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000 '''{{{+1 Jefferson City}}}'''[br]제퍼슨시티}}} || ||<-4> [[파일:제퍼슨시티 시기.svg|width=50%]] || ||<-4>[include(틀:지도, 장소=제퍼슨시티, 너비=100%, 높이=100%)] || ||<-3> '''{{{#fff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 ||<-3> '''{{{#fff 주}}}''' ||[[미주리]] || ||<-3> '''{{{#fff 면적}}}''' ||73.2 km2 || ||<-3> '''{{{#fff 인구}}}''' ||42,708[* 2019년 기준] || ||<-3> '''{{{#fff 광역인구}}}''' ||140,052 명 || ||<-3> '''{{{#fff 인구밀도}}}''' ||561.6 명/km2 || ||<-3> '''{{{#fff 시간대}}}''' ||CST (UTC-6) CDT (UTC-5) || ||<-3> '''{{{#fff 우편번호}}}''' ||65101-65111 || ||<-3> '''{{{#fff 지역번호}}}''' || 573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재퍼슨시티 전경.png|width=100%]]}}} || || 제퍼슨시티의 전경. 11시 방향에는 미주리강이 흐르고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주리 주]]의 주도이다. [[미주리 주]]의 중부 콜군의 군청소재지로서 미주리강 우안에 위치해있다. 또한 도시 이름은 미국 3대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을 기리기 위해서 '제퍼슨시티'라고 지어졌다. 또한, 제퍼슨시티는 [[미주리 주]]에 중심에 있어, [[미주리주]] 농장지대의 교역 중심지이고 전자장비·변압기·인쇄·화장품·제본·제화업 등의 제조업도 발달되어있다. 또한 제퍼슨시티 부근에는 납·아연 광산이 있다. == 역사 == 1804년 루이스클라크탐험대가 이 지역을 탐사한 적이 있으나, [[미국 정부|연방정부]]가 주도로 지정한 1821년이 되어서야 제대로 된 정착이 이루어졌다. [[켄터키]] 개척민의 아들인 대니얼 분(Daniel Boone)이 개척했다. 또한 제퍼슨시티는 1826년에 [[미주리 주]]의 주도가 되었으며, 1830년대 이후 부터는 증기선과 역마차를 위한 정지점이 된 후에 [[독일계 미국인|독일인 이민자들]]이 급증하면서 번창하였다. 또한 [[남북전쟁]]에서 [[미주리 주]]는 [[미국/인종차별|흑인 인종차별]]을 지지하는 [[남부연합]] 편을 들었는데 1866년 [[남북전쟁]]이 [[남부연합]]의 패배로 종전됨에 따라서 [[남부연합]]에 소속되어있었던 주들의 [[미국/인종차별|흑인 인종차별]]을 타파를 목적으로 흑인 재향군인들은 제퍼슨시티에 링컨 대학교를 설립하였다. == 여담 == * 미주리 주 의사당은 도시의 다운타운 지역을 내려다 보고 있다. 그 건물은 하얀 석회암으로 지었고, [[미국 국회의사당]]을 모방한 것이다. * 건물의 3층에는 미국의 화가 토머스 하트 벤튼이 그린 [[미주리]]의 역사의 유명한 벽화가 있다. * 주 의사당 근처에는 프랑스-이탈리아 양식으로 지은 주지사의 저택과 미국 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의 주립 사무실 빌딩이 있다.[* 참고로 해리 S. 트루먼은 미주리주 출신이다.] * 미주리주 정부는 제퍼슨시티의 가장 큰 고용주이다. [* 워낙 재퍼슨시티가 [[촌구석|깡촌]]이라서 일자리를 대규모로 창출하는 기업이 없기 때문] * [[미국]] [[몬태나 주]], [[테네시 주]] 에서도 '재퍼슨시티'라는 똑같은 이름을 가진 도시가 있다. [[분류:미국의 도시]][[분류:미주리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