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제네시스 X Speedium Coupe, top2=제네시스 X Convertible)] ||
[[제네시스(자동차)|[[파일:제네시스 로고.svg|width=12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1AE6DC6-9197-4319-8C29-1FBAF1397EF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네시스엑스2.jpg|width=100%]]}}} || ||<#000> {{{#fff '''Genesis X Concept'''}}} || [clearfix] [목차] '''Genesis X''' == 개요 == 2021년 3월 31일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에서 공개한 2+2시트 [[그랜드 투어러]] 콘셉트 카. 양산 여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양산될 경우 실제 차명은 제네시스 네이밍 체제로 편입된다. 콘셉트 카의 이름은 제네시스의 숨겨진 영웅을 상징한다는 의미로 'X'를 붙여 명명됐다. 그래서 어원도 수학의 그 미지수 X가 맞다. == 상세 == === 쿠페 === ||[youtube(ShpsmwERih4)]||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45D8EB5-31E1-44C2-97D0-A3CA7B14EBC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네시스엑스3.jpg|width=100%]]}}} || [[미디어오토]]의 [[장진택]]기자에 의하면 실제로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에서 2도어 쿠페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장진택 기자는 과거 기아에서 일했던 디자이너였고, 그 때문인지 지인들을 통해 현대자동차그룹 신차개발 관련 소식들을 많이 접하고 있는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여태 나온 신차 관련 언급들이 다 적중했다. 이것도 본인이 적당히 수위를 지켜서 말한 수준이다.] '''차급이나 차명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차명의 경우 '''이미 상표가 출원되어 있는 GT-숫자 시리즈의 네이밍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 GT외에 GC-숫자 형식의 네이밍도 제네시스에서 상표를 출원한 상태이긴 하다. 순수 전기차이면허 헤일로 모델 포지션이다보니 기존의 크로스오버용 [[현대 E-GMP]] 플랫폼이 아닌 추후 개발될 상위 승용 플랫폼인 [[https://www.fnnews.com/news/202203021442033595|eM 플랫폼]]이 유력하다. 제네시스 X 컨셉이 4세대 G90의 디자인과 매우 유사해서 단순히 4세대 G90의 디자인을 살짝 보여주는 쇼카일 가능성도 있다. 이전에 EQ900의 디자인을 쿠페 컨셉인 제네시스 비전 G 컨셉카를 통해 보여준 전례가 있다. 이 경우 제네시스가 개발 중이라는 제네시스의 2도어 쿠페 모델은 별개의 모델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제네시스의 아이덴티티인 투-라인 램프와 더불어, 사이드에 파라볼릭 캐릭터라인이 적용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리어 트렁크부분 역시 특유의 둥글게 감싸는 라인이 적용되어 있다. 전면부는 지-매트릭스 패턴을 적용한 방패 모양의 크레스트 그릴과 휠 아치를 관통하는 두 줄 전조등이 특징이다. 또한 클램쉘 후드를 적용해 패널 단차를 없애고 깔끔하면서도 정교한 이미지를 구현했다. 전면 하단 공기 흡입구는 그물망 형태로 디자인해 견고한 느낌을 줬다. 측면부는 긴 보닛과 짧은 후면으로 전통적인 GT 차량 디자인을 따르고 있으며, 차량 전조등과 후미등으로 이어지는 두 줄의 램프가 특징이다. 또한 아치형의 파라볼릭 라인과 펜더의 극대화된 볼륨은 역동적이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표현했다. 후면부는 두 줄의 디자인이 반영된 후미등과 디퓨저를 통해 세련되고 감각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실내는 운전자에게 다가가는 느낌을 주는 대쉬보드와 이어진 플로팅 센터 콘솔이 특징이며, 슬림형 간접 송풍구와 옆면 유리창 몰딩에 두 줄 디자인 요소를 적용해 외부 디자인과 통일감을 줬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프리폼 디스플레이와 구 형상의 전자 변속기 크리스탈 스피어로 하이테크한 실내 분위기를 표현했다. 또한 제네시스 레터링이 새겨진 [[브레이크]] 캘리퍼가 형광색으로 도색되어 있다. 고성능 전기차임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공개는 이쪽보다 늦었으나 일찍 출시되는 EV6의 GT모델도 형광 캘리퍼를 채용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전체에 적용되는 지침으로 보인다.] 외장 컬러는 렌소이스 블루, 내부 컬러는 스코치 브라운 컬러(운전석), 오션 웨이브 그린 블루 컬러(동승석)가 적용됐다. 인테리어의 경우 핸들 로고부분 라이팅이 점등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쿠페답게 운전석 위주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티저에 따르면, [[포르쉐 타이칸]]처럼 외부에서도 들리는 특유의 우주선 배기음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실제로 출시될 경우 타 프리미엄 브랜드의 대형 그랜드 투어러인 [[메르세데스-벤츠 SL]], [[렉서스 LC]], [[BMW 8시리즈]]와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브랜드 이미지를 올리는 헤일로 카 역할을 해야 하는 모델임과 동시에 이에 따라 자연스레 출고가가 높게 책정될 수밖에 없다는것이 딜레마. 대표적으로 렉서스 LC 첫 출시 모델의 경우도 팔릴수록 손해를 볼 정도로 가성비 헤일로 카로서 겨우 시장에 안착했다. 물론 그 비용은 다른 모델 판매로 뽑아냈다.] 특히나 순수 배터리 전기 GT라는 점에서 가장 직접적인 경쟁 상대는 [[마세라티 그란투리스모|마세라티 그란투리스모 폴고레]]가 유력하다. [[미국]]의 한 채널에서는 콘셉트카의 실차사진이 공개되었다. [[파일:EBFC1DC8-83AA-4357-87C9-0884F0CA8E01.jpg|width=100%]] [[파일:AECCC1B8-EBF4-4242-B58D-AD372A41FDA7.jpg|width=100%]] 2021년 10월 16일, 제네시스 엑스 로드쇼가 개최됐다.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83-21에 위치한 디뮤지엄에서 진행되었으며, 입체적으로 연출한 공간에 제네시스 엑스를 전시하고, 조명 및 음향 효과를 활용한 미디어 아트로 제네시스의 디자인 방향성을 전달했다. 전시 공간은 뉴욕 콘셉트, 에센시아 콘셉트 등 콘셉트카 이미지 및 영상 전시, 여러 개의 선으로 두 줄 디자인을 강조한 공간, 제네시스 엑스 콘셉트카 전시·미디어 아트, 제네시스 엑스의 실내 디자인 및 GV60의 이미지·영상 전시로 구성됐다. * 10/16 ~ 10/24 디뮤지엄(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83-21) * 10/29 ~ 11/7 공백 (제주시 구좌읍 동복로 83) * 11/12 ~ 11/21 피아크 (부산시 영도구 동삼동 201-2) 해당 모델의 양산과 관련된 내부 자료가 유출되었다. 해당 자료에는 제네시스 X가 울산의 GP공장[* 울산에 건설될 EV 전용 공장으로 추정된다.]에서 생산될 예정이며, 쿠페 350대, 컨버터블 150대 총 500대가 한정 생산될 예정이라고 나와있다. 생산 예정 시기는 2026년 10월로, 비슷한 시기에 현대 N 비전74의 양산형 모델도 생산될 예정이다. == 파생형 == === [[제네시스 X Speedium Coupe|X 스피디움 쿠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네시스 엑스 스피디움 쿠페 1.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네시스 X Speedium Coupe)] === [[제네시스 X Convertible|X 컨버터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네시스 X 컨버터블 전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네시스 X 컨버터블 후면.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네시스 X Convertible)] === X Gr.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Nik1OCaMAUpEMi.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Nik1OHaUAA90Pj.jpg|width=100%]]}}} || || '''전면부''' || '''후면부''' || ||<-2><#000000> {{{#ad7b62 '''X Gr.3'''}}} || 2021년 8월 몬터레이 카 위크에서 G70 Gr.4와 같이 콘셉트카로 공개된 차량으로, [[그란 투리스모 7]]에 등장한다. Gr.3[* 현실의 GT3에 대응하는 게임 내 레이스카 규격.] 사양으로 수록되었으며 제네시스를 상징하는 황동색에 고유 패턴인 지-매트릭스(G-Matrix)를 가미한 리버리가 적용되었다. 전기차인 원본 컨셉트와는 다르게 내연기관[* 규정에 맞추기 위해 G70과 동일한 람다 3.3L V6가 탑재되나, 출력을 565마력까지 끌어올렸다.] 레이스카 콘셉트 모델로 라이벌들보다 압도적인 덩치[* 전장만 해도 거의 5미터에 육박하는데, 이는 [[제네시스 G80]]과 [[포드 GT]] GTE에 필적하는 수치이다.]와 긴 휠베이스가 특징. UI에 RPM 램프가 가려지는 소소한 단점도 있다. 함께 수록된 G70과 달리 원본 차량은 수록되지 않았다. 그란 투리스모 대회에 참가하는 제네시스 팀은 이 차량으로 출전한다. 다만 상술했듯 차가 너무 길어서 코너에서 약점을 좀 노출하는 편이었다. == 여담 == * [[잇섭]]의 [[아우디 e-트론 GT]] 출고 리뷰[[https://youtu.be/eM4CSQ84mqk|#]] 3분경에, 제네시스 X가 2025년에 양산형이 출시된다는 찌라시가 언급되나 이는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903/109069686/1|2025년부터 제네시스에서 전기자동차만 신차로 내놓겠다는 보도]]가 와전된 것이다. 아직까지 공식적인 출시 일정은 물론 양산 여부도 [[카더라 통신]]에 그치고 있다. 다만, 2023년 1월 26일에 미국의 자동차 전문지인 오토모티브 뉴스에 따르면, [[루크 동커볼케]] [[현대자동차그룹]] CCO는 올해 초 미국 내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 딜러들과 연례회의를 갖고 X의 파생형격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72230?sid=103|X 컨버터블을 양산한다고 밝히면서]] 이쪽도 양산할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생기긴 했다. * 2021년 12월 3일에 공개된 영상을 보면 캐빈룸이 연장된 모형이 있는데 [[슈팅 브레이크]] 모델도 염두에 두는 것으로 보였고,[[https://youtu.be/HyZcly54V90|#]] 이는 이후 [[제네시스 X Speedium Coupe]]로 실현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네시스의 차량)] [[분류:제네시스/콘셉트 카]][[분류:전기자동차]][[분류:2021년 공개]][[분류:쿠페]][[분류:그랜드 투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