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제3경인고속도로, other1=이 도로를 관리하는 회사, rd1=제삼경인고속도로주식회사)] [include(틀:경기도의 지방도)]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제3경인고속화도로 표지.png|width=50]] ||{{{#ffffff {{{+1 '''제3경인고속화도로'''}}}[br] 第三京仁高速化道路[br]Je3gyeongin Expressway[br](3rd Gyeongin Expressway)}}}||}}}|| ||<-2> [[파일:about01.jpg|width=100%]] || ||<-2> '''{{{#fff 노선 번호}}}''' || ||<-2> '''330번 [[지방도]]''' || ||<-2> '''{{{#fff 기점}}}''' || ||<-2> [[인천광역시]] [[남동구]] [[고잔동(남동구)|고잔동]] [[고잔TG]] || ||<-2> '''{{{#fff 종점}}}''' || ||<-2>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 [[목감IC]] || ||<-2> '''{{{#fff 연장}}}''' || ||<-2> 14.3km || ||<-2> '''{{{#fff 개통}}}''' || || 2010. 3. 18. || [[정왕IC|정왕]] - [[월곶JC|월곶]] || || 2010. 5. 3. || [[고잔TG|고잔]] - [[정왕IC|정왕]], [[월곶JC|월곶]] - [[목감IC|목감]] || ||<-2> '''{{{#fff 관리}}}''' || ||<-2> [[제삼경인고속도로주식회사]] || ||<-2> '''{{{#fff 왕복 차로 수}}}''' || || [[왕복 4차로 고속도로|4차로]] || [[도리JC|도리]] - [[목감IC|목감]] || || 6차로 || [[고잔TG|고잔]] - [[도리JC|도리]] || ||<-2> '''{{{#fff 주요 경유지}}}''' || ||<-2> [[인천광역시|인천]] ↔ [[시흥시|시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 [[남동구]] [[고잔동(남동구)|고잔동]]에서 [[경기도]] [[시흥시]] 논곡동을 잇는 [[경기도]]의 '''[[지방도]]'''(330번)이자 [[고속화도로|고속'''화'''도로]]이다. == 역사 == * 2006년 11월 20일: 착공 * 2010년 3월 18일: 정왕 나들목 개통 * 2010년 5월 3일: 전 구간 개통 * 2010년 8월 1일: 전 구간 유료화(정왕IC 제외) [[2006년]] [[11월]]에 착공하였으며, [[2010년]] [[5월 3일]] 개통하였다. 이 도로는 수익형 민자사업([[BTO]])으로 건설되어 개통 후 소유권은 경기도에게 있지만, [[제삼경인고속도로주식회사|제3경인고속도로주식회사]]가 30년간 운영한다. 관리회사 명칭은 '''고속도로'''라고 되어있지만 실질적으로는 고속도로는 아니다. 왜냐하면 [[대한민국|국가]]나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가 아닌 [[경기도]](지자체)의 [[지방도]]이기 때문이다.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가 아닌 자동차전용도로는 최대로 가능한 제한속도가 90km/h이기에 고속도로로 설계하고 설계속도도 100km/h이지만 제한속도는 90km/h이다.[* 유사 사례를 [[봉담과천로]]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일부 구간은 고속도로 설계이지만(정확히는 설계속도 100km/h) 제한속도는 대부분의 구간이 90km/h이다.] 그러나 지방도로 지정된 점만 빼면 고속도로와 완전 동일한 규격으로 건설되어서 사실상 고속도로라고 해도 무방하다. == 교통량 == [[경인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하는 도로이다. 또한, 경기남부권과 지방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버스들이 이 도로를 경유하고 화물 교통량 또한 매우 많다.[* 인천항으로 가는 경인선, 제2경인선 또한 화물 교통량이 매우 많다.] 그러다 보니 왕복 6차로로 비교적 여유있게 건설했음에도 출퇴근 시간대에는 교통 체증이 심하다. 특히 [[도리JC]]로 가면 왕복 6차로에서 4차로로 줄어드는 [[병목 현상#교통체증|병목현상]]이 발생해 출퇴근 시간대에 정체가 매우 심하며 [[목감IC]]는 바로 앞에 교차로가 있다보니 빠르게 통과하기 어렵다. 특히나 [[서해안고속도로]]까지 있으니 말이 필요없다. == 노선 == ||<-2> '''소재지''' || '''번호''' || '''이름''' || '''접속[br]노선''' || '''비고''' || ||<-6>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77)] '''[[아암대로]]([[송도해안도로]]) 직결''' || || [[인천광역시|인천]] || [[남동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TG}}} || [[고잔TG]] || || 시점 || ||<|8> [[경기도]] ||<|8> [[시흥시]] || 1 || [[정왕IC]] || [[서해안로|[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77)]]] || || || 2 || [[월곶JC]] || [[영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0.svg|height=25]]]] || || || 3 || [[연성IC]] || [[시흥대로(시흥)|[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9)]]] || [* 상행 통행료 징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TG}}} || [[물왕TG]] || || || || 4 || [[도리J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00.svg|height=25]]]] || [* 제3경인고속화도로 상행 진출, 하행 진입 불가] || || 4 || [[동시흥JC]] || [[평택파주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7.svg|height=25]]]] || || || 5 || [[목감IC]] || [[서해안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5.svg|height=25]]]] [br][[동서로(시흥)|동서로]] || [* [[평면교차로]]이어서 상습정체구간이다.] [* [[서해안고속도로]] [[광명역IC]] 방향에서 [[목감IC]]를 통해 제3경인고속화도로 진입시 최우측 고가차로를 통해 목감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조남JC]] 방향에서 [[목감IC]]를 통해 제3경인고속화도로 진입시 합류구간에서 차로를 2개 이상 급히 변경해야 목감교차로에서 직진 또는 우회전할 수 있다.] [* 상행 1·2차로 좌회전 차로] || ||<-7> '''[[서해안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5.svg|height=25]] 서해안고속도로]] 직결''' || == 요금 == [[고잔TG]], [[물왕TG]]에서 요금을 수납하고, [[연성IC]]에서 [[월곶JC]] 방면에 한하여 요금을 수납한다.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의 요금이 900원인데 비해, 제3경인고속화도로는 [[민자도로]]라서 전구간 2,200원으로 갑절 이상 비싸다. [[요금소]]가 전 방향으로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어 무료 이용을 철저하게 방지하고 있으나, [[정왕IC]] ↔ [[월곶JC]] 구간, [[동시흥JC]] ↔ 목감교차로 ↔ [[목감IC]] 구간에 한하여 무료로 이용가능하다. 본래 [[정왕IC]]도 [[월곶JC]] 방면으로 요금을 수납할 예정으로 [[요금소]]를 설치했으나, 제3경인고속화도로 개통 이전부터 구 [[월곶IC]](현 [[월곶JC]] 위치)를 통해 [[영동고속도로]] 무료구간을 이용했던 주민들의 반발로 요금을 수납하지 못했고, 결국 [[요금소]] 시설도 완전히 철거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정왕IC]] 문서 참조. '''[[고잔TG]], [[물왕TG]]에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가 아닌 고속화도로 최초로 4.5t 이상 화물차 [[하이패스]]가 도입되었다.''' [[송도해안도로]]를 거쳐 직결되는 [[인천대교]]의 화물차 [[하이패스]] 운영 개시와 화물차 이용률 증가에 따른 조치이다. || {{{#ffffff 요금소}}} || {{{#ffffff 경차}}} || {{{#ffffff 1·2종}}} || {{{#ffffff 3·4종}}} || {{{#ffffff 5종}}} || || {{{#ffffff 고잔TG}}} || 600 || 1,200 || 2,000 || 2,600 || || {{{#ffffff 연성IC}}} || 350 || 700 || 1,200 || 1,600 || || {{{#ffffff 물왕TG}}} || 550 || 1,100 || 1,900 || 2,500 || [[정왕IC]]나 [[월곶JC]]로 진출입한다면 [[고잔TG]], [[연성IC]], [[물왕TG]] 중 한 곳에서만 요금을 내게 되고, 그 외([[연성IC]] ↔ [[물왕TG]] 제외)에는 두 개의 [[요금소]]에서 요금을 내야 한다. 1·2종(좌)/경차(우) 기준 구간요금은 다음과 같다. || {{{#ffffff 고잔TG}}} || 550 || 550 || 900 || 1,100 || || 1,100 || {{{#ffffff 정왕IC}}} || {{{#0000ff 무료}}} || 350 || 550 || || 1,100 || {{{#0000ff 무료}}} || {{{#ffffff 월곶JC}}} || 350 || 550 || || 1,800 || 700 || 700 || {{{#ffffff 연성IC}}} || 550 || || 2,200 || 1,100 || 1,100 || 1,100 || {{{#ffffff 물왕TG}}} || [[영동고속도로]] [[군자TG]]를 [[서창JC]] ~ [[월곶JC]] 사이로 이전하는 것이 확정되었고, 본 도로도 개방식에서 폐쇄식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고잔TG]], [[물왕TG]]는 폐쇄식으로 시스템만 변경하면 되고, [[연성IC]]는 [[물왕TG]] 방면으로도 통행료가 징수되도록 요금소 확장 및 정비가 필요하다. [[정왕IC]]는 통행료 논쟁으로 요금소 시설물을 완전히 철거했는데, 다시 원상복구시켜야 할 전망이다. == 특징 == 고속도로처럼 통행 요금을 내야 하는 유료도로이다.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의 기준대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제한 속도를 고속도로에 맞추도록 해달라는 요구가 크다. 제한 최고 속도는 90km/h 이다.[* 사실 직선에 가까운 구간이 대부분이라서 웬만한 고속도로보다 더 빨리 달릴 수 있다.] 실제로 차량들은 고속도로 속도를 내고 다닌다. 물론 과속에 해당된다.[* 도로공사 교통정보 기준, 대부분 구간의 평균 속도가 최고 속도인 90km/h를 넘기는 것은 기본이고, 100km/h를 넘는 구간도 흔하게 볼 수 있었다. 현재는 로드플러스 개편으로 정체가 없는 도로는 해당 도로의 제한 속도로 통행하는 것으로만 나온다.] [[경부간선도로|경부간선도로(경부고속도로 서울시내 구간)]], [[남해고속도로 시내구간|남해고속도로 부산시내 구간]]과 함께 고속도로를 제외한 도로들 중 한국도로공사의 교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도로이다.[* [[경부간선도로|경부고속도로 서울시내 구간]], 남해고속도로 부산시(덕천-만덕)구간은 고속도로였다가 해제된 구간인데, 제3경인고속화도로는 이에 해당되지 않는 도로이다. [[http://www.roadplus.co.kr/page.do?mCode=A010010|도로공사 교통지도]]에서는 이 도로를 우회도로가 아닌 고속도로로 표기하고 있다.] 이름은 제3'''__경__'''인고속화도로이지만 [[제2경인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정작 서울(京)은 지나가지 않는다. 물론 실제로 서울을 지나가서 붙인 명칭이 아니라, 기존 [[경인고속도로]] 및 [[제2경인고속도로]]를 대체한다는 의미로 '제3'경인고속화도로란 명칭을 부여한 것이다. [[송도해안도로]]와 직결되며 [[고잔TG]]부터 [[송도IC]] 까지의 구간은 다수의 지하차도를 통해 자동차전용도로 역할을 하며, [[송도IC]]에서 [[인천대교]]와의 직결을 통해 수도권 남부지역과 [[인천국제공항]]을 이어준다.[* 제3경인고속화도로 개통 이전에 [[영동고속도로]] [[안산시|안산]]방면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때는 [[서창JC]]까지 올라가 [[제2경인고속도로]]를 경유하여 [[학익JC]]에서 인천대교로 진입하는 경로를 이용해야 했는데, 개통 이후로는 [[월곶JC]]-[[송도해안도로]]-[[송도IC]] 경로로 직선화되었다. 서창JC가 영동고속도로의 종점이라서 제2경인고속도로로 가려는 차량이 많아 심한 정체 구간이었다. 제3경인고속화도로는 그 중에서 [[송도국제도시]], [[논현동(남동구)|논현지구]]로 빠지는 차량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도 할수 있다.] [[TMAP]]에는 고속국도 330호로 표시된다. [[봉담과천로]]도 마찬가지.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로드플러스 웹사이트에서는 330번 고속도로로 취급된다. 일부 교차로 시설에 태양광 전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http://www.kidd.co.kr/news/189147|#]] == 관련 문서 == *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 [[분류:제3경인고속화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