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태버니어, other1=제임스 태버니어의 동생, rd1=마커스 태버니어)] [include(틀:레인저스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eaea 0%, #fff 20%, #fff 80%, #eaeaea)" '''제임스 태버니어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5> {{{#ffffff '''레인저스 FC 역대 주장'''}}} || || [[리 월리스]][br]Lee Wallace || [[레인저스 FC|[[파일:레인저스 FC 유니폼 엠블럼(2).svg|width=100%]]]] || {{{#ffffff '''제임스 태버니어[br]James Tavernier'''}}} || [[파일:레인저스 FC 유니폼 엠블럼(2).svg|width=100%]] || ''현직'' || || {{{#0032a0 '''2015~2018'''}}} || '''→''' || {{{#ffffff '''2018~ '''}}} || '''→''' || {{{#0032a0 }}} || ---- [include(틀: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eaea 0%, #fff 20%, #fff 80%, #eaeaea)" {{{#ed1b2f ''' 제임스 태버니어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선수 #s-2|[[파일:PFA Scotland.jp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D2C5A; font-size: 0.7em;"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선수 #s-2|{{{#fff '''2020-21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선수'''}}}]]}}} || [[틀:UEFA 유로파 리그 득점왕(2020년대)|[[파일:UEFA 유로파 리그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7em" [[틀:UEFA 유로파 리그 득점왕(2020년대)|{{{#ff6900 '''2021-22 UEL 득점왕'''}}}]]}}} || [[틀:레인저스 FC/올해의 선수|[[파일:레인저스 FC 로고.svg|width=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32a0; font-size: 0.7em" [[틀:레인저스 FC/올해의 선수|{{{#ffffff '''2022-23 레인저스 FC 올해의 선수'''}}}]]}}} || [[틀:레인저스 FC 명예의 전당|[[파일:레인저스 FC 로고.svg|width=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c2577; font-size: 0.7em" [[틀:레인저스 FC 명예의 전당|{{{#ffffff '''레인저스 FC 명예의 전당'''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파일:PFA Scotland.jp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d2c5a; font-size: 0.9em;"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fff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 ||<-3>[[틀:2017-18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2017-18]] · [[틀:2018-19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2018-19]] · [[틀:2020-21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2020-21]] · [[틀:2021-22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2021-22]] · [[틀:2022-23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2022-23]] || || [[틀:UEFA 유로파 리그 2021-22 베스트팀|[[파일:UEFA 유로파 리그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UEFA 유로파 리그 2021-22 베스트팀|{{{#ff6900 '''UEL 2021-22'''}}}]]}}}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mesTavernier2324.webp|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1%, #fff 1%, #fff 5%, #0032a0 5%, #0032a0 95%, #fff 95%, #fff 99%, #ff0000 99%);" '''{{{#fff 레인저스 FC No.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0032a0 '''C'''}}}}}}}}} || ||<-3> '''{{{#ff0000 {{{+1 제임스 태버니어}}}}}}''' [br] '''{{{#ff0000 {{{-2 James Tavernier}}}}}}''' || ||<-2> {{{#f0f0f0 ''' 본명 '''}}} ||제임스 헨리 태버니어[br]James Henry Tavernier || ||<-2><|2> {{{#f0f0f0 ''' 출생 '''}}} ||[[1991년]] [[10월 31일]] ([age(1991-10-31)]세) || ||[[영국]] [[잉글랜드]] [[브래드포드]] || ||<-2> {{{#f0f0f0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 ||<-2> {{{#f0f0f0 ''' 신체 '''}}} ||[[키(신체)|키]] 182cm | [[체중]] 75kg || ||<-2> {{{#f0f0f0 ''' 포지션 '''}}} ||[[풀백(축구)|라이트백]] || ||<|2> {{{#f0f0f0 ''' 소속 '''}}} || {{{#f0f0f0 ''' 유스 '''}}} ||파슬리 셀틱 FC (2000~2001)[br][[리즈 유나이티드 FC]] (2001~2008)[br][[뉴캐슬 유나이티드 FC]] (2008~2009) || || {{{#f0f0f0 ''' 프로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2009~2014)[br]→ {{{-1 [[게이츠헤드 FC]] (2011 / ^^임대^^)}}}[br]→ {{{-1 [[칼라일 유나이티드 FC]] (2011 / ^^임대^^)}}}[br]→ {{{-1 [[셰필드 웬즈데이 FC]] (2011~2012 / ^^임대^^)}}}[br]→ {{{-1 [[밀턴킨스 던스 FC]] (2012 / ^^임대^^)}}}[br]→ {{{-1 [[슈루즈버리 타운 FC]] (2013 / ^^임대^^)}}}[br]→ {{{-1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2013~2014 / ^^임대^^)}}}[br][[위건 애슬레틱 FC]] (2014~2015)[br]→ {{{-1 [[브리스톨 시티 FC]] (2015 / ^^임대^^)}}}[br]'''[[레인저스 FC]] (2015~ )''' || ||<-2> {{{#f0f0f0 ''' 국가대표 '''}}} ||없음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f0f0f0 ''' 등번호 '''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34, 44[br][[게이츠헤드 FC]] - 27[br][[칼라일 유나이티드 FC]] - 22[br][[셰필드 웬즈데이 FC]] - 27[br][[밀턴킨스 던스 FC]] - 2[br][[슈루즈버리 타운 FC]] - 20[br][[로더럼 유나이티드 FC]] - 27[br][[위건 애슬레틱 FC]] - 2[br][[브리스톨 시티 FC]] - 24[br][[레인저스 FC]] - '''2''' || ||<-2> {{{#f0f0f0 ''' 주발 ''' }}} ||오른발 || ||<-2> {{{#f0f0f0 ''' 가족 ''' }}} ||동생 [[마커스 태버니어]] || ||<-2> {{{#f0f0f0 ''' 응원가 ''' }}} ||[[https://youtu.be/s9WxKubn4f8|He's James Tavernier]] || ||<-2> {{{#f0f0f0 ''' SNS '''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mes_Tavernier, 크기=28)] | [[https://www.instagram.com/jamestavernier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421_195413.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2169 0%, #0032a0 20%, #0032a0 80%, #022169)" '''{{{#ffffff Blue Cafu}}}'''}}} || [[잉글랜드]]의 레인저스 FC 소속 [[축구선수]]. 주 포지션은 [[라이트백]]이다. == 선수 경력 == === 경력 초기 === 로컬 클럽인 파슬리 셀틱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9살에 리즈로 이사를 가서 [[리즈 유나이티드 FC|리즈 유나이티드]] 유스팀에 입단했다. 6년간 유스팀에서 [[중앙 미드필더]]로 활약한 뒤 2008년에 [[뉴캐슬 유나이티드 FC|뉴캐슬 유나이티드]] 유스팀으로 옮겼다.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파일:TRKG4M4RRRHMHKTEUAFD4T4BDA.jpg]] 팀에 입단한 뒤 2009년 9월 22일 [[피터보로 유나이티드]]와의 [[풋볼 리그 컵]] 3라운드 경기에서 풀타임 출전하며 1군에 데뷔했다. 이후 3시즌 동안은 하부리그 임대를 전전하며 출전 경험을 쌓았다. 몰론 중간에 간간히 1군 경기 출전에 출전했으나, 확실하게 자리 잡지는 못했다. 2012년 9월 29일, [[레딩 FC|레딩]]과의 2:2 무승부 경기에서 후반 9분 [[스티븐 테일러]]와 교체되면서 입단 3년만에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데뷔전을 치룰 수 있었다. 2013-14 시즌에도 하부리그 팀으로 임대되어 활약했으며, [[로더햄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치러진 [[EFL 리그 원|풋볼 리그 원]]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전 [[레이튼 오리엔트]]와의 경기에 출전하여 승리를 이끌며 [[EFL 챔피언십|챔피언십]] 승격을 도왔다. === [[위건 애슬레틱 FC]] === [[파일:1641166-34821175-2560-1440.jpg]] 2014년 6월 28일, 위건으로 이적했다. 전반기동안 13경기를 뛰고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브리스톨 시티 FC|브리스톨 시티]]로 임대되었으며, [[풋볼 리그 트로피]] 결승 진출을 이끌었다. 시즌 기록은 13경기 3골. === [[레인저스 F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AB4047E00000578-0-image-a-15_1437420713676.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2169 0%, #0032a0 20%, #0032a0 80%, #022169)" '''{{{#ffffff 입단 오피셜}}}'''}}} || 2015년 7월 20일, 시즌을 앞두고 위건에서의 팀 동료 [[마틴 웨그혼]]과 함께 레인저스에 입단하였다. 계약기간은 3년이며, 이적료는 20만 파운드. ==== 2015-16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mes_Tavernier_24.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32a0 0%, #022169);" '''{{{#!html 레인저스의 승격에 큰 공을 세운 첫 시즌}}}'''}}} || 8월 16일 알로아 애슬레틱을 상대로 레인저스의 시즌 첫 골을 뽑아낸 태버니어는 하이버니언과의 홈경기에서 멋진 프리킥 골을 성공시키며 레인저스의 1위 수성에 큰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스코티시 챔피언십]] 8월의 선수상을 받았고, 이후에도 풀백으로 10득점을 돌파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팀의 챔피언십 우승과 4년 만의 승격에 공헌하였다. 챔피언십 우승 5일 뒤에 열린 스코티시 챌린지 컵 결승에서 장거리 발리골을 선보이면서 결승전 MOM에 선정되었다. 하지만 스코티시 컵 4강전 [[올드 펌 더비]]에서는 승부차기를 실축하는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지만 다행히 팀이 승리하면서 결승전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 시즌 태버니어는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2부 팀에 선정되면서 최고의 시즌을 보내게 된다. ==== 2016-17 시즌 ==== [[파일:_90945464_rexfeaturf.jpg]] 1부 리그에 복귀한 첫 시즌을 앞두고 태버니어는 2년 재계약을 체결하였고, 44경기 2골 7도움을 기록하며 1부 리그에서도 경쟁력 있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경기 때마다 잦은 실수를 보여주며 아직은 리그 탑 풀백으로 올라서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 시즌이기도 했다. ==== 2017-18 시즌 ==== [[파일:Celtic-v-Rangers-Scottish-Premier-League.jpg]] 46경기 9골 9도움을 기록하면서 리그 탑 풀백으로 부상하였고, 시즌이 끝나고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 2018-19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mes_Tavernier_51.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32a0 0%, #022169);" '''{{{#!html 스코틀랜드 최고의 풀백으로 올라서다}}}'''}}} || [[스티븐 제라드]] 감독에 의해 새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37라운드 셀틱과의 [[올드 펌 더비]]에서 태버니어는 전반 2분만에 환상적인 프리킥 득점을 기록하였고, 레인저스의 2-0 승리의 주역이 되었다. 이 시즌에 태버니어는 57경기 '''17골 20도움'''이라는 풀백이라고는 믿기 힘든 스탯을 기록하면서 리그 최고의 풀백으로 자리매김 하였고, 2년 연속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 2019-20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ttyImages-1208866653.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32a0 0%, #022169);" '''{{{#!html 아쉬운 리그, 하지만 유로파에서의 돌풍}}}'''}}} || 믿기 힘든 스탯을 보여준 저번 시즌과는 달리 2019-20 시즌에는 비교적 부진한 시즌을 보내게 되었다. 시즌 초반에는 여전히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었지만, 중반으로 접어들수록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득점 수와 도움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설상가상으로 1월 후반에는 부상까지 당하면서 주장으로서 팀의 하락세를 막지 못했고, 이로 인해 팬들의 많은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유로파 리그에서는 조별예선을 통과하고 32강에서 브라가를 상대로 기적을 만드는 등 돌풍의 중심이 되었고, 비록 리그에서도 부진했지만 우승 경쟁팀 셀틱을 상대로 [[올드 펌 더비]]에서 승리를 가져가면서 리그 우승 경쟁을 치열하게 해주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시즌이 조기 종료되면서 결국 리그 2위, 유로파 16강으로 시즌을 마무리하게 된다. 시즌 스텟은 46경기 3골 15도움. 시즌 종료 후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4번째 선정이자 3년 연속 선정. ==== 2020-21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0913_001320.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32a0 0%, #022169);" '''{{{#!html 250경기 출장의 금자탑을 쌓다}}}'''}}} || [[던디 유나이티드 FC]]전에 선발 출장하면서 레인저스 소속 250경기 출장 기록을 달성하였다. 이 경기에서 태버니어는 직접 득점을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쳤다. 이번 시즌 2월까지 총 41경기에서 '''17골 15도움'''이라는 풀백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경이로운 스탯을 기록하며 레인저스의 리그+유로파 리그 무패와 리그 1위 수성+유로파 리그 16강 진출에 큰 힘이 되어주고 있다. 특히 리그와 유로파 리그에서도 사실상 전 경기를 출전하는 강철몸 기질과 함께 팀의 중심을 잡으며 주장다운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번 시즌 태버니어의 활약은 대단하다 볼 수 있는데, 풀백 위치에서부터 레인저스의 빌드업을 이끌면서도 자신이 직접 오버래핑을 통해 페널티 박스 안으로 들어오는 움직임을 자주 가져가며 많은 득점과 도움을 올리고 있다. 가히 레인저스의 공격의 중심이라고 할 만하다. 하지만 리그 중후반으로 접어들수록 체력 저하 문제를 보여주며 득점 수와 도움 수는 급감하였고, 유로파 리그 32강에서 무릎 부상을 입으며 전력에서 이탈하였다. ==== 2021-22 시즌 ==== [[파일:james-tavernier_1lnemk4cl8nb216mnohfzb8som.jpg]] 리그에서는 4경기 1골 3도움을 올리며 1경기 당 1공포를 찍었다. 유로파리그에 출전하여 1경기 1도움을 기록했다. 챔피언스리그에도 2경기를 뛰었다. 유로파 32강 1,2차전 도르트문트와의 경기에서 총 3골을 터뜨리며 팀의 16강 진출에 일조했다. 유로파 16강에서도 츠르베나 즈베즈다를 상대로 페널티 득점을 했다. 유로파 8강 브라가전에서도 2득점을 하며 4강 진출의 일등공신이 되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레인저스를 유로파 결승까지 진출시켰다. 비록 결승에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게 지긴 했지만, 수비수임에도 7골을 집어넣으면서 유로파리그 득점왕을 수상하였다. 전 스승인 [[스티븐 제라드]]가 이끄는 [[아스톤 빌라 FC]]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고 한다. 제라드는 주장직을 [[타이론 밍스]]에서 다른 선수로 교체하길 원하며, 그렇기에 레인저스 시절 주장직을 훌륭하게 역임한 태버니어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하지만 팀에 큰 애정을 가지고 있는 태버니어가 팀을 떠날지는 미지수이다. ==== 2022-23 시즌 ==== [[파일:skysports-james-tavernier-rangers_5859831.jpg]] 4월 30일 기준 49경기 17골 8도움을 기록중이다. 스탯 자체는 좋으나 라이트백이 기본으로 가져야하는 수비력이 0이다. 34R [[애버딘 FC]]전 [[토드 캔트웰]]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35R [[셀틱 FC]]와의 [[올드펌 더비]]에서도 [[존 수타]]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36R [[히버니언 FC]]전에서 4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2023-24 시즌 ====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eOETCGa2sUE)] '''Blue Cafu'''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뛰어난 공격력이 돋보이는 윙백이다. 빠른 발과 특유의 날카로운 킥력으로 측면에서 강한 존재감을 보여주는 선수이며, 특히 세트피스에서 날카로운 모습을 보여주면서 많은 공격포인트를 기록해준다. 또 다른 장점은 지치지 않는 체력이다. 90분동안 측면을 종횡무진하면서도 매 경기 선발 출장할 수 있는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부상도 쉽게 당하지 않는다. == 여담 == * 1999년생인 동생 [[마커스 태버니어]]도 축구선수이다. 제임스가 뉴캐슬 유나이티드 유스에 들어갔을 때 축구를 시작해서 [[미들즈브러 FC]]에 자리잡았다가 22/23시즌 현재는 [[AFC 본머스]] 소속이다. [[파일:190223_Opening_Gala_-_James_Tavernier_39.jpg]] * 2023년 [[틀:레인저스 FC 명예의 전당|레인저스 FC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분류:1991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브래드포드 출신 인물]][[분류:잉글랜드의 축구선수]][[분류:라이트백]][[분류: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게이츠헤드 FC/은퇴, 이적]][[분류:칼라일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셰필드 웬즈데이 FC/은퇴, 이적]][[분류:밀턴킨스 던스 FC/은퇴, 이적]][[분류:슈루즈버리 타운 FC/은퇴, 이적]][[분류:로더럼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위건 애슬레틱 FC/은퇴, 이적]][[분류:브리스톨 시티 FC/은퇴, 이적]][[분류:레인저스 FC/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