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목차] [clearfix] == 개요 == 1988년에 시작해 1989년에 끝난 [[응씨배]]. == 상세 == 1회 대회 때는 한국 바둑이 [[듣보잡]] 취급을 받았다. 대회 주최 측에서는 중국 4명, 일본 6명, 대만 3명, 한국, 미국, 호주 각각 1명씩 초청했다. 당시 출전권을 1장밖에 못 받은 한국이 강력 반발하자 [[서봉수]]를 예비 1번에 올려주기는 했다. 당대 최고 상금이 걸린 대회인데 기권할 기사는 있을 리가 없었기에, 당연히 서봉수는 참가하지 못했다. 그리고, 소속 기원이 아닌 국적 기준으로 초청한 것이라 [[조치훈]] 九단도 한국 대표라고 주최 측에서 해명(이라기보단 변명)한 것은 유명한 이야기. 또한, 결승 5번기는 처음에는 모두 중국에서 치르기로 정해졌었는데,[* 이는 당시 잉창치가 결승 상대로 기대/예상했던 인물이 녜웨이핑 九단과 린하이펑 九단이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실제로 조훈현 九단이 준결승전에서 맞붙은 상대가 린하이펑이었으니 만약 조훈현 九단이 대회에 참여를 못했거나 준결승전에서 패배했다면 잉창치의 예상대로 흘러갔을 것이다.] 막상 조훈현 九단이 결승에 진출하자 한국 측의 강력한 항의로 중국에서 3판, 제3국에서 2판을 마저 두는 것으로 변경됐다. 추가로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녜웨이핑의 지병으로 인해서 결승 장소에 제약이 가해지기도 했다. 여튼, 한국 입장에서는 당시 공산권 국가에다 미수교 상태인 중국에서 대국을 치른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당시 중국에 가기 위해 홍콩으로 가서 비자를 받고 이후 대국 장소인 항저우까지 몇 번을 갈아 타야 했다고 한다. 대신 4강전은 서울 롯데호텔에서 했다. 원래는 대만에서 하려고 했지만, 대만 사정이 안 좋아서[* 대회 주최자가 [[중국 공산당]]과 관계 있다는 소문으로 시위가 일어났다는 이야기가 있다.] 한국으로 장소를 바꿨다고 한다. 사실 세계대회 결승 장소는 주최 측에서 결정하는 것이 당연한 권리이자 관례이다. 한국이 주최하는 LG배나 삼성화재배도 결승 장소를 주최측 홍보를 위해서 주최사가 지정한 장소에 따라 한국에서 5번기를 모두 치르거나 중국에서 치르지, 결승전에 오른 사람의 국적에 따라 안배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당시 언론이나 일부 기사들이 결승 장소의 문제를 제기하기는 했지만 사실 이는 문제가 될만한 사안은 아니다. 다만 이는 현재의 관점에서 본 것이고 당시에는 세계대회 자체가 처음이었던 만큼 그런 관례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 번쯤은 논란이 있을 만한 문제이기는 했다. [[파일:external/ncc.phinf.naver.net/006.jpg]] 1988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서울]]에서 개최된 제1회 [[응씨배]] 준결승 3번기(11월 20일 [[http://www.cyberoro.com/gibo_new/giboviewer/giboviewer.asp?gibo=http://open.cyberoro.com/gibo/test/19881120ing01-jg01.sgf&gibonum=555&bimg=&wimg=|제1국]][* [[http://www.cyberoro.com/column/column_view.oro?group=8&div=13&column_no=243&pageNo=3&m_div=A2|빈삼각이 묘수인 바둑]]으로 유명하다.], 22일 [[http://www.cyberoro.com/gibo_new/giboviewer/giboviewer.asp?gibo=http://open.cyberoro.com/gibo/test/19881122ing01-jg02.sgf&gibonum=556&bimg=&wimg=|제2국]]). 왼쪽은 [[린하이펑]]. 오른쪽이 [[조훈현]]. 180알씩 넣을 수 있게 만든 바둑통도 보인다. '''물론 결과는 알다시피 그 조훈현이 당시 중국의 자랑 철의 수문장 [[녜웨이핑]]에게 승-패-패-승-승으로 대역전 우승.'''[* 조 九단이 바둑 인생에서 일어났던 기적을 4등까지 말한 적이 있는데 이 대회 8강전을 2등,(참고로 8강에서 맞이한 상대가 [[고바야시 고이치]]) 1:2로 뒤진 채 맞이한 [[http://www.cyberoro.com/gibo_new/giboviewer/giboviewer.asp?gibo=http://open.cyberoro.com/gibo/test/19890902ing01-g04.sgf&gibonum=538&bimg=&wimg=|결승 제4국]]을 3등으로 꼽았다. 1등은 [[조훈현]] 항목을 참고할 것.][* 여담으로 2019년 11월 2일에 [[조훈현]]은 응씨배 초대 재패 30주년 기념으로 [[녜웨이핑]]과 특별 대국을 가졌다. 여기서는 녜웨이핑이 흑 13점 승을 거뒀다.] 덕분에 조훈현은 바둑계 최초(이자 최후)로 카 퍼레이드를 하고[* 카 퍼레이드 문구로 '장하다! 曺薰鉉' 양 옆에 '환' '영'을 써놨는데, 이게 절묘하게 이어져서 '''환장하다!'''라는 희대의 문장을 완성시킨 것으로도 유명하다. --물론 중국, 일본 입장에서는 진짜로 환장할만한 상황이긴 하다--] 한국 바둑의 개척자 조남철 九단과 함께 은관[[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이 대회 이후 전국적으로 엄청난 바둑 열풍이 일어나고 특히 어린이 바둑 교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응씨배뿐 아니라 모든 국제기전에서 한국 기사들의 문호를 대폭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한국 기사들을 제외하고 벌어졌던 기전들[* 대표적으로 '중일 슈퍼대항전' 같은 것이 있다.]은 모두 2부 리그 격으로 위상이 추락하고 말았다. 대회 토너먼트 대진표를 보면 80년대 바둑을 주름잡던 역사적인 기사들을 많이 확인할 수 있는데, 눈에 띄는 이가 [[후지사와 히데유키]]. 환갑을 넘은 나이에도 [[가토 마사오]] 등의 기사를 꺾으며 [[노익장]]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인터뷰 중 "조훈현이 최강이다. 우승은 그의 몫이다. 아마도 나와 결승전에서 만나지 않을까 싶다."라는 발언을 남기고는 4강에 안착했으나, 아쉽게도 녜웨이핑에게 덜미를 잡힘으로서 제자와의 맞대결은 성사되지 못했다. == 대진표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녜웨이핑]] ||<|2>[[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녜웨이핑 ||<|4>[[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녜웨이핑 ||<|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녜웨이핑[br]2-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마이클 레드먼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조치훈]]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조치훈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8]] [[우쑹성]]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후지사와 히데유키]] ||<|2>[[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후지사와 히데유키 ||<|4>[[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후지사와 히데유키||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마샤오춘]]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가토 마사오]] ||<|2>[[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가토 마사오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류샤오광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조훈현]]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조훈현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조훈현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조훈현[br]2-0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8]] 왕밍완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고바야시 고이치]] ||<|2>[[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고바야시 고이치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8]] [[왕리청]]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8]] [[린하이펑]] ||<|2>[[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8]] 린하이펑 ||<|4>[[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8]] 린하이펑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하시모토 쇼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장주주]] ||<|2>[[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장주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다케미야 마사키]] || == 결승 5번기 == || 대국 구분 || 일정 || 승자 || 패자 || 장소 || 결과 || || 1국 || 4월 25일 화요일 || '''조훈현''' || 녜웨이핑 ||<|2> [[중국]] [[저장성]] [[항저우시]] || 백 3점승 || || 2국 || 4월 28일 금요일 || 녜웨이핑 || '''조훈현''' || 백 9점승 || || 3국 || 5월 2일 화요일 || 녜웨이핑 || '''조훈현''' || 중국 저장성 [[닝보시]] || 흑 3점승 || || 4국 || 9월 2일 토요일 || '''조훈현''' || 녜웨이핑 ||<|2> [[싱가포르]] || 흑 1점승 || || 5국 || 9월 5일 화요일 || '''조훈현''' || 녜웨이핑 || 흑 불계승 || [[분류: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