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선인민군 육군의 제3군단, rd1=제3군단(북한), other2=러시아 육군의 제3군단, rd2=제3군단(러시아))] [include(틀:군단)] ||<-7><#1d2088> '''{{{#f7d639 {{{+1 제3군단}}}}}}'''[br]'''{{{#f7d639 第三軍團}}}'''[br]'''{{{#f7d639 III Corps}}}''' || ||<#ffffff><-7>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width=300]] || ||<-7><#CE1126> '''{{{#f7d639 백두대간과 동해안을 수호하는 최강무적 산악군단}}}''' || ||<#1d2088> '''{{{#f7d639 창설일}}}''' ||<-6><(> [[1950년]] [[10월 16일]](제3군단)[* 1951년 5월 26일 부대해체][br][[1953년]] [[5월 1일]]'''(제3군단)'''[* 재창설] || ||<#1d2088> '''[[상징명칭|{{{#f7d639 상징명칭}}}]]''' ||<-6><(> '''기린대(麒麟臺)''', '''산악(山嶽)부대''' || ||<#1d2088> '''{{{#f7d639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1d2088> '''{{{#f7d639 상급부대}}}''' ||<-6><(>[[지상작전사령부]] || ||<#1d2088> '''{{{#f7d639 규모}}}''' ||<-6><(> [[군단]] || ||<#1d2088> '''{{{#f7d639 역할}}}''' ||<-6><(> 강원도 동부전선과 동해안 방어[* 본래 제3군단은 강원도 동부전선 방어가 주 목적이었지만 (구)제8군단이 흡수, 통합됨에 따라 강원도 동해안도 제3군단 작전범위로 포함되었다.] || ||<#1d2088> '''[[군단장|{{{#f7d639 군단장}}}]]''' ||<-6><(> 중장 [[김봉수(군인)|김봉수]](육사 47기) || ||<#1d2088> '''[[부군단장|{{{#f7d639 부군단장}}}]]''' ||<-6><(> 준장 [[김환필]](학군 29기)|| ||<#1d2088> '''[[참모장|{{{#f7d639 참모장}}}]]''' ||<-6><(>준장 [[이상현]](육사 50기)|| ||<#1d2088> '''{{{#f7d639 위치}}}''' ||<-6><(>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 357,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군단사령부령]] ''' '''제1조(설치)''' ① 육군에 군단을 두며, 그 관할구역의 작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단사령부를 둔다. ② 군단의 명칭은 대통령이 정하고, 군단의 예속(隸屬)은 육군참모총장이, 군단의 배속(配屬)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하며, 군단 관할구역은 직속상관이 정한다.|| || [[파일:YA_NP_20131018_00790717.jpg|width=100%]] || || '''육군 제3군단'''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을 근거지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소속 [[군단]]. == 연혁 및 특징 == 3개의 [[사단(군대)|사단]]과 7개의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다. '''기린대'''[* 기린대는 사령부가 위치한 인제군 기린면에서 따온 것이다. 기린대의 '대'는 무리를 나타내는 隊를 사용하고, 교육기관인 화랑대, 상무대 등은 돈대 대(臺)를 사용한다.] 또는 '''산악부대'''[* 부대의 명칭에는 [[고유명칭]], [[통상명칭]], [[상징명칭]]이 존재한다. 고유명칭과 통상명칭을 함께 사용한 것을 금하며 추가로 상징명칭이 아닌 애칭, 별칭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국방부 훈령인 국방조직 및 정원 관리 훈령에 어긋난다.]로 불린다. 한국 전쟁 중 1950년 10월 16일 서울시 중구 남산동에서 초대 이형근 소장이 군단장에 임명되고 9사단, 11사단을 편성하여 창설되었다. 그러나 창설 7개월 만인 1951년 5월 16일 창촌으로 철수하던 제9보병사단이 중공군의 2개 군단에 의해 오마치 고개가 점령된 것을 알게 되었다. 5월 17일, 반격을 포기하고 [[현리전투|현리]]에 집결하여 오마치 고개를 돌파하려 했으나, 북한군 제5군단, 12군단, 27군단의 공세에 대응하지 못하고 퇴각 작전은 실패하였다. 작전이 실패하면서 군단은 전투의지와 통제를 잃었으며 후퇴하는 도중, 군단장 유재흥 소장이 지휘권한을 버리고 항공기로 이탈하였고, 5월 22일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까지 후퇴하였다. 1951년 5월 26일 미국 제8군 지휘관 [[제임스 밴 플리트]] 대장이 책임을 물어 유재흥의 직위를 박탈하고 3군단을 해체시켰다. 군단 예하의 제2, 5, 9, 11사단은 각각 [[미8군]] 예하 배속되었다. 1953년 5월 1일, 강문봉 소장을 군단으로 임명하고 제20, 22사단을 예속받아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에서 재창설되었다. 같은 해 12월 15일, 제1야전군 예하의 군단이 되었다. 이후 주요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다.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 12사단을 궤멸시킨 [[매봉·한석산 전투]]를 비롯해 백석산, [[펀치볼 전투]] 등에서 영토를 사수, 확보했다. 정전협정 체결 후에도 1968년 울진 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사건 소탕작전, 1990년 [[제4땅굴]] 발견,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소탕작전 등을 완수했다. 1972년 7월 27일 [[소양강댐]]이 건설되어 본래 주둔지인 관대리가 물에 잠기자 부대를 기린면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1983년에 제22보병사단과 제68훈련단을 의정부로 이전한 [[제7기동군단]]에서 편입했으나, 1987년에 영동지역의 지역방위 기능을 다시 [[제8군단]]으로 분리하면서 다시 빠져나갔다. 전군에서 근무 환경이 척박하기로 손에 꼽히는 군단 중 하나이다. [[수도군단]]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제1군단]]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제2군단]]은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제5군단]]은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제7기동군단]]은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인데 반해 제3군단은 주둔지가 군단급 중에서는 유일하게 '''군'''급이자 '''행정구역이 DMZ에 마주하는 유일한 지자체'''다. 스스로를 산악군단이라 자부하는 군단인 만큼 유달리 산을 홍보하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 그에 걸맞게 소속 사단들은 한결같이 근무 환경이 최악을 달린다. 그럴 수밖에 없다. '''3군단은 155마일(248km) 휴전선 중 가장 넓은 일반전초(GOP)를 담당하고[* 제21보병사단], 평균고도는 물론 가장 높은 해발고도에 위치[* 제12보병사단]'''해있기 때문이다. [[제12보병사단]]과 [[제21보병사단]]의 경우, [[제7보병사단]]과 더불어 가장 험준하기로 유명한 GOP를 담당하고 있다. 이들 부대의 주둔지는 강원도 [[인제군]], [[양구군]], [[홍천군]][* [[제36보병사단]] 책임 지역이지만 [[20기갑여단]] 및 소수의 부대가 주둔 중이다.] 일대. 지금은 해체되어 없어졌고 비록 GOP 사단은 아닌 예비 사단이지만 살인적인 행군량과 훈련량으로 악명이 높았던 [[제2보병사단|(구)제2보병사단]] 또한 3군단 예하 사단이었다. 교통도 열악해서 2017년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까지 여기로 오려면 홍천을 지나 [[44번 국도]]를 타고 인제까지 올라가서 [[31번 국도]]로 현리까지 역행하는 경로가 가장 안전했다. 홍천에서 현리로 바로 가는 [[451번 지방도]]는 말 그대로 산을 넘고 돌아가기 때문에 구배와 경사가 험악하기로 악명 높기 때문이다. [[금강고속]]에서 운행하는 홍천-현리 시외버스를 이용하면 이 길을 처음부터 끝까지 거쳐가는데, 길이 오죽 험하면 1월 중순에는 시외버스 운행이 '''전면 중단'''되고, 동서울까지 연장하는 회차에는 현리나 동서울에서 출발한 차량이 홍천에 도착하면 운전자를 교체한다. 구간만 운행하시는 분이 6명 정도 있다고 한다. 그 유명한 '''인제 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 못 살겠네. 그래도 양구보다 나으리'''에 해당되는 동네이지만, 지금은 양구는 춘천까지 도로로 40분, 현리는 [[서울양양고속도로]]로 2시간 이내 정도면 간다. 단 여전히 추운 동네인 건 어쩔 수 없는 듯. 제12보병사단, 제21보병사단 GP/GOP는 고지대라 7월 아침 기상시에 입김을 불면 입김이 서릴 정도이다. 산간 지역으로 추정되는 모 예하 부대에서는 병사들이 하절기에 추워서 전투복 소매를 내리니 [[행정보급관]]이 '하절기에는 팔을 걷어 올리는 것이 원칙'이라며 전투복은 하절기에 맞춰 팔을 걷어 입되, 추우면 그 위에 [[야전상의]]를 덧입으라고한 적도 있다. 육군의 복제규정에 의거, 야전상의는 사계절 언제나 착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훈련소는 낮은 곳에 있으니 그나마 괜찮은데, 7월에 [[신병교육대]]에 입소해 [[GOP]]로 자대 배치를 받으면 [[방한복 상의 내피|깔깔이]]를 입고 돌아다니는 이들을 볼 수도 있다. [[경례구호]]로는 '충성'을 사용하며 1997년도에 '단결'에서 '충성'으로 변경되었다. 2023년 5월 1일에 [[제8군단]]이 해체되어 제8군단에 있던 예하부대를 이관받았다. == 편제 == === 직할부대 === * [[제1산악여단]](태백부대)[*A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제8군단의 해체가 결정되면서 2023년 5월 1일부로 [[제3군단]] 예속 전환.] * [[본부근무대]][* 본부소대, 경비소대, 수송소대, 군악대가 있다. 이 중에서 군악대는 제2보병사단 군악대였으며, 해체 과정에서 양평으로 이동하지 않고 3군단 본부근무대로 예속 전환되었다.] *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제803군사경찰단]] - [[https://www.youtube.com/watch?v=Z0zSmtv4dMA|대민지원 영상]] * [[제13항공단]][* 항공단 야전 군단 직할 배치 계획에 따라, 군단 직할부대로 편성.][* 3군단 직할 항공지원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13방공단]][* 2023년 창설. 기존 3군단 지역을 관할하던 513방공대대와 8군단 지역을 관할하던 518방공대대를 예하에 둔다.] * [[제303경비단]][* 2023년 창설. 기존 308경비연대가 3군단으로 예속 전환되면서 단급 부대인 303경비단으로 개편.] * [[제703특공연대]] * 제13화생방대대 * 제143정보대대 * 보충중대 === 예하부대 === * [[제12보병사단]](을지부대) * [[제21보병사단]](백두산부대) * [[제22보병사단]](율곡부대)[*A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제8군단의 해체가 결정되면서 2023년 5월 1일부로 [[제3군단]] 예속 전환.] * [[제3공병여단]](산악공병) * [[제3포병여단]](산악포병) * [[제3군수지원여단]](산악군수) * [[제20기갑여단]](독수리부대) * [[제102기갑여단]](일출부대)[*A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제8군단의 해체가 결정되면서 2023년 5월 1일부로 [[제3군단]] 예속 전환.] * [[제23경비여단]](철벽부대)[*A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제8군단의 해체가 결정되면서 2023년 5월 1일부로 [[제3군단]] 예속 전환.] == 과거부대 == * ~~[[제2보병사단]](노도부대)~~[* 2019년 11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부대 해체 후 개편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32연대는 해체, 17연대는 12사단, 31연대는 21사단에 편입되었다. 해체와 동시에 구 [[제20기계화보병사단]] 사령부로 이전했고 창설준비단이 [[제7기동군단]] 예하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2021년에 [[제2신속대응사단]]으로 재창설되었다.] * [[제3보병사단]](백골부대)[* 과거 [[제3보병사단#s-1|3사단]]이 이 군단의 초기 사단이었는데, 이후 부대 개편으로 오늘날의 [[제5군단|5군단]]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 [[제9보병사단]](백마부대)[* 1군단으로 이관] * [[제11기동사단]](화랑부대)[* (구)제1야전군사령부 직속이었다가 2016년 12월에 7군단으로 이관] * [[제23보병사단|(구)제68훈련단]](철벽부대)[* 1983년에 [[제7군단]]에서 편입했으나, 1987년에 동해안 경비를 맡을 [[제8군단]]이 창설되면서 다시 빠져나갔다. 이후 68동원사단이었다가 1998년 23사단을 거쳐 2021년에 제23경비여단으로 축소되었고 2023년 8군단 해체 후 3군단으로 이관되었다.] * 제2전차대대[* 국방개혁 2.0으로 2020년 1월 초 부대가 해체된 후, 3군단 예하 12사단과 21사단 직할 전차중대가 대대로 증편됨에 따라 1중대는 21사단으로로 2,3중대는 12사단으로 편입 되었다. 1963년 4월 5일 부대창설. 1972년 동해안 대간첩작전 중 간첩선 격침] == 출신인물 == === [[군단장]] === [include(틀:대한민국 국군의 현직 중장)] [include(틀:제3군단장)]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6> '''{{{#f7d639 역대 제3군단장}}}''' || || '''{{{#f7d639 역대}}}''' || '''{{{#f7d639 이름}}}''' || '''{{{#f7d639 계급}}}''' || '''{{{#f7d639 임관}}}''' || '''{{{#f7d639 비고}}}''' || '''{{{#f7d639 기타}}}''' || || '''초대''' || '''[[이형근]]''' || '''예) [[대장(계급)|대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 || || 2대 || [[유재흥]] || 예) [[중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제1야전군사령관]] ||前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 || 3대 || [[강문봉]] || 예) [[중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제2작전사령관]] ||前 6대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 || '''4대''' || '''[[송요찬]]''' || '''예) [[대장(계급)|대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前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 || 5대 || [[이성가]] || 예) [[소장(계급)|소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육군대학|육군대학 총장]], [[제5군단]]장 || || || 6대 || [[오덕준]] || 예) [[소장(계급)|소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군단장 || || || 8대 || [[양국진]] || 예) [[중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군단장 || || || 9대 || [[최석(군인)|최석]] || 예) [[중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군단장 || || || 10대 || 최창언 || 예) [[중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군단장 || || || '''11대''' || '''[[서종철]]'''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제1야전군사령관]] ||前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 || 12대 || 이창정 || 예) [[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기 ||前 군단장 || || || 13대 || 황엽 || 예) [[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기 ||前 군단장 || || || 14대 || 심충선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기 ||前 군단장 || || || 15대 || [[박춘식]]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5기 ||前 군단장 || || || '''16대''' || '''[[최세인]]'''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기 ||前 [[제1야전군사령관]] || || || 17대 || 이동화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기 ||前 군단장 || || || 18대 || [[김재규]]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기 ||前 [[국군보안사령관|국군보안사령관]] ||前 [[중앙정보부장]][* [[박정희|국가 원수]][[10.26 사건|를 살해했다는 이유]] 때문에 인트라넷상의 군단장 소개에서는 제명되어 있었다. 물론 군단본청 앞 기념식수에는 적혀있다. 육군보안사령관으로 있다가 [[윤필용]] 수도경비사령관 도청 건으로 제3군단장으로 전보되었고, 제3군단장 시절 한계령 도로 건설을 지시하였다. 그가 군단장 재임시절 그의 전속부관이 [[박흥주]]였다. 국방부가 최근 관련 훈령을 개정하면서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이 출신 부대의 지휘관 명단에 복권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https://news.joins.com/article/23457170?cloc=joongang-article-hotclickd_n#none|중앙일보2019.05.02]]] || || '''19대''' || '''[[정승화]]'''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5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 || || 20대 || 윤학원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기 ||前 군단장 || || || '''21대''' || '''[[윤성민]]'''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9기 ||前 [[합동참모의장]],[[제1야전군사령관]] ||前 [[국방부장관]] || || 22대 || 전성각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8기 ||前 군단장 || || || '''23대''' || '''[[이상훈(육군)|이상훈]]'''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1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前 [[국방부장관]] || || '''24대''' || '''한철수''' || '''예) [[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2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 25대 || [[신치구]] || 예) [[중장]] || [[갑종간부후보생|갑종]] 22기 ||前 군단장 || || || '''26대''' || '''[[이진삼]]'''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5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前 [[문화체육관광부장관|체육청소년부장관]] || || 27대 || 박익순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6기 ||前 군단장 || || || '''28대''' || '''[[편장원]]''' || 예) '''[[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8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참 1차장]] || || || 29대 || 김종배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0기 ||前 군단장 || || || 30대 || 이규환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1기 ||前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참]] 인사군수참모부장, 작전참모부장 ||친아들인 [[이진우(군인)|이진우]] 12사단장이 2022년 5월에서 6월까지 군단장 직무대리직을 수행했다. || || '''31대''' || '''[[김석재]]'''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3기 ||前 [[제1야전군사령관]] || || 32대 || 박봉식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5기 ||前 군단장 || || || '''33대''' || '''[[신일순]]'''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6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34대''' || '''[[권영기]]''' || '''예) [[대장(계급)|대장]]''' || [[갑종간부후보생|갑종]] 222기 ||前 [[제2작전사령관]] || || || '''35대''' || '''[[박흥렬]]'''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8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前 [[대통령경호실장]] || || 36대 || [[최용주(군인)|최용주]] || 예) [[중장]] || [[육군3사관학교|3사]] 4기 ||前 [[육군항공작전사령관]] || || || 37대 || [[김일생]] || 예) [[중장]] || [[육군3사관학교|3사]] 8기 ||前 군단장 ||前 [[병무청장]] || || 38대 || [[이성호(1955)|이성호]]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3기 ||前 [[국방대학교]] 총장 ||前 [[국가안보실]] 제2차관 || || 39대 || [[이용광]] || 예) [[중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16기[* 경상대학교] ||前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 || || 40대 || [[한동주]] || 예) [[중장]] || [[육군3사관학교|3사]] 14기 ||前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 || || 41대 || [[나상웅]] || 예) [[중장]] || [[육군3사관학교|3사]] 16기 ||前 [[육군교육사령관]] || || || '''42대''' || '''[[김병주]]'''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0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육사 40기 중 [[김운용(군인)|김운용]]과 함께 가장 먼저 대장 진급하였으며 포병장교 출신으로는 꽤 오랜만에 대장진급이 나왔다.] ||現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21대) || || '''43대''' || '''[[김승겸]]'''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2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보병 대위 시절 베트남전 이후 처음이자 아직까지는 유일무이하게 을지무공훈장을 수훈받은 경력이 있으며, 현재까지 모든 진급을 1차에 한 육사 42기의 선두. 군단장 역임 후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으로 영전하였으며, 2020년 9월 대장 진급 후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영전하였고 이어 2022년 5월 합참의장으로 지명되었다.] || || || 44대 || [[박상근]] || 예) [[중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25기[* 중앙대학교] ||前 [[육군교육사령관]] || || || '''45대''' || '''[[전동진(군인)|전동진]]'''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前 [[지상작전사령관]] || || || '''46대''' || '''[[신희현]]''' || '''예) [[대장(계급)|대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27기 ||前 [[제2작전사령관]] || || || 47대 || [[김봉수(군인)|김봉수]] ||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7기 ||現 군단장 || || === 장교/부사관 ===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김종문(군인)|김종문]]: 예)소장, 육사 42기. 군단장 직무대리 역임 * [[기우진]]: 예)준장, 육사 43기. 부군단장 역임 * [[장두영]]: 예)준장, 3사 23기. 부군단장 역임 * [[최병혁]]: 예)대장, 육사 41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군단 참모장 역임. * [[이창효]]: 예)중장, 3사 19기, 前 [[수도군단]]장 및 [[제8군단|8군단]]장으로, 군단 참모장 역임. * [[김현종(군인)|김현종]]: 예)중장, 육사 44기. 참모장 역임 * 김태일: 예)소장, 3사 23기, 전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군단 참모장 역임. * [[정철재]]: 예)중장, 3사 23기, 전 [[육군교육사령관]], 대령 시절 군단 작전참모, 준장 보직으로 군단 참모장 역임. * [[장세혁]]: 예)준장, 학사 16기. 군단 참모장 역임. * [[김성민(군인)|김성민]]: 중장, 육사 48기. 군단 참모장 역임. * [[김학주]]: 예)중장, 육사 35기. 군단 작전참모 역임. * [[남영신]]: 예)대장, 학군 23기, 前 [[육군참모총장]]으로 대령 시절 군단 작전참모 역임. * [[석종건]]: 예)소장, 육사 45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부장, 대령 시절 군단 작전참모 역임. * [[김호복(군인)|김호복]]: 중장, 3사 27기. 군단 작전처장 역임. * [[정형균]]: 소장, 육사 48기. 군단 작전처장 역임. * [[김경중(군인)|김경중]]: 소장, 육사 48기. 대령 시절 군단 인사참모 역임. * [[이종언]]: 준장, 학군 30기. 군단 인사참모 역임. * [[박양동]]: 예)중장, 학군 26기. 前 [[육군군수사령관]]으로 대령 시절 군단 교육훈련참모 역임. * [[김석진(군인)|김석진]]: 예)원사. 현임 288기, 군단 주임원사 역임. * [[최강욱]]: 예)소령, 군법무관시험 11회. 현 21대 국회의원, 군단 법무참모 역임 === 병 ===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강응민]] - 국악인. [[제703특공연대]] 3대대에서 복무했다. * [[구원찬]] - 가수. 제103정보통신단에서 복무했다. * [[박경]] - [[블락비]]의 멤버. 2020년 10월 19일에 [[21사단]]으로 입대 후 이곳으로 자대배치를 받았다. 전역예정일은 2022년 4월 18일'''이었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사회복무요원]]에 편입되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3595007|#]] * [[온유(SHINee)|온유]] - [[제2보병사단]]이었으나 해체 이후 3군단으로 편입. * [[JUN. K]] - [[제2보병사단]]이었으나 해체 이후 3군단으로 편입. * [[팡이요]] - [[BJ]]. 제103정보통신단에서 복무했다. * [[ODEE]] - 래퍼. 2020년 6월 22일 입대 후 자대배치 받아 복무 했다. * [[질럿(인터넷 방송인)]] - 기훈은 21사단 신교대이지만 복무는 3군단에서 했다. == 기타 == === 근무환경 === 3군단 사령부는 근처 내린천에 동계 체력단련장, 하계 체력단련장을 운영하는데 바로 코앞에 있는 731 부대에서 관리한다. 여기를 관리하는 일을 자원하게 되면 일과를 빠지고 여기를 관리하게 되는데 폐장을 하고 나서 포상 휴가를 받을 수도 있다. 특히 겨울철 체력단련장은 눈이 올 때면 스케이트장 내의 눈을 제설해야 하고 모아놓은 눈을 옆에 있는 눈썰매장에 옮겨 관리한다. 기상에 따라 날이 더워서 눈이 녹으면 눈썰매장은 폐장된다. 3군단 예하 사단 신병교육대에서는 매 기수마다 일정 인원들을 3군단에 자대배치시킨다. 단, 이때는 세부적인 자대가 나오는게 아니라 3군단이라고 뭉뚱그려서 전속부대가 나온다. 몇 몇 훈련병들이 군단 사령부에 간다고 기뻐할지도 모르지만 배치 범위는 사단을 제외한 전 부대이다. 사령부 내에서 근무하는 본부근무대는 극소수의 인원들이 배치되고 단급 이상 부대인 [[제3포병여단]], [[제3공병여단]], [[제3군수지원여단]], 제103정보통신단에서 다수의 인원들을 데려간다. 기수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의 훈련병들은 위로휴가가 많이 나오는 GOP 및 수색부대 근무를 희망한다. 비교적 후방으로 빠지는 군단직할대로 간다고 하면 시무룩하는 경우가 많다. 여타의 군단사령부나 직할대가 비교적 도시지역에 위치해있는 반면 3군단의 경우 위치가 그닥인 점도 한몫한다. === 부대영상 === * [[대한민국 육군/특공대|제703특공연대]] [youtube(L_Vzoi6EqpE)] [youtube(HNfFFMsbv48)] [youtube(1g265q8fY_U)] [youtube(zbEgOOrS-Sk)] [youtube(hxBA7qrj13A)] [youtube(s89gNlGRtHQ)] [youtube(NFg8j5HSZ6c)] * 군사경찰단 (구 헌병대) [youtube(Z0zSmtv4dMA)] === [[회관|산악회관]] === ||<-7><#1800bd> '''{{{#f7d639 {{{+1 산악회관[br]山岳會館[br]Mountains Hall}}}}}}'''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인제 산악회관, 너비=100%, 높이=100%)]}}} || ||<#1800bd> '''{{{#f7d639 위치}}}''' ||<-6><(>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내린천로]] 3898 [[https://map.naver.com/v5/search/산악회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군단가 === [youtube(GYeysLft7cs)] 1절 >산악을 누비며 조국을 지키는 >피끓는 용사들이 여기에 뭉쳤다 >우렁찬 함성속에 이 한몸 불사르며 >조국통일 그날까지 힘차게 전진하자 >아-아 우리는 국군의 선봉 >길이길이 빛내리라 무적 3군단 2절 >태백준령 넘고넘어 북녘 끝까지 >자유의 횃불을 높이 들었다 >이 젊음 이 기백을 조국에 모두 바쳐 >영광의 그날까지 힘차게 전진하자 >아-아 우리는 국군의 선봉 >길이길이 빛내리라 무적 3군단 >-3군단가 == 사건사고 == *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에 투입되어 작전 종료에 기여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군단직할대, 2사단 예하부대, 12사단 예하부대 등에서 전사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 여담 == * 2013년 4월 22일 [[일밤]]의 병영 예능 코너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진짜 사나이]] 멤버들은 [[제9보병사단]]에 이어 이 부대 예하 [[제3포병여단]]으로 전입하여 5박 6일간의 포병 병과로 병영 체험을 하였고 5월 12일부터 녹화분이 방영했다. * 2014년 2월 16일 새로운 멤버 편성에서 [[헨리(가수)|헨리]]와 [[케이윌]]이 3군단 예하 [[제21보병사단/신병교육대|제21보병사단 신병교육대]]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헨리와 케이윌만 다른 선임들과 함께 703특공연대로 배치되었다. * 진짜사나이 2에서 신병 [[이성종]], [[돈 스파이크]]의 투입과 함께 [[제2보병사단|(구)제2보병사단]][* 현.제2신속대응사단으로 예하였던 금성대대는 21사단으로 이관되었다.]으로 갔다. 유격 훈련 주간이어서 [[김영철(배우)|김영철]], [[슬리피]]와 함께 이 둘은 열외 F4가 되었다. * 2022년 5월 25일 발령된 대장급 인사에서 3군단장 출신들이 한꺼번에 [[김승겸|합참의장]]과 [[전동진(군인)|지상작전사령관]] 및 [[신희현|제2작전사령관]]에 올랐다. [[분류:제3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