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여단)] [include(틀:보병여단)] [include(틀:제50보병사단 예하부대)] ||<-7> '''{{{#fff {{{+1 제123보병여단}}}}}}'''[br]'''{{{#fff 第123步兵旅團}}}'''[br]'''{{{#fff The 123rd Infantry Brigade}}}''' || ||<-7> [[파일:제50보병사단 부대마크.svg|width=300]] || ||<-7> '''{{{#fff }}}''' || || '''{{{#fff 창설일}}}''' ||<-6>[[년|0000년]] [[월|00월]] [[일|00일]](제123보병연대)[br][[2020년]] [[12월 1일]]('''제123보병여단''') || ||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일격부대''' || || '''{{{#fff 소속}}}''' ||<-6>[[대한민국 육군]] || || '''{{{#fff 상급부대}}}''' ||<-6>[[제50보병사단]] || || '''{{{#fff 규모}}}''' ||<-6>[[여단]] || || '''{{{#fff 역할}}}''' ||<-6>[[경상북도]] 동북부권 방위 || || '''[[여단장|{{{#fff 여단장}}}]]''' ||<-6>[[대령]] 김동길(육사 00기) || || '''{{{#fff 위치}}}''' ||<-6>[[경상북도]] [[안동시]] [[송하동(안동)|송하동]]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안동 제70보병사단,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예하 '''제123보병여단'''. == 특징 및 연혁 == 대구경북지역의 지역방위사단인 제50보병사단의 작전지역 중에서 북부지역을 담당하는 여단이다. 안동/예천+문경[* 두 개 시, 군을 합쳐서 한 개 대대이다.]/영주+봉화[* 두 개 시, 군을 합쳐서 한 개 대대이다.]/의성+청송[* 두 개 군을 합쳐서 한 개 대대이다.] 4개 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원래 명칭은 제123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123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123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여단본부가 평범한 여단본부와는 다르다. 원래는 [[제36보병사단]]이 창설된 이후 주둔했었고, 이후에는 [[제70보병사단]] 사령부 주둔지였다. 사단이 해체되면서 123연대가 그 자리를 접수하게 된 것. 그런 이유에서 사단급의 시설이 남아있어 위의 다른 여단에는 존재 조차 하지않는 [[회관]][* 예전에는 치킨도 팔았으나 현재는 고기만 판매 중. 주둔지도 나름 도시외곽이라 근처에 롯데시네마, pc방을 비롯한 여가시설이 넉넉하게 존재하고, 회관의 숙박시설의 가격이 저렴해 부대근처 공기를 마시며 잠을 청해야 된다는 거만 빼면 꽤 메리트있다. 미리 예약해두지 않으면 이용이 힘들 정도. ] 등이 존재한다. 또한 사단급의 부지를 이어 받은지라 뭐든지 위의 타 여단 직할대들보다 많고, 넓고, 크다. --관리 해야되는 책임구역도-- 공간이 넓기 때문에 [[제50동원지원단]]이 주둔지에 들어왔다. 송현동 일대에 [[안동터미널]]과 [[안동역]]이 들어오면서 여단을 외곽으로 이전하고 주둔지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http://www.kbsm.net/news/view.php?idx=371837|#]] == 예하부대 == === 여단직할대 === * '''[[기동중대]]''' * '''[[지원중대]]''' * '''[[본부중대]]''' * '''[[통신중대]]''' * '''[[의무중대]]''' * '''[[수송대]]''' * '''[[예비군훈련대]]''' ===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군대)|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 제1대대 안동 === * 본부중대 * 1중대 * 2중대 * 3중대 * 4중대 === 제2대대 예천 문경 === * 본부중대 * 5중대 * 6중대 * 7중대 * 8중대 === 제3대대 영주 봉화 === * 본부중대 * 9중대 * 10중대 * 11중대 * 12중대 === 제5대대 의성 청송 === * 13중대 * 14중대 * 15중대 * 16중대 * 본부중대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6> '''{{{#ffffff 역대 제123보병여단장}}}''' || || '''{{{#ffffff 역대}}}''' || '''{{{#ffffff 이름}}}''' || '''{{{#ffffff 계급}}}''' || '''{{{#ffffff 임관}}}''' || '''{{{#ffffff 비고}}}''' || '''{{{#ffffff 기타}}}''' ||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연대장]] || || || '''00대''' || '''[[한민구]]'''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1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前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 || 22대 || 최태부 || 예) [[대령]] || [[육군3사관학교|3사]] 24기 ||前 [[연대장]] || || || 26대 || 진현찬 || [[대령]] || 육사 52기 ||前 [[연대장]] || || || 27대 || 이창호[* 이창호 대령이 연대장에 취임했을때부터 [[국방개혁 2.0]]에 의해 연대들이 여단으로 승격해 여단장으로 자연스럽게 승격되었다.]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55기 ||前 [[여단장]] || || || 28대 || 신성균 || [[대령]] || 3사 33기 ||前 [[여단장]] || || || 29대 || 김동길 || [[대령]] || - ||現 [[여단장]] || || === 장교/부사관 === === 병 === *[[잇섭]] - 1대대에서 복무 == 기타 == === 근무환경 === 직할대의 경우 바로 앞에 안동 신도심인 [[옥동(안동)|옥동]]이 있어 외출하기 좋은 위치. '걸어서' 2~30분 거리 안에 롯데시네마 안동점, 롯데리아, 도서관, 게임방, pc방에 간단한 생필품을 살수 있는 다이소에 고깃집을 비롯한 자그마한 먹자골목까지 군인이 누리고 싶어하던 대부분의 여가생활을 누릴 수 있는 시설들이 존재하고 조금만 더 가면 [[이마트 안동점]]이 있다. 약간의 여유만 가진다면 택시나 버스를 탈 필요조차 없다. 다만 1대대를 제외한 예하대대로 내려가면 대추나무 사랑열렸네를 시전해버리는지라 눈물이 앞을 가리게 된다. 농담안하고 버스, 택시타고 30분 이상 안나가면 마을 앞 정자에서 광합성 하고있어야 한다. 그나마 3대대는 다른 대대와 달리 [[영주시]]에 위치해있지만 2대대와 5대대는 얄짤없다. 2대대가 국방개혁으로 인하여 23.12.01부로 부대 위치를 이전하였다. 기존에는 [[예천군]]에 위치했지만 부대 통합 후 [[문경시]]120여단 5대대 부지로 이전 후 임무도 통합되었다. 예천 문경 방위임무 및 두 지역에 대한 예비군 훈련에 대한 임무도 통합되었다. 2대대가 부대 이전을 할때 병사들의 절반은 새롭게 창설된 예비군훈련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5대대가 국방개혁 및 대구경북신공항 등으로 인하여 책임지역이 의성+군위에서 의성+청송으로 변경되었다. 기존 121여단 3대대의 임무인 [[경북북부교도소]] 방호임무를 가져오게 되었다. === 여단가 === == 사건 사고 == == 여담 ==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50보병사단]][[분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