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제니 린드}}}[br]Jenny Li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enny_Lind_retouched.jpg|width=100%]]}}} || ||<|2> '''출생''' ||[[1820년]] [[10월 6일]]|| ||[[스웨덴]] [[스톡홀름]]|| ||<|2> '''사망''' ||[[1887년]] [[11월 2일]] (향년 67세)|| ||[[영국]] 헤리퍼드셔||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직업''' ||[[오페라]] 가수||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의 [[소프라노]]. 본명은 요한나 마리아 린드(Johanna Maria Lind). '''스웨덴의 나이팅게일'''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 생애 == [[사생아]] 출신으로 7살때부터 노래를 부르기 시작해 1838년 스웨덴에서 열린 '[[마탄의 사수]]' 공연 이후 유럽에서 이름을 날렸다. 한때 성대 질환을 앓았지만 [[스페인]] 출신 성악가 마누엘 가르시아의 도움으로 목소리를 구했다. 1840년대에는 스웨덴과 북유럽에서 수많은 오페라 공연을 맡았으며 [[펠릭스 멘델스존]]의 제자 겸 스웨덴 왕립 음악원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1844년 12월에는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에서 열린 오페라 '[[노르마]]'의 주역을 맡았다. [[대영 제국|영국]] [[런던]]에서 갈채를 받았던 2차례의 시즌 공연[* 당시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을 감동시켜 그녀가 영국으로 이민을 오도록 온갖 수를 쓰게 만들기도 했다.]을 끝으로 그녀는 29세에 오페라 무대에서 은퇴를 선언한다. 이후 [[미국]]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으며 93차례의 대규모 연주회에 출연하고 이후엔 자신이 직접 기획한 순회 공연을 진행했으며 역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당시 관람객으로 극장이 가득 차는 바람에 반주자가 '''사람들 머리 위를 밟고''' 무대로 올라가야 했을 정도였다고...] 덕분에 린드는 35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는데 대부분을 자선 사업을 위한 자금, 특히 조국 스웨덴의 자유 학교 설립을 위한 기금으로 기부했다. 이후 그곳에서 결혼한 [[독일]] 출신 음악가 오토 골트슈미트와 함께 유럽으로 돌아와서 남은 여생의 대부분을 자선 사업을 하며 살았다. == 기타 == * [[안데르센]]이 그녀의 노래를 듣고 사랑에 빠진 적이 있었다. 하지만 린드는 그에겐 관심이 없었고, 오히려 [[쇼팽]]을 짝사랑하고 있었다. 안데르센의 동화들 중 하나인 [[나이팅게일]]이 린드를 짝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쓴 것이라고 한다. [[분류:스웨덴의 인물]][[분류:소프라노]][[분류:1820년 출생]][[분류:1887년 사망]][[분류:화폐의 인물]][[분류:스톡홀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