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철도]] [[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 {{{+1 '''第三種鉄道事業者'''}}} [목차] == 개요 == 일본 철도사업법에 따른 철도사업자의 형태 중 하나로, > * 제1종 철도사업자: 노선과 차량 모두 보유하는 일반적인 철도사업자. > * 제2종 철도사업자: 차량만 보유하고 노선은 임차하여 영업하는 사업자. > * '''제3종 철도사업자: 노선만 보유하고 차량은 없는 사업자.''' 이렇게 존재한다. 즉, 노선만 보유한 채로 제2종 철도사업자에게 영업권을 임대해주는 사업자를 말한다. 한국의 예를 들자면 [[한국철도공사]]가 운행하는 선로를 보유하는 [[국가철도공단]]에 해당한다. == 목록 == 아래는 극히 일부 예시일 뿐, 제3종 철도사업자는 표면적인 노출이 적어 동호인조차 그 회사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 나카노시마 고속철도 - [[케이한 나카노시마선]] * [[간사이 고속철도]] - [[JR 도자이선]], [[나니와스지선]] * [[오사카항 트랜스포트 시스템]](OTS) - [[오사카메트로]] [[오사카항역]] ↔ [[오사카메트로 난코 포트타운선|뉴트램]] [[트레이드센터마에역]][* [[오사카메트로 츄오선|츄오선]]과 [[오사카메트로 난코 포트타운선|뉴트램]]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나, 법적으로는 단일 철도 노선으로 취급된다. 거리표도 오사카항역을 기점으로 트레이드센터마에역까지 이어진다.] * [[키타킨키 탄고 철도]](KTR) - [[교토 탄고 철도]][* [[윌러 얼라이언스]]에서 설립하였고 2015년 4월 1일부터 KTR로부터 노선 운영권을 양수받았다.] 잘 알려진 제3종 철도사업자로는 가장 규모가 크고 유일하게 [[준대형 사철]]로 분류되는 [[고베 고속철도]]가 있다. 이 회사는 2010년까지 제3종 철도사업자로는 거의 유일하게 역무와 선로 보수까지 도맡고, 역 디자인과 로고도 독자 양식을 채용하고 있어서 인지도가 꽤 있었다. [[정비신칸센]] 등을 보유하는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와 [[혼시비산선]]을 보유하는 일본 고속도로 보유 · 채무 상환기구는 제3종 철도사업자에 해당하는 철도사업을 하고 있으나, 일본 철도사업법 제59조 1항에 따라 제3종 철도사업자로 간주되지 않는다. 해당 기구가 보유하는 철도는 동법 제59조 2항에 따라 철도의 운영자를 제1종 철도사업자로 간주한다. == 그 외 == * [[궤도]]에서는 이러한 영업 형태가 법적으로 불가능하다. 그 영향으로 [[오사카메트로 난코 포트타운선]]의 경우 역마다 철도와 궤도가 여러 번 전환되는 해괴한 구조가 되어버렸다.[* [[오사카 시영 전기철도]]를 전신으로 하는 [[오사카메트로]]는 법적으로 궤도이다.] * [[제3섹터]]와는 다른 개념이며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어디까지나 재정적 이유로 양자를 모두 취할 가능성이 높을 뿐. * [[http://www.mlit.go.jp/common/001137390.pdf|철·궤도사업자 일람(일본어)]] - '☆' 표시된 사업자가 제3종 철도사업자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베 고속철도, version=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