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8년/사건사고]][[분류:제6공화국/사건사고]][[분류:폭발물 폭발 사고]][[분류:제22보병사단/사건 사고]][[분류:고성군(강원)의 사건사고]]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제22보병사단 사건일지)] ||<-3> {{{#fff {{{+1 '''제22보병사단 불발탄 폭발 사고'''}}}}}}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idth=100%]]}}} || ||<-2> '''{{{#fff 발생일}}}''' || [[1998년]] [[12월 4일]] || ||<-2> '''{{{#fff 발생 위치}}}''' || [[강원도 고성군]] [[대한민국 육군]] [[제22보병사단]] || ||<-2> '''{{{#fff 유형}}}''' || '''[[폭발]]''' || ||<-2> '''{{{#fff 원인}}}''' || [[M67 무반동포]] 불발탄 임의 해체 || ||<|2> '''{{{#fff 인명피해}}}''' || '''{{{#fff 사망}}}''' || 3명 || || '''{{{#fff 부상}}}''' || 5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 [[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774636_30723.html|강원 육군 뇌종부대에서 불발탄터져 8명 사상]] * [[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774661_30723.html|전역병 선물 만들다가 뇌종부대 불발탄 폭발]] [[1998년]] 12월 4일 오후 9시, 육군 [[제22보병사단]] 철책지역 내무반 옆 병사 휴게실에서 90mm 무반동총 불발탄이 폭발하면서 이 불발탄을 해체하던 강창원 상병(1977~1998)과 그 옆에 있던 조병혁 상병(1977~1998), 윤동철 이병(1978~1998) 등 3명이 그자리에서 사망하고 이충렬 일병(1978~), 안광오 이병(1978~) 변정진 이병(1978~) 김동진 병장(1977~), 황진욱 이병(1977~) 등 5명이 중경상을 입은 폭발 사고이다. == 상세 == [[1998년]] 12월 1일, 강창원 상병은 [[제22보병사단]] 공용사격장에 갔다가 [[M67 무반동포]] 불발탄 1발을 발견했다. 하지만 강창원 상병은 이 사실을 보고하지 않고 비밀로 한 뒤 이 불발탄을 몰래 옆 소대 [[내무반]]으로 가져와 그 곳에 숨겨놓고 보관하고 있었다. [[1998년]] 12월 4일 밤, 강창원 상병은 이 불발탄을 인근 병사 휴게실로 가져와서 [[https://blog.naver.com/joo99416/220734206813|고참병의 전역 기념 선물을 만들기 위해서 탄피를 분리하는 작업]]을 했다. 불발탄은 강창원 상병이 분해를 하던 도중 폭발했다. 이 사고로 인해 불발탄을 분해하던 강창원 상병, 그 옆에 있던 조병혁 상병 및 윤동철 이병은 그 자리에서 사망했으며 주변에 있던 이충렬 일병, 안광오 이병, 변정진 이병, 김동진 병장, 황진욱 이병은 중경상을 입고 부상의 정도에 따라 [[국군수도병원]]과 [[국군강릉병원]]으로 후송되었다. 사고 당시 병사 휴게실에는 근무대기를 하는 병사들과 근무가 끝나고 휴식을 취하는 병사들이 몰려 병사들이 많이 있는 상황이었다. == 피해 == 이 사고로 인해 병사 휴게실이 완파되었으며 3명의 국군 장병들이 사망하고 5명의 국군 장병들이 부상을 당했다.[[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774636_30723.html|#]] == 기타 == 이 사고에 대한 책임으로 당시 [[제22보병사단]]장인 류선준 소장(육사 27기[* [[김장수]]와 동기이다. 둘이 비슷하게 군 내부 최상위 엘리트였지만 [[김장수]]는 [[사단장]]을 [[제6보병사단]]에서 지낸 덕분에 승승장구에 지장이 없었지만 류선준은 여기에서 사단장을 지낸 탓에 출세가 멈췄다.])이 문책을 당했다. 이후 류선준 장군은 더 이상 진급을 하지 못하고 군문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