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 ||[[파일:제주231AJS.jpg|width=100%]] ||[[파일:제주232AJS.jpg|width=100%]] || || 231번 || 232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일반간선버스 23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231_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서귀포등기소) || ||<|2> 종점행 || 첫차 || 06:00 ||<|2> 기점행 || 첫차 || 06:18 || || 막차 || 21:20 [br] 21:36(남원읍사무소 종료) || 막차 || 21:34 || ||<-2> 배차간격 ||<-4> 18~79분 || ||<-2> 운수사명 || [[동진여객(제주)|동진여객]] ||<-2> 인가대수 || 12대 || ||<-2> 노선 ||<-4> [[제주버스터미널]] - 동광양 - 6호광장 - 거로4거리 - 봉개동 - (대흘1리)/(전원마을) - 남조로검문소 - 교래리 - 붉은오름 - 수망리 - 의귀리 - (산하동 - 남원하나로마트)/(한남리 - 남원2리)/(신흥1리~신흥2리 - 태흥1리~태흥3리) - 남원읍사무소 - 위미1리~위미3리 - 효돈동 - 비석거리 - 동문로터리 - 서귀포등기소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일반간선버스 232번}}}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서귀포등기소) || ||<|2> 종점행 || 첫차 || 06:22 ||<|2> 기점행 || 첫차 || 06:35(남원읍사무소 출발) [br] 07:10 || || 막차 || 21:00 || 막차 || 20:54 || ||<-2> 배차간격 ||<-4> 66~110분 || ||<-2> 운수사명 || [[동진여객(제주)|동진여객]] ||<-2> 인가대수 || 12대 || ||<-2> 노선 ||<-4> [[제주버스터미널]]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교 - [[제주대학교]]입구 - 사려니숲길(물찻오름) - 교래리 - 붉은오름 - 수망리 - 의귀리 - (산하동 - 남원하나로마트)/(한남리 - 남원2리) - 남원읍사무소 - 위미1리~위미3리 - 효돈동 - 비석거리 - 동문로터리 - 서귀포등기소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시 남원읍을 거쳐 서귀포 중앙로터리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08.4km(231), 111.8km(232)다. [[http://naver.me/5goh20A6|231번 전체 정류장 목록]], [[http://naver.me/5ZGb7X0e|232번 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91년 6월 1일 남조로 노선'''이 신설됐다. '제주도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에서 출발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남원리'(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남원리) 도착하는 노선이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3532459|1991년 5월 30일 기사]], 언제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구, 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로 연장했는지는 불명 * 다른 시외버스 노선처럼 구.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을 종점으로 하였으나, 2013년 3월 1일부터 서귀포 중앙로터리에 있던 구.터미널이 폐쇄되면서 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로 연장하였다. * 2013년 8월 18일부터 시외버스 번호 부여 정책에 따라 이 노선은 730번을 부여받았다. 이와 동시에 아침 시간대 제주시 방향 한정으로 경유했던 제주대 1일 2회 경유를 남원(서귀포) 방향도 동일하게 오후 시간대에 1일 2회 신설하였다. * 2017년 8월 26일부터 대중교통 체계 개편으로 노선이 간선버스 230-1번(봉개동), 2번(제주대학교 입구)으로 분할되었으며, 급행버스인 [[제주 버스 131, 132|131,132번]]이 별도로 신설되었다. 이와 동시에 대흘1리 경유는 [[제주 버스 260|260번]] 신설로, 신흥리, 태흥리 경유 역시 [[제주 버스 741|741번]], [[제주 버스 742|742번]] 운행으로, 위미~효돈~서귀포 구간은 [[제주 버스 510|510번]] 남원생활체육관 노선 단축에 따라 해당 구간 운행이 폐지되었다. 반대로 교래리, 5.16도로 방향은 1일 2회 운행에서 1일 13회 운행으로 늘렸으며, 한남리, 남원2리 구간은 존치되었다. 230번은 개편 전 730번과 정류장이 동일하며, 배차 간격은 20분~50분 간격으로 다닌다. * 2017년 12월 22일부터 종점이 남원생활체육관에서 위미, 효돈을 거쳐 서귀포 중앙로터리(서귀포등기소)로 연장되며, 동시에 230-1번은 231번으로, 230-2번은 232번으로 번호도 변경되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131|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19년 8월 15일부터 탄력근로제로 인해 총 2회 감편되어, 서귀포 방향 기준으로 오전 10시~오후 2시이후 오후 4시 전후 시간대 1개/제주 방향 기준으로 오후 12시~오후 4시/오후 5시 후반 시간대 1개에서 배차가 30분~40분 수준으로 감소한다. 아래 시간표 링크로 들어가면 8월 15일 이후 세부 시간표 조회가 가능하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10|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특징 == * 231번과 232번은 인가대수는 12대이며 차량은 고정 운행이 아닌 정해진 배차 시간대에 맞춰 운행한다.[* 예를 들어 남원(서귀포) 방면으로 운행할 때 시간대가 231번이면 231번 경로로 오고, 반대로 제주시 방면으로 올 때 232번 운행 시간대면 232번으로 바꿔서 운행한다.] * 110~130, 210~230번대 공통으로, 1로 끝나는 것이 봉개동 경유, 2로 끝나는 것이 제주대학교입구 경유한다. * [[99번 지방도|남조로]] 버스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2017년 8월 개편으로 동진여객이 1987년 회사 창립이래 처음으로 남조로 노선을 단독으로 운행 중이다. * 제주시내에서 [[97번 지방도|번영로]][* 6호광장~남조로검문소]~[[99번 지방도|남조로]][* 남조로검문소(대흘1리)~남원리]를 경유하여 서귀포시 남원읍까지 운행하며, 주로 [[남원읍]]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수요가 대부분이며, 730번 시절에 다녔던 위미, 효돈에서도 수요가 있었다. 하지만 2017년 8월 26일부터는 기존 730번 종점이었던 서귀포 시외버스터미널이 아닌 130번, 230번 모두 남원생활체육관까지만 운행하기 때문에 위미나 하례리, [[효돈동]] 지역에서 제주시내로 가는 노선이 없어졌기 때문에 해당 지역 주민들이 노선 단축에 대한 반발로 민원이 발생하면서 결국 2017년 12월 22일부터 서귀포 시내까지 연장되었다. 하지만 고작 2대만 증차되기 때문에 기존 배차 간격은 더 벌어졌기 때문에 시간표 숙지를 해야한다. *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승차할 경우 4번 승차장에서 탑승하면 된다. * 폭설로 인한 [[1131번 지방도]] 통제 시 232번의 경우 봉개 방면으로 우회하거나 애조로를 경유하여 우회 운행한다. 이 때 우회 구간은 정차하지 않는다. * 231번은 봉개동~남조로검문소 구간이 번영로 경유와 대흘1리 중산간동로 경유로 나뉘며, 의귀~남원 구간도 남조로 경유, 한남리 경유, 신흥리 경유로 나뉜다. 232번도 의귀~남원 구간이 남조로 경유, 한남리 경유로 나뉜다. 한남리 경유는 통합 운행횟수가 1~2시간에 한번 꼴[* 제주행 12회, 서귀포행 13회]로 있으나, 대흘1리 경유와 신흥리 경유는 운행횟수가 많지 않다.[* 각각 양방향 3회씩 운행] === 시간표 === [[http://bus.jeju.go.kr/schedule/view/231#232#|231번, 232번 노선 시간표]] == 주요 관광지 == [[삼성혈]], [[국립제주박물관]], 사려니숲길, 제주돌문화공원, [[에코랜드]], 미니미니랜드, 붉은오름자연휴양림, 렛츠런팜 제주(KRA 제주목장), 붉은오름, 남원큰엉, 신영영화박물관, 제주코코몽에코파크, 동백나무수목원, 쇠소깍,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제주 올레길 4, 5, 6코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간선버스]][[분류:1991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