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177, #003399 20%, #003399 80%, #001177)"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해군참모차장)] ---- [include(틀:해군작전사령관)] ---- [include(틀:해군교육사령관)]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177, #003399 20%, #003399 80%, #001177)"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FFF 대한민국 제31대 해군참모총장}}}]][br]{{{#FFF {{{+1 정호섭}}}[br]鄭鎬涉 | Jeong Ho-seo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호섭.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58년]] [[1월 21일]] ([age(1958-01-21)]세) || ||[[서울특별시]] || ||<:> {{{#ffffff '''복무'''}}} ||[[대한민국 해군]] || ||<:> {{{#ffffff '''기간'''}}} ||1980년 ~ 2016년 || ||<:> {{{#ffffff '''임관'''}}} ||[[해군사관학교]] {{{-2 (34기)}}} || ||<:> {{{#ffffff '''최종계급'''}}} ||[[대장(계급)|대장]] || ||<:> {{{#ffffff '''최종보직'''}}}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해군참모총장]] || ||<:> {{{#ffffff '''주요보직'''}}} ||해군작전사령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 해군 [[대장(계급)|대장]]으로 31대 [[해군참모총장]]을 지냈다. == 생애 == [[1958년]] [[1월 21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정확히 본가 쪽은 [[강원도]] [[횡성군]]이라고 한다.[* 횡성군 [[공근면]] 가곡리에 초계 정씨 집성촌이 있다.] [[성남고등학교(서울)|성남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76년 [[해군사관학교]] 34기로 입학하여 1980년에 [[항해]]병과 [[소위]]로 임관했다.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대위 시절에 국방대학원에서 안전보장 석사를 받았다. 1989년 소령으로 진급했고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랭커스터대학에서 국제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해군대학과 한국해양전략연구소의 학술지, 회의를 통해 다수의 해군력 관련 논문을 발표하는 등 용장보다는 지장에 가깝다. 2002년에는 5전단 예하 51전대 소속 [[울산급 호위함|충남함]] 함장을 역임하며, 샤렉스에 참가했다. 또한 60여명에 가까운 수병의 이름을 한명 한명 기억하며 불러주는 자상함을 보였다. 특히 전산병인 신석철 병장에게 논문 타이핑을 맡긴 후 수고했다며, 당시 병장 월급 18,800원 보다 많은 3만원을 수고비로 줘서 엄청난 감동을 선사했다는 후문이 있다. 2006년 준장으로 진급한 후 제2전투전단장[*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제2함대]] 휘하의 전투전단. 해체되었다가 2015년에 제2해상전투단으로 부활.],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 [[국방정보본부]] 해외정보부장 등을 지냈다. 2011년에 중장으로 진급하면서 [[해군교육사령부|해군교육사령관]]에 올랐다. 2012년에는 [[해군작전사령부|해군작전사령관]]으로 자리를 옮겼고 2014년 10월에는 [[대한민국 해군본부|해군본부]]로 옮겨 [[해군참모차장]]이 되었다. 이미 중장으로 3년을 근무했고 해군의 [[인사적체]]가 타군에 비해 심각한 터라 해사 34,35기 두 기수를 건너뛰고 해군참모총장이 나올 가능성도[* 해군에는 사례가 있긴 하다. [[문정일]] 제독(해사23기)에서 [[남해일]] 제독(해사26기)으로 참모총장 자리가 간 것.] 제기되어 해군참모차장이 마지막 보직이 될 가능성이 높았지만, [[대한민국 해군참모차장|해군참모차장]] 재임 중에 해군참모총장인 [[황기철]] 제독(해사32기)이 [[통영급|통영함]] 비리 누명으로 조기 퇴임함에 따라 2015년 2월 23일에 해군참모총장으로 내정되었다. 이미 [[대한민국 공군]]에서는 2014년 4월에 1980년 임관자인 공사 28기 출신 공군대장 [[최차규]] 장군을 배출했고 [[대한민국 육군]]에서도 2014년 하반기에 1980년 임관자인 육군대장 [[김현집]] 장군과 [[장준규]] 장군(모두 육사 36기)을 배출한 관계로 해군에선 상대적으로 기수가 늦어져 [[인사적체]]가 일어나던 상황이라 해사 33기는 대장 진급이 현실적으로 힘들었다. 해사 1기수 선배이자 해사 33기 마지막 현역인 해군중장 구옥회 제독은 이미 면직되어 예편 대기중이다.[* 2014년 4월에 공사 28기인 최차규 장군이 대장으로 진급하면서 관례상 동기인 중장 2명이 전역해야 했지만 공군 내부단속을 이유로 유임되었다. 공사 28기인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공군중장 김영민 장군, [[공군사관학교]]장 공군중장 김형철 장군이 계속 남아 근무했다.] 구옥회 제독 등 두명의 중장은 2015년 5월 예편 하였다.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5022708050006300_P2.jpg]] 2015년 2월 27일에 취임했다. 보직 및 진급 신고는 2월 26일에 했다. 방산비리 문제에 엄중히 대처할 것을 취임사에서 밝혔다. 하필이면 [[해군사관학교]] 69기 졸업식(2월 26일)을 이틀 남긴 2월 24일에 해당 인사 문제가 불거진 터라 해군 장교단은 좀 뒤숭숭했다고 한다. 4월에 정기인사인데 왜 2월로 앞당겼는지... 졸업식엔 황기철 제독이 참여했다. 당일 정호섭 제독은 청와대에 가서 보직/진급 신고를 해야 해서 졸업식 다음날인 27일에 취임했다. [[파일:external/image.newsis.com/NISI20150228_0010672002_web.jpg]] 취임 후 서해 NLL을 방문한 정호섭 제독. 인터넷에선 [[해리포터 시리즈|윙가르디움 산이없싸]], 아씨오 마운틴, 국방부와 마법의 지팡이 등의 짤방으로 통하고 있다. [[2016년]] [[9월 19일]] 부로 현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인 [[엄현성]] 중장(해사 35기)이 후임 해군참모총장으로 내정되면서, [[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91910387697231|#]] 군 생활을 마감했다. 퇴역 후에는 충남대학교 군사학부에서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CVX]] 경항모 사업을 비롯한 주요 해군력 관련 논쟁에서도 해군 원로로서 공개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2018년 기준 한국해양소년단연맹 총재도 역임 중이다. == 주요 행적 == 작전사령관 시절에 소말리아에 납치됐던 제미니호 선원 구조작전과 [[북한]]이 쏘아 올린 장거리미사일(은하-3호)을 탐지, 추적, 인양을 지휘했다. 2015년 [[국정감사]]에서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대북 억지력을 위해 [[해상자위대]]와 협력할 필요가 있으며 작전반경이 광범위한 [[미합중국 해군]] [[제7함대]]에만 의존하는 것은 건전한 생각이 아니라고 밝혔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922_0010306560&cID=10201&pID=10200|관련기사#1]] [[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5092218077686515|관련기사#2]] 2022년에 [[국민의힘]] 국방혁신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 경력 == 이리함장 (중령) 합참의장 보좌관 충남함장 (대령) 2함대 전투전단장 2함대 부사령관 (준장) --한미연합사 인사참모부 차장--[* 한미연합사 인사참모부 차장은 미군 대령이 임명된다. 한미연합사령부는 정/부 중 정을 미군이 맡으면 부를 한국군이 반대로 정이 한국군이라면 부를 미군이 맡는 식이다. 예를 들어 정호섭 제독이 인사참모부장을 역임한 시기의 한미연합사령관은 샤프 미 육군 대장이엇고, 한미연합부사령관은 이성출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었다. 사령부 휘하의 각 참모부도 부처에 따라 부장과 차장을 한국군과 미군이 교차되어 임명됐고, 인사참모부(C/J1)는 한국군 부장, 미군 차장체제였다. ] 한미연합사 인사참모부장 --(소장)-- [* 한미연합사 인사참모부장은 준장 보직이다. 정호섭 제독의 전임자나 후임자를 보아도 알 수 있다. 다만 정호섭 제독은 인사참모부장 재직시기에 소장으로 영전한 케이스다 보니 곧 해군본부로 발령이 났음에도 이것을 간과하고 인사참모부장을 소장보직으로 착각한 듯 하다. ]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 국방정보본부 해외정보부장 해군교육사령관 (중장) 해군작전사령관 해군참모차장 해군참모총장 (대장) == 논란 == 2012년 교육사령관 시절 한 교육에서 천안함 생존자들은 수치스러워해야 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612028|#]] 당시 교육에 참여했던 천안함 생존 장병 김정원 전 하사는 '''"나약하고, 방심하고, 제대로 정신 안 차리면 천안함 사건처럼 당한다고 교육 사령관이 이야기를 하는 순간 뛰쳐나가려고 했어요. 이건 아닌 것 같아서요."'''라고 말해 씁쓸함을 더했다. == 기타 == * 안미희 씨와 결혼하여 아들 둘을 두었다. * 교육사령관 시절 수병들에게 유독 엄했다고 한다. 전투형 군인 태세를 강조하며 교육사령부 수병 전원에게 [[유격훈련]]과 [[행군]]을 지시하기도 했다. 통상 [[대한민국 해군]]은 [[해군기초군사교육단]] 훈련병 때에만 유격훈련과 행군을 한다. 유격이라곤 해도 육군의 그것과는 비교가 안되는 모의 유격이고 행군은 육군의 행군처럼 완전군장을 싸고 가는것이 아니라 총 한 자루 들고 산행하는 것. 실무부대에선 [[셈브레이]], [[당가리]]에 운동화만 신고 행군이라고 하면서 육군출신들이 보면 산보수준의 이동을 행군이라고 한다. 불참 시 추석특박 제외로 말년병장들도 궁시렁거리면서 갔다고.... * 독실한 [[불자#s-1|불자]]이며, [[법명]]은 해국이다. [[분류:1958년 출생]][[분류:초계 정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해군작전사령관]][[분류:대한민국 해군참모차장]][[분류: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분류:성남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해군사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