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공작]][[분류:고려의 대군]][[분류:1238년 출생]][[분류:1312년 사망]] [목차] == 개요 == 王淑 1238년 ~ 1312년 == 생애 == 신양백(新陽伯) 왕전(王佺)의 아들로 이름은 숙(淑). [[정간왕]]의 8대손이 된다. 제안후(齊安侯)에 봉해졌다가 제안공(齊安公)이 되었는데,[* 이 때문에 제안후였다가 제안공이 된 [[숙종(고려)|숙종]]의 6남 [[왕서(제안공)|왕서]]와 종종 혼동된다.] [[충렬왕]] 때 [[원 간섭기]] 관제 격하로 제안대군(齊安大君)이 되었다. [[원종(고려)|원종]]의 2비 경창궁주의 장녀 경안궁주와 혼인했는데 사별한 후, 충렬왕의 2비 [[정화궁주]]의 장녀 정녕원비와 재혼했다. 경안궁주와의 사이에서 아들이 하나 있고, 정녕원비와의 사이에선 자식이 없다. 처남이 되는 [[충선왕]]이 [[원나라]]에서 '전지정치'라는 원격 통치(...)에 들어가자 그가 왕의 업무를 분담했다. == 가족 == 그의 아들 왕현(王眩)은 3남 4녀를 두었다. 덧붙이자면 충선왕의 후궁 순비 허씨(順妃 許氏)는 본래 왕현의 아내로, 왕현이 1300년에 사망한 후 충선왕과 재혼했다(!). 이 영향인지 2녀는 원나라의 중서좌승 길길반의(吉吉反懿)와, 3녀는 [[원인종]] 아유르바르와다와 혼인했다. 아유르바르와다의 제3황후인 백안홀독(伯顔忽篤) 황후가 제안대군의 손녀를 말하는 것. 4녀의 아들이 공양왕의 장인 [[노진(고려)|노진]]으로, [[공양왕]]의 왕비 [[순비 노씨]]는 제안대군의 후손이 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안대군, version=344,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