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제이미 올리버}}}[br]Jamie Oliver[br][[대영제국 훈장|{{{#fff MBE}}}]] OSI[* Order of the Star of Ital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dn.images.express.co.uk/Jamie-Oliver-779655.jpg|width=100%]]}}} || || '''본명''' ||제임스 트레버 올리버[br]James Trevor Oliver || ||<|2> '''출생''' ||[[1975년]] [[5월 27일]] ([age(1975-05-27)]세) || ||[[잉글랜드]] [[에식스(주)|에식스 주]] 클레버링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신체''' ||178cm || || '''학력''' ||웨스트민스터 킹스웨이 칼리지 || || '''직업''' ||요리사|| || '''배우자''' ||줄리엣 노튼^^(2000년 결혼~현재)^^ || || '''자녀''' ||딸 포피 허니 로지 올리버^^(2002년생)^^[br]딸 데이지 부 파멜라 올리버^^(2003년생)^^[br]딸 페탈 블로섬 레인보우 올리버^^(2009년생)^^[br]아들 버디 베어 모리스 올리버^^(2010년생)^^[br]아들 리버 로켓 블루 달라스 올리버^^(2016년생)^^ || || '''SNS''' ||[[https://www.jamieoliver.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https://www.facebook.com/jamieolive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mieoliver, 크기=23)] [[https://www.instagram.com/jamieoliv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https://www.youtube.com/user/JamieOliv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유명]] [[셰프]]이자 요리 연구가이다. == 상세 == 1990년대 말 침체기에 빠져있던 [[영국 요리]]계에 혜성처럼 나타나 대중적인 요리를 선보이며 [[TV]] 프로그램에 출연, 이름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는데 성공했다. 통통하고 친근하면서도 잘생긴 외모, [[에식스]] [[사투리]] 억양의 말투로 여성 팬도 매우 많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 수 있는 요리를 주로 한다. 일견 손으로 대충 재료를 막 넣고 막 썰어서 막 버무리는 것 같지만 결과물은 제법 그럴싸하다. 그 특유의 스타일 때문에 [[고든 램지]]와 자주 비교되는데, 고든 램지는 고풍스럽고 깐깐한 [[프랑스]] 셰프들 사이에서 [[요리]]를 공부하기 시작하고, 나중엔 아예 직접 프랑스로 건너가 본격적으로 요리를 배운 반면, 제이미 올리버는 요리를 가르친 스승이 [[이탈리아인]][* 각각 [[이탈리아]]의 유명 셰프인 [[안토니오 칼루치오]](1937~2017)와 [[제나로 콘탈도]](1949~)이다. 특히 제나로는 제이미 올리버가 또 한 명의 아버지라고 부를 정도로 따르는 [[멘토]]로서 제이미 올리버의 자유분방하고 풍미와 재미를 추구하는 모습이 딱 이 사람을 빼다 박았다. 안토니오의 경우에는 정통 이탈리아식 레시피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요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데, 쉽고 간단하게 만드는 요리 스타일은 안토니오를 쏙 빼닮았으며, [[2017년]] [[11월 8일]] 안토니오가 별세했을 때에도 애도를 표했다.]일 뿐 아니라 30세가 되는 해 캠핑밴을 장만해 [[이탈리아]] 길바닥 아무데서나 요리를 하며 자유분방한 스타일의 요리를 몸에 익혔다. 그래서 [[고든 램지]]는 때때로 간단한 플랫 브레드를 만든답시고 빵 반죽에 [[사프란]]을 넣는 등의 만행을 저지르기도 하는 반면 올리버는 [[유기농]] 식재료를 강조할지언정 재료 자체는 익숙한 것들을 사용한다.[* 물론 이렇게 스타일은 다르지만 둘 다 요리사로 성공했다는 점은 기본적으로 같은데 흥미롭게도 고든 램지와 마찬가지로 젊은 나이에 좋은 여성과 결혼하여 2남 3녀의 5남매를 낳고 잘 살고 있어서 요리사로써의 인생 뿐만 아니라 가정사에서도 대성공한 사람이라는 점에서도 공통점 또한 지니고 있다.] 그래서 제이미 올리버가 한창 인기 있었을 때, 요리 강습 시간에 수강생들이 제이미 올리버를 따라하며 저울도 쓰지 않고 대충 썰어 넣는 것을 따라하여 망치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건 제이미가 어디까지나 요리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함이지, '''그의 실력은 어디서 굴러먹다 온 게 아니다.''' 수준급 이탈리아 레스토랑[* 유명 이탈리아인 쉐프 안토니오 칼루치오의 Neal Street Restaurant. 당시 안토니오의 조수였던 제나로 콘탈도와의 인연도 여기서 시작되었다.]의 파티시에로 시작한 이후로 수 년간 탄탄하게 경력을 다져왔다.[[http://www.msn.com/ko-kr/foodanddrink/featured/%ED%8F%AC%ED%86%A0-%EC%8A%A4%ED%83%80%EC%85%B0%ED%94%84-%EC%A0%9C%EC%9D%B4%EB%AF%B8-%EC%98%AC%EB%A6%AC%EB%B2%84%EC%9D%98-%EB%AA%A8%EB%93%A0%EA%B2%83/ss-AAcK6H9#image=1|#]][* 해당 링크의 3, 4번째 사진에서 제이미의 두 스승 안토니오 칼루치오와 제나로 콘탈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처음 등장했을 당시 [[미식가]]나 음식평론가에 의해 [[광대]] 취급 받으며 대차게 비난받은 일이 있어서 요식업계의 관계자와 음식평론가를 무척 싫어한다. 이들의 행보를 주시하다 이들이 뭔가 실수라도 하면 그에 대한 사설을 투고하고, 행동을 비판하고 고발하며 사회적인 매장을 주장한다. 그는 이 고발행위를 인생의 낙이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 [[영국 요리]] 문화 개선 활동 == 요리 자체에 대한 관심이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많이 하는 편이다. 개요에서도 이야기한 '대충을 자주 사용한다'라던가, 요리하면서 풍미를 강조하는 것, [[영국 급식]] 개선이나 '피프틴' 등이 그런 목적의 활동이다. 요리를 할 때 상당히 분주한 타입으로, 제스처도 난리를 친다. 하지만 그 덕에 쇼에 활기가 생기고 재미가 생긴다. 이러면서 요리 자체도 즐거운 일이라고 인식하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요리는 쉽다"고 이야기 하거나, Jamie's 15-Minute Meals 같이 금방 금방 만들어서 해먹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도 그러한 목적의 연장선상에 있다. 최근에도 Jamie Oliver's Food Tube을 통해 어린 아이가 햄버그를 만드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요리에 대한 장벽을 허무는 노력을 하고 있다. 예나 지금이나 '풍미(Flavour)'라는 요소를 백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는 뉘앙스로 방송 및 쇼에서 입에 침이 마르도록 자주 언급한다. 언제나 재료 및 요리 본연의 풍미를 살리는 방법을 기본 베이스로 깔면서 요리를 하는데, 주방 한켠에 그가 직접 키우는 허브류를 직접 따다가 요리 중간중간에 첨가하는 장면은 제이미 올리버의 방송에서 나름 상징적이라고 할 만한 부분. 이 역시 재료 고유의 풍미나 식감이 완전히 사라질 정도로 요리를 해버리는 기존 [[유럽]]의 요리 문화 전반에 대한 반감이 드러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 요리를 설명하면서 요리하다 남은 재료들을 재활용하는 방법도 꽤 자주 설명해준다. 예를 들어 [[바닐라]]향을 우려내고 남은 바닐라 빈을 말려서 [[설탕]]에 섞는다거나, [[칠면조]] 고기가 명절 후에 남으면 그 살을 찢어서 샐러드를 만든다거나, [[오리고기]]를 구우면서 나오는 오리기름을 감자를 구울 때 쓰면 맛이 좋아진다거나[* 실제로 영국 로스트 감자는 오리기름을 사용해 요리하는 경우가 많다.], 라이스 푸딩 위에 얹을 과일 조림을 만들고 남으면 아침마다 요구르트에 섞어먹는 방법 등이 그것이다. [[영국 급식]] 문화와 학생들의 식생활 개선 계획에도 적극 참여해 '''혼자서 궤멸 상태에 가까웠던 [[영국 급식]] 제도를 바꾸는 데도 성공한 업적'''이 있다.[[http://gomdol1012.egloos.com/2097425|#]] 그 당시 [[치킨너겟]]을 먹는 꼬꼬마들에게 [[https://www.youtube.com/watch?v=oyRdxHdCe-k|치킨 너겟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충격요법]]을 쓰기도 했다. 이 사건은 '''[[https://youtu.be/ZZBxeiL8FpY?si=KYShHQShuMN7uomv|웩, 우웩]]'''이라는 제목으로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지식채널e]]에도 소개되었다. [[TED]]에 출연해서 [[http://www.ted.com/talks/jamie_oliver?language=ko|"모든 아이들에게 음식에 대해 가르칩시다!!"]]라고 역설하기도. [[올리브(CJ E&M)|올리브]] TV에서 위의 급식 혁명 과정을 그린 '''제이미의 스쿨 디너'''를 방영하였는데, 말 그대로 [[충공깽]]. 2014년 캐나다 맥도날드 에서는 제조공정을 공개한적있다. [[https://youtu.be/NCm6INQ09yY|한 번 보자.]] [* 2012년 [[http://m.newsway.co.kr/news/view?tp=1&ud=201202031131390151926|핑크슬라임 사용 중단]]] 치킨너겟 관련 비난은 걸러들을 필요가 있다. '''[[닭]]껍질이나 남는 고기도 위생기준만 잘 지키면 역시 별 문제 없는 식재료다.''' 오히려 평소에 먹지 않는 부위라 할지라도 재발견하여 미식의 폭을 넓히는 것 또한 요리사의 일 중 하나이다.[* 육고기에서 손질만 잘한다면 어지간한 부위는 다 식용이 가능하고, 이런 가축들은 전세계에서 한번 도축하면 먼지 하나 안남기고 다 골라 먹거나, 아니면 다른 나라에 팔아치운다. 한국에서도 소 한마리 잡으면 고급부위를 먹지 못하더라도 거의 대부분의 부위를 식용으로 유통하고 뼈까지 고아서 먹는다. [[스페인]] 시골 같은 데선 [[돼지]] 1마리를 통째로 잡아서 그야말로 어떤 부위도 남기지 않고 다 먹어치우는 전통이 있고, [[동남아시아]]에서는 닭벼슬, [[대한민국|한국]]에선 [[닭발]]과 [[닭껍질]]까지 알뜰살뜰하게 요리로 승화시킨다. 그리고 안먹거나 못먹는 부위는 그걸 먹는 다른 나라에 수출한다. 전세계 푸드체인이 이정도로 정교하게 짜여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푸드프로세서로 간 고기와 껍질을 보여주면서 불쾌감을 유발하는데, 다진 고기는 원래 그런 모습[* [[미트볼]] 제작과정을 보여준다고 해도, 아이들은 간 고기에 [[우유]]에 적신 찢은 식빵을 찢어넣고 불쾌한 갈색으로 볶아진 [[양파]]를 퍼부은 다음 주물떡거려서 끈적끈적한 반죽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불쾌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이 된다. 치킨너겟이 무슨 완전식품이나 고급 요리인 것도 아니고 들어가는 빵가루, 조미료의 양에 따라 비판할 여지가 충분히 있지만 조리 과정 전체를 이용해 아이들에게 왜곡된 환상을 심어 주는 데는 문제가 있다. '''푸드프로세서로 다진 고기를 징그러워하게 되는 것이 아이들의 식사 문화에 무슨 이득을 준단 말인가?''' 즉 '충격요법'의 전반적인 과정에 불필요한 충격이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위에 서술된 내용중 지적할 점은 제이미는 제대로된 너겟이 아닐경우를 말하고 있는거다. 들어가는 재료도 맥도날드 너겟에 들어가는 재료가 아니다. 당장 [[영국군]] 군용견 식비보다 더 낮게 책정된 상황에서 아무리 패스트푸드라도 어느 정도 퀄리티를 맞춘 예시와 절대로 동일하게 비교하면 안 된다. 제이미 올리버도 당연히 학교에서 먹는 너겟을 기준으로 얘기한 것이고 신선한 음식을 먹시고자 한 건이었다. [[미국]]에서도 현재 [[미국 급식|급식 개혁]]을 시도하려 했지만, 보수적이고 기름으로 튀긴 음식을 광적으로 즐기는 [[미국인]]들은 [[영국]]만큼 잘 진행되지 않았다. [[영국 급식]]이 전반적으로 제공하는 음식 자체가 형편없었던 것과 달리 [[미국 급식]]에서는 일반 요리와 [[패스트푸드]]라는 선택지에서 학생들이 패스트푸드를 선택하는 것이라는 점이 차이점이다. 학교마다 디테일은 다르겠지만 미국 북서부의 경우 [[과일]], [[샐러드]]가 기본적으로 매일 식당에 나옴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이 [[피자]]와 [[햄버거]]를 고른다. 동남부와 동북부 역시 피자와 [[프렌치 프라이]]를 선호하는 건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충격 요법도 대범한 신대륙의 초딩들에겐 먹히지 않았다. 그리고 학생들은 실시되는 건강 급식을 보이콧한다고도 한다. [[존 스튜어트]]의 데일리 쇼에서의 인터뷰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선 학교 근처에 다가가지도 못하게 문전박대'''를 당했다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5855468|#]] 그런데 이것도 거의 20년 전 이야기이고, 미국도 캘리포니아 등을 중심으로 '''냉동 김밥''' 등이 유행하기 시작한 것을 보면 제이미 올리버는 시대를 좀 앞서간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식품 사막]] 문제가 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오고, 경제적으로 적당히 먹고 살 만한 사람들은 균형잡힌 식단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제이미 올리버의 방향성이 틀리진 않은 셈. 다만 현재진행형으로 미국 초딩들은 여전히 [[런처블]] 같은 걸 먹고 다니긴 한다. 2002년, 피프틴(Fifteen)이라는 자선재단을 설립하였다. 문제아들이나 실업자들을 [[요리사]]로 키워, 식당 '피프틴'에서 고용하는 활동을 한다. 그 외의 식당 등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즉, 직업이 없거나 구하기 어려운 아이들에게 요리를 가르쳐 직장을 얻게 해주는게 핵심이다. 영국에서 시작한 이후 국제적 브랜드로 키워내어 2004년 12월에는 암스테르담에 2호점을, 이어서 2006년 5월에는 콘월과 멜버른, 9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분점을 내었다. 일련의 노력을 인정받아 2003년에 [[버킹엄 궁전]]에서 5등급 [[대영제국 훈장]](MBE)을 받았다. [[기사작위]]를 받았다는 언론의 오보가 있었는데, MBE와 기사작위의 위상 차이는 너무나 크다.[* 기사작위는 영국에서 2등급 훈장에 준하는 영예이다. [[폴 매카트니]]가 1965년 제이미 올리버와 같은 MBE를 받았고, 기사작위는 32년이 지나서 1997년에야 받았다.] 2009년 12월에는 TED 상을 수상해 음식의 질과 요리사에 대한 자질을 소감으로 말했다. == 활동 == === 방송 === * The Naked Chef(1999-2001): 네이키드 셰프 * Pukka Tukka(2000) * Oliver's Twist(2002): 5부작 * Return to Jamie's Kitchen(2003) * Jamie's School Dinners(2005): 4부작[* 올리브 TV에서 방영되었던 바로 그 작품이다.] * Jamie's Great Italian Escape(2005): 6부작 * Jamie's Kitchen Australia(2006): 10부작 * Jamie's Return to School Dinners (2007) * Jamie's Chef(2007) * Jamie's Fowl Dinners(2008) * Jamie's Ministry of Food(2008) * What's Cooking? with Jamie Oliver: 비디오 게임 * Jamie Saves Our Bacon(2009) * Jamie Oliver's Food Revolution(2010- 2011) * Jamie Does...(2010- 2011) * Jamie's 30-Minute Meals(2010): 제이미의 30분 레시피([[올리브(CJ E&M)|올리브]] TV) * Jamie's Dream School(2011) * Jamie's Fish Supper(2011) * Jamie Cooks Summer(2011) * Jamie's Great Britain(2011): 제이미의 영국요리(TLC Korea) * Jamie's 15-Minute Meals(2012): 제이미의 15분 레시피(올리브 TV) * Jamie & Jimmy's Food Fight Club(2012): 제이미의 푸드파이트 클럽([[올리브(CJ E&M)|올리브]]) * Dream School USA US(2013) * Jamie & Jimmy's Friday Night Feast(2014) === 책 === * Something for the Weekend * The Naked Chef * The Return of the Naked Chef * Happy Days with the Naked Chef * Jamie's Kitchen * Jamie's Dinners * Jamie's Italy * Cook With Jamie: My Guide to Making You a Better Cook * Jamie's Little Book of Big Treats * Jamie at Home: Cook Your Way to the Good Life * Jamie's Ministry of Food: Anyone Can Learn to Cook in 24 Hours * Jamie's Red Nose Recipes * Jamie's America * Jamie does... Spain, Italy, Sweden, Morocco, Greece, France * Jamie's 30-Minute Meals * Jamie's Great Britain * Jamie's 15 Minute Meals * Save With Jamie * Jamie's Comfort Food == 기타 == * 자신의 책에서 [[김치]]를 소개한 바 있는데, 중요한 건 여기서 배경이랍시고 비치해 놓은 것이 [[중국]] 화폐였고, 또 김치라고 불리는 음식이 우리가 생각하는 김치와는 상당히 먼 음식으로 나와 있다는 점이다. 중국식으로 연구하고 또 그렇게 나와있는 것 같은데, 김치를 [[중국 요리]]로 착각한 것 같다. * 그런데 일본식 [[라멘]] 만들기 영상에서는 --아무리 중국에서 기원한 요리라지만-- 팔각을 넣고 육수랍시고 닭날개에 삼겹살을 삶고 김치를 라멘의 고명으로 사용했다. 물론 이 영상에서 가장 큰 실수는 '''라멘에 라멘 면발이 아닌 메밀소바를 사용한 것이다(...).''' * 이 밖에도 그가 만든 아시아 요리들을 보면 아시아 요리 및 음식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남들을 가르치려는 태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계란볶음밥]]의 조리법을 올렸다가 유명한 말레이시아 코미디 유튜버 [[나이젤 응|엉클 로저]]한테 대차게 까였다. 볶음밥에 고추잼, 물, 잘게 부순 두부를 넣는 등 여러가지가 엉망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_KdbASIkB8|#]] 그 이후로 엉클 로저는 구독자들의 열렬한 요청에 따라 타이그린커리, 레드커리, 버터치킨, 라멘등의 영상을 평가했는데 모두 해당 음식이라고 말할 수 없이 기본부터 잘못된, 심각한 수준이라고 평가받았다. * 제이미가 나오는 프로그램이 국내 케이블에서 방영되기 전 [[KBS]]에서 방영되던 시절이 있었는데 [[강수진(KBS 성우)|강수진]]이 더빙을 맡았다. [[EBS]]에서 방영했을 땐 [[구자형]]이 더빙을 맡았다. * 전(前) 모델인 줄리엣 노튼(Juliette Norton)[* 애칭 줄스(Jools)]과 결혼해 자녀 5명을 두었으며 다 이름이 상당히 깜찍하다. 첫째는 포피 허니 로지, 둘째는 데이지 부 파멜라, 셋째는 페틀 블로섬 레인보우, 넷째는 버디 베어 모리스, 다섯째는 리버 로켓 블루 달라스. 부인 쥴스가 제이미 올리버와 결혼, 자녀 포피와 데이지를 낳았을 때를 기억하며 쓴 책이 번역되어 있다. 제목은 "쥴스와 제이미 올리버의 맛있게 사는 이야기(원제: Minus nine to one)". 현재는 절판. [[파일:external/www.bt.dk/2490876-juliette.jpg|width=500]] * [[색약]]이다. <제이미의 30분 레시피>에서 가볍게 언급한 적이 있다. * 레시피에 [[달걀]]이 나오기만 하면 무조건 Free range egg[* 공장식 생산이 아닌, 풀어놓고 기른 [[닭]]의 [[달걀]]]만을 고집한다. 건강식 컨셉을 따라간다는 듯. 대충 유정란을 써도 되겠지만 사실 별 의미는 없다. * [[2009년]]도에 이어 [[2010년]]에도 [[http://www.ted.com/talks/lang/ko/jamie_oliver.html|테드상을 수상]]했다. * [[2013년]] [[1월 22일]]자 [[EpicMealTime]]에 [[http://www.youtube.com/watch?v=YAu2J8Rybgc|출연]]했다. 건강한 식단을 주장하는 제이미 올리버가 베이컨과 술과 설탕으로 도배한 음식을 만드는 [[EpicMealTime]]에 출연한 것 자체가 엄청난 충격과 공포. 다만 안 먹고 도망가는 거 봐서는 그냥 장난 삼아 출연한 듯하다. 그리고 제이미 올리버는 자신의 채널인 푸드튜브에서 자신을 납치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Epic Meal Time' 출연진들을 납치해 [[https://youtu.be/b5yzuZLlQZQ|야채만으로 거대한 스케일의 Epic Meal Time을 찍은 후 먹여서 똑같이 복수했다.]] * [[유튜브]]에 [[http://www.youtube.com/user/jamieoliver|Jamie Oliver's Food Tube]]라는 개인 채널을 차렸다. 다른 유튜버들이나 요리인, 유명인들을 섭외해 출연시키는 일이 잦고, 그만큼 컨텐츠가 많은 편. 다른 나라를 여행하며 현지 셰프와 함께 요리하는 영상도 나온다. 2014년에는 음료, 주류 등 마실 것들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https://www.youtube.com/user/JamiesDrinksTube|Jamie Oliver's Drink Tube]]라는 채널을 따로 만들었다. 그 외에도 [[https://www.youtube.com/channel/UCscCA-entvtKdjmVF46mz-w|Jamie Oliver's Family Food Tube]] 채널도 개설했다. 요즘은 좀 자란 자기 아이들이 요리를 하는것도 나온다. * [[탑기어]] 시즌 2(2003)에 [[https://www.youtube.com/watch?v=7qhkM8qY3Fw|출연한적이 있다.]] 스티그가 모는 차 안에서 요리교실을 촬영했다. 전속력으로 달리는 자신의 차[* 이 차 역시 범상치 않은 물건으로, [[폭스바겐]] 미니버스 캠핑카에 [[포르쉐]] 엔진을 [[자동차 튜닝#s-2.1.5|얹은 물건]]이다.] 안에서 어떻게든 요리를 하려고 했지만 이리저리 굴려지며 망가졌다. 스타 랩타임에서는 시즌 1에 출연했던 고든 램지의 기록과 타이. 기쁨의 환호성을 지르고 의기양양하게 직접 타이 기록 중 제일 위에 붙이고 제레미에게 받은 샴페인을 들이켰다. * 취미로 [[밴드]] 활동을 한 적이 있다. '스칼렛 디비젼'이라는 밴드에서 드럼 담당. 제이미의 키친에 밴드 멤버들이 게스트로 참여한 적이 있으며, 당시 오프닝으로 사용된 곡도 해당 밴드의 곡이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Zi_63v1dnvo|#]] * [[2016년]] [[4월]], [[대한민국|한국]]을 방문했다. [[불고기]] [[전골]] 같은 [[한국 요리]]를 맛보거나 전통 시장을 다니며, 사진이나 영상을 공개했다. [[https://www.facebook.com/jamieoliver/photos/a.10150336718739807.354708.27994914806/10153818261304807/?type=3&permPage=1|#]] * 건강식을 중시하는 양반답게, [[모유 수유]]를 하자는 캠페인도 벌이고 있다. 2016년 한 인터뷰에서 [[모유 수유]]에 대해 이야기가 나왔는데 "모유 수유는 편하고, (분유보다) 영양가 있고, 좋고, 공짜니깐요.(It's easy, it's more convenient, it's more nutritious, it's better, it's free.)."라고 언급을 했다. * 그가 운영중인 식당체인이 파산했다.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48361432|#]] 무리한 확장이 원인이라고. 또한 [[https://news.joins.com/article/23568980|혼밥 트렌드를 읽지 못한 점]]도 들 수 있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스킨스]] 시즌 1에서는 급식소 아주머니한테 대차게 까였다. * [[사우스 파크]]에서 다른 유명한 요리사들과 게스트로 잠깐 나오는데, 알아듣기 힘든 영국식 발음을 구사하며 딱히 하는 일 없이 질질 짜기만 했다. * [[피니와 퍼브]]에선 본인이 게스트 출연했다. 미트로프 대회 심사위원 역. * 해당 인물을 모델로 삼은 캐릭터가 《[[대사각하의 요리사]]》에 조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에서 [[스톰 트루퍼]] 중 한 명으로 [[형이 왜 거기서 나와|깜짝 출연]]했다. [[분류:영국의 요리사]][[분류:영국의 드러머]][[분류:영국의 남성 방송인]][[분류:영국의 남성 유튜버]][[분류:요리 유튜버]][[분류:1975년 출생]][[분류:에식스주 출신 인물]][[분류:대영제국 훈장 5등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