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guoxue.org/133741843432.jpg]] 諸葛常 (? ~ 263)[* 연의에서는 사망 당시 19세로 설정되어, 역산하면 245년생이 된다. 그의 아버지 [[제갈첨]]이 사망 당시 30대 후반의 젊은 나이였으나 제갈상 자신도 전장에 설 만한 나이는 되었던 것(남동생 [[제갈경]]은 너무 어려 참전하지 않았었다), 또 제갈첨이 243년에 결혼을 했고 제갈상은 그의 장남임을 감안하면, 연의의 설정은 제갈상의 실제 나이와 크게 차이나지 않을 것이다.] >臣死忠子死孝(신사충자사효): 신하는 죽기까지 충성하고 자식은 죽기까지 효도했으니, >君子於此知武侯之家敎(군자어차지무후지가교): 군자는 이것에서 무후(제갈량의 시호) 집안의 가르침을 아네. [목차]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촉한의 장수이자 [[제갈첨]]의 장남으로 [[제갈량]]의 손자, [[제갈경]]의 형이다.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263년에 면죽관에서 [[제갈첨]]과 함께 위나라의 [[등애]]를 막으려 출진했다. 제갈첨이 등애의 사자를 목베가며 저항했으나 대패하여 참수되고, 제갈상도 결국 >부자가 나라에 중은을 입고도 일찍이 [[황호]]를 참수하지 못해 패배에 이르렀으니 목숨을 보존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라고 탄식했다가 위군에게로 돌진해 전사했다. == [[삼국지연의]] == 117회에서 등장한다. 19살의 나이임에도 제갈첨을 따라 종군하면서 자청해서 선봉이 되었으며, 병서를 많이 읽고 여러 가지 무예를 익혔다고 나온다. 제갈량의 목상을 앞세워 [[등충]]과 [[사찬(삼국지)|사찬]]을 요격하여 승리했는데, 제갈첨이 오의 원군을 기다리지 못하고 자결하자 분이 치밀어 갑옷을 차려입고 말에 오를 때 [[장준#s-1]]이 경솔히 나아가지 말라고 충고하자 >우리 아버님과 아들, 할아버님과 손자가 모두 나라의 두터운 은혜를 입었는데 지금 아버님께서 적의 손에 잘못되셨으니 내 혼자 어찌 살아있겠소!" 라고 하면서 성 밖으로 나가 싸우다가 전사했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98.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시리즈]]에서도 등장하는데 연의에서의 활약 때문인지 무력이 70대 중반을 찍는다. 이는 제갈씨 일족 중 가장 높은 수치. 그러나 그외의 능력치는 모두 70을 넘지 못하며 그중 지력과 정치는 가문빨을 못 받았는지 50대에 불과하다.아버지 제갈첨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무력 72/지력 52/정치 70. 무력도 70대 중반에 최강 병법인 '연노'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연노 보유자들과 비해서 엄청나게 세다. 분투도 있어서 꽤 쓸만하며 그 이외의 병법으로는 지식계 병법인 석병과 모략계 병법인 덫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54/73/55/55/68에 특기는 기술, 화시, 기합 3개인데 좀 어정쩡하다. 무력이 73이라지만 기합 특기 하나 가지고 일기토에 나서긴 좀 그렇고, 기술은 지력에 영향받는데 그 지력이 55이고, 화시는 전투에서 쓸 특기이지만 통솔이 54인 이상 전투에 데리고 나갈 일이 별로 없다. 마지막 시나리오가 253년이기 때문에 8살에 등장한다. [[삼국지 11]]에서의 [[특기]]는 [[노발]].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투구를 쓴 채 검을 들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73/62/55. 특기는 훈련 4, 순찰 4, 신속 6, 병기 1. 전수특기는 신속이며 전법은 전법포인트 4의 불굴, 이는 부대 방어 +2, 사기 +1(방어 40, 사기 30), 역경 효과, 사기 유지를 시켜주는 전법으로 역경은 자신의 부대가 상대부대에 유리할 때 공격력 20% 추가시켜주는 효과이며 참고로 병기 특기 보유자 중 최연소 무장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75, 지력 62, 정치 55, 매력 69로 전작에 비해 무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노발, 석병, 주의는 왕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연노, 철벽, 업화, 친애무장은 [[제갈량]], 혐오무장은 [[황호]]다. 9편처럼 석병을 갖고 있다. [[진삼국무쌍]] 시리즈에선 여전히 클론무장. 6과 7, 8에서 아버지와 함께 진나라 무장에게 털리는 역할이다. 게다가 아버지는 젊은 문관형 클론무장인데 제갈상 본인은 10대 후반으로 추정되는 인물임에도 수염난 문관형 클론무장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파일:전략제갈상.png]]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서는 마지막권에 이름만 언급된다. [[삼국전투기]]에서는 [[황숭]]과 [[제갈첨]]이 전사하는 것으로 처리되어 장준과 이구와 함께 나오지 못했다. 다만 아버지 제갈첨이 제갈상의 유언을 가져갔다는 말과 달리 해당 유언은 「제갈첨전」에 주석으로 등재되어 있고 세세한 내용 또한 제갈상의 유언과 다르다. [[분류:촉한의 인물]][[분류:263년 사망]][[분류:전쟁 사망자]][[분류:낭야 제갈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