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19대 대통령 선거)] [include(틀:제19대 대통령 선거)] [목차] == 개요 == 아래의 모든 일자는 [[2017년]]이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의 최종 선고가 내려진 2017년 [[3월 10일]]을 기점으로 서술한다. == 2월 == * '''2월 16일''': [[정의당]]에서 [[심상정]] 대표가 [[강상구]] 원장과의 경선에서 승리하여, 원내정당 중 최초로 대선 후보가 정해졌다. == 3월 == *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인용함으로 결정되면서 조기 대선이 확정되었다. 따라서 이 날부터 예비후보자 등록 신청을 받으며, 이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선거가 치러져야 한다. 선거일은 [[5월 9일]]이 유력한 상태다. * '''3월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김용덕 위원장은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조기 대선에 대해 "비상한 각오로 철저히 준비해 정확하고 완벽하게 선거를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 '''3월 12일''':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공동대표가 대선 후보 추대를 수락했다. * '''3월 13일''': 주요 [[제19대 대통령 선거/대권주자|대선주자]] 가운데 [[정의당]]의 [[심상정]]이 가장 먼저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행정자치부]]는 내부적으로 실무 차원에서 5월 9일을 선거일로 잠정 결론으로 낸 것으로 알려졌다. * '''3월 14일''': [[더불어민주당]] 경선 3차 토론회가 열렸다. [[문재인]]과 [[안철수]]는 중앙선관위에서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더불어민주당의 나머지 후보들은 자치단체장이기 때문에 등록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등록하려면 해당 직을 사퇴해야 되므로 경선 결과가 나오기 전에는 등록하지 않겠다고 한다.] 이르면 오늘 선거일이 확정된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발표하지 않았다. [[친박]] 핵심인 [[김진태(정치인)|김진태]] 의원,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였다. 한편, [[천정배]] 의원은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자유한국당]]을 비롯하여 [[바른정당]]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경선 룰을 두고 아직도 논란 중이다. * '''3월 15일''': [[황교안]] 권한대행이 주재한 임시 [[국무회의]]에서 '''5월 9일'''을 선거일로 공식 결정했으며, 이 날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였다. 더불어 황교안 대행은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이 날 [[김문수]]도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국민의당은 진통 끝에 [[4월 4일]]로 후보 선출을 확정했다.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대통령 선거와 동시에 [[10차 개헌|개헌]] 국민투표를 하자는 합의를 했다. * '''3월 17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예비경선에서 양필승, 김원조, 이상원 후보를 컷오프시켰고, [[안철수]], [[손학규]], [[박주선]] 후보가 본선에 진출했다. 더불어민주당 경선 4차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18일''': 자유한국당은 1차 예비경선에서 [[김진(1959)|김진]], 신용한, [[조경태]] 후보를 컷오프시켰다. 국민의당 경선 1차 토론회가 열렸다.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 '''3월 19일''': 바른정당 호남권 경선 국민정책평가단 투표가 열렸고, 유승민 후보가 승리하였다. 더불어민주당 경선 5차, 자유한국당 경선 1차, [[바른정당]] 경선 1차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20일''': 자유한국당은 2차 예비경선에서 [[안상수(인천)|안상수]], [[원유철]] 후보를 컷오프시켰고, [[김관용]], [[김진태(정치인)|김진태]], [[이인제]], [[홍준표]] 후보가 본선에 진출했다. 국민의당 경선 2차 토론회가 열렸다. 늘푸른한국당 이재오 공동대표는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늘푸른한국당의 대선후보로 확정되었다. * '''3월 21일''': 바른정당 영남권 경선 국민정책평가단 투표가 열렸고, 유승민 후보가 승리하였다. 더불어민주당 경선 6차, 바른정당 경선 2차 토론회가 열렸다. 더불어민주당은 경선 선거인단 모집을 마감했으며, 참가인원은 214만 3330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 '''3월 22일''': 자유한국당 경선 2차, 국민의당 경선 3차 토론회가 열렸다. 더불어민주당 경선 전국동시투표가 실시되었다. 당초 개표는 당일에 이뤄지고 발표는 추후에 이뤄지는 구조였으나, 참관인 구조 등으로 인하여 유출이 불가피했고 [[부산일보]]와 SNS 등지에서 개표 결과가 유출되었다.[* 부산일보는 문재인이 부산지역에서 75%를 획득했다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2&aid=0000689867|보도했다.]]] * '''3월 23일''': 바른정당 충청권 경선 국민정책평가단 투표가 열렸고, 유승민 후보가 승리하였다. 바른정당 경선 3차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24일''': 더불어민주당 경선 7차, 자유한국당 경선 3차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25일''': 국민의당은 광주·전남·제주 지역을 시작으로 전국 순회경선에 돌입했고, 해당 지역에서 안철수 후보가 승리를 거두었다. 바른정당 수도권 경선 국민정책평가단 투표가 열렸고, 유승민 후보가 승리하였다. [[민중연합당]]은 경선에 단독출마한 [[김선동(1967)|김선동]] 후보가 찬반투표를 통과함으로써 당 대선후보로 확정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경선 8차, 국민의당 경선 4차, 바른정당 경선 4차 최종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26일''': 국민의당 전라북도 순회경선이 열렸고, 안철수 후보가 승리하였다. 더불어민주당 경선 9차, 자유한국당 경선 4차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27일''': 더불어민주당 호남권 순회경선이 열렸고,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였다. 자유한국당 경선 5차, 국민의당 경선 5차/6차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28일''': [[바른정당]] 최종 경선이 열렸고, [[유승민]] 후보가 최종 승리함으로써 바른정당의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국민의당 부산·울산·경남 순회경선이 열렸고, 안철수 후보가 승리하였다. 더불어민주당 경선 10차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29일''':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순회경선이 열렸고,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였다. 자유한국당 경선 6차 최종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30일''': 국민의당 대구·경북·강원 순회경선이 열렸고, 안철수 후보가 승리하였다. 더불어민주당 경선 11차 최종, 국민의당 경선 6차 최종 토론회가 열렸다. * '''3월 31일''': [[자유한국당]] 전당대회에서 [[홍준표]] 후보가 최종 승리함으로써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영남권 순회경선이 열렸고,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였다. == 4월 == * '''4월 1일''': 국민의당 경기도 경선이 열렸고, 안철수 후보가 승리하였다. * '''4월 2일''': 국민의당 서울·인천 경선이 열렸고, 안철수 후보가 승리하였다. * '''4월 3일''': [[더불어민주당]] 수도권 경선이 열렸고,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였다. [[문재인]] 후보는 57%의 득표율을 얻음으로써 결선투표 없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 '''4월 4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대전·충청·세종 경선이 열렸고, 안철수 후보가 승리하였다. [[안철수]] 후보는 75% 득표율로 국민의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 '''4월 5일''':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 '''4월 9일''': 이날까지 자치단체장을 비롯한 입후보 제한을 받는 자는 사퇴해야 된다. 이에 따라 홍준표 후보는 경상남도지사직에서 사퇴하였다.[* 그러나 당일 밤 늦게 사퇴하였고 선관위에 통보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경남지사 재보선이 대선과 함께 진행될 수는 없게 되었다.] * '''4월 11일''': 선거인명부 작성이 시작된다. 이날부터 거소·선상투표 신고를 해야 된다. 군인 등의 선거공보 발송 신청도 접수받는다. * '''4월 12일''': 2017년 재·보궐 선거가 열렸다.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 '''4월 13일''': [[SBS]]와 한국기자협회의 초청으로 대선후보 TV 토론회가 [[https://www.youtube.com/watch?v=rJ1INwFKQGU|열렸다]]. * '''4월 15일''': 후보자 등록이 시작되었다. * '''4월 16일''': 후보자 등록이 종료되었다. 총 15명이 후보 등록했다. * '''4월 17일''':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날부터를 '''선거기간'''으로 규정한다. * '''4월 19일''': [[KBS]]의 초청으로 대선후보 TV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 '''4월 21일''': 기호 13번 한반도미래연합 김정선 후보가 사퇴하였다. * '''4월 2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최하는 정식 1차 후보자 TV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 '''4월 24일''': 비초청 대상 후보자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 '''4월 25일''': 재외투표가 시작되었다. 한국정치학회·중앙일보·JTBC 공동 초청 대선후보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 '''4월 2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최하는 정식 2차 후보자 TV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 '''4월 29일''': 기호 11번 통일한국당 남재준 후보가 사퇴하였다. * '''4월 30일''': 재외투표 마감일. 본투표에 사용될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었다. 이 시점 이후 사퇴한 후보는 기표란에 '사퇴'가 쓰여지지 않는다. == 5월 == * '''5월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최하는 3차 후보자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이날부터 선거일 투표 마감시각까지는 어느 누구라도 신규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할 수 없다. * '''5월 4일''': 사전투표 첫째 날. 첫날 전국 투표율은 11.7%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최종 사전투표율(11.5%)을 이미 넘었으며 [[제20대 총선]]의 최종 사전투표율(12.2%)에 육박했다. * '''5월 5일''': 사전투표 둘째 날. 이틀간의 최종 사전투표율은 26.06%. 사전투표 제도 시행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 '''5월 9일''': '''선거일'''. 사전투표를 합산한 총 투표율은 77.2%를 기록했으며, '''[[문재인]]''' 후보가 41.1%를 득표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당선 확정은 익일 오전 2시 37분에 되었으며, 같은 날 오전 8시 9분 중앙선관위 전체위원회의의 의결을 통해 임기가 시작되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취임날 자정부터 임기가 시작하지만, 궐위로 인한 선거에서는 그런 규정이 없기에, 선관위에서 당선이 공식적으로 의결된 시점을 임기 시작 시점으로 보았다.] [[분류:제19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