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 KCC 이지스/선수단)] ---- || '''{{{#ffffff 정창영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프로농구 주장)] ---- || '''{{{#ffffff 정창영의 수상 및 영예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L 역대 기량발전상)] ---- [include(틀:KBL 역대 모범선수상)] ---- [include(틀:부산 KCC 이지스/주장)] }}} || }}} || ---- ||<-3>
{{{+1 [[부산 KCC 이지스|{{{#ffffff '''부산 KCC 이지스 No.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1.1em" {{{#0f236a '''C'''}}}}}} || ||<-3> {{{#0f236a,#94a8f0 '''BUSAN KCC EGI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창영2023-24.png|width=100%]]}}} || ||<-3> '''{{{+2 {{{#0f236a,#94a8f0 정창영}}}}}} [br] {{{#0f236a,#94a8f0 丁昌榮}}}''' || ||<|2><-2> {{{#ffffff ''' 출생 ''' }}} ||[[1988년]] [[1월 24일]] ([age(1988-01-24)]세) || ||[[서울특별시]]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 신체 ''' }}} ||[[키(신체)|신장]] 193cm|[[체중]] 90kg || ||<-2> {{{#ffffff '''포지션 ''' }}} ||[[가드(농구)|가드]][* LG 김진 감독 시절 포인트 가드 및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LG 현주엽 감독 시절 강제로 출전했다. KCC 전창진 감독 시절 이정현과 슈팅 가드와 번갈아 출전했다.] || ||<-2> {{{#ffffff ''' 학력 ''' }}} ||삼선초등학교 {{{-2 (졸업)}}}[br]삼선중학교 {{{-2 (졸업)}}}[br][[경복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2 (학사)}}} || ||<-2> {{{#ffffff ''' 종교 ''' }}} ||[[개신교]][* 개인 인스타그램 소개 문구가 성경 구절인 [[욥기]] 23장 10절이며 배우자인 정아의 인스타그램에서도 예배하러 갔다는 언급의 게시물이 있었다.] || ||<-2> {{{#ffffff ''' 프로 입단 ''' }}} ||[[2011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11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8순위, [[창원 LG 세이커스|창원 LG]])}}} || ||<-2> {{{#ffffff ''' 병역 ''' }}} ||[[상무 농구단]] (2013~2015.01.) || ||<-2> {{{#ffffff ''' 소속 ''' }}} ||[[창원 LG 세이커스]] (2011~2019)[br]'''[[부산 KCC 이지스|전주-부산 KCC 이지스]] (2019~ )''' || ||<-2> {{{#ffffff ''' 가족 관계 ''' }}} ||아버지 정해일[* 前 일본 여자 프로농구 감독.], 어머니 김영숙, 누나 정안나^^(1985년생)^^[* 마찬가지로 농구 선수였다.][br]배우자 [[정아]]^^(2018년 결혼)^^[br]아들 정주훈^^(2019년 10월 12일생)^^, 딸 정채이^^(2021년 10월 19일생)^^ || ||<-2> {{{#ffffff '''응원가 ''' }}} ||[[Panic! At The Disco]] - Hey Look Ma, I Made It|| ||<-2> {{{#ffffff ''' 링크 ''' }}} ||[[https://instagram.com/jjungchang_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소개 == [[부산 KCC 이지스]] 소속의 [[농구 선수]]. == 선수 경력 == === 고려대 농구부 시절 === 고려대 농구부에서 [[임정명]] 감독과 [[이민형(농구)|이민형]] 감독을 만나게 된다. 당시 192cm의 큰 신장에도 불구하고 [[포인트 가드]]를 맡았다. 임정명 감독 시절 성적부진으로 인해 빛을 보지 못했지만 이민형 감독을 만나면서 대학 U 리그 어시스트왕에 오르게 된다. === [[창원 LG 세이커스]] 시절 === [[파일:정창영 11-12 시즌 루키.jpg|width=500]] [[파일:정창영 14-15 시즌 플레이오프.jpg|width=500]] [[파일:정창영 16-17 시즌.jpg|width=500]] 2011 KBL 드래프트에서 1 라운드 8 순위로 [[창원 LG 세이커스]]에 지명을 받게 된다. 당시 지명했던 감독은 명지대를 창단 처음으로 우승시킨 모교 출신 [[강을준]] 감독이었고 이후 동양 오리온스와 2002 아시안게임 금메달의 명장인 [[김진(농구인)|김진]] 감독 밑에서 KBL 커리어를 시작했다. 데뷔 이후 LG에서 포인트 가드였지만 준수한 백업 슈팅 가드 역할로 꾸준히 출전했었다. 매 시즌 30% 초중반대의 꾸준한 3점 성공률을 보여줬다. 하지만, 아마 시절 고려대 농구부 재학 때 모교 내부문제[* [[임정명]] 지지파와 [[이충희]] 지지파로 팀이 갈리는 등 내부 분쟁이 심했다.]로 인해 정상적인 훈련을 못하면서 체계적인 성장을 하지 못했다. 리빌딩 시즌이었던 2012-2013 시즌에는 모교 최고참이었던 [[김영환(농구)|김영환]]과 [[양우섭]] 밑에서 후배들과 경쟁 및 독려를 했다. 시즌 마감 이후 이후 상무에 입대하게 된다. 당시 LG 팬들의 아이돌로 유명했다. 상무 입대로 인해 [[창원 LG 세이커스]]의 창단 첫 KBL 정규리그 우승을 했던 2013-2014 시즌 함께하지 못한 흑역사가 있었다. 반대로, 당시 함께했던 모교 대선배이자 팀의 주장이었던 [[김영환(농구)|김영환]] 선수는 그 시즌 고질적인 무릎부상과 [[문태종]]의 LG 역대 외부 FA 최고액으로 데리고 오면서 몸상태와 포지션 상 식스맨이 되면서 흑역사가 있었지만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2014-2015 시즌 중 상무 농구단에서 전역하면서 팀의 식스맨으로 준비하게 된다. 현재 아내인 정아와 만난 것도 이 시기라고 한다. 하지만, 급성장한 김진호의 선수단 속에 벤치멤버로도 고전했다. 이 시즌 모교 대선배였던 [[김영환(농구)|김영환]] 선수가 당시 문태종 선수와 김종규 선수의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대표팀 차출로 인해 체력문제를 드러내면서 공교롭게도 정창영 선수가 뛰어야 할 슈팅 가드 포지션으로 내려가면서 매치업 문제로 인해 기회를 잡기 어려웠다. 결국 2년간 부상으로 인해 좋은 활약을 하지 못했고 [[김진(농구인)|김진]] 감독은 끝내 물러나게 되었다. 모교 대선배이자 90년대 농구대잔치 슈퍼스타이자 2002 부산 아시안게임 금메달의 주역이었던 [[현주엽]] 감독이 후임으로 들어왔지만 과거 모교 재학 시절의 [[임정명]] 감독과 다를 바 없는 올드스쿨 타입의 강훈련을 극복하지 못하게 된다. 2017-18 시즌 [[현주엽]] 감독의 부임 이후 신임을 얻어 식스맨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자신의 역할을 잊은 나머지 데뷔 이후 가장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20분에 가까운 출전시간과 기록상으로도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지만, 시대에 비해서는 아쉬운 경기력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 식스맨이지만 [[조성민(농구)|조성민]]과도 큰 차이나지 않는 평균 출전시간을 할애받게 되면서, 대체 [[현주엽|감독]]은 정창영의 무엇을 믿고 쓰는지 모르겠다는 팬들의 지적이 이어지곤 했다. 오죽했으면 선배 조성민 선수와 어깨빵 사건으로 구설수에 오르게 된다. 이 사건을 농구팬들은 [[양아들#s-2|현창영]]이라는 비판과 함께 결국 플레이오프에서는 자취를 감추며 [[현주엽]]의 머리속에는 없어지는 선수가 되었다. 사실 조성민 선수와는 큰 불화는 없었으나 현주엽 감독의 지도력과 선수단 관리는 도마위에 오르게 된다.[* 그런데 세간의 인식과는 달리 실제로 현주엽 감독은 정창영을 전혀 좋아하지 않았다고 박지혁, 박세운 기자가 증언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Xy14Vpe038&t=5780s|크블인생 20.11.2 방송]]] 2018-19 시즌에는 출전시간이 급격하게 줄어들더니 결국 시즌 후 구단과 재계약 협상이 결렬되었고 KBL 첫 커리어 FA 때 이적을 하게 되었다. 당시 LG 세이커스 구단에는 구단 홈페이지와 구단 SNS에서 [[김종규(농구)|김종규]]와 함께 이별을 알렸다. === 전주 KCC 이지스 시절 === 2019년 5월 20일 FA 자격을 얻어 1억 2000만원에 [[전주 KCC 이지스|KCC]]로 이적했다. 그동안의 부진 때문인지 "정창영 사주셔서 감사합니다"--마티치 사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즌2?--라는 댓글이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65&aid=0000182509|베댓이 되기도 했다. 사실 KCC 팬 조차 LG에서 저렇게 된 선수를 데리고 온 KCC 구단에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LG 팬들도 비난만 듣고 가니 안타까워 하는 팬들도 있었다.]] 모교 대선배인 [[전창진]] 감독과 LG 시절 함께했던 [[강양택]] 수석코치 밑에서 제2의 농구인생을 펼치게 된다. 2019-20 시즌 KCC에서 신뢰를 얻으면서 식스맨으로 출전하기 시작했다. 그 동안의 아픔이 있어서 그런지 본인이 절치부심을 한 모양인지 준수한 활약을 펼쳐 [[탈쥐효과|LG팬들은 또다시 뒷목을 잡고 있다.]] 그 동안 보여주지 못했던 한을 풀면서 존재감을 보여주기 시작하게 된다. 분유버프는 덤. 하지만, 대학시절부터 이어진 기량정체로 인해 식스맨으로는 잘하고 있으나 한계를 보여주기도 했다. 가드로서 드리블링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라 에러를 간간히 하면서 아직도 팬들에게 쓴소리를 듣기도 한다. 갑작스런 시즌 조기종료(코로나 팬데믹)로 인해 아쉬운 한 시즌을 보내게 되었다. 2020-21 시즌 1라운드에서 팀의 에이스 이정현이 기대 이하의 활약을 보여준 가운데 정창영이 공수 양면에 걸쳐 뛰어난 경기력을 통해 팀을 하드캐리하는 모습을 보여 팬들을 놀라게 했다. 2:2플레이든 보조 리딩이든 여러 방면에서 눈에 띄는 모습을 보여줬다는 평. 팀의 다양한 역할을 소화하며 알짜배기인 선수라고 할수 있다. 추가로 체력적인 문제가 있지만 벤치에서도 KCC를 잘 독려하고 있는 긍정적인 평을 얻고 있다. 시즌 막판까지 꾸준한 활약을 보여준 결과 팀을 정규시즌 1위로 이끈 공로를 인정받아 기량발전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팀원들 사이에서도 팀의 실질적인 에이스라 하여 '실에'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AU0PMItyFig|#]] 마침내 2020-2021 KBL 시상식에서 기량발전상을 수상했다. KBL 커리어 첫 수상이었다. 그리고 이 상으로 LG시절에 좋지 않았던 현창영 이미지를 털어냈다. 그리고 KBL 통합우승을 다짐했으나 KGC의 설린저 기세와 이미 팀은 4강전부터 누적된 부상으로 인해 힘을 잃으면서 아쉬움 속에 KBL 파이널에서 준우승으로 한시즌을 마무리하게 된다. 농구미디어 잡지사인 루키 더 바스켓에서 KBL 선수들이 선택한 식스맨상과 기량발전상 2관왕을 선물받게 된다. 2021-2022 시즌에는 경쟁체제가 더 치열해지게 된다. 주로 슈팅 가드와 스몰 포워드를 맡고 있는데 각자 1명의 경쟁자가 늘어나게 된다. 오리온에서 모교 후배 출신 가드인 [[박재현(농구선수)|박재현]]을 영입했고 현대모비스에서 국가대표 슈터 출신인 포워드 [[전준범]]을 트레이드로 영입하며 팀내 최고참인 [[송창용]]과 함께 다시 경쟁체제를 하게 된다. 개막 초기에 부상을 당해 많은 경기를 뛰지는 못했으며 11월 13일 경기에서 복귀했다. 2021-2022시즌을 마친후 FA를 취득하였다. 계약기간 3년에 보수총액 2억 5천만원에 잔류하였으며, 이 시즌 팀의 최고령 선수이자 주장이 되었다. FA로 [[허웅(농구선수)|허웅]]이 영입되면서 출전시간은 다소 줄어들것으로 보였지만 가드진의 부재로 인해 오히려 출전시간은 더 늘어나게 되었으며 허웅과 더불어 3가드 체제의 한 축을 담당하는 중이다. == 시즌별 성적 == ||<-11>
{{{#ffff00 역대 성적}}} || || {{{#ffff00 시즌}}}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2점슛}}} || {{{#ffff00 3점슛}}} || {{{#ffff00 자유투}}} || {{{#ffff00 득점}}} || {{{#ffff00 리바운드}}} || {{{#ffff00 어시스트}}} || {{{#ffff00 스틸}}} || {{{#ffff00 블록슛}}} || || 2011-12 ||<|7> [[창원 LG 세이커스|LG]] || 41 || 33/78 [br] (42.31%) || 21/56 [br] (37.50%) || 21/26 [br] (80.77%) || 150 || 62 || 69 || 27 || 2 || || 2012-13 || 53 || 80/142 [br] (56.34%) || 27/80 [br] (33.75%) || 31/42 [br] (72.81%) || 272 || 116 || 136 || 44 || 4 || ||<-9> 상무 농구단 (군복무) || || 2014-15 || 11 || 5/6 [br] (83.33%) || 2/7 [br] (28.57%) || || 16 || 14 || 5 || 5 || 0 || || 2016-17 || 37 || 32/64 [br] (50.00%) || 14/41 [br] (34.15%) || 16/22 [br] (72.73%) || 112 || 58 || 66 || 28 || 2 || || 2017-18 || 52 || 54/117 [br] (46.15%) || 39/116 [br] (33.62%) || 67/84 [br] (80.60%) || 279 || 123 || 113 || 44 || 6 || || 2018-19 || 22 || 7/9 [br] (77.78%) || 4/11 [br] (36.36%) || 7/10 [br] (70.00%) || 33 || 22 || 6 || 12 || 2 || || {{{#ffffff 시즌}}}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2점슛}}} || {{{#ffffff 3점슛}}} || {{{#ffffff 자유투}}} || {{{#ffffff 득점}}} || {{{#ffffff 리바운드}}} || {{{#ffffff 어시스트}}} || {{{#ffffff 스틸}}} || {{{#ffffff 블록슛}}} || || 2019-20 ||<|3> [[전주 KCC 이지스|KCC]] || 39 || 47/83 [br] (56.63%) || 19/44 [br] (43.18%) || 24/36 [br] (66.67%) || 175 || 79 || 59 || 30 || 5 || || 2020-21 || 54 || 109/226 [br] (48.23%) || 50/123 [br] (40.65%) || 159/349 [br] (45.56%) || 441 || 207 || 110 || 56 || 9 || || 2021-22 || || || || || || || || || || ||<-2> '''[[한국프로농구|KBL]] 통산''' [br] (9시즌) || 309 || 367/725 [br] (50.62%) || 176/478 [br] (36.82%) || 226/301 [br] (75.08%) || 1,488 || 681 || 564 || 246 || 30 || == 여담 == * 아버지가 과거 현대전자 출신 정해일이고 어머니는 전 국가대표 배구선수인 김영숙이다. 누나는 전 금호생명 농구선수 정안나이다. * 1월 1일 [[창원 LG 세이커스]]와 [[서울 삼성 썬더스]]의 경기 중 팀 선배인 [[조성민(농구)|조성민]]에게 [[어깨빵]]을 하며 벤치로 들어가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인스타그램]]에서 조성민이 정창영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며 논란을 잠재웠다. ~~대인배 [[조성민(농구)|조성민]]~~ * 5살 연상인 [[애프터스쿨]]의 [[정아]]와 [[2018년]] [[4월 28일]]에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911402|결혼했다.]] 결혼 이후에는 아내의 전직 덕분에 선수들이 아이돌과 소개팅을 주선해달라는 요청을 꽤 받기도 했다고 한다.[* 결혼식 전날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3342155|인터뷰]]에서 친구들이 자기보다는 아내 측 하객에 더 관심이 많다며 오지말라고(...)농담삼아 했다고 했다.]이정현도 걸그룹 멤버들 한번 보고 싶다고 해서 여럿이 식사자리 정도는 했었다고 [[https://youtu.be/2CVRBNiLbwY?t=585|털어놨다.]] [[문명특급]]에서 애프터스쿨이 재조명되자 정아도 주목을 받았으며 이 방영분이 나간 다음시즌(21-22)은 테마곡으로 [[Bang!]]을 선곡했다.[* 프로필에 언급된 응원가는 경기 중 득점, 단독 교체투입, 자유투 획득, 성공 등의 상황에서 틀어주는 곡이고, KCC팀은 경기시작전에 붐업을 위해 당일 출전하는 선수들을 소개하면서 이때 선수 개인이 선택한 테마곡을 틀어준다.] * 2022년 7월 농구 유튜브채널 바스켓코리아와의 [[https://youtu.be/hD12i7nMcxA|인터뷰]][[https://youtu.be/-mTIHQFwMQU|에서]] 연애 및 결혼과정을 밝혔다.아내와 처음 만난 건 상무 전역 후 쉬는 동안 지인들과 만난 자리였다고 하며 그 때 마음에 들어서 먼저 대시를 하고 2년간 만나고 17년에 프로포즈를 하고 다음해 휴가 때 결혼식을 올렸다고 했다. * [[2019년]] [[10월 12일]] 득남했다. 아들의 이름은 정주훈이다. 이후 2021년 10월 경 둘째 딸도 득녀했다. * 뭉쳐야쏜다에서 소속 구단인 KCC의 정규 리그 우승 이후 대다수 주목은 송교창 선수가 받았지만 자신도 기량발전상 출신으로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본인도 SNS에 방송 촬영 소식을 팬들에게 알리면서 직접 찾아봤는데 아내가 더 유명세를 타면서 놀랄 정도였다. *외모는 개그맨 [[김두영]]과 프로게이머 [[도재욱]]을 많이 닮았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 * [[부산 KCC 이지스/선수단]] [[분류:1988년 출생]][[분류:농구 선수 자녀]][[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경복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포인트 가드]][[분류:슈팅 가드]][[분류:2011년 데뷔]][[분류:창원 LG 세이커스/은퇴, 이적]][[분류:상무 농구단/전역]][[분류:부산 KCC 이지스/현역]][[분류:농구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