39보병여단''') || || '''[[상징명칭|{{{#f6eb13 상징명칭}}}]]''' ||<-6><(> '''을지부대''' || || '''{{{#f6eb13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 '''{{{#f6eb13 상급부대}}}''' ||<-6><(> [[제15보병사단]] || || '''{{{#f6eb13 규모}}}''' ||<-6><(> [[여단]] || || '''{{{#f6eb13 역할}}}''' ||<-6><(> 휴전선 중부 전선 방어 || || '''[[여단장|{{{#f6eb13 여단장}}}]]''' ||<-6><(> [[대령]] 이상욱(육사 55기) || || '''{{{#f6eb13 위치}}}''' ||<-6><(>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철원군]]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다목리,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제2군단]] [[제15보병사단]] 예하 '''제39보병여단'''. 별칭은 '''을지부대'''. == 특징 ==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일대를 담당한다. 여단본부만 화천군 상서면에 위치해 있고 GOP담당부대를 비롯한 예하대대들은 모두 철원군 근남면일대에 위치해 있다. 원래 명칭은 제39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39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39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부대가 예전 15사단 사령부 자리로 이전 예정이다. == 예하부대 == === 여단직할대 === * '''[[본부중대]]''' * '''[[정보중대]]''' (舊 [[수색중대]] - 2022년 12월 부대개편으로 명칭 변경) * '''[[통신중대]]''' * '''[[의무중대]]''' * '''[[포병대]]'''(舊 [[전투지원중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군대)|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전투지원중대에서 [[포병대]]로 개편. ===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군대)|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 보급수송중대 * 정비중대 === 제1대대 === 육단리대대[* 세개의 대대중 유일하게 민통선 밖에 위치하고 있다.] * 본부중대 의무분대, 저격소대, 참모분대, 유선분대, 무선분대, 취사분대, 정찰분대, 수송분대, 전투근무지원대 * 1중대 민통초소 작전 임무 수행중대 (2020년 기준) * 2중대 * 3중대 * 화기중대 교통은 좋은 편. 차로 5분거리에 와수리 버스터미널이 있으며 동서울행 고속버스가 매일 20~40분 간격으로 도착한다. === 제2대대 === 대성산대대[* 원래 마현리대대였으나 일자 미상으로 이름 바뀐 것으로 보인다.] * 본부중대 * 5중대 * 6중대 * 7중대 * 화기중대 === 제3대대 === GOP대대[* 본부중대는 CP에서 모두 생활하지만 중대들은 남방한계선 쪽의 소초에서 생활한다. CP쪽에는 부식창고가 있다.] * 본부중대 * 9중대 * 10중대 * 11중대 * 화기중대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6> '''{{{#f6eb13 역대 제39보병여단장}}}''' || || '''{{{#f6eb13 역대}}}''' || '''{{{#f6eb13 이름}}}''' || '''{{{#f6eb13 계급}}}''' || '''{{{#f6eb13 임관}}}''' || '''{{{#f6eb13 비고}}}''' || '''{{{#f6eb13 기타}}}''' ||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연대장]] || || || 00대 || [[조종설]] || 예)[[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1기 ||前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 || 00대 || '''[[박정환(군인)|박정환]]''' || '''예)[[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4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 || || 00대 || [[권영호(군인)|권영호]] ||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現 [[육군사관학교장]] || || || 00대 || [[민인기]] || 예)[[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6기 ||前 [[제72보병사단]]장 || || || 00대 || [[오혁재]] || [[소장(계급)|소장]] || [[육사]] 49기 ||現 [[제35보병사단]]장 || || || 00대 || [[강현우(군인)|강현우]] || [[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50기 ||現 [[제15보병사단]]장 || || || 00대 ||송영화 || [[대령]] || ||前 [[여단장]] || || || 00대 ||김양태 || [[대령]] || ||前 [[여단장]] || || || 00대 ||이상욱 || [[대령]] || [[육사]] 55기 ||現 [[여단장]] || || 역대 연대장 중 장군 진급자가 상당히 많다. 2022년에는 39여단장 출신 육군참모총장도 배출했다. === 장교/부사관 === * === 병 === * [[야식이]] - 여단 직할 수색중대에서 복무. * [[투탁]] - 육단리대대에서 복무. * [[정상길]] - 2대대 6중대에서 보급계원으로 복무중. == 기타 == === 훈련 === [youtube(apRgSY0pDWM)] === 근무환경 === 이 부대 또한 [[제38보병여단|38여단]]과 더불어 [[GOP]] 근무를 들어가는 부대로써 옆의 38여단 보다는 대체적으로 낫다는 평이다. 이 부대 관할로 승리 전망대가 있으며 가끔 민간인이나 VIP들이 찾아온다. 가끔씩 대학생들 국토대종주하러 온다. 육단리 대대, 대성산 대대, GOP 소초 모두가 신막사를 사용하고 있는데다 GOP 섹터도 옆의 38여단보다 대체적으로 평탄한 편인데, 문제는 관할 섹터중에 '''명백히 꽝인 롤러코스터 천국의 계단 섹터'''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첫 줄에서 언급했던 승리 전망대는 전망대의 특성상 인근 지형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데, 이 승리전망대와 인접해있는 소초가 바로 문제의 '''꽝'''인 소초다. 이 소초가 관리하는 섹터내에는 인근지형에서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이 동시에 존재하는데, 이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의 거리가 꽤 가깝다. 말로 들으면 별 거 아닌거 같지만, 그야말로 흉악할정도로 높은각도의 경사에 특유의 험난한 지형과 낙후된 계단, V자 협곡 등이 콜라보레이션을 이루어 괴랄한 최악의 난이도를 자랑하는데, 전 사단을 포함한 GOP 섹터중에서도 손꼽히는 난이도로 유명하다.[* 단 육체적인 고됨은 있지만, 막사나 장비 보급등이 전부 최신식으로 제공되며 연대내에서도 어느정도 형편을 봐주는 편이므로 부상자로 인해 T/O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 생활의 쾌적함은 보장 되어있는 편이다.] 험난한 경사때문에 소초 내 부상자가 끊기지 않고 발생하며 그로 인한 공석을 메꾸기 위한 병사 파견이 끊이지 않을 정도라서, 병사들 사이에서는 [[의병제대|전역]]이 빨라지는 소초라는 우스갯소리도 있을 정도다. 이러한 최악의 난이도에 아이러니하게도 인근의 승리전망대 덕분에 교통시설이 좋기 때문에, 방송국등에서 촬영도 자주 나오는 편이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의 섹터는 한곳 뿐이며, 이외에는 대체적으로 평탄한 평지지형의 섹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38연대의 GOP보다는 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육단리 대대 옆에는 필승회관이라고 해서 회관과 영외PX가 있으며 부대 근처에 마을이 있다. 교통이 타 부대보다 낫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은편이다. 이 부대 병사들 또한 다목리 말고 와수리를 이용하므로 오히려 서울까지 가는데 50여단보다 시간이 적게 걸린다. 50여단 병사들이 타는 버스는 서울로 나가는데 광덕고개를 넘기 때문. 이 광덕고개를 넘으면 포천시인데 내려가가보면 그 유명한 박달 유격장이 있다. 이 부대 또한 모 산을 관할하기 때문에 제집처럼 드나들기 때문에 퍼지지 말자. 정상에서 북쪽을 바라보고 앉으면 북한이 잘 보인다. 2010년에는 북한군 GP초소에서 이 여단 소속 GP로 총격을 가했으나 바로 맞대응 사격을 하기도 하여 뉴스에도 실린적이 있다.(이 대응에 민간에게 알려지지 않은 진실이 있다.) 45초 완전 작전이라고도 하며 즉각 대응을 한 병사들은 여러차례 포상을 받았다고 한다. 이 부대가 관할 하는 곳에 유격장이 있으며 예전 모 대대가 주둔하다가 떠난 후 유격기간에만 사용하는 막사가 있다. 화장실이 최악이며 샤워실도 상상에 맡기자. 그래도 텐트치는거 보단 낫다. 9월 말 부터 유격뛰는 인원들은 강원도 특유의 추위를 고려하여 화학대에서 제독차를 지원해줘서 온수로 샤워를 할 수 있다. 39여단은 본부가 구막사였으나 현재 BTL 공사를 마치고 신막으로 입주했다. 예전 구 막사 특히 수송대/의무대 막사는 최악. 구 수송대/의무대 막사는 이제 수송대 작업용으로만 쓰인다.(수송대는 인정하지만 의무대는 괜찮은편이었다. 여단본부에 딸려있는 본부중대가 진짜 건물이 쓰레기였다.) 거기에 사람이 살수 있는가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후졌으며 또한 거기는 밥 먹으려면 거진 등산을 해야했지만 현재는 신막사로 바뀌어 완전 살기 좋아졌다. 취사장이 복지관과 같이 붙어있어 밥먹으러 갔다가 2층으로 올라가 노래방이나 사지방 등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여단 본청과 생활관이 한 건물로 통합되어있고, 최근에는 본청 중앙 입구 위에다가 대형 사단마크를 설치했다. 사실 15사단에서 가장 나은 선택지 중에 하나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 예하 전 부대가 신막사에 입주하였고, GOP 근무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하는데다[* 단 꽝에 걸리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GOP 포상휴가도 잘 나와 근무 조건이 제일 낫다. 물론 동서울까지 가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게 함정(와수리에서 동서울까지 1시간 40분). 와수리까지 5~10분거리인데 대중교통타기는 불편하지만 그래도 38여단에 비하면 시가지에 조금 가깝다. === 여단가 === == 사건 사고 == == 여담 == * 39여단 또한 38여단과 같이 한국전쟁 당시에는 [[거제 포로수용소|거제도에 위치한 포로수용소]]에서 공산군 포로들을 감시하고 폭동을 진압하는 경비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였다. 물론 15사단이 창설되고 39여단이 포함된 이후, 수용소 경비임무 대신 전선에 투입되었다.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15보병사단]][[분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