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제국의 신문)] [include(틀:이승만)] ---- ||<-4> {{{#fff {{{+1 '''제국신문'''}}}}}}[br]{{{#fff {{{-1 帝國新聞}}}}}} || ||<-2> '''국가''' ||<-2>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제국)] || ||<-2> '''창간''' ||<-2> [[1898년]] [[8월 10일]] || ||<-2> '''종간''' ||<-2> [[1910년]] [[8월 2일]] || ||<-2> '''설립자''' ||<-2> 이종일 || ||<-2> '''편집''' ||<-2> 유영석[br]이종면[br]장효근 등 || ||<-2> '''주필''' ||<-2> [[이승만]] 등 || ||<-2> '''종류''' ||<-2> 일반일간신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o000876-000-000.jpg|width=100%]]}}} || || {{{#fff ''' 《제국신문》[* [[https://museum.seoul.go.kr/www/relic/RelicView.do?mcsjgbnc=PS01003026001&mcseqno1=000876&mcseqno2=00000&cdLanguage=KOR#layer_download|사진 출처 - 서울역사박물관.]]] '''}}}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영석과 [[이승만]]이 《[[협성회회보]]》와 《[[매일신문(1898년)|매일신문]]》시절의 경험과 [[이종일]]의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1898년([[광무]] 2년) 8월 10일 창간한 신문이다. 창간 당시 제호는 한글로 쓴 《뎨국신문》이었다. 그러다가 1903년(광무 7년) 7월 7일에 한자 표기인 《帝國新聞》으로 바꿨다. == 상세 == 《[[협성회회보]]》와 《[[매일신문(1898년)|매일신문]]》 시절처럼 순국문체로 쓰였으며 민중계몽과 일반 대중이 타겟이었다. 1면에는 논설, 2면에는 잡보[* 현재 신문의 사회면과 비슷하다.], 3면에는 국내외 정세, 4면에는 광고를 게재했다. [[이승만]], [[유영석]], [[이종일]] 3인이 주동이 되어 창간하였으나 이승만은 한달도 못되어 [[만민공동회]]로 인해 감옥에 가게 되고, 유영석은 개인 사정상 퇴사하여 한동안 이종일 단독으로 사장과 기자 역할을 하며 운영하였다.[*a 뎨국신문, 1907년 6월 7일, 「본사의 행복과 본 기자의 해임」][*b 뎨국신문, 1907년 6월 14일, “남대문 밖 원경민씨가 보낸 글”, 통권, 제2430호] 《제국신문》은 발행 당시 [[대한제국]]과 외세의 수탈 야욕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리하여 외세와 조정의 법적인 탄압이 심했고[*b ][* 외세에 대한 비판 기사를 쓴 기자를 연행하고 기사를 삭제하는 등 횡포가 만연했었다.]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또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제정한 신문지법[* 조항 중 보증금 납부 조항이 있었다.]과 시스템 미비[* 당시 인쇄비 때문에 신문의 가격이 비싼 편이여서 대중들은 섣불리 [[돈]]을 꺼내기 힘들었다. 비슷한 시기 발행되었던 《[[독립신문]]》의 창간 당시 반 단(14행) 기준 구독료가 1년에 1원 30전, 1달에 12전, 1장에 1푼이었다고 한다. 나름대로 [[서재필]]은 싸게 매긴 가격이었는데도 신문값이 너무 비싸다며 항의 편지를 쓰는 독자들이 많았다. 거기다가 화폐 개념에 대한 대중의 무지와 운송 시설의 미비가 겹쳐 제국신문 뿐만 아니라 구한 말 시절의 신문들은 재정난에 허덕였다.]로 인해 [[광고]] 수입과 구독료를 제대로 거두어들이지 못하자 결국 경영난으로 1907년 9월 20일에 휴간에 들어간다. 이후 독자들이 의연금을 보내는 등 각종 지원으로 같은 해 10월 4일에 간행을 다시 시작했으나 결국 각종 여건의 문제로 1910년 6월 10일 다시 휴간에 들어가 결국 이 해 8월 2일에 폐간하고 만다. 종간 당시 《제국신문》의 발행 호수는 약 3,240호였다. 《제국신문》은 대중 친화적인 노선을 고수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 기타 == * 당시의 《[[황성신문]]》과는 대조적인 노선을[* 《황성신문》은 중층 이상을 타겟으로 삼았다.] 가지고 있었는데, 사이가 좋지는 못했는지 《황성신문》은 《제국신문》을 아녀자들이나 보는 암신문이라며 신명나게(...) 깠다. * 가장 중요하고 인기가 있던 1면 논설 부분을 맡을 [[국문]]에 능하고 글을 쓸 여력과 학식을 갖춘 인물을 찾기가 어려워 한동안 옥중에 있는 [[이승만]]에게 부탁하여 1901년 1월부터 1903년 4월 17일까지 약 27개월간 비밀리에 그의 글을 익명으로 게재하였다. 그러나 외세와 정부에 대한 비판으로 압력이 들어오자 더이상 버티지 못하고 이승만을 주필에서 해임시켰다. 이후에는 [[이종일]]이 직접 논설을 담당하였다가 1907년 6월 7일, 새로운 주필인 [[정운복]]으로 교체되었다.[*a ] * 1899년(광무 3년) 2월 25일자의 논설(론셜) 란에 한국의 현재 발전상을 거의 정확히 [[예언]]한 글이 실려 있어 주목받고 있다. 필자가 잠들었는데 미래의 대한국을 친구들과 구경하게 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본 한국에서는 전기와 통신망이 잘 연결되어 있으며, 도로가 잘 정비되어 인도와 차도가 잘 구분되어 있으며[* 불과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은 서울 차도에서 우마차가 다니는 곳이었다.] [[계획도시|도시의 구획이 우물 정자로 딱딱 나뉘는데다]] 거리가 가로수와 꽃으로 잘 꾸며져 있고, 도시는 고층빌딩이 즐비한 대도시가 되어 있고, 식자율이 99% 이상일 정도로 교육 제도가 발달했으며 [[의무교육|학교가 모든 곳에 세워져 있고]], 공원에는 여러 위인들의 상이 세워져 있으며 분수대로 아름답게 꾸며져 있고, [[할인점|큰 상점에 들어가 봤더니 없는 것이 없을 만큼]] 시장경제가 잘 발달해 있고, 한강에는 화륜선, 증기선이 활발히 오가며, 해안선은 포대로 잘 지켜져 외세나 비적이 없어지고 인천에는 [[대한민국 해군|태극 국기 단 군함이 가득하며]], [[대의민주주의|국민의 손으로 뽑힌 잘 배운 대표들이 국회에서 나랏일을 의논하며,]] 세출이 세입보다 많고[* 구한말의 갈망을 반영한 것으로 본다면, 정부가 부정부패 없이 적극적으로 복지나 기술개발 등에 예산을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인 입장에서야 정부가 세금을 엉뚱한 데 쓴다며 불만이 있을 수 있지만, 말기 조선-대한제국은 아무리 발전하고 있었다고는 하지만 무능하기 짝이 없는 군주가 비자금을 조성해 사치를 하고 왕비가 무당한테 억만금을 안겨주며 외척 가문이 나라를 들어먹던 나라다.], [[한류|외국인들이 수만 명씩 찾아와 관광을 하고 돈을 쓰며]], 행정과 사법의 발전으로 무명 잡세가 없어지고 [[엔자이|무고한 죄인]], [[고문|혹독한 형벌]]이 사라졌다고 한다. 또한 [[국가유공자|나라에 공이 있는 사람에게 지나가는 사람들이 갓을 벗고 예를 표했다]]는 것도 언급하고 있다. 그가 꿈 속에서 [[국회|상의원]]에 들어가보니, 한 의원이 연설하기를 "'''수백 년'''[* 필자가 논설을 작성한 때로부터 120여 년이 지났다.] 전 나라가 나날이 위태로웠다. 그 때는 (사람들에게) 학문이 없고 매관매직도 성행하였는데, 백성들이 들고 일어나자 외국 사람들도 조금 희망이 있다고 했으나 이걸 나라에서 찍어누르고 입을 막아버렸다. 그러던 중 이대로 백성들을 억압하면 나라가 성치 못할 것을 알고 죽기로 힘을 다해 관민간 합심해 오늘날 우리나라가 문명 강국이 된 것이다."라고 하면서 위인들의 동상을 세우자고 제청했다고 한다. 그러고 나서 부럼 깨는 소리에 잠이 깨었다는 것이 논설의 내용이다. [[https://m.blog.naver.com/minjune98/222129126500|#]] [* 여담으로 마지막 문장을 보면 '''꿈에서 깨고 보니 원통하다'''(...) 라고 쓰여 있다. --[[아시발꿈]]도 예언했다--] 상기의 기사는 [[https://nl.go.kr/newspaper/publish_date.do?searchPaper=%EC%A0%9C%EA%B5%AD%EC%8B%A0%EB%AC%B8#|국립중앙도서관 아카이브]]와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1-EBZ-3103&callType=dir&dirRsh=%ec%8b%9c%ea%b8%b0%241899%eb%85%84%2402%ec%9b%94%3a%ea%b2%8c%ec%9e%ac%ec%9d%bc%241899%eb%85%84+2%ec%9b%94%25%3a1&dataID=AKS-2011-EBZ-3103_NEWS@18990225_01-01_2374|제국신문 DB]]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분류:1898년 설립]][[분류:1910년 해체]][[분류:대한제국의 신문]][[분류:이승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