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 간 동맹 블럭)] || '''{{{#ddd 제1세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냉전)] [include(틀:신냉전)] }}} || || {{{+1 {{{#ddd '''제1세계'''}}}}}}[br]{{{#ddd 第一世界 | first world}}}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가 간 동맹 블럭.svg|width=100%]]}}}|| || {{{#3465A4 '''파란'''}}} 지역이 제1세계에 소속된 국가들이다.[* [[베트남 전쟁]] 종전 이후인 1975년의 상황을 나타낸 지도로, [[모잠비크|포르투갈령 모잠비크]], [[앙골라|포르투갈령 앙골라]]와 [[지부티|프랑스령 지부티]], [[스페인령 사하라]], [[로디지아]], [[수리남|네덜란드령 기아나]], [[나미비아]](남아공의 위임통치령), [[파푸아 뉴기니]](호주의 위임통치령), [[팔레비 왕조|이란 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1세계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지역은 이후 대부분 제3세계가 되었다. 다만 [[에티오피아]]는 1974년 군부쿠데타 이후, [[모잠비크]]와 [[앙골라]]는 독립 이후 공산화되어 1990년대까지 제2세계에 속해 있었다.][* 공식적으로 로디지아의 독립은 인정받지 못해 영국의 일부로 여겨졌다. 실제로 미국은 로디지아의 일방적 독립 선언이 이뤄진 1970년 이래 단교하였으며 상당 부분에서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1세계'''는 [[미국]]과 [[소련]]이 [[냉전]]으로 불리는 패권 경쟁에 돌입했을 때 [[미국]]과 [[서유럽]]이 중심이 되어 동맹을 맺은 국가들이 이룬 블록을 말한다. 해당 국가들이 기본적으로 공유하는 가치로 묶어 ‘자본 진영'으로 불리는 게 일반적이지만 '자유 진영', '자유민주진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냉전 시대의 1세계 == [[20세기]] 냉전 시대 이후 정의되는 제1세계는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인해 국력을 과도하게 소진하여 쪼그라든 근대 [[제국주의]] 열강들을 대신해 새로운 [[초강대국]]으로 등극한 [[미국]]과 [[소련]]이 서로의 이념으로 인해 대립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폭삭 주저앉은 유럽에서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혁명 물결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곳까지를 제1세계, 이에 대응하는 [[소련]]의 영향이 닿아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된 곳까지를 [[제2세계]]로 분류하였다. 간단히 말하자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속한 유럽 국가를 제1세계,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가입한 국가를 [[제2세계]]로 구분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아시아]]와 기타 대륙들의 친서방 국가들도 제1세계에 포함되었는데 여기에는 '''[[대한민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이란]], [[이라크 왕국|이라크]], [[파키스탄]], [[태국]], [[필리핀]],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크메르 공화국|캄보디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이 포함된다. 제1세계 국가들은 대개 자유민주주의 진영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반공주의]]적 견지에서 '자유민주주의'라는 개념으로 1세계의 정체성을 설명하려는 시도였다. 이러한 서구 정치학자들의 시도는 [[사회주의]]와 [[파시즘]]을 동류로 묶고 '자유민주주의'는 그것과 대립된다고 설명하는 무리수를 두기도 했다. 제1세계에는 민주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가 많았으나 한국을 비롯해 권위주의와 독재가 이루어지는 국가도 결코 적지 않았다. 비서구 친서방 제1세계 국가들 중에는 제대로 된 민주주의 국가가 더 적을 지경이었고[* [[아시아]]권에서는 [[일본]]이나 [[이스라엘]] 정도가 민주주의 국가로 분류되었지만 일본도 [[55년 체제]]로 인해 자민당이 독주하는 상황에서 야당인 일본 민주당, 공산당, 사회당이 의석이 영 나오지 않던 상황이었고 이스라엘도 비밀 정보 누설을 막기 위해서 [[https://en.wikipedia.org/wiki/Government_Press_Office_(Israel)|공보청]]에 의한 언론 검열이 심한 편이었다.] [[유럽]]에서도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등 [[남유럽]]권에는 군사 독재 정권이 들어서 있었다.[* 당시 이베리아 반도 국가들은 대놓고 [[일당제]]를 했다.] 그러므로 자유 진영보다는 자본주의 진영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신대통령제, version=245, paragraph=5)] == [[탈냉전]] 시대의 [[서구권]] [[선진국]] == [[서유럽]] 지역에 국한되었던 제1세계라는 개념은 [[탈냉전]] 시대에는 차츰 변화하여 미국-서유럽과 친한 타 대륙 [[선진국]]들, 즉 '''(친)서방권 선진국들'''을 포함하는 전세계적인 분류로 확산된 적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반공블록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블록, 반공블록과 공산블록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중립 비동맹국가로 분리되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반공 블록에 속한 국가들은 제1세계로 분류되었으며 소련과 공산권의 공산블록에 속한 국가들은 제2세계로 분류되었고 양쪽 어디에도 참가하지 않은 지역은 제3세계가 되었다. 냉전기에 제1세계에서는 미국을 맹주로 한 자기 진영을 '자유진영', 상대 진영을 '공산진영'이라고 칭했으며 반대로 제2세계에서는 소련을 맹주로 한 자기 진영을 '민주진영', 미국과 서방 측을 지칭해 '제국진영'이라고 칭했다. [[영어 위키백과]]의 제1세계 문서에는 [[https://en.wikipedia.org/wiki/First_World|중립국들도 포함되어 있다.]] 국가적으로는 개념상 [[친미]] 동맹국이면 제1세계로 분류되는 것 같지만 영어 위키백과 문서를 참고하면 집단이나 사람마다 다양한 정의가 있는 듯하다. 대한민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대만, UAE, 이스라엘, 요르단 등은 유럽 국가가 아닌 대표적인 제1세계 국가다. 이들 국가들의 경우 경제적으로 미국의 자본과 아래 있으며 속생관계를 구축한 국가들이기도 하다. 미국과 직접적인 동맹을 맺지 않아도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미국의 영향력 아래 있으며 [[자본주의]]를 채택하고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면 제1세계로 분류하는 듯하다. 특히 [[유럽연합]]과 각종 조약이 맺어져 있으면 굳이 미국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지 않아도 제1세계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와는 다르게 [[친미]] 국가라고 해도 명확한 연결고리가 없으면 제1세계 국가로 보지 않는다. == [[신냉전]] 시대의 [[친서방]] 진영 == 하지만 [[신냉전]] 시작 이후 친서방 진영과 [[반서방]] 진영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제1세계의 뜻이 다시 변해 선진국이라는 의미 이외에도 '''[[친서방]] 국가'''를 의미하게 되었다. 냉전 시대의 제1세계와 신냉전의 제1세계의 차이점으로는 소련의 통제 하에 있던 동유럽 국가들과 중립국들이 대거 제1세계로 합류했다는 점이며 제2세계와 다르게 냉전 종식 이후로 이탈한 국가가 거의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대중이나 언론 등지에서는 이들을 민주진영, 자유주의 진영이라고 칭하기도 하지만 서방권 진영에 속한 국가라고 해서 반드시 민주국가는 아니어서 완전히 들어맞는 표현은 아니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냉전 시기에 독재국가였던 제1세계 국가들 상당수가 민주화되긴 했으나 [[태국]], [[튀르키예]], [[싱가포르]], [[사우디아라비아]]처럼 여전히 독재정권이 집권 중이거나 [[이스라엘]]처럼 21세기 들어 민주주의가 서서히 위협받기 시작하는 국가도 있다. 물론 이들은 서방과의 관계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제2세계]] 독재국가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권위주의 통치의 강도는 약한 편이긴하다.] == 냉전기 제1세계 국가 목록 == * 1950년 이후 동맹/우호관계가 맺어진 경우와 1991년 이전에 동맹/우호관계가 무너진 경우 년도 표시. * 볼드체 표시한 국가들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 맹주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크기=30)]'''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크기=30)]'''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크기=30)]''' === 동맹국[* 상호방위조약이 맺어진 확실한 동맹국] === * [[북대서양 조약 기구|[[파일:NATO 깃발.svg|width=30]]]]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맹국 * [[그리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그리스]],,(1952~),,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 [[노르웨이|[[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노르웨이]] * [[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덴마크]] * [[룩셈부르크|[[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30]]]] [[룩셈부르크]] *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벨기에]]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독일]],,(1955~),,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스페인]],,(1982~),, * [[아이슬란드|[[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30]]]] [[아이슬란드]]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파이브 아이즈|UKUSA 협정]] 조인국, 1940년 오그덴스버그 협정 조인국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튀르키예]],,(1952~),,: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맹국, [[중앙 조약 기구]] 가맹국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포르투갈]] * [[중앙 조약 기구|[[파일:330px-Flag_of_CENTO.svg.png|width=35]]]] [[중앙 조약 기구]] 가맹국 * [[이라크 왕국|[[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width=30]]]] [[이라크 왕국]],,(1955~1959),,: 1958년 쿠데타 이후 1959년 탈퇴. * [[팔라비 왕조|[[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width=30]]]] [[팔라비 왕조|이란 제국]],,(1955~1979),,: 1979년 [[이란 혁명]] 직후 탈퇴. * [[파키스탄|[[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30]]]] [[파키스탄]],,(1955~1979),,: 1979년 탈퇴,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가맹국 *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파일:SEATO 깃발.svg|width=30]]]]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가맹국 및 보호국 * [[라오스 왕국|[[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width=30]]]] [[라오스 왕국]],,(1954~1975),,: 조약 보호국, 1975년 멸망. * [[베트남 공화국|[[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width=30]]]] [[베트남 공화국|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1954~1975),,: 조약 보호국, 1975년 멸망. * [[캄보디아 제1왕국|[[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30]]]] [[캄보디아 제1왕국|캄보디아]],,(1954~1975),,: 조약 보호국, 1975년 멸망. *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태국]],,(1955~),,: 조약 가맹국, 타나트-러스크 서한으로 안전보장, 미군 주둔 국가 *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30]]]] [[필리핀]],,(1951~),,: 조약 가맹국,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조인국 * [[미주상호원조조약]] 조인국 *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과테말라]] * [[니카라과|[[파일:니카라과 국기.svg|width=30]]]] [[니카라과]],,(~1979),,: 1979년 혁명 이후 제2세계로 전향. *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도미니카 공화국]] * [[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멕시코]] * [[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베네수엘라]]: 2015년 탈퇴, 2019년 재가입 추진(과이도 진영)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브라질]]: 미국-브라질 조약 조인국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 [[아이티|[[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30]]]] [[아이티]] * [[에콰도르|[[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30]]]] [[에콰도르]] * [[온두라스|[[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30]]]] [[온두라스]] * [[우루과이|[[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우루과이]] * [[칠레|[[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칠레]] *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30]]]]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콜롬비아]] * [[쿠바|[[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width=30]]]] [[쿠바]],,(~1962),,: 1959년 [[쿠바 혁명]] 이후 1962년 자격 정지 * [[파나마|[[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30]]]] [[파나마]] * [[파라과이|[[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파라과이]] * [[페루|[[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페루]] *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조인국 *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파이브 아이즈|UKUSA 협정]] 조인국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파이브 아이즈|UKUSA 협정]] 조인국 * 독립된 상호방위조약 조인국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1953~),,: [[한미상호방위조약]] 조인국 *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이스라엘]],,(1952~),,: 1952년 미국-이스라엘 상호방위조약 조인국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1951~),,: [[미일안전보장조약]][* 미국이 일방적으로 일본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조약이라서 엄밀히 말하면 '''상호'''방위조약이 아니다.] 조인국 * [[대만|[[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대만|중화민국]]''',,(1954~1979),,: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 조인국, 1979년 미국의 대만 국가인정 철회 및 미중상호방위조약 파기 === 우호국[* 명시된 동맹 없이 상호협력하는 우호국] === * [[미주기구|[[파일:미주기구 깃발.svg|width=35]]]] [[미주기구]] 회원국 * [[그레나다|[[파일:그레나다 국기.svg|width=30]]]] [[그레나다]] ,,(~1979 / 1983~),,: 1979년 인민정부 수립으로 멀어졌다가 미국의 [[그레나다 침공]] 이후 우호정권 수립. * [[도미니카 연방|[[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width=30]]]]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width=30]]]] [[바베이도스]] * [[바하마|[[파일:바하마 국기.svg|width=30]]]] [[바하마]] * [[세인트루시아|[[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width=30]]]]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width=30]]]]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width=30]]]] [[세인트키츠 네비스]] * [[앤티가 바부다|[[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width=30]]]] [[앤티가 바부다]] * [[수리남|[[파일:수리남 국기.svg|width=30]]]] [[수리남]] * [[자메이카|[[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30]]]] [[자메이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 공화국]] ,,(~1963 / 1975~),,: [[6.25 전쟁]] 참전국인 우호국이었으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대한 반발로 1963년 이래 무기 금수령 발동, 1975년부터는 [[앙골라 내전]]에 미국의 지원을 받아 참전. * [[라이베리아|[[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30]]]] [[라이베리아]]: 미국에 의해 건국, 냉전 중 원조를 받고 아프리카 내 CIA, VOA의 주요 기지 역할을 함. * [[로디지아|[[파일:로디지아 국기.svg|width=30]]]] [[로디지아]] ,,(~1979),,: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포르투갈과 동맹을 맺음. * [[말라위|[[파일:말라위 국기.svg|width=30]]]] [[말라위]]: 상당수의 미국, 서방의 원조를 받으며 고도의 민간 협력 유지. * [[말레이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말레이시아]]: [[말라야 비상사태]],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당시 미국과 영연방의 지원을 받음. * [[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모로코]]: 공식적으로는 비동맹을 천명했으나 미국과 가장 먼저 수교한 국가이며 친미 정책을 추구하여 미국과 주기적인 군사훈련을 실시하였고 미국 무기를 주로 구입하였으며 미군의 기지 사용을 허가했다. * [[몰타|[[파일:몰타 국기.svg|width=30]]]] [[몰타]],,(1970~),,: [[유럽 공동체]] 가맹국 * [[바레인|[[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30]]]] [[바레인]]: 1971년 독립 이래 미군 주둔. * [[브루나이|[[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30]]]] [[브루나이]]: [[북보르네오]] 공산반란 당시 미국 및 영연방의 지원을 받음. *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무기를 구매하며 고도의 민간협력을 유지하는 미군 주둔 국가 * [[소말리아|[[파일:소말리아 국기.svg|width=30]]]] [[소말리아]],,(1977~),,: 1977년 [[오가덴 전쟁]]에서 미국의 지원을 받고 친미로 전향. * [[에스와티니|[[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width=30]]]] [[에스와티니]]: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고도의 민간협력 유지. * [[싱가포르|[[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30]]]] [[싱가포르]]: 미국 무기를 구매하며 고도의 민간협력을 유지하는 미군 주둔 국가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아랍에미리트]]: 미국 무기를 구매하며 고도의 민간협력을 유지하는 미군 주둔 국가 * [[에티오피아 제국|[[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width=30]]]] [[에티오피아 제국]],,(~1975),,: [[한국 전쟁]] 참전국, 상당수의 미국 원조를 받고 고도의 민간협력 유지. 1975년 공산 쿠데타로 우호 관계 단절. * [[오만|[[파일:오만 국기.svg|width=30]]]] [[오만]]: 미국 무기를 구매하며 고도의 민간협력을 유지하는 미군 주둔 국가, 도파르 반란 당시 미국의 지원을 받음. *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인도네시아]],,(1968~),,: 공식적으로는 비동맹주의 맹주 중 하나였으나 1968년 G30S 쿠데타로 [[수하르토]] 집권 이래 미국의 원조와 동티모르, 서파푸아 점령에 대해 미국의 묵인을 받음. * [[자이르|[[파일:자이르 국기.svg|width=30]]]] [[자이르]],,(1965~),,: 미국의 대규모 원조를 받았고 무기 지원을 받았으며 1975년부터는 [[앙골라 내전]]에 미국의 지원을 받아 참전. * [[대만|[[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대만|중화민국]],,(1979~),,: 미중상호방위조약이 파기되고 국가인정 또한 철회되었지만 [[타이완 관계법]] 제정을 통해 민간교류는 유지되며 대만의 자위권을 인정하는 수준의 무기수출을 결의했고 다수의 대만 해협 위기에 개입하여 지원. * [[케냐|[[파일:케냐 국기.svg|width=30]]]] [[케냐]]: 미국 무기를 구매하며 고도의 민간협력을 유지하는 미군 주둔 국가 * [[쿠웨이트|[[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쿠웨이트]]: 미국 무기를 구매하며 고도의 민간협력을 유지하는 미군 주둔 국가 == 관련 문서 == * [[제1세계 문제]] * [[제2세계]] * [[제3세계]] [[분류:국가 간 동맹 블럭]][[분류:냉전]][[분류:자본주의]][[분류:반공주의]][[분류:미국]][[분류:신냉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