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말 그대로, 오래 살던 타향을 고향에 견주어 이르는 말이다. 병주고향(幷州故鄕)이라고도 부른다. 타향에 정들어버렸다는 말로 병주지정(幷州之情)이라는 말이 쓰인다. 자신이 군 복무 하던 지역도 제2의 고향이라 하는 경우도 많다. == 유래 == 중국 당나라의 시인인 가도가 오랫동안 병주 땅에서 살다가, 병주를 떠나고 나니, 병주가 그리워지더라는 시를 쓰면서 유래된 것. || 병주 땅 객사에서 십 년 세월을 보내면서 客舍幷州已十霜(객사병주이십상) 돌아가고픈 맘에, 밤 낮으로 고향 함양을 생각했네. 歸心日夜憶咸陽(귀심일야억함양) 뜬금 없이 다시금 상건수를 건너서, 無端更渡桑乾水(무단갱도상건수) '''병주를 바라 보니 이 또한 고향일세.''' '''卻望幷州是故鄕(각망병주시고향)''' ㅡ 도상건 중에서 || 쉽게 말해, 병주에서 살면서 고향인 함양을 그리워하다가, 다시 다른 곳으로 와보니, 정들어버려서 병주 또한 그리워한다는 뜻의 시. 마지막의 각망병주시고향에서 유래되어, 병주고향이라는 말이 생겼다. 제2의 고향이라는 말이 생긴 건 [[대한민국]]으로 오면서 생긴 말이다. 그래서 문서의 제목도 한국에서 쓰이는 제2의 고향. [[대한민국]]에서는 서울 출신이 다른 지역에서 군복무 또는 회사를 다녔다고, 제2의 고향이 군복무지 또는 회사근무지가 되는 사례는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사실 이 건 육군이 30개월 복무하고, 공군이 36개월을 복무했던 60년대부터 내려온 유서 깊은 말. 이 말을 쓰는 사람은 최소 40대 이상이다. 10대 ~ 30대에서 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애초에 오래된 말이기도 해서, 탑골공원에 계신 어르신들이 가끔 쓰시는 말씀들이다. 가수 [[윤수일]]이 1981년에 발표한 윤수일밴드 1집의 곡으로도 유명하다. [[http://www.youtube.com/watch?v=Gf0FA-39Ndk|#]] == 사례 == [[이산가족]], [[북한이탈주민]] 등이 대표적인 제2의 고향을 가진 분들이다. [[박병호]]도 고향은 전라북도 부안이지만, 성장한 곳은 서울이었다. 보통은 연예인들에게서 많이 보이는데, [[애프터스쿨]]의 레이나, 리지, [[에이핑크]]의 정은지 등이 여기에 속한다. [[송강호]]도 살던 곳과 대학교까지 부산이었지만, 극단 생활은 서울의 동숭에서 했고, [[곽도원]]의 경우에는 고향이 서울이지만[* 광남고등학교가 [[광진구]]에 있다.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에서 [[동남 방언]]과 서울말을 섞어 쓰는 조범석 검사로 나왔다.], 자신의 연기는 [[경상남도]] [[밀양시]]의 연희단거리패 밀양연극촌이 시작이라고 말할 정도이다. 축구를 하겠다고 전학 오는 경우도 있다. 그 예가 [[차범근]]. 하지만, [[차범근]]이 들어갔던 그 [[영도중학교(서울)|영도중학교]]는 차범근이 유니폼을 입기도 전에 축구팀이 해체됐다. 차범근이 필드하키 선수가 된 것이 이 때였다. 결국 차범근은 축구를 하기 위해 경신중학교로 전학을 간다. 그 일이 있고 난 뒤, 영도중학교는 축구부를 해체한 것 때문에 갖은 욕을 먹다가, 결국 몇 년 뒤에 재창단되었고, 이렇게 해서 전학을 온 사람이 바로 [[허정무]].[[http://woman.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mcate=M1003&nNewsNumb=2014062125_0|#]] 이촌향도 현상 또한 후자의 경우. 대부분 자녀들이 초등학교나 중학교 때 상경하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생각해 보아도, 후자의 경우는 매우 많다.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전국 팔도에서 돈을 벌기 위해 내려간 사람들이 아예 그 지역에 정착을 하는 경우도 많다. [[서울특별시]]가 인구가 엄청나게 많아진 건 딱히 확장 때문만은 아니었고, 구로공단 등의 공장이 매우 많았기 때문이었다. [* 그에 대한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 석관동의 오리온 공장이라던가, 양평동5가에 위치한 롯데칠성음료 공장, 서울 강서구의 하이트진로 공장이다. 옛날에는 영등포역 바로 앞에도 공장이 있었다.] [*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도시가 발전한 사례가 바로 [[울산광역시]]와 삼호읍. 울산의 경우, 광역시로 승격됐고, 삼호읍은 [[영암군]]에서 중심지로 삼을 정도로, 바짓가랑이를 붙잡고 있을 정도. 옛날엔 [[영등포역]] 앞에도 공장이 있었다.] == 정치적 고향 == 넓은 범위의 정치적 고향도 여기에 속한다. 대표적인 인물이 [[송영길(정치인)|송영길]]. 원래 [[전라남도]] [[고흥군]] 출생인데, 성인이 된 후 [[고흥군]]이나 다른 곳에서 국회의원을 한 적은 단 한 번도 없고, 정치 생활 자체를 [[인천광역시]] [[계양구]]에서 했다. [[계양구]]의 선거구가 갑, 을로 쪼개진 뒤로는 을 지역구에서만 3선을 하는 중이다. [[인천광역시]] 시장도 했던 경력이 있다. [[분류: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