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선의 2대 왕, rd1=정종(조선), other2=대한제국 시기에 황제로 추존되며 '정조'로 묘호가 바뀐 조선의 22대 왕, rd2=정조(조선))] [목차] == 묘호 == {{{+1 定宗[*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크게 염려함(安民大慮)], 貞宗, 靖宗, 正宗 }}} 동아시아의 군주가 사후에 받는 [[묘호]] 중에 하나이며, [[고려]]는 定宗, 靖宗, 貞宗을 묘호를 받은 3명과 [[조선]]은 定宗, 正宗을 묘호를 2명의 왕이 각각 동일 왕조 내에서 같은 음의 [[묘호]]를 받았다. === 定宗 === ||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 기간''' || '''비고''' || ||<#EDCEA9><-5> {{{#683235 '''한국사'''}}} || || [[정종(고려 3대)|왕요]](王堯) || [[고려]]정종[br](高麗定宗) || 지덕장경정숙문명대왕[br](至德章敬正肅文明大王) || [[945년]] ~ [[949년]] || 3대 대왕 || || [[정종(조선)|이경]](李曔) || [[조선]]정종[br](朝鮮定宗) || 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br](恭靖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 || [[1398년]] ~ [[1400년]] || 2대 왕 || ||<#EDCEA9><-5> {{{#683235,#fff '''중국사'''}}} || || [[이각(건왕)|이각]](李恪) || [[남당]]정종[br](南唐定宗) || 효정황제[br](孝靜皇帝) || - || [[남당]][[이변|열조]] 추존 || || [[귀위크 칸|보르지긴 귀위크]][br](孛兒只斤 貴由) || [[원나라|원]]정종[br](元定宗) || 간평황제[br](簡平皇帝) || [[1246년]] ~ [[1248년]] || [[쿠빌라이 칸|원세조]] 추존 || ||<#e3ba62><-5> {{{#683235,#fff '''총 수여자 4명'''}}}|| === 靖宗 === ||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 기간''' || '''비고''' || ||<#EDCEA9><-5> {{{#683235 '''한국사'''}}} || || [[정종(고려 10대)|왕형]](王亨) || [[고려]]정종[br](高麗靖宗) || 홍효안의강헌용혜대왕[br](弘孝安毅康獻容惠大王) || [[1034년]] ~ [[1046년]] || 10대 대왕 || ||<#e3ba62><-5> {{{#683235,#fff '''총 수여자 1명'''}}}|| === 貞宗 === ||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 기간''' || '''비고''' || ||<#EDCEA9><-5> {{{#683235 '''한국사'''}}} || || [[희종(고려)|왕영]](王韺) || [[고려]]정종[br](高麗貞宗)[* 이후 [[희종]](熙宗)으로 바꾸고 고종 때 시호를 추가했다.] || 성효대왕[br](誠孝大王) || [[1204년]] ~ [[1211년]] || 21대 대왕 || ||<#e3ba62><-5> {{{#683235,#fff '''총 수여자 1명'''}}}|| === 正宗 === ||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 기간''' || '''비고''' || ||<#EDCEA9><-5> {{{#683235 '''한국사'''}}} || || [[정조(조선)|이산]](李祘) || [[조선]]정종[br](朝鮮正宗)[* 이후 황제로 추존되며 [[정조]](正祖)가 되었다.] || 문성무열성인장효대왕[br](文成武烈聖仁莊孝大王)[* 이후에 정조경천명도홍덕현모문성무열성인장효선황제(正祖敬天明道洪德顯謨文成武烈聖仁莊孝宣皇帝)로 바뀌었다.] || [[1776년]] ~ [[1800년]] || 22대 왕 || ||<#e3ba62><-5> {{{#683235,#fff '''총 수여자 1명'''}}}|| == 문종의 [[부마]] 영양위 정종(鄭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종(부마))] == [[일본]]산 [[사케]] 중 하나 正宗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종(사케))] == [[십간]]에 따른 등급 중 丁種 == 한자 사용국가에서 4등급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정(丁)종을 영문으로 바꾼다면 [[D급]]이다. === [[징병검사]] 신체등급 중 6급 === 지금 한국의 [[징병검사]]에서 신체등급을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이라고 하지만 1984년까지는 갑종, 1을종, 2을종, 3을종, 병종, 정종, 무종이라고 불렀다. 이 중에서 정종이 6급인데, 병역이 완전히 [[면제]]되는 신체등급이다. == 대월 후 레 왕조 찐 주의 군주 == [[찐똥]] 문서로. [각주] [[분류:동음이의어]][[분류:묘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