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소방공무원, rd1=정현모(소방공무원))] [include(틀:역대 충청북도지사)] ---- [include(틀:역대 경상북도지사)] ---- ||<-2> '''[[경상북도지사|{{{#fff 초대 경상북도지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24598 0%, #724598 20%, #724598 80%, #724598)" '''[[충청북도지사|{{{#ffffff 제4대 충청북도지사}}}]][br]{{{#ffffff {{{+1 정현모}}}[br]鄭顯模 | Jeong Hyeon-m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현모.jpg|width=100%]]}}} || ||<|2> '''출생''' ||[[1894년]][* 1893년생이라고도 한다.[[http://seungji.com/bbs/board.php?bo_table=donglaejs24&wr_id=319&page=2|#]]] [[10월 11일]] || ||[[경상도]] [[안동시|안동대도호부]] 임하현 현하리[br](現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 ||<|2> '''사망''' ||[[1965년]] [[1월 1일]] (향년 70세) ||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길안면 || || '''본관''' ||[[동래 정씨]] || || '''자''' ||효직(孝直) || || '''호''' ||백하(白下) || ||<|4> '''재임기간''' ||초대 경상북도지사|| ||[[1948년]] [[10월 18일]] ~ [[1950년]] [[1월 23일]] || ||제4대 충청북도지사|| ||[[1952년]] [[9월 17일]] ~ [[1953년]] [[11월 2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협동학교 {{{-2 (졸업)}}}[br][[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와세다대학]] 전문부 {{{-2 (정치경제과 / 학사)}}}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헌 국회의원|'''1''']] || || '''경력''' ||시대일보 주필[br]신간회 안동지회 회장 및 설립준비위원[br]조선일보 주필회사 중역[br]제헌 국회의원[br]초대 경상북도지사[br]자유당 초대 당무국장[br]제4대 충청북도지사[br]신라학원 초대 이사장[br]민우당 창당 발기인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동래 정씨|동래]](東萊)[* 수찬공 옹(雍)파 29세.][[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4860|#]], 자는 효직(孝直), 호는 백하(白下)이다. == 생애 == 1894년 [[경상도]] [[안동시|안동대도호부]] 임하현 현하리(현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동래 정씨]] 집성촌이다.] [[http://seungji.com/bbs/board.php?bo_table=donglaejs24&wr_id=319&page=2|#]]에서 태어났다. 협동학교·[[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보통학교]]·[[일본]] [[와세다대학]] 전문부 정치경제과를 졸업하였다. 1927년 [[신간회]] 안동지회 설립을 주도하여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28년 류인식을 이어 안동지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일제강점기]] [[조선일보]], [[시대일보]] 주필 역임. 그 후에는 회사 중역 역임.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안동군 을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같은 해 10월 초대 관선 [[경상북도지사]]에 임명되어 [[제헌 국회의원|국회의원]]직을 사임하였고, 1950년 1월까지 경상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여담으로 관선 초대 경상북도지사 임명에 따른 국회의원직 사임으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는 대한여자국민당 [[임영신]] 후보가 당선되었다. 1951년 12월부터 1952년 9월까지는 [[자유당]] 초대 당무국장을 역임하였다. 1952년 9월부터 1953년 11월까지는 관선 충청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1954년 7월부터 1957년까지는 (재)신라학원 초대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대한민국 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받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북도)] [[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동래 정씨]][[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조선일보 관련 인물]][[분류:1894년 출생]][[분류:1965년 사망]][[분류:경상북도지사]][[분류:충청북도지사]][[분류:보성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이승만 정부/인사]][[분류:국민훈장 무궁화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