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알쓸신잡 시리즈의 역대 출연진)] ---- ||<-2>
'''[[한국과학기술원|{{{#fff KAIST 교수}}}]][br]{{{+1 정재승}}}[br]Jeong Jaese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tarseoultv.com/461547_300582_4158.png|width=100%]]}}} || ||<|2> '''출생''' ||[[1972년]] [[5월 6일]] ([age(1972-05-06)]세) || ||[[서울특별시]] || || '''학력''' ||[[연북중학교]] {{{-2 (졸업)}}} [br][[경기과학고등학교]] {{{-2 ([[졸업]])}}}[br][[한국과학기술원]] {{{-2 ([[물리학]] / [[학사]])}}}[br][[한국과학기술원]] 대학원 {{{-2 ([[물리학]] / [[석사]] ∙ [[박사]])}}} || || '''현직'''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 [br][[KAIST]] 융합인재학부 학부장 || ||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sjeong3, 크기=22)] [[https://www.facebook.com/jaeseung.jeong.58|[[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 "한마디로, 그는 우리 사회에서 보기 힘든 '통섭형 인간'이다. 가령 과학, 예술, 인문학의 세 분야를 자유로이 횡단하면서 그는 '과학의 눈으로 본 예술', '인문학의 눈으로 본 과학' 등 다양한 하이브리드를 만들어낸다" >---- > [[진중권]], <은밀한 욕망을 엿보는 크로스 season 2>에서 인간의 뇌는 어떻게 선택을 하는가?를 연구하는 [[물리학자]]다. [[https://twitter.com/jsjeong3| 본인의 트위터]]에 쓰여 있는 자기 소개 문구. [[언론]]에선 물리학자라는 소개는 생략되고, 단순히 [[뇌과학|뇌과학자]]라고 소개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그 소개도 틀린 것은 아니지만, 정재승 박사는 학사, 석사, 박사 과정 모두 물리학으로 한 엄연한 물리학자다. [[뇌]]에서 일어나는 현상(선택)을 물리학 이론을 통해 연구한다. 현재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 연구 분야는 [[복잡계]] [[물리학]]에 속한다. [[뇌]]에서 일어나는 복잡계 현상에 대한 연구. 원래는 [[천체물리학]]을 연구하려 했다고 한다. 그런데 도서관에서 [[카오스]] 이론을 소개한 책을 읽은 후, 이제 막 새로 태동하는 학문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에 복잡계 물리학을 택하였다고 한다. 아래 인터뷰 참조 >[[파일:jamescaos.jpg]] > ><카오스>는 대학에 다니는 약 5년간 "나의 꿈은 천체물리학자다."라고 이야기했던 저를 한순간에 복잡계 물리학 분야로 이끈 책입니다. 천체물리학을 공부할 당시에 제 화두는 '이 우주가 탄생해서 어떻게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는가' 였는데,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이미 천재들이 만들어놓은 천체물리학이라는 학문을 쭉 다 공부한 다음에 마지막에 작은 돌 하나를 얹혀놓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굉장히 막막하고 있던 차에 이 책을 발견한 것이죠. > >이 책이 굉장히 감동적이었던 것은, 물론 카오스 개념이 굉장히 새롭고 매력적인 점도 있었지만, 이 책을 볼 당시 이 분야가 사실 연구된 지 2-30년밖에 안 되어서, 확실히 알고 있는 게 아직 많지 않았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 책의 내용 대부분은 어떤 현상을 발견했는데 이게 뭔지 모르겠다. 그런데 굉장히 신기하고 재미있지 않느냐? 이게 도대체 뭘까에 관해서 계속 질문을 던지고, 이걸 발견한 사람들의 이야기에요. 그런데 그 사람들이 지금 살아서, 나와 함께 이 연구를 하자고 기다리고 있는 선배 과학자인 거죠. '이 분야에 뛰어들면 새로운 분야의 학문이 만들어지고 어떤 모습으로 바뀌어가는 것을 내가 직접 목격할 수 있겠구나, 그리고 잘 하면 내가 거기에 기여할 수도 있겠구나' 하는 것이 이렇게 도전적이면서 좀 불확실하지만 아주 흥미로운 분야로 저를 이끌었습니다. > >가끔 이 제임스 글릭이라는 사람이 저에게 한 것처럼, '한 젊은이를 이 분야로 뛰어들게 만들고, 당신 때문에 이 분야를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라는 말을 누군가로부터 들을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그런 생각을 하면서, 가끔 책을 쓸 때 이 책을 봅니다. 이 사람은 어떻게 나를 유혹했지? 라는 생각을 하면서요. > >인터뷰 전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7981&cid=59153&categoryId=59153| 물리학자 정재승의 서재 - 정재승의 서재는 일요일의 공동묘지이다]] == 여담·일화 == *<[[한국야구학회]]>초대 회장을 맡고 있다. 프로야구 원년 [[백인천]] 이후 왜 4할 타자가 멸종했을까’라는 물음을 가지고 SNS를 통해 모집한 시민과 함께 ‘백인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했으며, 어린 시절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김용희]], [[최동원]]을 좋아할 정도로 굉장한 야구광이었다고 한다.[[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20&aid=0002438028|#]] *[[알쓸신잡]]에 출연하기 전에는 대중에 <과학 콘서트>로 가장 잘 알려져 있었다. 현실의 여러 사항들을 물리학적으로 분석한 사례들 또는 자신이 직접 분석한 것을 소개하는 책인데, 이 중 자신은 [[산타클로스]]가 물리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조건들을 분석하였다. 입담 자체가 이미 이 책을 서술하는 태도에서부터 끼가 있었고, 산타클로스를 분석하는 장에서는 [[소닉붐]]을 이유로 들며 조카에게 [[동심 파괴]]를 선사한 [[리처드 도킨스]]를 "리차드 도킨스, '''잔인한 과학자!'''"라면서 비판(?)하기도 했다. *[[왼손잡이]]이다. 위의 <과학 콘서트>의 백화전 관련 에피소드에서 '나 같은 왼손잡이가 아니라면'이라고 직접 언급한다. *2015년에는 [[팟캐스트]] <[[노유진의 정치카페]]>에 출연하여, [[인공지능]]에 대해 대담을 나눈 적이 있다. *[[김제동]]과 친분이 있으며, [[JTBC]] <[[김제동의 톡투유]]>게스트로 몇 차례 출연했다. *2017년에는 [[tvN]] 예능 프로그램인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시즌1에 출연해서 입담을 뽐냈으며, 막내 포지션을 맡아 [[팩트폭력]]을 거하게 날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7년에 [[JTBC]] <[[차이나는 클라스]]> 강연자로 출연해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로봇' 등 미래사회의 화두들을 가지고 강의하였다.~~[[하츠네 미쿠]]~~ *대중적인 명성과는 달리 미래에 대해 내놓는 예측은 상당히 낮은 적중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최근만 해도 알파고가 이세돌에게 참패한다는 예측은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에서 알파고가 단 1패만을 허용하며 빗나갔고, 비트코인에 대한 낙관적 전망 역시 훗날 암호화폐의 투기적 성향이 더 짙어지고 [[2022년 LUNA 대폭락]] 이후로 암호화폐 자체의 신뢰와 미래가 불투명해지며 빗나갔다. === [[방귀]] 박사(?), 방귀 석사(?) === 박사과정 시절, 영화 <덤앤더머>에서 [[짐 캐리]]가 방귀에 불을 붙히는 장면을 보고 "[[방귀]]에도 불이 붙을 수 있다"는 칼럼을 썼는데, <호기심 천국>작가가 보고 연락을 했다고한다. 이후 방송에 '''방귀 박사'''로 출연제의를 받았으나, '''방귀박사로 알려지게 된다면 계속 방귀 박사로만 기억되지 않을까'''란 고민을 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이후 지도교수에게 상담을 요청했는데 지도교수曰 : '''아직 박사 과정중인데 박사로 나가면 그거 [[학력위조]] 아니냐?''' 즉 '방귀'가 문제가 아니라 '''박사'''가 문제였다. 결국 제작진 측에게 방귀박사가 아닌 방귀'''석사'''로 하는 건 어떠냐고 물어봤는데 어감이 안 산다고 해서 출연을 고사했다고 한다. 그리고 호기심 천국 해당 에피소드는 실제로 방귀에 불을 붙이는데 성공했고, 여러모로 레전드 에피소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당시 만약 출연했다면 정말로 대중들에게 방귀 박사로 각인되었을지도. [youtube(myNllx_PYYo)] 이 일화는 훗날 <알쓸신잡>에서도 다시 소개했는데, 정재승 교수는 일화를 소개하기 앞서서 얘기가 길다며 먼저 운을 띄우고 시작했다. 이후 정 재승의 얘기를 다 듣고 나서, 당시 같이 출연했던 모든 출연진(유시민, 황교익, 유희열, 김영하)들은 대폭소를 하기도... === [[문재인]]과의 인연 === 2016년 말, [[박근혜]] 탄핵 소추로 인해 조기 대선이 가시권에 들어오던 때, 대권 도전을 염두에 두고 있던 [[문재인]]에게 컨설팅(신경정치학 일대일 특강)을 해준 적이 있다. (아래 기사 참조) 그리고 시사인과의 인터뷰에서 문재인이 질문이 많고 학습능력이 탁월하다면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슈로 정국이 떠들썩하던 지난해 연말, 정 교수는 아주 독특한 신경정치학 특강을 했다. 수강생은 사실상 한 명이었다. 질문이 유난히 많고 학습능력이 탁월했다. 정 교수가 더 인상적으로 기억하는 대목은 따로 있다. “이분이 내 얘기를 듣고는 본인이 잘못한 사례를 자기 입으로 쭉 말씀하시더라고요. 조언을 구하는 리더를 여럿 만나봤지만, 아픈 지적을 들으면 결국 자기변명을 하는 리더가 아주 많습니다. 그런데 이분은 그런 게 없더라고요.” 이 독특한 학생은 올해 대선에 출마했고, 지금은 청와대에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308&aid=0000021584|기사 전문 보기]] 한편 2017년 4월 제19대 대선 운동이 한창이던 때, [[홍준표]] 당시 후보의 이른바 [[돼지발정제]] 일화와 관련하여 홍 후보의 사퇴를 촉구하며 “홍준표의 사퇴가 내가 지지하는 후보에게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를 통해 정 교수는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54&oid=032&aid=0002782540|#]] 실제로도 뒤에 정 교수는 두 번의 대선(제18대 대선, 제19대 대선)에서 모두 [[문재인]] 후보를 찍었다고 밝힌 바 있다. [[파일:l042301003154200256101.jpg]] 다만 2019년 이후에는 정치적 입장을 거의 드러내지 않고 있다. === [[창조과학]]에 대한 생각 === [[창조과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생각을 밝힌 바 있다. [[파일:0002813965_002_20170828205920398.jpg]] 참고로 정재승 교수가 위와 같은 글을 남긴 것은 [[한국창조과학회]] 이사를 지낸 [[박성진(교수)|박성진]] 교수가 [[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으로 지명돼 촉발된 논란이 계기가 되었다. 한편 박 교수는 인사청문회에서 [[어린 지구설|지구 나이가 5천살]]임을 믿는다고 언급하여 더욱 논란이 되었다. 거기에 [[뉴라이트(대한민국)|뉴라이트]] 성향 의혹, [[변희재]] 초청 의혹 등까지 겹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청문위원들조차 임명 반대로 돌아섰고[[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8&aid=0002379663|#]], 결국 박 교수는 청문회 직후 자진 사퇴했다. === [[박기영(교수)|박기영]] 임명 반대 === [[문재인 정부]]의 초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 [[박기영(교수)|박기영 교수]]가 지명되었는데, 박 교수는 [[황우석]] 사태와 관련된 인물이어서 임명의 적절성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 특히 과학기술계 내부에서는 임명 반대의 목소리가 컸다. 당시 정재승 교수도 박 교수의 자진 사퇴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표명했는데, 이에 [[문빠|일부 강성 문재인 지지자들]]로부터 '혹시 대선 때 [[안철수]] 찍었냐', '[[바른정당]]을 지지하느냐'는 등의 공격을 받았다. 그러자 정 교수는 SNS에 글을 올려 "(2012년 대선과 2017년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에 두 번 모두 투표했다"고 해명했다.[[https://twitter.com/jsjeong3/status/896021628026368000|#]] 2012년 대선 당시에는 문재인보다 안철수측을 더 지지하는 듯한 발언을 한 적이 있다. 문재인이 소속 되있던 [[민주통합당]]의 요청을 안철수측 요청보다 부담스럽고 신뢰가 높지 않다며 거절한 적이 있다. [[http://news.joins.com/article/9405277|정재승 "안철수, 혁신에 대한 개념 명확, 나와 공감 이뤄"]] [[파일:mjp110817.png]] === [[암호화폐]] 관련 토론 === 암호화폐와 관련해서 [[유시민]] 작가와 SNS상에서, 그리고 [[JTBC]]에서 토론을 했다. 자세한 사항은 [[JTBC 뉴스룸/긴급토론 - 가상통화 신세계인가, 신기루인가]] 문서 참조, == 논란 == === [[나꼼수]] 콘서트 [[카이스트]] 대관 관련 === 2011년 <[[나는 꼼수다]]>의 콘서트를 [[카이스트]]에서 열기로 하고 카이스트에 대관 신청을 했는데 카이스트 측에서는 내년(2012년)에 총선과 대선이 있는데, 카이스트가 정치적으로 휘말리는 것이 염려된다며 나꼼수의 대관 신청을 거부하였다. 이 대관신청 과정에 '''정재승 교수가 관여한 사실'''이 알려졌고, 결국 콘서트가 취소되자 비판을 받았고, 정 교수는 자신의 SNS에 사과문을 남겼다.[[http://news.mt.co.kr/mtview.php?no=2011110809314135039|#]] === [[알쓸신잡]] [[원전]] 발언 관련 === [[http://news.joins.com/article/21734954|'알쓸신잡' 발언으로 항의받은 정재승 교수]] 2017년 6월 30일 [[tvN]] <알쓸신잡>에서 정재승과 유시민은 문화재가 밀집한 [[경주시|경주]]에 <[[월성 원자력 본부|원자력 발전소]]>가 있다는 사실을 전하며 원전의 위험성을 알리고 국내 에너지 산업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차차 줄여가야 한다고 발언했는데 방송 후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출신들의 지적과 비판을 받았다. 그 후 정재승은 자신의 SNS에 "방송에서의 발언은 늘 조심하면서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하게 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때 [[자유한국당]]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알쓸신잡>에서 "해당 방송의 출연진은 원자력발전과 관련해 사실과 다르거나 논란이 있는 내용을 100% 확정된 사실이거나 정설로 느낄 만한 발언을 했다"며 방송심의를 신청하기도 했다. === [[세종시]] 도시건설 사업 총책임자 임명 논란 === 정재승 교수는 [[문재인 정부]] 때 [[세종시]] 스마트시티 도시건설 사업 총괄 책임자로 임명되었는데, 이에 대해 [[건축]], [[건설]], [[토목]]과는 전혀 무관한 평생 [[물리학]]을 전공하고 현재 뇌과학 전문가인 그가 도시개발 부동산 사업의 책임자로 임명된 것은 부적절한 인사라는 논란이 있다. 문재인 정부는 정재승 교수가 과거 [[중국]] 스마트시티 사업에 참여한 경력을 선정 근거로 제시했지만 이 [[중국]] 사업이 실체가 없다는 사실이 [[TV조선]] 탐사보도 세븐에서 밝혀졌다. === [[방송교수]](Telefessor) 논란 === [[파일:정재승평가.jpg]] (이후엔 더 낮아졌다.) 재학생, 졸업생들 사이에서는 여러 방송에 출연하느라 [[방송교수]]가 되었고 정작 본업인 교수로서의 일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있다. 심지어, 방송활동 때문에 제자의 졸업이 미뤄지는 문제도 일으켰다. 마찬가지로 [[알쓸신잡]]에 출연하고 방송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유현준(건축가)|유현준]] 교수나 [[김상욱]] 교수는 이런 논란이 없다. 다만 [[유현준(건축가)|유현준]], [[김상욱]] 교수에 비해 정재승 교수가 소화해야할 교수 업무량이 훨씬 많기는 하다.[* 유현준 교수는 건축 본업을 겸하며 실무를 가르치는 교수라 이론 교수보다 수업일수가 적고 급여도 삭감해서 받는다. 그리고 [[김상욱]] 교수는 [[부산대학교]] 시절에는 대학원생이 극히 적은 물리교육과 교수였고, [[경희대학교]]로 옮긴 뒤에도 대학원생을 많이 지도하고 있지 않다. 반면 정재승이 교수로 있는 [[KAIST]]는 대학원 중심이라 대학원생을 일정 수 이상 빡세게 지도해야 한다.] == 책 / 칼럼 등 == === 저서 === * <열두 발자국>, 어크로스 * <시네마 사이언스>, 아카데미서적 * '''<과학 콘서트>''' , 동아시아(초판), 어크로스([[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392372|개정판]]) : 국내 자연과학 분야 베스트셀러에서 늘 상위권에 드는 책이다. *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어크로스 : 한국판 [[위험한 과학책]](랜들 먼로 저), [[공상과학독본]]([[야나기타 리카오]] 저)라고 볼수 있다. 3명 다 물리학자다 보니 다른 분야에 가끔 오류가 발생하는 점도 동일하다. *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어크로스 : 둘 다 동아시아판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를 두 권으로 나눈 것이다.1999년작인 용가리가 1998년작이라고 나온다. 영화속 과학 학교라는 제목으로 만화로 나왔는데 등장하는 영화중 일부만 다루었고 아예 원작에 없는 영화도 등장한다. * <있다면? 없다면!>, 푸른숲주니어 * <정재승의 도전 무한지식> 전 3권, 달 : 2권까지는 전희주 작가 공저 * <크로스> 전 2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교수 공저 * <쿨하게 사과하라>, 어크로스, 김호 공저 * <[[백인천]] 프로젝트>, 사이언스북스, 이민호 PD 외 3명 공저 * <[[정재승의 인간탐구보고서]]> ,정재은, 이고은 글/ 김현민 그림/ 정재승 기획 === 연재물 === * [[http://h21.hani.co.kr/arti/COLUMN/98/|진중권과 정재승의 크로스]](연재종료) - [[한겨레21]]: 이 연재물은 이후 <크로스>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간되었다. * [[http://www.hani.co.kr/arti/SERIES/737|정재승의 영혼공작소]] - [[한겨레]] === 정재승이 말하는 '내 인생의 책' === * 세계수학문화사, 김용운 저 * 카오스, 제임스 글릭 저 * [[빈 서판]], [[스티븐 핑커]] 저 * 트래픽, 톰 밴더빌트 저 선정 이유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7981&cid=59153&categoryId=59153|여기]]에서 볼 수 있다. === 정재승의 추천 도서 === *[[http://book.naver.com/bookshelf/bookshelf_recommendbook_list.nhn?contentsId=53469|정재승의 추천 도서]] [[분류:대한민국의 물리학자]][[분류:이학 교수]][[분류:1972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한국과학기술원 출신]][[분류:경기과학고등학교 출신]][[분류:한국과학기술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