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분류:대구광역시의 정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13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목차] == 개요 == 본 [[항목]]은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의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 결과 == === [[중구(대구 선거구)|중구]] === ||<-4> {{{#ffffff {{{+1 '''중구'''}}}}}}[br]{{{#ffffff 대구 중구 일원[* 동인동, 삼덕동, 대신동, 대봉1동, 대봉2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유수호(정치인)|유수호]](劉守鎬)''' || '''47,594'''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56.87%'''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김현규]](金鉉圭) || 31,660 || 2위 || || [[통일민주당|[include(틀:통일민주당)]]] || 37.83% || 낙선 || ||<|2> {{{#373a3c {{{+5 '''3'''}}}}}} || 구영(具永) || 549 || 5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0.65% || 낙선 || ||<|2> {{{#ffffff {{{+5 '''4'''}}}}}} || [[이수만(1950)|이수만]](李守萬) || 2,783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2.32% || 낙선 || ||<|2> {{{#ffffff {{{+5 '''5'''}}}}}} || [[서병환]](徐秉煥) || 1,09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3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5,892 ||<|3> '''투표율'''[br]79.58% || || '''투표 수''' || 84,269 || || '''무효표 수''' || 584 || || {{{#fff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88 유수호(정치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현규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영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수만1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병환13.jpg|width=100%]]}}} || || || ||}}}}}}}}} || 민정당 유수호 후보는 [[박정희]] 대통령 시절 판사로써 소신있는 판결을 내려 판사 재임용에서 탈락했고, 변호사 시절에도 무료 변론 등 사회활동에 앞장섰다. 다만 본격적인 정계입문 때는 경북고 동기인 [[노태우]], [[김윤환(1932)|김윤환]], [[정호용]] 등과의 인연으로 인해 민정당을 선택했다. 민주당은 구미시-군위군-칠곡군-선산군 선거구에서 3선을 기록한 야권 중진인 김현규 의원을 공천했다. 김현규 후보는 소선거구제 하에서 민정당 실력자인 김윤환을 상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는데, 하필 대구의 중심지인 [[중구(대구 선거구)|중구]] 선거구에 마땅한 거물 후보가 없자 지역구를 옮겨 출마했다. 유수호 후보가 19% 차이로 승리했다. === [[동구(대구광역시)|동구]] === ||<-4> {{{#ffffff {{{+1 '''동구'''}}}}}}[br]{{{#ffffff 대구 동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준규(1925)|박준규]](朴浚圭)''' || '''85,854'''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54.92%'''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목요상]](睦堯相) || 46,725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29.89% || 낙선 || ||<|2> {{{#000000 {{{+5 '''3'''}}}}}} || 안병달(安柄達) || 2,163 || 5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38% || 낙선 || ||<|2> {{{#ffffff {{{+5 '''4'''}}}}}} || [[최규태]](崔圭泰) || 16,230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0.38% || 낙선 || ||<|2> {{{#ffffff {{{+5 '''5'''}}}}}} || 권영식(權寧植) || 5,350 || 4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3.4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4,483 ||<|3> '''투표율'''[br]77.08% || || '''투표 수''' || 157,607 || || '''무효표 수''' || 1,285 || || {{{#fff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준규 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목요상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병달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규태1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영식13.jpg|width=100%]]}}} || || || ||}}}}}}}}} || 신군부에 의해 정치규제를 당한 [[박준규(1925)|박준규]] 전 의원은 [[제13대 대통령 선거]] 직전에 [[노태우]] 대통령 후보의 영입 제안을 받아들여 민정당에 입당했고 대구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선거구에 공천을 받는다. 민주당은 현역 의원인 [[목요상]] 후보를 공천했다. 대구가 워낙 민정당 강세 지역이고, 박준규 후보도 거물인지라 상대인 민주당 목요상 후보를 두 배 가까운 격차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 [[서구 갑(대구)|서구 갑]] === ||<-4> {{{#ffffff {{{+1 '''서구 갑'''}}}}}}[br]{{{#ffffff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비산4동, [br]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상이동, 중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호용]](鄭鎬溶)''' || '''52,847'''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54.34%'''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서훈(1942)|서훈]](徐勳) || 19,242 || 3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9.79% || 낙선 || ||<|2> {{{#000000 {{{+5 '''3'''}}}}}} || 양의강(梁義網) || 884 || 5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0.91% || 낙선 || ||<|2> {{{#ffffff {{{+5 '''4'''}}}}}} || [[백승홍]](白承弘) || 22,234 || 2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22.86% || 낙선 || ||<|2> {{{#ffffff {{{+5 '''5'''}}}}}} || [[김현근(1959)|김현근]](金顯根) || 2,044 || 4위 || || [include(틀:민중의당)] || 2.1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3,691 ||<|3> '''투표율'''[br]79.16% || || '''투표 수''' || 97,919 || || '''무효표 수''' || 668 || || {{{#fff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호용민정당후보시절.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훈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의강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승홍1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현근13.jpg|width=100%]]}}} || || || ||}}}}}}}}} || [[전두환]] 전 대통령과 현직 [[노태우]] 대통령의 육사 11기 동기이자, [[전두환]] 정부 시절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행정안전부장관|내무부장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등을 지낸 [[정호용]] 예비역 대장이 민정당 공천을 받았다. 민정당 텃밭인 대구에 공천을 받았고, 본인도 거물인지라 손쉽게 승리했다. 문제는 당선 이후에 터진다. 정호용 의원은 [[5.18 민주화운동]]당시 [[특전사]] 사령관으로써 진압 작전에 적극 참여했기에, 광주 특위를 거치면서 5공의 핵심 인물로 지목되어 많은 지탄을 받는다. 정호용은 결국 정권 이미지 악화와 [[3당 합당]] 과정에서 발생할 차질을 우려한 [[노태우 정부]]의 압박을 받고[* 이 과정에서 경북고 1년 후배인 [[서동권]] [[국가정보원장|안기부장]]에게 멱살을 잡히기까지 했다.] 반강제적으로 의원직을 사퇴한다. 보궐선거에서는 [[민자당]] [[문희갑]] 후보가 당선됐다. 한편 이 선거에서 2위로 낙선한 [[백승홍]] 후보는 이후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 [[민주당(1991년)|민주당]]을 거치며 [[1990년 재보궐선거]]와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낙선하다가 [[무소속]]으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드디어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해 재선 의원을 지냈으며[*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총선]]에서는 선거구 통폐합으로 서 갑 선거구가 폐지되며 [[중구(대구 선거구)|중구]]에서 출마, 당선됐다.], 3위로 낙선한 [[서훈(1942)|서훈]] 후보는 고향이 있는 [[동구 을]]로 지역구를 옮겨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국민당 소속으로 출마해 석패했다가 [[1993년 재보궐선거]],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5대 총선]]에서 당선되며 재선 의원을 지냈다. === [[서구 을(대구)|서구 을]] === ||<-4> {{{#ffffff {{{+1 '''서구 을'''}}}}}}[br]{{{#ffffff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br]평리1동, 평리3동, 평리6동, 원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운지]](崔雲芝)''' || '''43,324'''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9.15%'''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유성환]](兪成煥) || 30,575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34.69% || 낙선 || ||<|2> {{{#ffffff {{{+5 '''3'''}}}}}} || 신달선(辛達善) || 5,391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6.12% || 낙선 || ||<|2> {{{#ffffff {{{+5 '''4'''}}}}}} || [[서중현]](徐重鉉) || 2,333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2.65% || 낙선 || ||<|2> {{{#F8C050 {{{+5 '''5'''}}}}}} || 이종섭(李宗燮) || 4,785 || 4위 || || [include(틀:한국국민당(1981년))] || 5.43% || 낙선 || ||<|2> {{{#ffffff {{{+5 '''6'''}}}}}} || 최영(崔渶) || 1,730 || 6위 || || [include(틀:민중의당)] || 1.9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2,586 ||<|3> '''투표율'''[br]79.01% || || '''투표 수''' || 88,949 || || '''무효표 수''' || 811 || || {{{#fff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운지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성환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중현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달선1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종섭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영13.jpg|width=100%]]}}} || || ||}}}}}}}}} || 인지도만 놓고 보면, 현역 전국구 의원인 민정당 [[최운지]] 후보보다 현역 지역구 의원인 민주당 [[유성환]] 후보가 앞섰다. 게다가 유성환 의원은 대정부질문에서 [[노신영]] [[대한민국 국무총리|국무총리]]에게 '''대한민국의 국시는 [[반공]]이 아니라 [[남북통일|통일]]이어야 한다'''고 발언하였다가, 정권이 면책특권을 무시하고 구속해가는 바람에 [[유성환 국시론 파동]]의 주인공이 되어서 더 유명세를 탔다. 또한 최운지 후보는 야당인 [[신한민주당|신민당]]에서 여당인 민정당으로 갈아탄 철새 정치인이라는 약점도 있었다. 투표 결과, 민정당 최운지 후보가 인지도에서 밀렸지만 보수적인 민정당이 우세한 지역 정서를 등에 업고 여유있는 표차로 승리했다. === [[남구(대구광역시)|남구]] === ||<-4> {{{#ffffff {{{+1 '''남구'''}}}}}}[br]{{{#ffffff 대구 남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정무]](李廷武)''' || '''55,611'''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1.88%'''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성만현(成萬鉉) || 14,440 || 4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0.87% || 낙선 || ||<|2> {{{#373a3c {{{+5 '''3'''}}}}}} || [[송효익]](宋孝翼) || 1,839 || 5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38% || 낙선 || ||<|2> {{{#ffffff {{{+5 '''4'''}}}}}} || [[김해석(정치인)|김해석]](金海碩) || 42,540 || 2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32.03% || 낙선 || ||<|2> {{{#ffffff {{{+5 '''5'''}}}}}} || [[신진욱]](申鎭旭) || 18,352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3.8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8,551 ||<|3> '''투표율'''[br]79.37% || || '''투표 수''' || 133,772 || || '''무효표 수''' || 990 || '''이정무 vs 김해석 1Round''' 민정당은 기업가이자 정치신인인 [[이정무]] 전 [[대구백화점]] 사장을 공천했다. 하지만 공화당 [[김해석]] 후보도 2번이나 낙선했지만 유의미한 지지율을 얻었고, 동정여론을 기대할 수 있는 무시못할 후보였다. 대경권 최대의 중등교육기관 사학법인인 협성교육재단의 이사장인 [[신진욱]] 전 의원도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다. 이정무 후보가 9.8% 차이로 김해석 후보를 꺾고 처음 당선되었다. 김해석 후보는 대구에서 당세가 약한 공화당 후보치고는 꽤 선전했지만, 3번째 패배를 맛봐야 했다. 4년 뒤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설욕전에 성공한다. === [[북구(대구광역시)|북구]] === ||<-4> {{{#ffffff {{{+1 '''북구'''}}}}}}[br]{{{#ffffff 대구 북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용태(1936)|김용태]](金瑢泰)''' || '''68,064'''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6.04%''' || '''당선''' || ||<|2> {{{#ffffff {{{+5 '''2'''}}}}}} || [[박승국]](朴承國) || 62,293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42.14% || 낙선 || ||<|2> {{{#ffffff {{{+5 '''3'''}}}}}} || 서정식(徐正植) || 14,136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9.56% || 낙선 || ||<|2> {{{#ffffff {{{+5 '''4'''}}}}}} || 서정달(徐正達) || 3,314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2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8,046 ||<|3> '''투표율'''[br]75.35% || || '''투표 수''' || 149,226 || || '''무효표 수''' || 1,419 || 현역 재선 의원인 민정당 [[김용태(1936)|김용태]] 후보가 민정당 텃밭인 대구에 출마했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민주당 [[박승국]] 후보와 힘겨운 싸움을 벌였다. 박승국 후보는 현역 국회의원은 아니지만,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등을 지냈으며 지역에서 예식장을 경영하는 재력가이기도 했다. 결국 김용태 후보가 겨우 이기면서 민정당이 대구 관내 8개 선거구를 모두 석권하는 데는 성공했다. 하지만 1위와 2위와의 격차가 3.9%밖에 나지 않았으며, 이는 8개 선거구 중 가장 적은 격차였다. === [[수성구]] === ||<-4> {{{#ffffff {{{+1 '''수성구'''}}}}}}[br]{{{#ffffff 수성구 일원[*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치호]](李致浩)''' || '''66,731'''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4.64%''' || '''당선''' || ||<|2> {{{#ffffff {{{+5 '''2'''}}}}}} || [[윤영탁]](尹榮卓) || 50,184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33.57% || 낙선 || ||<|2> {{{#ffffff {{{+5 '''3'''}}}}}} || 이상희(李尙熹) || 21,727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4.53% || 낙선 || ||<|2> {{{#ffffff {{{+5 '''4'''}}}}}} || [[이강철(정치인)|이강철]](李康哲) || 8,459 || 4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5.65% || 낙선 || ||<|2> {{{#ffffff {{{+5 '''5'''}}}}}} || 권만성(權萬晟) || 2,36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5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8,674 ||<|3> '''투표율'''[br]75.90% || || '''투표 수''' || 150,715 || || '''무효표 수''' || 1,248 || 80년대 후반 수성구는 대구의 신흥 중산층 거주지로 떠오르고 있었다. 따라서 대구의 중심인 [[동성로(대구)|동성로]]가 있는 [[중구(대구 선거구)|중구]] 선거구와 함께 민정당과 민주당이 대구에서 유독 관심을 가진 선거구였다. 민정당 [[이치호]] 후보와 민주당 [[윤영탁]] 후보 모두 관료 출신의 현역 의원으로, 안정을 추구하는 이곳의 중산층 성향에 부합하는 후보였다. 4개월 전 대선 때보다는 격차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결국 민정당 텃밭이라는 이점을 살린 이치호 후보가 승리한다. === [[달서구]] === ||<-4> {{{#ffffff {{{+1 '''달서구'''}}}}}}[br]{{{#ffffff 달서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한규(1940)|김한규]](金漢圭)''' || '''57,434'''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2.41%'''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권병태(權炳台) || 25,806 || 3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9.05% || 낙선 || ||<|2> {{{#000000 {{{+5 '''3'''}}}}}} || 이왕식(辛達善) || 1,101 || 5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0.81% || 낙선 || ||<|2> {{{#ffffff {{{+5 '''4'''}}}}}} || 임갑수(金海碩) || 5,353 || 4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3.95% || 낙선 || ||<|2> {{{#ffffff {{{+5 '''5'''}}}}}} || 최한별(崔한별) || 972 || 6위 || || [include(틀:신한민주당)] || 0.71% || 낙선 || ||<|2> {{{#F8C050 {{{+5 '''6'''}}}}}} || [[이만섭]](李萬燮) || 44,742 || 2위 || || [include(틀:한국국민당(1981년))] || 33.0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2,743 ||<|3> '''투표율'''[br]74.63% || || '''투표 수''' || 136,379 || || '''무효표 수''' || 971 || || {{{#fff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한규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병태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왕식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입갑수1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한별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만섭 6.jpg|width=100%]]}}} || || ||}}}}}}}}} ||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은, 4개월 전 대선을 전후해 소속 국회의원들이 모두 민정당이나 공화당으로 이탈하면서 [[이만섭]] 총재의 1인 정당이 된다. 이 총재는 당의 마지막 운명을 걸고 후보로 출마했지만, 결국 민정당 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정치신인 [[김한규(1940)|김한규]] 후보에게 패배한다. 선거 직후 국민당도 해산되었다. 이후 이만섭 전 총재는 더 이상 지역구 선거에 출마하지 않았으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등 유력 정치인들과의 인연을 등에 업고 전국구 의원으로 3번이나 더 당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