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제다 타워}}}[br]برج المملكة | Jeddah Tower'''[* 본래 Kingdom Tower에서 개칭된 것이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다 타워.jpg|width=100%]]}}} || ||<|2> '''소재지'''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 ||[include(틀:지도, 장소=jeddah tower, 너비=100%, 높이=200px)] || || '''착공''' ||[[2013년]] [[4월 1일]] || || '''완공''' ||[[2029년]][* 본래 2021년~2022년쯤에 완공 예정이었으나 공사가 계속 연기되면서 완공년도가 불분명해졌다. 2023년 9월부터 공사가 재개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몇 년은 지나야 완공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 || '''층수''' ||지상 168층, 지하 3층 || || '''높이''' ||1,008m[* 완공 시 [[세계 최초]]로 인공적인 구조물의 높이가 [[http://www.skyscrapercenter.com/building/jeddah-tower/2|1km]]를 초과하는 건물이 된다.] || || '''공사 현황''' ||공사 진행중 현재 불분명(시공사 재입찰 예정)[* 2018년 1월부터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2023년 재개된 상태다.] || || '''공정률''' ||약 60층, 252m(추정 공정률 25%) || || '''소유주''' ||사우디 빈 라딘 그룹[* 사우디 빈 라딘 그룹의 원래 이름은 빈 라덴 그룹이었는데, 그 빈 라덴이 우리가 익히 아는 '''[[오사마 빈 라덴|그 빈 라덴]]'''이 맞다. 빈 라덴 가문은 오사마 빈 라덴과는 다르게 친서방 성향이다. 오사마 빈 라덴 때문에 가문에서는 오랫동안 지켜온 성씨 표기를 빈 라딘으로 바꿔버렸고(정확히는 [[9.11 테러]] 직후에 바꿨는데, [[아랍 문자]] 특성상 모음을 표기하지 않으므로 아랍 문자 회사명은 바뀌지 않았다.)이렇게 함으로써 오사마 빈 라덴을 증오함을 넘어 '''바로 [[제명|호적을 파버리고 가문에서 쫓아냈다]].'''] || || '''설계''' ||AS+GG 아키텍처[* 회사의 주요 건축가인 에이드리언 스미스 + 고든 길의 약자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경련회관]]의 건축을 담당했다.] || || '''시공''' ||미정 (재입찰예정) [*기존시공사 랑간인터내셔널] [* 주변 교통 등도 담당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ingdom_Tower_balcony_fair_us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20px-Jeddah_Tower_August_2019_S.Nitzold.jpg|width=100%]]}}} || ||<-2><#00A495> '''{{{#FFFFFF {{{-2 왼쪽은 지상 652m 높이에 설치될 야외 전망대의 조감도, 오른쪽은 2019년 8월의 공사 현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 건설 중인 [[마천루|초고층 빌딩]]. [[라덴|라딘 가문]]이 건설을 시작해 [[사우디아라비아]]에 건설 중인 초고층 [[마천루]]이자 '''완공 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높이를 자랑할 마천루'''다. 2021년에 완공할 예정이었으며 '''지상 168층, 1,008m'''로 예정되어 있다. 하지만 2018년 1월 이후 회사 내부 사정과 [[코로나19]]의 대규모 확산으로 꽤 오랫동안 공사가 중단되었다 2023년 9월부터 겨우 공사를 재개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https://www.meed.com/jeddah-developer-restarts-worlds-tallest-tower|기사]] 아직 정확한 완공 시기는 알려진 바가 없다. 하지만 2~3년 뒤쯤엔 완공될 것 이라고... == 상세 == 현재까지 약 70층을 완성했고, 정상적으로 완공될 시 168층이 된다. 영어로는 '''제다 타워'''라고 하지만, 건설 기획 단계에서는 '''킹덤 타워'''라고 불렸으며, 아랍어로는 여전히 '''부르즈 알 마물라카(왕국의 탑)'''로 부른다. 초기에는 높이가 1,600m, 즉 1마일인데, 이 때문에 '''마일 하이 타워(Mile High Tower)'''라고도 불렀으나 지반 조사 결과 1,600m의 하중은 견디기 힘들 것이라고 판단하여 높이를 1,008m로 수정하고 [[2013년]]에 착공되었다. 초기 층수도 상상을 초월하는 무려 375층이었지만, 현재는 건물의 3분의 1이 첨탑으로 되어있어, 절반이상은 물론 200층 넘게 떨어진 168층으로 낮아졌다.[* 그래도 층수에 첨탑 높이를 반영한다면 252층으로 나온다.] 높이에 비해 [[부르즈 할리파]]랑 겨우 5층 밖에 차이 안난다. 200층으로 지어진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완공되어봐야 안다. 가장 주된 용도는 '''주거'''이고, 그 외에는 호텔, 오피스 등 여러 용도로 쓰이게 될 건물이다. 만약에 완공되면 현재 [[부르즈 할리파]]가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최고 기록을 갈아 치우게 된다. 652m 위치에 [[전망대]]가 설치될 예정인데[* [[부산광역시]]에서 세 번째로 높은 [[산]]인 [[장산]]의 높이가 634 m다.], 다름 아닌 '''실외 전망대'''다. 사진에 보이는 동그란 부분이 전망대의 예상 모습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ingdom_Tower_balcony_fair_use.jpg|width=400]] 과학잡지 [[뉴턴 한국판]] [[2015년]] 11월호 특집기사에 실린 내용에 따르면 이 전망대는 원래 [[헬리콥터]] 착륙장인 [[헬리포트]]로 설계되었으나 측풍 때문에 헬기 이착륙이 매우 위험하다는 결론이 나서 전망대로 설계가 변경된 것이라 한다.~~[[거짓말은 하지 않는다|헬기 이착륙이 위험하다고 했지 전망대가 안전하다고는 안했다.(...)]]~~ 제다 타워는 다른 초고층 마천루에 비해 공정이 많이 늦은 편이다. 1~2개월이 지났음에도 육안으로는 별다른 차이점이 보이지 않아 공사가 중단된 것이 아니냐는 말도 있으나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거 맞다. 단지 사막 지역이라 너무 더워서 공사를 못 하는 날이 많을 뿐.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날카로운 디자인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1956년에 제안했지만 지어지지 못했던 1,609.4 m(약 1[[마일]])의 [[마천루]]인 <[[http://www.skyscrapercenter.com/building/the-illinois/12|The Illinois]]>를 연상케 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부르즈 할리파]] 때도 나왔지만, 초고층 빌딩에서 가장 위협적인 요소인 바람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닮게 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제다 타워는 디 일리노이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닮은 편이고, 최초의 목표 높이가 1,600m였다는 점에서 디 일리노이를 강하게 의식했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건축가 에이드리언 스미스는 프랭크 로이드의 빌딩을 언급하며 자신의 목표도 마일-하이라고 밝혔다. 2024년, 한국 건설기업들이 제다 타워에 대한 입찰을 포기했다. [[https://view.mk.co.kr/car-tech/article/73494/|#]] ==# 공사 현황 #== ||
[[파일:xEbY9SP.jpg|width=100%]] || || 2014년 3월의 공사 현장[* [[http://www.skyscrapercity.com/showthread.php?t=525819&page=366|사진 출처]]] || || [[파일:external/pbs.twimg.com/B6FuVdUCIAA-9xW.jpg|width=100%]] || || 2014년 12월의 공사 현장[* [[http://www.skyscrapercity.com/showthread.php?t=525819&page=488|사진 출처]]] || || [[파일:external/scontent-dfw1-1.xx.fbcdn.net/12183852_433810946813496_3846769016333517017_o.jpg|width=100%]] || || 2015년 공사 현장 야경.[* [[http://www.skyscrapercity.com/showthread.php?t=525819&page=652|사진 출처]]] || || [[파일:OdwMd0f.jpg|width=100%]] || || [[뉴질랜드]] [[오클랜드(뉴질랜드)|오클랜드]]의 [[스카이 타워]]와 비교한 합성사진[* 한국에서 높이가 비슷한 건물로는 해운대 [[엘시티]] B동이 있다.]|| || [[파일:external/twasul.info/IMG_2007.jpg|width=100%]] || || [[2016년]] 2월의 공사 현장[* [[http://www.skyscrapercity.com/showthread.php?t=525819&page=706|사진 출처]] 날씨가 너무 더워서 공사 속도가 매우 느리다. 공사 현장은 너무 더워서 몇 시간 떨어진 곳에 있는 숙소에서 매일 왕복 서너 시간씩 출퇴근하며, 혹서기에는 쉬는 시간과 점심 이후 낮잠 시간을 반드시 준다. 안 그러면 '''과로 및 극고온으로 인한 일사병에 시달리다 돌연 사망에 이르게 된다.''' 연봉은 엄청나게 많이 주지만 일이 너무도 고되어 2년이면 대부분 관두고 귀국한다고. 이는 중동에 있는 건설 현장에 근무하는 대부분의 경우에 해당한다.] || || [[파일:external/9fcca6a9c3a15562ebb8df111589a51ff6147cbb728aa8938a06e32e32b535ce.jpg|width=100%]] || || [[2016년]] 5월의 공사 현장 || || [[파일:external/cdn.skyrisecities.com/22047-76280.jpg|width=100%]] || || [[2016년]] 7월의 공사 현장 || || [[파일:C9fPjVcXgAAHuIm.jpg|width=100%]] || || [[2017년]] 4월의 공사 현장 || || [[파일:fjiav9mzof7o0u0l.jpg|width=100%]] || || [[2018년]] 2월의 공사 현장[* 이때부터 외벽 유리 부착 공사가 시작되었다.] || || [[파일:제다타워3월수정본.png|width=100%]] || || [[2018년]] 3월의 공사 현장 || || [[파일:Jeddah_may ver.png|width=100%]] || || [[2018년]] 5월의 공사 현장 || || [[파일:Jeddah_may ver_야경.png|width=100%]] || || [[2018년]] 5월의 야경 || ||[[파일:1920px-Jeddah_Tower_August_2019_S.Nitzold.jpg|width=100%]] || || [[2019년]] 8월의 공사 현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IgIjpLnebs)]}}} || || 2020년 기준 공사 현장 유튜브 영상 ||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사우디아라비아 대숙청 여파로 빈 라덴 그룹의 회장이자 제다 타워의 건축주인 바크르 빈 라덴이 부패 혐의로 구속되고 노동 계악 문제로 2018년 1월부터 공사가 중단되었다. 게다가 [[2020년]]부터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 때문에 더욱 타격을 입었다. 해당 건물을 감리하는 감리사 직원들[* 대부분 [[유럽]]계다.]이 대거 확진 판정을 받고 모국으로 귀국해 버리면서, 현상 유지 시공만 하고 공사는 코로나가 엔데믹화 되어버린 [[2023년]]까지 멈춘 상태였지만, 2023년 9월부터 약 5년 만에 공사를 재개하게 되었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27892|#]] 추가로 [[2030 리야드 엑스포]] 개최가 확정되면서 공사가 더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 신도시 == [[파일:external/pbs.twimg.com/B2q75tACAAARigC.jpg]] 공사 현장을 보면 주위에 아무 건물도 없는 허허벌판으로 원래 제다 자체가 상당한 허허벌판이다. 타워가 완공될 쯤에는 많이 바뀌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2021년 완공에 실패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주변에 도시가 생기고도 남을 듯 하다.] 차후 타워와 함께 주변지역 역시 [[아랍 에미리트]]의 '''[[두바이]]처럼 대규모 [[신도시]]를 조성'''할 것이라고 한다. 이름은 제다 이코노믹 시티(Jeddah Economic City)로, 해석하면 제다 경제 도시이다.[* 그러나 [[네옴]] 프로젝트로 인하여 취소되고 더 라인같은 곳에 재건될 확률도 있다.] 인천의 IFEZ 같은 곳이다. == 비판 및 논란 == [[사우디아라비아]]는 보수적인 종교 국가로 유명한 곳이라 과연 얼마나 경제에 도움이 될지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두바이]]와 [[아부다비]]가 속해 있는 [[아랍에미리트]]는 사우디보다 훨씬 세속적인데, 그 중 두바이는 국제적인 경제 허브를 표방하여 외국 자본 투자 및 인력 고용에 열심히 나서는 반면 사우디는 그런 것도 아니다. 종교를 들먹이며 폐쇄적이라 관광도 소극적인데 과연 경제적인 도움이 되느냐는 것. 해외에선 그저 [[부르즈 할리파]]보다 더 높은 건물을 짓겠다는 목적밖에 없다고 비아냥거리는 반응도 많다. 아랍 에미리트는 오히려 외국인 관광을 크게 장려하고, 국내 사정도 사우디보다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좋다는 걸 감안하면... 그러나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는 외국인 관광 비자 허용, 관광객 유치 정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발표했고, 실제로 2019년부터 관광 비자 발급을 시작하였다. 최근엔 개혁 개방 정책도 많이 펼쳐 나가는 등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였다. 하지만 2020년에 발생한 [[코로나19]] 대유행 때문에 해외에서 오는 관광 수요도 사라졌고,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도 저유가로 휘청이고 있어 건물이 완공되어도 코로나가 안 사라지면 [[마천루의 저주]] 확정인 상황이다. 그나마 현재 코로나 사태가 점차 풀려 가는 추세이므로 건물이 완공되고도 코로나의 타격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분류:아시아의 마천루]][[분류:높이 1000m 이상의 마천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