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여단)] [include(틀:포병여단)] [include(틀:제12보병사단 예하부대)] ||<-7> '''{{{#fff {{{+1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br]'''{{{#fff 第十二步兵師團 砲兵旅團}}}'''[br]'''{{{#fff The 12th Infantry Division Artillery Brigade}}}''' || ||<-7> [[파일:제12보병사단 부대마크.svg|width=300]] || ||<-7> '''{{{#0207f6 }}}''' || || '''{{{#fff 창설일}}}''' ||<-6><(> [[1952년]] [[11월 8일]](사단 예하 포병연대)[br][[년|0000년]] [[월|00월]] [[일|00일]](제12보병사단 포병연대)[br][[2020년]] [[12월 1일]]('''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 ||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 '''왕벌부대''' || || '''{{{#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 '''{{{#fff 상급부대}}}''' ||<-6><(> [[제12보병사단]] || || '''{{{#fff 규모}}}''' ||<-6><(> [[여단]] || || '''{{{#fff 역할}}}''' ||<-6><(> 사단 예하 보병여단 화력지원 || || '''[[여단장|{{{#fff 여단장}}}]]''' ||<-6><(> [[대령]] 김경원[* 간부사관 17기, 구 2기] || || '''{{{#fff 위치}}}''' ||<-6><(>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원도 인제 제12보병사단,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제3군단]] [[제12보병사단]] 예하 '''포병여단'''. 애칭은 '''왕벌'''. == 연혁 == 과거에는 105mm 3개 대대와 155mm 1개 대대로 구성되었다. 추진포를 담당했던 지역의 각 주둔지는 [[백두대간]] 첩첩산중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근무 여건이 최악이다. 현재는 모두 자주포를 운용한다.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2020년 12월부로 여단급으로 격상되었다. 12사단이 위치한 인제군은 대한민국 기준으로 기초자치단체 중 홍천군(1위) 다음으로 면적이 넓으며 종심이 긴 형태이다.[* 원래는 전국에서 면적이 가장 넓었으나 군사분계선 때문에 인제군의 면적이 남북으로 나뉘었다. 뿐만 아니라 홍천군 내면은 원래 인제군 행정구역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포병 전력이 매우 중요하다. 부대 개편 전에도 해체된 제2사단의 포병연대본부가 원통에 주둔했고 예하 포병대대 4개 중 3개가 12사단 작전지역에 위치했다. 3군단 포병여단 예하 포병대대 2개(양구 지역)를 제외한 나머지 포병대대 역시 12사단 작전지역에 위치하면서 화력지원했다. 무엇보다 향로봉에서 북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 때문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험한 산악지형에서 공격, 방어 전술적 측면에서도 포병 화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반해 양구군은 인제군 면적에 1/2에도 못 미치지만 군사분계선을 담당하는 부분이 인제군(제12보병사단)보다 길다. 게다가 종심이 짧기 때문에 (부대 개편 이전에는) 제21보병사단의 후방에 포병 전력보다는 제2보병사단의 2개 보병연대가 배치된 것이다. 참고로 포병은 기본적으로 3개 포병대대는 3개 보병연대를 직접화력지원, 1개 포병대대는 사단 일반화력지원을 담당한다. [[국방개혁 2.0]] 2020년 12월 1일부로 연대에서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 예하부대 == === 여단 직할대 === * '''[[본부포대]]'''[* 기존에 의무중대, 수송대가 적혀있었는데, 사단포병여단 직할부대는 사단보병여단보다 규모가 작으며, 본부포대에 의무'반', 수송근무'반'이 있다. 일부 개편이 되지 않은부대는 통신중대 대신 참모부인 통신과가 있고, 표적획득포대는 아예없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직할에 본부포대밖에 없다.] * '''[[통신중대]]''' * '''[[표적획득포대]]''' === 제63포병대대 === 제2보병사단 포병연대 예하부대였지만, 국방개혁에 따라 2019년 제2보병사단이 해체되면서 그해 9월에 63포병대대는 제12보병사단 포병연대로 예속되었다. 그렇지만 주둔지 변화는 없다. 원래 2사단 포병연대는 연대본부를 포함하여 3개 포병대대가 인제에 위치했었다. 과거 제2보병사단 시절 90년대 초반까지 105mm 견인포였으나 이후 K-55자주포로 전환되었고, 현재는 K-55A1 자주포 대대로 전환되었다. === 제66포병대대 === [youtube(8hpqQ1TK2Qg)] 과거 66포병대대는 105mm 견인포로 51연대의 화력지원을 담당했다. 추진포 운용은 물론이고 이 부대 관측장교는 GP에 파견되었다. 현재는 K-55A1을 운용한다. === 제89포병대대 === 과거 89포병대대는 155mm 견인포를 운용하면서 사단의 일반화력지원을 담당했다. 현재는 K-9을 운용한다. === 제379포병대대 === 제3군단 포병여단 예하부대였으나, 부대개편에 따라 2019년 제12보병사단 포병연대로 예속되었다. 89포병대대와 가깝고 K-55A1을 운용한다. === 과거 편제 === * 제65포병대대[* 부대 개편 전까지 향로봉의 입구, 즉 민통선 검문소 담당](흑표대대/최갑석대대): 해체 후 51보병여단 51포병대로 재창설 * 제66포병대대(황소대대/송용성대대) * 제79포병대대(사자대대): 해체 후 52보병여단 52포병대로 재창설 * 제89포병대대(백곰대대)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6> '''{{{#fff 역대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장}}}''' || || '''{{{#fff 역대}}}''' || '''{{{#fff 이름}}}''' || '''{{{#fff 계급}}}''' || '''{{{#fff 임관}}}''' || '''{{{#fff 비고}}}''' || '''{{{#fff 기타}}}''' || || 초대 || 이기련 || 예) [[대령]] || ||前 [[연대장]][* 당시엔 포병단장이었다.] ||[* 육사 3기, 경성제대 출신. 천승세의 소설 포대령의 모델이며, 각종 기행을 저지르다 1960년 전역하고 다음 해 사망했다.] || || 13대 || 문홍구 || 예) [[중장]] || ||前 [[연대장]][* 당시엔 사단 포병사령관, 이후 다시 포병단을 거쳐 포병연대로 명칭이 바뀌었다.] || || || 35대 || 하철수 || 예) [[소장(계급)|소장]] || 육사 32기 ||前 [[육군미사일사령관]] || [* 추후 36사단장, 미사일사령관을 역임후 예편함] || || 40대 || [[고현수]] || 예) [[중장]] || 학군 20기 ||前 [[제2군단장]] || [* 추후 2사단장, 2군단장, 1야전군 부사령관을 역임후 예편함] || || 00대 || [[윤기중(군인)|윤기중]] || [[소장(계급)|소장]] || [[육사]] 51기 ||現 [[제5보병사단]]장 || || || 51대[* 51대 연대장이자, 1대 여단장임] || 주정용 || [[대령]] || [[육군3사관학교|3사]] 32기 ||前 [[여단장]] || || || 52대 || 김경원 || [[대령]] || [[간부사관]] 17기 ||現 [[여단장]] || || === 장교/부사관 === === 병 === == 기타 ==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12보병사단]][[분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