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장교임관과정)] [include(틀:폐교된 고등교육기관)] [include(틀:해체된 사관학교)] [목차] == 개요 == 1970년대에 육·해·공군에 존재했었던 [[사관학교]]. 4년제인 정규사관학교와 비교할 때 2년제로 짧아 단기사관학교라 하기도 했다. 현재는 모두 폐지되었고, 육군제2사관학교는 1972년에 [[육군3사관학교]]로 통합되었다. 1968년 [[1.21 사태]] 이후 대간첩 작전부대 창설 및 증편으로 정원이 5,844명 증가했으며, 1974년에는 간부정예화계획에 의거 갑종 및 단기사관후보생을 폐지하고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4089&ancYd=19741221&ancNo=02703&efYd=19741221&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단기사관학교 설치법]]을 마련하여 육군 제3사관생도로 통합하여 모집했다. 이와 함께 해·공군도 1975년에 각각 제2사관학교를 창설하고 생도를 모집했으며, 각 군 사관학교도 모집인원을 2배수로 대폭 확대했다. [[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6294|#]] 육해공 모두 2사 생도들은 예복 복대 장식을 [[빨강]]으로 통일했다. == [[대한민국 육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육군3사관학교)] 당시 장교양성에 있어서는 보수과정을 분리시키고, 2년제 단기사관학교로 제도화하기 위하여, 1968년 10월 15일 육군 제2사관학교와 제3사관학교를 창설했다. 육군 제2사관학교는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시]]에 소재한 [[육군보병학교]]를 감편하여 창설하였고, 육군 제3사관학교는 4개 학교(정보, 헌병, 부관, 경리학교)가 있던 [[경상북도]] [[영천시|영천군]]에서 전후방으로부터 차출된 새로운 창설요원들에 의해서 창설되었다. 육군 제2사관학교와 육군 제3사관학교는 동시에 창설되었지만 육군 제2사관학교는 교육생 수용준비가 늦어지는 바람에 제1기생은 육군 제3사관학교에서만 교육했다. 1969년 3월 18일 육군 제3사관학교의 개교식이 열렸고, 1970년 1월 20일 제3사관 1기 생도 771명이 임관하였다. 육군 제2사관학교의 1기라고 칭할 수 있는 제2사관 2기 생도들은 같은 해 5월 29일 임관[* [[https://www.youtube.com/watch?v=syUp8dPlyUM&feature=youtu.be|대한뉴스 보도]]. 3사관 2기가 다음날인 5월 30일 임관하였고, 11월 26일 3기부터 제2·3사관 생도들이 같은 날 임관하였다.]하였다. 1970년 동일한 두 개의 단기사관학교가 있으면 부정적인 요인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이원화하지 말고 하나로 통합할 것을 대통령이 지시함으로써, 1972년 4월 26일 교육환경이 열악한 육군 제2사관학교가 제3사관학교에 통합되었다. 육군 제2사관학교는 1972년 2월 25일 6기생을 마지막으로 총 2724명의 장교를 배출했다. 창설학교의 명칭을 육군 제2·3사관학교라 명명한 것은 1968년 9월 20일 육군본부 정책회의에서 [[육군사관학교]]를 제1사관학교라고 염두에 두고 새로이 창설되는 단기사관학교를 숫자 순에 의하여 명명한 것이었다.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24271&ancYd=19700504&ancNo=04975&efYd=19700504&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JAX|육군단기사관학교령]] == [[대한민국 해군]] == 해군 제2사관학교는 초급장교의 만성적 부족현상을 해소하고, 우수한 중·단기 복무장교의 확보를 목적으로 1975년 5월 10일 [[진해구|경상남도 진해시]]의 현 [[해군전투병과학교]] 건물에 창설되었다. 교육연한 2년 동안 항해·기관·상륙 3개 병과를 양성, 임관 후 복무연한은 6년이며, 정원은 240명이었다. 해군의 장교양성제도 변경에 따라 1983년 8월 27일 7기생 임관을 마지막으로 교육을 종료했다. 해병대의 경우는 고졸자를 대상으로 [[해병학교]]에서 [[http://www.marinesocs.kr/bbs/board.php?bo_table=sub02_02&wr_id=12|해병사관후보생]]으로 모집해오다가 1973년 해병대사령부가 해체되면서 해병학교도 해체되자 해병간부후보생(해간)으로 인원을 모집하였다. [[해군사관학교]]와 해군제2사관학교에서도 장교를 공급 받았다.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EnTg&fldid=Omj3&datanum=45|#]] 일부 졸업자는 육군 3사관학교 학부과정(2년간 교육 후 학사학위 수여)에 편입해 추가 교육을 수료한 뒤 해군 장교로 실무에 나갈 기회가 있었다. 2013년에 [[http://www.mnd.go.kr/cop/kookbang/kookbangIlboView.do?siteId=&pageIndex=12&findType=&findWord=&categoryCode=dema0005&boardSeq=538&startDate=&endDate=&id=mnd_020103000000|총동문회를 창설했다.]] === 출신 인물 === * 안희수: 해병준장(1기, 1977년 임관, 해사 31기 상당), [[해병대 교육훈련단|해병대교육훈련단]]장, [[계룡대 근무지원단]]장. [[마산고등학교]] 졸업. * 김영섭: 해군준장(2기, 1978년 임관, 해사 32기 상당), [[해군대학]] 총장. * 박승훈: 해병준장(2기, 1978년 임관, 해사 32기 상당), [[해병대 교육훈련단]]장. * 이정: 해군준장(3기, 1979년 임관, 해사 33기 상당), 해군대학 총장. * [[전찬걸]]: 해군[[소령]]. 졸업 및 임관 후 중위때 육군3사 학부과정에 편입해 19기로 수료한 것으로 되어 있는 특이 이력 소유자. [[경상북도]] [[울진군|울진]][[군수]]. * 류지영: 해병준장(6기, 1982년 임관, 해사 36기 상당), [[국방부 근무지원단]]장. * 조돈천: 해군준장(7기, 1983년 임관, 해사 37기 상당), [[제118조기경보전대]][[전대장|장]], [[KSS-III|장보고-3]]사업단장. * 조동택: 해병준장(7기), [[계룡대 근무지원단]]장, [[대한민국 해병대]] 부사령관. 소수의 2사 출신들이 [[장군]] 및 [[제독]]으로 진급했으나, 사실상 준장이 [[진급 상한선]]이었다. == [[대한민국 공군]] == 공군 제2사관학교는 정규사관학교 교육을 제외한 조종·정비·관제·통신전자분야의 초급장교 양성을 목적으로 1975년 12월 1일 [[대전광역시|충청남도 대전시]]에 창설되었다. 교육은 공군의 초급장교로서 기본수양과 실무장교로서 필요한 전문적 업무수행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표를 두고 실시되었으며, 교육과목은 교양·기초필수·전공 과목으로 나누어 균형있는 교육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1976년 4월 개교 이후 1984년 4월까지 총 1026명의 공군 장교를 배출했다. 단시일 내에 소정의 초급장교양성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7기생 배출을 끝으로 1984년 4월 30일 폐교되었다. 조종간부후보생(조간)은 1971년 조종사관후보생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1976년부터 공군제2사관학교로 입교를 하였다. 이때부터 10개월이었던 교육기간도 2년으로 늘어났다.[[http://cafe.daum.net/ocspilots/687s/2|#]] 부대 별칭은 은하대라고 불렸다. 공사는 성무대. [[http://cafe.daum.net/ROKAF2|공군제2사관학교 총동문회]] === 출신 인물 === * [[김진홍(군인)|김진홍]]: 공군소장(6기, 1983년 임관, 공사 31기 상당),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공군방공유도탄사령관]]. 보급수송 특기에서 방공포병 특기로 이동 [[http://m.edaily.co.kr/news/Read?newsId=01364486612848016&mediaCodeNo=257#forward|출처]]. 2016년 12월 전역. 조종사가 좀 나오기도 했지만, 장군은 [[방공포병]] 병과에서 김진홍 장군 단 한 명만 배출했다. 2016년 9월 7기생 대령 한 명이 전역했고, 같은 해 12월 김진홍 장군이 전역하면서 남아 있는 사람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박복균]]: 공군대령(6기, 1983년 임관, 공사31기 상당). * [[이진호]]: 공군중령(2기). 한국 최초의 시험비행 조종사로 1996년 10월 [[KT-1]] 시제기 시험비행 중 [[캐노피]]가 떨어져나가자 여압이 안되고 불량한 시야에서도 무사히 [[사천공항]]에 착륙한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1605|일화]]가 유명하다. [[분류:임관]] [[분류:1968년 개교]] [[분류:1972년 폐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