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제주 버스 개편 이전에 43번으로 운행되었던 노선, rd1=제주 버스 구. 43)] [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 || [[파일:제주3546버스.jpg|width=100%]] || [[파일:제주43-2일렉.jpg|width=100%]] || || 43-1번(구. 343번) || 43-2번(구. 344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시 간선버스 43-1번}}}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절물자연휴양림) || ||<|2> 종점행 || 첫차 || 05:50(터미널 출발, 제주평화양로원 종료) [br] 06:05(공항 출발) [br] 06:50 ||<|2> 기점행 || 첫차 || 07:20 [br] 06:40(제주평화양로원 출발) || || 막차 || 19:00 [br] 20:10(제주평화양로원 종료) || 막차 || 20:25 [br] 21:12(제주평화양로원 출발, 공항 종료) || ||<-2> 배차간격 ||<-4> 1일 14회 || ||<-2> 운수사명 || [[극동여객]] ||<-2> 인가대수 || 3대 || ||<-2> 노선 ||<-4> 제주버스터미널 - 제주국제공항 - 월성마을 - 제주버스터미널 - 남서광마을 - 제주시청 - 이도2동행정복지센터 - 신천동 - 대유대림아파트 - 신설동(한마음병원) - 한일베라체 - 봉개동 - 명도암 - 제주4.3평화공원 - 제주절물자연휴양림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시 간선버스 43-2번}}}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절물자연휴양림) || ||<|2> 종점행 || 첫차 || 05:57(공항 중간출발, 제주평화양로원 종료) [br] 06:30 ||<|2> 기점행 || 첫차 || 08:00 [br] 06:55(제주평화양로원 출발) || || 막차 || 18:30 [br] 20:50(제주평화양로원 종료) || 막차 || 20:55 [br] 21:55(제주평화양로원 출발, 공항 종료) || ||<-2> 배차간격 ||<-4> 1일 14회 || ||<-2> 운수사명 || [[극동여객]] ||<-2> 인가대수 || 3대 || ||<-2> 노선 ||<-4> 제주버스터미널 - 제주국제공항 - 용문마을 - 용문사거리 - 용담사거리 - 관덕정 - 동문로터리 - 제주여상 - 일도2동주민센터 - 서해아파트 - 신천동 - 대유대림아파트 - 신설동(한마음병원) - 한일베라체 - 봉개동 - 명도암 - (은혜마을) - 제주4.3평화공원 - 제주절물자연휴양림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간선버스 노선으로, 극동여객에서 운행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39.2km(43-1), 40.6km(43-2)다. [[http://naver.me/Ght3oW82|343번 전체 정류장 목록]], [[http://naver.me/GUu7jXYD|344번 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7년 개편 이전에는 제주시 공영버스 노선이 제주4.3평화공원 방면으로 운행하였는데, 처음에는 노선번호가 1번이었으나 2014년 8월에 노선번호를 4.3에서 딴 43번으로 바꾸었다. 해당 노선은 [[제주 버스 351, 352|351, 352번]]과 비슷한 모양으로 제주여고~동문로터리~삼양동~절물 노선이었다. * 2017년 8월 26일 제주 버스 개편에 따라 신설되었다. * 2017년 12월 22일부터 343-1번은 343번으로, 343-2번은 344번으로 변경되며, 동시에 은혜마을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131|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18년 10월 5일부터 종점이 제주국제공항에서 제주버스터미널로 변경되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278|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1년 1월 22일에 운행시간표가 일부 변경되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47|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2년 4월 1일부터 343번은 43-1번, 344번은 43-2번으로 변경 운행한다. 제주4.3평화공원 방문객들에게 4.3 사건의 의미를 새기며 방문할 수 있도록 한 조정이라고 한다. 개편 이전 43번 버스의 취지를 계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 특징 == * 43-1번과 43-2번의 인가대수는 6대(각 노선 별 3대씩 운행)이며, 2020년 6월 이전에는 운행 차량이 분리되어 있었으나, 2020년 6월 이후로 운행 차량을 공유한다. * 개편 전 43번 버스와 제주시티투어 버스 노선을 부분 계승하였으며, 기존에 명도암, 제주4.3평화공원, 절물휴양림으로 가려면 뜸하게 다니는 43번 버스를 타거나, 08~16시 한정으로 1시간마다 다녔던 제주시티투어버스를 이용해야 했다. 그리고 343, 344번 통합 배차간격이 30~45분이 되어 과거보다 명도암, 제주4.3평화공원, 절물휴양림 접근성이 많이 개선되었다. 또 제주국제공항에서 곧바로 탈 수 있게 된 것도 좋아진 점이라 할 수 있겠다. 다만 [[굴곡 노선/버스|바로 이어주진 않고 일도지구를 우회하기 때문에]] 그다지 빠르지 않으니 주의.[* 43-2번 버스 한정이다. 43-1번 버스는 [[제주시청]]으로 가기 때문에 43-2번 보단 빠르다.] * 개편 후 제주도 버스 문서 중에서 기존 시외버스 출신 버스 이외의 노선들 중에서 가장 먼저 내용이 채워진 문서이다. * 노선번호의 유래는 종점 근방에 위치한 [[제주 4.3 유적지#s-2.1.7|제주4.3평화공원]]이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 측면 노선번호 표기 옆에 4.3 사건 추모의 의미를 담은 동백꽃 문양이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원래 노선번호의 앞에 제주시 간선을 뜻하는 권역번호 3이 붙었으나 2022년 4월 1일을 기하여 사라졌다. 이번 변경으로 인해 이 노선들은 제주도 버스에서 가장 앞 번호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광주 버스 518|광주광역시의 518번 버스]]와 비슷한 사례. === 시간표 === [[http://bus.jeju.go.kr/schedule/view/43#|43-1번, 43-2번 노선 시간표]] == 주요 관광지 == [[제주 4.3 유적지#s-2.1.7|제주 4.3 평화공원]], 절물자연휴양림, 노루생태관찰원 == 둘러보기 == [include(틀:제주국제공항 경유 버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간선버스]][[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제주4.3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