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과]][[분류:법학]] [include(틀:학과)] [목차] == 개요 == [[정책학]]에 관해 연구하는 학과. == [[대한민국]]에서 == [[참여정부]] 시절 [[사법시험]]을 폐지하고 [[법학전문대학원]]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법학전문대학원 설치를 인가받은 대학에게는 [[법과대학]]을 폐지할 것이 요구되었다. 이로 인해 법과대학이 신입생 모집을 중단한 시점부터 각 대학은 법과대학의 정원을 넘겨받을 학과를 신설했는데, 이것이 주로 정책학과[*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또는 [[자유전공학부]][*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로 이어졌다. 그렇게 신설된 학과는 일반적으로 [[법학과]]의 후신으로 여겨진다. == 커리큘럼 == 위와 같은 역사로 인해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입시를 준비하거나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행정고시]]를 준비하는 커리큘럼으로 짜여져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양대학교의 경우,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PPE]]를 모방한 '''PPEL'''([[철학|'''P'''hilosophy]] + [[정치학|'''P'''olitics]] + [[경제학|'''E'''conomics]] + [[법학|'''L'''aw]]) 커리큘럼을 공식적으로 표방하고 있다. 로스쿨 입시를 준비하는 사람은 주로 [[법학적성시험|LEET]]에 대비하며 [[헌법]], [[민법]], [[형법]] 등 기본 법률에 대해 공부하는 과정을 밟게 되고, 이는 사실상 '''프리 로스쿨'''(Pre-Law school) 과정으로 취급된다. 행정고시를 준비하는 사람은 주로 [[공직적격성평가|PSAT]]에 대비하며 [[행정학]] 등 행정고시 수험과목에 대해 공부하는 과정을 밟게 되고, 각 대학의 고시반에 우선 입반할 수 있는 특혜를 받는 경우가 많다. == 현재 개설 대학 == ※ 가나다 순으로 기재 *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학부/자율전공학부#s-3.1|자율전공학부 글로벌리더전공]] *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학부/석당인재학부|석당인재학부]] * [[부산대학교]] 공공정책학부 *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리더학부 * [[서경대학교]] 공공인재학부 * [[전북대학교]] 공공인재학부 *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가리더융합연계전공 *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학부/정책과학대학|정책과학대학]] 정책학과'''[* "정책학과"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유일한 대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