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성 로마 제국)] [include(틀:작위)] ||||||<#dcdcdc,#383b40> {{{#212529,#e0e0e0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제국백 || || [[한문]] || 帝國伯 || || [[독일어]] || Reichsgraf || || [[영어]] || Imperial Count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성 로마 제국]]에 존재했던 [[백작|백작위]]의 하나. == 상세 == 제국백작은 언제부터 신성 로마 제국사에 언급되었는지는 불명이지만 [[프랑크 왕국|프랑크]]의 [[카롤링거 왕조]]의 [[카롤루스 대제]] 때의 백작의 개념이 어느 정도 이어져 온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제국백작은 황제의 직속 봉신으로, 보유한 제국백작령은 변경백작령 등보다는 작았으나 백작단(Grafenkollegium)에 소속되어 제국 의회(Reichstag)의 투표권을 가졌으며 15세기에 형성된 [[선제후]]의회, 제국시위원단과 함께 제국제후들로 구성된 제국제후의회에서의 보조투표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로 4개의 지방인 베테라우어, 슈바벤, 프랑켄, 하류 라인-베스트팔렌 등의 각지방 내에 있는 여러 제국백작들로 구성된 위원단이 구성되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에는 서류상 황제로부터 직위를 하사받은 백작들을 지칭하는 등 명목상의 직위가 되어 버렸다. 1806년 이전까지는 일반 백작과 구별되어 다소 높은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신성 로마 제국 해체 후에는 황제 한 사람의 직속이었던 기존과 달리 독일 여러 국가의 군주들에 종속되면서 지위가 낮아졌다. 그래도 연방의회는 1829년 전하 (Erlaucht/Illustrious Highness)라는 특별 존칭의 사용을 인정하는 등 제국 백작의 권리를 인정했다. [[신성 로마 제국]]에만 존재했던 작위이기 때문에[* 프랑스 제국에도 제국 백작 (Comte de l'Empire/Count of the Empire)이라는 작위가 있긴 했지만 프랑스 제국의 제국 백작은 이름만 제국 백작일 뿐 실제로는 실권 없는 명예직에 불과했다.] 다른 백작위와 비교해도 인지도가 매우 낮다. [[역덕]]이 아닌 이상 존재 자체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을 정도다. == 해당 작위를 가진 실존 인물 == * [[막시밀리안 폰 슈페]](Maximilian Johannes Maria Hubert Reichsgraf von Spee) - [[독일 제국 해군]] [[제독]]. * [[볼프강 폰 트립스]](Wolfgang Alexander Albert Eduard Maximilian Reichsgraf Berghe von Trips) - 독일의 前 [[F1 드라이버]]. == 참고 == ||작성 과정에서 일부 내용을 참고 및 인용하였으며, '제국제후의회', '선제후의회', '제국시위원단' 등의 역어를 차용하였다.|| * [[http://blog.naver.com/sten1/10147237177]] - 신성로마제국 제국의회 * [[http://blog.naver.com/sten1/10152267248]] - 제국제후의회 [[분류:신성 로마 제국]][[분류:유럽의 귀족 작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