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같은 이름의 다른 정당, rd1=정의당(동음이의어))] ||<-5>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d, #00a44d)" [[대한민국 진보정당|{{{#fff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진보정의당|{{{#ff007f 진보정의당}}}]][br]{{{-3 (당명 변경)}}} ||<|4> {{{+1 →}}} ||<|4> {{{#000 '''정의당'''}}} ||<|4> [[정의당 분당|{{{+1 →}}}]] || [[녹색정의당|{{{#007C36 녹색정의당}}}]][br]{{{-3 (당명 변경)}}} || || [[국민모임|{{{#eb8530 국민모임}}}]][br]{{{#!html
(창준위)}}} || [[미래대연합|{{{#07a6e8 미래대연합}}}]][br]{{{-3 ([[대안신당당원모임]])}}} || || [[노동정치연대|{{{#ea4b24 노동정치연대}}}]] || [[새로운선택|{{{#1AD199 새로운선택}}}]][br]{{{-3 ([[세 번째 권력]])}}} || || [[평등사회네트워크|{{{#ffc0c0 평등사회네트워크}}}]][br]{{{#!html
(창준위)}}} || [[사회민주당(2024년)|{{{#F58400 사회민주당}}}]][br]{{{-3 ([[새로운진보]])}}} || || [[녹색정의당|{{{#007C36 녹색정의당}}}]][br]{{{-3 (당명 변경)}}} || {{{+1 →}}} || {{{#000 '''정의당'''}}} || {{{+1 →}}} || (현재) ||}}}}}}}}} || ||<-2> [[파일:정의당 로고.svg|width=250&theme=light]][[파일:정의당 로고 흰색.svg|width=250&theme=dark]] || ||<-2>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623E91 33.5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00A366 55px, transparent 55px), linear-gradient(315deg, #E8306D 76.5px, transparent 76.5px)" {{{#000 '''정의당'''}}}}}} || || '''영문 명칭''' ||Justice Party || || '''슬로건''' ||'''노동의 희망, 시민의 꿈''' || || '''고유번호''' ||107-82-16814 || || '''등록일''' ||[[2012년]] [[10월 31일]] ,,([[진보정의당|{{{#FF007F 진보정의당}}}]]),, || ||<|3> '''당명 변경''' ||[[2013년]] [[7월 21일]] ,,('''{{{#ffed00 정의당}}}'''),,|| ||[[2024년]] [[1월 30일]] ,,([[녹색정의당|'''{{{#007C36 녹색정의당}}}''']]),,|| ||[[2024년]] [[5월 20일]] ,,([[정의당|'''{{{#ffed00 정의당}}}''']]),, || || '''주소'''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 국회대로70길 7 정의당 중앙당사, 너비=100%)]}}}[[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국회대로70길]] 7,[br]동아빌딩 5층 ([[여의도동]])[* 정의당 서울시당(4층), [[정의정책연구소]](6층)와 같은 건물이다.]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대표'''}}} ||[[권영국|권영국]] || || '''사무총장''' ||[[나순자]]|| || '''정책위의장''' ||공석 || ||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D00 0%, transparent 0%)" '''{{{#fff 0석 / [include(틀:국회 의석수)]석 (0%)}}}'''}}} || || '''광역자치단체장'''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D00 0%, transparent 0%)" '''{{{#fff 0석 / 17석 (0%)}}}'''}}} || || '''기초자치단체장'''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D00 0%, transparent 0%)" '''{{{#fff 0석 / 226석 (0%)}}}'''}}} || || '''광역의회의원'''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D00 0.22%, transparent 0.22%)" '''{{{#fff 2석[* 비례대표 2석.] / 872석 (0.22%)}}}'''}}} || || '''기초의회의원'''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D00 0.23%, transparent 0.23%)" '''{{{#fff 7석[* 지역구 6석, 비례대표 1석.] / 2,988석 (0.23%)}}}'''}}} || ||<|4>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ED00; border: 1px #FFED00; border-radius: 2px; padding: 3px 4px" {{{#000 너랑노랑 {{{-2 (#FFED00)}}}}}}}}}[* 2021년 12월 17일부터 사용. 이전에 사용하던 색상은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CC00; border: 1px #FFCC00; border-radius: 2px; padding: 3px 4px" {{{#000 노랑 {{{-2 (#FFCC00)}}}}}}}}}]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8306D; border: 1px #E8306D; border-radius: 2px; padding: 3px 4px" {{{#fff 피땀빨강 {{{-2 (#E8306D)}}}}}}}}}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A366; border: 1px #00A366; border-radius: 2px; padding: 3px 4px" {{{#fff 산들초록 {{{-2 (#00A366)}}}}}}}}}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623E91; border: 1px #623E91; border-radius: 2px; padding: 3px 4px" {{{#fff 평등보라 {{{-2 (#623E91)}}}}}}}}} || || '''정책연구소''' ||[[정의정책연구소]] || || '''후원회''' ||[[http://www.chakaopay.org/|정의당후원회]] || || '''[[정당/청년조직|{{{#000000,#ffed00 청년조직}}}]]''' ||[include(틀:청년정의당)] || || '''당원 수''' ||48,892명[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3),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129&bcIdx=195209|2022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3년 11월 28일 확인), p13. ][* 즉 2022년 통계이기에 [[정의당 분당|당 내부의 분열]] 이후인 2024년 현재는 3만명 이하일 가능성이 높다. 녹색당처럼 당원 수의 절반 정도가 진성당원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2만 4천명 정도로 어림 잡을 수 있다.]}}} || || '''진성당원 수''' ||15,042명 ,,(2024년 5월 기준)[* 제8기 전국동시당직선거 대표단 선출],, || || '''중앙당직자 수''' ||8명 ,,(2024년 6월 기준)[* 22대 총선 이후 정당보조금을 받지 못함에 따라 40명이었던 당직자 수를 8명으로 줄이게 되었다. 이는 노동조합이나 시민단체 상근자보다도 못한 숫자여서 사실상 정당으로서의 기능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 || '''정당보조금''' ||3,214,976,300원[br] ,,(2023년 총지급액),, || || '''당비 수입''' ||3,587,000,000원[br]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후원회기부금''' ||835,000,000원[br]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재산총액''' ||−3,132,000,000원[* 중앙당 기준 액수로, 자본보다 부채가 더 많아 총액이 마이너스인 [[자본 잠식]] 상태에 놓여 있다. 그래도 한때 빚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었으나,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선거 비용으로 많은 돈을 지출했음에도 저조한 득표율로 원외 정당이 되면서 국고보조금 수급 요건에도 미달하여 재정 지원도 받지 못하게 되었다. 향후 재정 부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중.][br] ,,(2022년 12월 31일),, || ||<-2> [[https://www.justice21.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youtube.com/channel/UC4KdOy46f0HCJBqTiq7MLP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https://facebook.com/justice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s://instagram.com/justice_part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크기=23, 링크=Kr_Justice)] | [[https://pf.kakao.com/_WmTnxd|[[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정의당 2024.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623E91 33.5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00A366 55px, transparent 55px), linear-gradient(315deg, #E8306D 75px, transparent 75px)" '''{{{#000 정의당 7·8기 지도부 이·취임식에서 당기를 흔드는 권영국 신임 대표}}}'''}}} || [[대한민국]]의 원외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 == 약력 == [[통합진보당]] 당권파의 [[종북]] 논란과 패권주의를 비판해온 비당권파 인사들이 탈당하여 창당을 결의하면서 출발하였다. 2012년 10월 18일 '[[진보정의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하였으며, 2013년 7월 21일 '정의당'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2014년 [[통합진보당]]이 [[헌법재판소]]의 위헌정당해산심판 결과 [[통합진보당 해산|위헌정당으로 판단되어 강제 해산]]되고 소속 의원들이 모두 직을 상실하면서 유일한 원내 진보정당에 등극하였다. 2015년 11월 22일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에서 집단 탈당한 [[평등사회네트워크]], [[노동정치연대]], [[국민모임]]의 입당을 받아들이며 세를 불렸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해 6석(지역구 2석, 비례대표 4석)을 확보하며 한 석을 늘렸다. 그해 말 전국을 뒤흔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정농단 사태 당시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과 함께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에 동참하였으며, 이듬해인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 [[심상정]] 의원을 후보로 내세워 6.17%를 득표함으로써 진보정당 역사상 대선 최고 득표율을 달성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광역의원 11명, 기초의원 26명을 당선시키며 당시 원내 제3당이었던 [[바른미래당]]보다 많은 당선자를 배출하는 성과를 냈다. 이 시기 [[노회찬]] 의원의 사망에 대한 추모 열기와 함께 당 지지율이 무려 15%를 기록하는 등 당시 제1야당 [[자유한국당]]의 지지율을 제치고 진보정당 역대 최고 지지율을 갱신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지지율에 비해 [[대한민국 국회|국회]] 의석수를 매번 턱없이 적게 얻어가는 단순다수대표제-[[소선거구제]] 구조의 국회의원 선거제도를 개혁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과 공조했지만 당 차원에서 주장해온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온전히 관철하지는 못했으며, [[연동형 비례대표제/대한민국|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하는 선거법 개정에 동참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일명 '[[조국 사태]]' 등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비판받는 지점에 애매모호하게 대응한다는 지적을 받았고, 거대 양당 지지층으로부터 상대 당의 2중대라는 비판을 받으며 양당 구도가 격화되는 가운데 지지율이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모두 [[대한민국의 비례위성정당|비례대표 선거에만 참여하는 위성정당]]을 창당함에 따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무력화되면서, 정당 득표율 9.67%에 못 미치는 의석 확보로 직전 총선 결과와 똑같이 6석(지역구 1석, 비례대표 5석)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이후 별다른 지지율 반등의 계기를 만들어내지 못한 가운데 거대 양당을 중심으로 지지세가 결집되는 진영 갈등 양상 속에 존재감을 점차 잃어갔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심상정]] 의원을 다시 후보로 내세웠으나 직전 대선 때보다 낮은 2.37% 득표에 그쳤고, 같은 해 치러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광역의원 2명, 기초의원 7명을 당선시키는데 그치며 직전 지선에 비해 적은 당선자를 배출한 것은 물론 [[통합진보당]] 당권파 인사들이 다수 합류한 [[진보당(2020년)|진보당]]에 밀리는 성적을 받았다. [[강서구청장(서울)|서울 강서구청장]] 한 자리만을 두고 치러진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 역시 [[권수정]] 후보가 1.83%라는 저조한 득표율을 얻으며 종료되었고, 각종 여론조사에서 당 지지율이 1~3%대를 맴돈다는 결과가 발표되며 차기 총선에서 원외 정당으로 굴러떨어질 수 있다는 위기론이 제기되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당의 선거 전략과 노선을 확정하는 문제로 분열이 일어나, [[더불어민주당]]과의 연대나 제3지대 합류를 주장하는 계파가 연이어 집단 탈당하는 부침을 겪었다. 최종적으로 '선거연합정당'을 표방하며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과 연대를 선언하였고, 당명을 '[[녹색정의당]]'으로 바꾸고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인사들의 개별 입당을 받아들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임했다. 그러나 정당 득표율이 2.14%에 그쳐 3%에 미달하고 후보자 전원이 낙선하면서 창당 12년 만에 원외 정당으로 전락하는 충격적인 결과를 받게 되었다. 총선 후 2024년 4월 27일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인사들이 원래의 소속 당으로 되돌아가면서 당명을 다시 '정의당'으로 바꾸었다. 2024년 5월 30일부로 [[제22대 국회]] 임기가 시작되어 원외로 밀려나면서 유일하게 지방의회 의석을 보유한 원외 정당이 되었다. == 로고 == || [[파일:정의당 로고.svg|width=200]] || [[http://www.justice21.org/newhome/about/info021.html|로고 소개]] '정의당'이라는 문구 위에 '브이' 마크는 정의당의 '''심볼 마크'''로 노동(Labor)과 자유(Liberty)의 '''L'''을 의미하며 L을 시각화 하는 과정에서 승리(Victory)의 '''V'''라는 형상화를 통해 '''"정의는 승리한다"'''라는 간접적인 메세지와 더불어 '''체크(check/✓)'''를 통해 ''''정의당에 [[투표|체크]]하면 복지국가를 앞당긴다''''라는 메세지도 동시에 전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노동을 기반으로 시민의 자유와 넓은 복지 국가의 원리 실현'''이라는 정의당의 핵심가치를 표현해주는 상징적 의미 또한 가지고 있다. 당 로고에서 '정의당'의 서체는 '길'을 형상화해 정의당에서 직접 개발한 것이다. '길'을 형상화 하는 서체를 통해 ''''정의당이 가는 길이 진보의 미래''''라는 의미를 담고자 했으며 '정의'를 향해 달려가는 길을 하나의 선으로 형상화 하고, 이를 다시 단순화 하는 과정을 거처 로고를 제작했다고 한다. 당명 변경 당시에는 진보정의당 시절 로고를 재활용하였으나, 2014년 1월 14일에 지금의 로고 형식으로 바뀌었다. 또한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 로고의 색은 '''#FFCC00{{{#FFCC00 ■}}}''' 이었지만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로고 색을 '연대와 공존'의 의미를 가지는 '''너랑노랑{{{#FFED00 ■}}}''' 색으로 바꿨다. 서브 컬러로는 '노동'을 의미하는 '''피땀빨강{{{#E8306D ■}}}''', '환경과 기후'를 의미하는 '''산들초록{{{#00A366 ■}}}''', '젠더와 성평등'을 의미하는 '''평등보라{{{#623E91 ■}}}'''가 규정되어 있다. 노란 배경색에 들어가거나 추모용 현수막에서 검은 바탕 위에 올릴 때는 로고 이미지가 흰색으로 바뀐다. [[마스코트]]로는 [[땀이]]가 있다. 땀이는 텔레그램 [[https://t.me/addstickers/JusticeParty|스티커로도 출시]] 되었다. 정책캐릭터로는 [[http://www.justice21.org/65279|정의가족]]이 있다. [[삼자삼엽]]의 테루를 닮은 문화예술위원회 캐릭터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_view.html?num=63904|문정이]]도 있다. == 강령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hePsychedelicAndWoebegoneSilk, 합의사항1=강령 등 제규칙과 의결기구의 의결로 확인되는 것만 이념에 싣기)] {{{#!wiki style="border-top: 5px solid #FFED00; border-bottom: 2px solid #FFED00;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623E91 33.5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00A366 55px, transparent 55px), linear-gradient(315deg, #E8306D 75px, transparent 75px); text-align: center" {{{#FFED00 {{{+1 '''[[파일:정의당 로고.svg|height=25&theme=light]] {{{#FFED00,#fff 강령}}}'''}}}}}}}}}{{{#!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rgba(125,125,125,.03); border-bottom: 2px solid #FFED00; text-align: center" {{{#!folding [ 강령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5px" '''함께 행복한 정의로운 복지국가를 향하여''' '''"우리는 진보정치의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며 이 강령을 채택한다"''' '''진보정치의 혁신과 정의당''' 정의당은 끊임없이 혁신하고 진화하는 진보정당이 될 것이다. 식민과 분단, 억압과 착취에 맞서 온 진보정치의 자랑스러운 전통을 계승하는 한편, 현실에 맞지 않는 오류와 한계는 극복할 것이다. 우리는 일하는 사람들의 정당이다. 일하는 모든 사람의 권리를 보호하고 확대하기 위해 폭넓은 연대를 주도할 것이다. 우리는 비정규직의 정당이다. 비정규직, 영세 자영업자, 청년 구직자와 같이 노동권의 사각지대에 있는 약자를 대표하는 데 우선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우리는 꿈꾸는 현실주의자들의 정당이다. 진보의 가치를 소중히 이어 가지만 낡은 이념에 스스로를 가두지 않고, 누구의 비전과 정책이라도 참고해 나갈 것이다. 새롭게 대두되는 과제의 해결 방법을 찾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이다. 이상을 향해 나아가지만 지금 가능한 변화를 추구할 것이다. 우리는 민주주의자들의 정당이다. 민주주의는 사회의 진보를 이루는 최선의 방법이며, 정당은 시민이 민주정치에 참여하는 최고의 방식이다. 승자 독식을 추구하는 정당과 세력에는 단호히 맞서고, 설득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정치를 통해 대한민국의 실질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확신한다. '''우리의 현실, 승자 독식의 불행한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지금 행복하지 않다. 양극화와 불평등은 점점 극심해지고 있다. 개발 독재의 특권과 특혜가 키워 낸 거대 재벌은 독식 성장을 계속해 왔다. 반면 노동자의 삶은 더욱 위태로워졌고 농민과 빈민은 희생되었으며 중소기업과 영세 자영업자는 설 자리를 잃어버렸다. 신자유주의 세계화는 민영화, 유연화, 감세와 규제 완화를 밀어붙여 양극화를 더욱 극심하게 만들었다. 재벌과 국제 금융자본은 초국적 블록을 형성해 경제는 물론 사회 전 영역을 지배하며 우리 사회를 승자 독식 사회로 폭력적으로 재편해 왔다. 소수 부유층은 사회적 특권을 형성하고 대를 이어 자신들만의 특혜를 향유하고 있다. 재벌대기업의 나홀로 성장은 계속되고 있으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다. 패자부활전은 사라지고 계층 상승의 사다리는 끊어졌다.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불평등은 청년들을 좌절로 몰아가고 있다. 노동권의 모든 지표는 경제 규모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소수의 횡포와 심각한 불평등을 방치한 대가는 공동체의 위기이다. 무자비한 경쟁과 적자생존의 사회는 동료 시민에 대한 배려와 협력을 파괴한다. 강자에 의한 배제와 폭력이 일상화되며, 경쟁에서 도태된 이들의 절망은 극심해지고 있다. 여성과 장애인, 이주민과 성소수자는 배제와 폭력의 가장 큰 희생자가 되고 있다. 승자 독식과 탐욕은 생태 파괴의 주범이다. 다량의 물질 자원과 에너지를 소모해 온 고도성장은 우리 생태계를 망가뜨렸다. 4대강 사업과 같은 대규모 생태 파괴를 공공연히 자행하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일어난 일본의 바로 옆 나라임에도 원전 확대를 멈추지 않고 있다. 원전은 핵폐기물을 비롯한 감당 불가능한 환경적 부담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수습하기 어려운 재앙을 예고하고 있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는 성장 만능, 승자 독식 사회가 빚어낸 비극이다. 기업의 탐욕과 관료 마피아의 특권 및 특혜는 도처에서 시민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무능한 정부와 무책임의 정치가 비극을 키웠다. 이제 대한민국의 좌표를 사람 우선, 생명 우선으로 과감하게 바꾸는 전 방위적인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 '''우리의 목표, 정의로운 복지국가를 향해''' 대한민국은 더 행복해져야 하고 더 행복해질 수 있다. 누구나 행복을 추구하며 행복을 누릴 권리가 있다. 얼마나 행복한가는 경제적 보상의 크기뿐만 아니라 총체적인 삶의 질에 달려 있으며, 공동체는 서로 협력해 좋은 삶의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우리는 승자 독식을 넘어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정의로운 복지국가로 나아갈 것이다. 정의로운 복지국가는 먼 미래의 이상이 아니다. 집권한 정의당 정부가 만들어 갈 대한민국의 새로운 모습이다. 정의로운 복지국가는 생애 전 과정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누구나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스스로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공정한 환경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정의로운 복지국가는 국가 운영의 목표와 발전의 척도를 바꿀 것이다. GDP 중심의 양적 성장은 더 이상 발전의 척도가 될 수 없다. 일에 대한 존중과 안정, 공평한 소득분배, 일과 여가의 균형,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 공동체 참여, 문화의 향유 등 삶의 질을 결정하는 모든 분야를 개선해 국민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 국가 운영의 목표가 될 것이다. 정의로운 복지국가는 보편적 복지에 머무르지 않고 시장과 자본의 탐욕을 감시하고 조정해 분배의 격차를 줄여 가는 정의로운 심판관이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가치의 투자자가 될 것이다. 정의로운 복지국가는 백년 앞을 내다보고 미래 세대와 자원을 공정하게 배분하는 미래의 기획자가 될 것이다. '''정의로운 복지국가 7대 비전''' '''(1) 민주주의를 위한 정치 개혁과 강한 정당''' 일하는 사람들과 사회적 약자들이 정치에 참여하고, 정치를 통해 대표될 때 민주주의는 강해진다. 더 많은 민주주의만이 시장의 실패와 자본주의의 탐욕을 제어하고 사회 전체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불평등과 양극화로 피폐해진 우리 사회에서 민주주의의 강화는 정의로운 복지국가로 가기 위한 필수적 과제이다. 우리는 일하는 사람들을 대변할 수 있는 정치체제를 만들어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발전시킬 것이다. 시민의 다양한 정치 참여를 촉진해 각계각층의 요구가 제대로 반영된 정치제도를 만들 것이다. 지역 독점과 단순다수대표제에 기대어 누려 온 양당의 특권은 폐지되어야 한다. 우리는 독일식 정당명부비례대표제와 대통령 결선투표제 등 비례성과 대표성이 높은 선거제도 도입을 시작으로 과감한 정치 개혁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정당은 변화를 만드는 최선의 도구이다. 정당정치의 발전 없이 민주주의 발전은 있을 수 없다. 강한 정당만이 시민의 삶을 지키고 발전시킬 수 있다. 우리는 시민이 참여하고 당원이 주인이 되는 시민 참여, 당원 기반의 대안적 정당 모델을 앞장서 실천할 것이다. 정당의 책임 정치를 더욱 강화하고 민주주의 발전을 주도해 갈 것이다. 이를 위해 정당 참여와 활동을 제약하는 낡은 정당법과 정치관계법을 전면적으로 개혁할 것이다. 지방 정부의 자치권을 대폭 강화해 중앙 정부와 수평적인 분업-협력 관계를 구현하고, 주민 참여를 확대해 풀뿌리 민주주의를 활성화할 것이다. 수도권과 지방, 지방과 지방, 도시와 농촌 사이의 격차와 차별을 극복하고 균형 있고 특색 있는 발전을 도모할 것이다. '''(2) 한국 자본주의의 민주적 개혁과 대안의 경제 체제''' 우리는 자본의 탐욕을 민주적으로 통제하고 분배의 정의를 실현하며, 한국 자본주의의 구조적 개혁을 이룰 것이다.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토지와 주택의 과도한 집중을 막고 효율적 분배와 관리를 위한 공공의 통제를 강화할 것이다. 투기자본을 강력하게 규제하고 금융의 공공성을 높여갈 것이다. 불평등한 경제 협정을 개정・폐지하고 양자 간 자유무역협정 중심에서 당사자 모두에게 상호·호혜적인 통상 정책으로 전환할 것이다. 노동자와 협력 기업, 소비자와 지역 주민이 다양한 수준과 방식으로 기업 경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우리 실정에 맞는 공동 결정 제도를 도입해 기업 경영을 민주화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확대해 갈 것이다. 우리는 경제 구조의 양극화를 극복하고 경제 민주화를 실현할 것이다. 재벌의 소유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혁하고 부당한 방법을 통한 부의 세습을 끊어 낼 것이다. 재벌의 무분별한 사업 영역 확장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불공정 행위에 대한 징벌 제도를 강화할 것이다. 중소 자영업자의 상권과 업종을 철저히 보호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약탈적 행위를 차단하며,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을 육성할 것이다. 우리는 소득 주도 성장을 통해 모두를 위한 경제 성장을 이룰 것이다. 노동에 대해 정당한 대가를 보장하고 차별을 해소하며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해 완전고용을 지향할 것이다. 농어업・농어촌・농어민은 생명의 원천이자 국가의 기반이다. 우리는 식량 주권을 지키고 농어민의 기본 생활을 보장할 것이다. 농어업, 농어촌에 대한 장기 계획과 전략적인 투자를 통해 새롭고 젊은 농어민을 육성하며 농어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농어촌을 생태 협동 사회로 만들어 갈 것이다. 우리는 대안의 경제 체제를 모색해 갈 것이다.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기본 조건을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제공할 것이다. 필수적인 식량・에너지・문화・교육・복지・의료・안전은 물론 전파와 정보통신망 등 공공의 재화와 서비스를 시장에만 맡기지 않을 것이다. 국가와 사회는 이러한 공공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정하게 분배할 것이다. 시장과 국가가 맡기 어렵거나 적절치 않은 경제 영역은 협동조합을 비롯한 사회적 경제가 담당하고, 더 나아가 사회적 경제의 영역을 시장경제가 담당하는 영역으로까지 점차 확산할 것이다. 특히 생태・영세상공업・농업 분야에서 사회적 경제의 역할은 매우 소중하며 우리는 이를 보호하고 확대할 것이다. 우리는 공동체의 번영을 위해 사적 소유, 공적 소유, 사회적 소유가 균형을 이루게 할 것이다. 공정한 시장경제, 정의로운 공공 경제, 협동의 사회적 경제가 서로를 보완하고 촉진하는 새로운 상생의 경제 체제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3) 생태 기반의 지속가능 사회''' 압축적인 고도성장은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지만 이제 생태계를 파괴하고 우리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재앙을 안기고 있다. 지속가능한 성장은 왜곡되었으며 생태 문제를 녹색 산업으로 해결하겠다는 또 다른 성장주의가 만연해 있다. 우리는 토건 중심의 개발 체제를 끝낼 것이다. 성장 일방주의에서 벗어나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나아갈 것이다. 기후와 환경의 변화는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그 피해는 가난한 사람에게 더욱 집중된다. 우리는 기후 정의를 실현하고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복지국가로 나아갈 것이다. 모든 생명을 존중하고 생물의 다양성을 보호하며 동물 복지가 구현되는 사회를 만들 것이다. 우리는 삶을 더욱 풍요롭고 안전하게 만드는 분산형 재생에너지 체제를 만들 것이다. 고갈을 앞둔 화석연료는 온실 가스로 지구 생태계를 위협하는 파괴적인 에너지이다. 저탄소 대책에서 시작해 궁극적으로 석유 없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의 핵발전소 밀집 지역이다. 핵 발전은 안전하지도 경제적이지도 않으며, 사고로부터 발생하는 피해는 재앙 그 자체이다. 우리는 수명이 다한 핵발전소를 폐쇄하고 핵발전소 신설을 멈추어, 태양과 바람의 나라로 나아갈 것이다. 우리는 막대한 에너지와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생산 시스템과 사회 시스템을 혁신할 것이다. 시민 의식과 생활의 변화를 위해 과감한 노력을 기울이고,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재생에너지 체제로 전환된 자원 혁신 사회를 만들 것이다. '''(4) 시민의 보편적 권리, 노동권의 확대''' 우리는 일하는 사람들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 것이다. 모든 인간이 존엄하듯, 모든 노동은 존엄하다. 모두의 노동이 존엄해지도록 하기 위해, 우리는 약자들의 노동을 우선적으로 보호할 것이다. 최저임금을 대폭 높여 인간다운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고, 노동자 간 임금격차를 해소할 것이다. 공공 부문에서부터 비정규직 사용을 금지하고, 민간 부문에서 비정규직 사용 사유를 엄격히 제한해 동일노동-동일임금을 실현할 것이다. 노동에 대한 정당한 몫을 늘려 분배 정의를 실현할 것이다. 노동조합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조직화를 장려하고 촉진해, 노동과 자본 사이에서 힘의 균형이 이뤄지게 할 것이다.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보장하기 위해, 노동3권을 제약하는 제도와 관행을 철저히 개선해 갈 것이다.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의 다양한 조직화를 지원하며, 산업별·지역별 노사 교섭을 확대해 노동권의 사각지대를 줄일 것이다. 우리는 시민의 보편적 권리로서 노동권을 보호하고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 것이다. 근력・지식・감성을 이용해 노동의 가치를 창조하는 모든 사람을 대변할 것이다. 일이 없는 사람에게는 일할 기회를 보장하며,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또한 키울 것이다. 초・중등 과정에서부터 노동의 존엄함을 교육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노동의 참여를 촉진할 것이다. '''(5) 누구나 존중받는 차별 없는 사회''' 우리는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하는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 것이다. 성별・성적 지향과 정체성, 장애, 병력, 소득, 연령, 언어, 국적, 인종, 피부색, 출신 지역, 용모, 신체 조건, 혼인 여부, 임신과 출산 여부, 가족 형태와 가족 상황, 종교와 사상, 학력과 학벌, 고용 형태에 대한 차별을 없앨 것이다.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폭력을 근절하고 시민의 인권 감수성을 높이며, 물리적・사회적・문화적 환경을 개선해 안전한 사회를 만들 것이다. 소수자들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고 더욱 확대하기 위한 제도와 문화를 만들 것이다. 성 평등한 사회를 만들어 갈 것이다. 여성이 자신과 자신 주변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고려해 임신과 출산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할 것이다. 직업 선택과 노동환경에 있어 성차별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갈 것이다. 장애인의 완전한 기본권 보장을 이뤄 낼 것이다. 장애인이 자기 결정권과 주체성을 가지고 온전한 자립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노동권 보장은 물론 정치・문화・사회의 모든 측면에서 참여가 가능한 환경을 만들 것이다. 이주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것이다. 이주민에 대한 심각한 노동 차별과 인권 탄압을 중지하고 사회보장 혜택을 거주 기준으로 바꿔, 인간다운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우리는 성적 지향과 성별 정체성을 이유로 가해지는 어떠한 폭력이나 괴롭힘, 차별과 배제, 낙인과 편견 등을 없앨 것이다. 소수자 혐오 범죄를 강력히 규제하며 소수자의 인권을 보호할 것이다. 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해 차별 없이 가족을 구성할 권리를 보장할 것이다. '''(6) 전 생애와 영역을 뒷받침하는 보편적 복지''' 우리는 생애 전 과정과 삶의 전 영역에서 직면하는 사회적 위험을 예방하고 모두가 인간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보육・교육・일자리・주거・의료・노후에 있어 보편적 복지를 실현해 승자 독식 사회의 위험과 불안을 극복하고, 사회의 통합과 안정성을 높여 나갈 것이다. 정의로운 복지국가에서 복지는 시민의 권리이며 시민 모두는 복지의 주체이자 대상이 될 것이다. 우리는 개개인이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사회·경제활동을 지원하고, 경제와 복지의 선순환을 이룰 것이다. 복지 서비스의 공공 영역 비중을 대폭 높이고 민간 영역의 공공성과 책임성을 강화할 것이다. 보편적 복지는 재정 규모 확대와 증세 없이 이룰 수 없다. 조세는 성장의 방해물이 아니라 소득 불평등을 완화해 정의를 실현하고 공동체의 가치를 창출하는 원천이다. 우리는 조세 정의에 입각한 복지 증세를 통해 복지국가의 단단한 기반을 만들어 낼 것이다.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다. 노동시장 유연화와 양극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 가족 형태와 역할의 변화와 같은 새로운 도전에 맞서, 개개인의 특성과 욕구에 부응하는 복지 시스템을 만들 것이다. 특히 노년을 돌봄의 대상만이 아니라 사회와 경제에 참여하는 주체로 세우고, 노년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여 나갈 것이다. '''(7) 동아시아와 한반도 평화의 주도자''' 동아시아의 평화는 한반도 평화의 전제이며, 한반도 평화는 동아시아 평화 공존과 번영의 지렛대가 되어야 한다. 미・중 패권 경쟁과 일본의 재무장이라는 도전에 맞서, 우리는 어떠한 패권도 반대하고 일방에 서는 것을 거부할 것이다. 군사 주권과 안보 주권을 되찾고 평화 협정을 체결해 전쟁을 종식시키며 동아시아 평화를 주도해 갈 것이다. 한반도 비핵화와 군축을 위해 남북 상호간 노력하고, 주변국과 협력해 지역 공동 안보 체제를 형성할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개발 지원을 확대해, 인간 안보가 실현되는 동아시아를 만들고 국제사회에 기여할 것이다. 분단 체제 극복과 한반도의 통일은 우리의 변함없는 목표이다. 통일된 한반도는 우리 민족의 자주와 평화를 확고히 보장하고 한반도에 사는 모두의 공동 번영을 가져올 것이다. 하지만 전쟁이나 체제의 붕괴를 전제로 한 급격한 통일은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 상호 존중의 원칙에 따라 교류와 협력을 확대해 평화를 정착시키며 정치・경제・군사・사회・문화적 통합을 점차 진전시키는 것이 통일로 가는 가장 현실적이며 강력한 방법이다. 남북경제협력을 발전시켜 남북 경제 공동체, 환황해-환동해경제권을 형성하고, 유라시아 대륙 시대를 열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만들어 낼 것이다.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7.4 공동성명, 남북 기본 합의서, 6.15 공동선언, 10.4 정상 선언을 비롯해 남과 북의 선행 합의를 모두 존중하고 실천할 것이다. 대화와 협력을 통해 북한의 핵무장과 인권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해 나간다는 원칙을 분명히 하며, 평화 체제 달성을 위한 능동적이며 자주적인 노력을 전개할 것이다. '''우리의 길, 우리의 꿈''' 우리가 꿈꾸는 정의로운 복지국가는 함께 행복한 상생의 나라이다. 정의로운 복지국가로 가는 정치가 상생의 정치이다. 우리는 '사람과 사람'의 상생을 추구할 것이다. 차별은 없애고 차이는 존중하며 격차는 줄이고 연대는 단단해지도록 할 것이다. '사람과 자연'이 상생하게 할 것이다. 노동하고 생산하고 소비하고 여가를 즐기는 우리 삶의 방식을 바꿀 것이다. '남과 북'이 상생하도록 할 것이다. 전쟁의 공포를 극복하고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 것이다. '과거・현재・미래'의 상생을 추구할 것이다. 식민과 분단, 전쟁을 겪은 세대부터 지금의 청년 세대에 이르기까지 모두의 삶과 경험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아직 태어나지 않은 세대들이 겪게 될 문제의 해법 또한 현세대가 책임 있게 준비할 것이다. 우리는 자유・평등・연대・생태・평화를 실천해 온 세계 진보 정당의 역사적 경험과, 복지국가를 이룩한 사회민주주의의 성과를 21세기 한국에 맞게 창조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자유와 평등은 서로의 전제이며, 연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공동체의 가치이자 상생의 실현 원리이다. 평화와 생태의 가치를 추구하는 것은 사람과 사람, 그리고 사람과 자연이 함께 사는 길이다. 상생의 원리가 실현될 때 우리는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동반자가 되며, 대한민국은 진정한 공화국이 될 것이다. 좋은 미래는 저절로 오지 않을 것이며, 이상은 항상 멀리 떨어져 보일 것이다. 하지만 희망의 힘이 크다고 믿는 우리는 낙관주의자들이다. 정치가 행복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믿는 우리는 현실주의자들이다. 우리는 대한민국이 행복해질 수 있고, 정의당이 이를 실현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 '''내가 행복한 생애 강령''' 나는 태어나서 죽는 순간까지 행복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으며, 이를 위한 복지를 시민권으로 보장받을 권리가 있다. 시민적 권리로 보장받는 보편적 복지는 나의 삶을 위험에서 벗어나게 할 뿐 아니라 인간의 존엄을 지키게 하며 자기 발전의 좋은 조건을 만들어 준다. 정의로운 복지국가는 생애 과정에서 겪는 삶의 위기를 해결해 시민 개개인이 겪는 삶의 불안을 해결하는 데서 시작한다. '''태아·영유아 건강하고 안전한 탄생''' 태아는 건강하고 안전하게 태어날 수 있도록 보호받아야 한다. 태아일 때부터 의료・건강・안전 서비스를 충분히 누리며, 장애를 가지고 태어날 경우 필요한 모든 의료・재활 서비스를 정부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는다. '''충분한 돌봄''' 나는 충분한 돌봄을 받아야 한다. 나의 양육을 책임진 사람은 필요한 만큼 출산・육아 휴직을 받아야 한다. 양육자는 성별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양육에 책임을 진다. 정부와 기업은 가정과 직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특히 기업은 출산・육아 휴직을 가로막는 어떠한 행위도 해서는 안 되며, 간병 휴가 등 양육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최대한 노력해야 한다. 정부는 건강하고 평화로운 가정에서 내가 자랄 수 있도록 사회적 조건을 만들어 준다. '''질 높은 보육 서비스''' 나는 정부가 운영하거나 지원하는 보육 시설에 다니며 안전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누릴 것이다. 나는 보육 시설에서 충분한 영양을 갖춘 친환경 음식, 안전한 놀이, 적절한 휴식을 누릴 것이다. 돌봄을 필요로 하고, 의사 표현이 자유롭지 않다는 이유로 타인에 의해 인권이 침해되는 일은 어떤 경우에라도 용납되지 않는다. '''아동・청소년 무상으로 제공되는 공교육''' 나는 어린이집·유치원에서부터 대학까지 무상으로 교육받는다. 교육은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는 데 가장 중요하기에 공정하게 제공되며, 나는 질 높은 교육을 언제, 어디에서라도 충분하게 받는다. '''입시 교육 해방과 마을 교육 공동체''' 나는 입시 교육에서 해방된다. 줄 세우기 경쟁 교육은 없다. 선행 학습은 금지되고 성적표의 등수는 사라진다. 나는 창의성을 키우고 협동심을 기르는 좋은 교육 환경에서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며 더불어 성장한다. 내가 학교에 다니지 않더라도 나의 적성과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받으며 학교에 다니지 않는 것으로 인해 차별받지 않는다. 나는 마을 공동체에서 삶을 배우며 보호받는다. 나에게 마을은 곧 학교다. 지역사회의 도서관, 문화 체육 시설을 무료로 마음껏 이용하고, 방학을 계발의 기회로 삼는다. '''인권과 자기 결정권''' 나의 인권은 누구에게도 침해받지 않으며, 나의 뜻과 생각은 존중받는다. 나의 진로, 연애, 취미 활동 등은 내가 결정하고 부모와 교사는 이를 조언하고 격려하고 지지해 준다. 나는 인권 교육과 시민교육을 통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성원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배운다. 학교는 민주적으로 운영되며, 중요한 결정에 나와 부모가 함께 참여한다. '''청소년 노동의 보호''' 나는 과도한 노동으로부터 보호받음과 동시에 노동할 수 있는 권리, 충분한 직업교육을 받을 권리, 노동자로서 동등하게 대우받을 권리를 가진다. 나는 학교에서 노동교육을 받고 노동 존중의 사고와 나의 노동권을 지키는 방법을 배운다. '''청년 현대화된 직업교육과 질 높은 대학 교육''' 나는 정부와 기업의 협력 속에 현대화된 직업교육을 받는다. 대학을 다니지 않아도 충분한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고 적정 임금을 받는 직장이 보장된다. 대학은 서열이 없어지고 특성화되어, 국공립대학이든 사립대학이든, 수도권 대학이든 지방대학이든 언제, 어디에서나 세계적 수준의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짧은 복무 기간, 인권과 자기 계발이 보장되는 군 복무''' 평화가 진전되고 군이 현대화되어 의무 복무 기간은 획기적으로 줄었다. 종교를 비롯해 양심의 자유에 따라 대체 복무제를 선택할 수 있다. 군의 지휘 체계로부터 자유로운 인권 옴부즈만은 장병들의 인권을 보호한다. 급여는 다른 의무 복무제 국가 수준으로 현실화되었으며, 복무 기간 동안 사회경제 생활의 단절이 최소화되도록 군은 장병의 학습과 훈련, 자기 계발의 기회를 보장한다. '''구직 활동 지원과 일자리 보장''' 나의 취업이나 창업은 정부의 취업 및 창업 정책에 의해 체계적으로 지원받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창출한 양질의 일자리가 공급된다. 사회서비스 일자리가 안정적인 직업으로 자리 잡고, 생태 산업 분야와 문화 분야에서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된다. 나는 생애 첫 일자리를 구하는 동안 구직 활동에 필요한 적정 소득을 보장받아 안정된 취업 활동을 할 수 있다. '''노동권과 정당한 임금''' 나는 동일 가치 노동, 동일 임금 원칙에 따라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우를 받는다. 최저임금이 대폭 인상되어 최저임금만으로도 충분히 생활할 수 있다. 노조 가입은 권장되며 이로 인한 불이익은 찾아볼 수 없다. 비정규직이나 아르바이트의 경우도 다양한 형태의 노조가 장려되고 인정된다. 산업별・지역별 단체협약이 이뤄져 고용 형태, 기업 규모 등에 따른 임금 격차가 해소되고, 노동조합에 가입되어 있지 않아도 단체협약의 혜택을 받는다. '''안정된 주거''' 주택은 재산 증식의 수단이 아니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공의 자산이다. 나는 주택을 적정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공공 임대주택이 충분히 공급되어 비용에 대한 큰 부담 없이 안정적인 주거가 보장된다. 계약 시 임차인과 임대인은 대등한 지위를 가지므로 임대료가 급격히 인상될 걱정은 하지 않는다. 최저 주거 기준 미달 주택에 살거나 빈곤한 경우 정부로부터 주택 보조금 등을 지원받아 주거 빈곤을 해결한다. '''중·장년 걱정 없는 재취업''' 나는 직장을 잃더라도 재취업 할 때까지 충분한 소득을 정부로부터 제공받으며 구직 활동에 참여한다. 다양한 양질의 직업훈련과 직업 알선이 제공되어 큰 어려움 없이 다른 직장을 구한다. '''단축된 노동시간과 충분한 여가 생활''' 노동시간이 단축되어 나는 일을 하면서도 가정을 돌볼 수 있으며, 다양한 여가 활동을 누릴 수 있다. 야간 노동과 주말 노동은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 최소한의 수준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나는 저녁과 주말이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다. 또한 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근무 형태와 노동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단축된 노동으로도 기본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임금을 받는다. '''건강하고 안전한 일터''' 내가 비정규직이든 정규직이든, 건설 현장이든 사무실이든 상관없이 일과 관련해 건강과 안전이 보장된다. 나는 건강 및 안전과 관련한 모든 상황에 대해 알 권리를 완전히 보장받고, 위험한 상황에 놓였을 때 작업을 중지할 권한을 갖는다. 정부와 기업은 사업장의 특성에 맞는 양질의 안전 보건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한다. 또한 반복적이거나 중대한 산업재해는 살인으로 간주되어 사용주의 책임이 대폭 강화된다. '''주치의와 무상 의료''' 나와 가족을 위한 주치의 제도가 동네마다 시행된다. 주치의를 통해 일상적인 건광관리뿐 아니라 지역 보건 의료 기관과 연계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병·의원은 시민 모두의 건강권을 보장한다는 원칙에 의해 운영되며 영리 수입을 탐하지 않고 의료 행위에 집중한다. 나뿐만 아니라 내 아이, 내 부모가 아파도 간병에 대한 부담 없이 치료받을 수 있다. 사보험 필요 없이 건강보험 하나로 무상 의료에 가까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도 내가 지급할 연간 병원비는 백만 원을 넘지 않는다. '''풍부한 평생교육''' 평생교육은 내가 직업과 사회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나는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교양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대학 수준의 고급 교육은 물론 직업 이동을 가능하게 해 줄 다양한 기술교육을 받는다. 평생교육은 무료로 제공되고 충분한 접근성이 보장되며, 특히 온라인을 통해 풍부하고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노년 충분한 공적연금''' 은퇴 전에 비해 삶의 질이 급격히 달라지지 않도록 나는 충분한 공적 연금을 보장받는다. 내가 여성・장애인・비정규직・자영업자라도 배제되는 일 없이 정부로부터 충분한 노후 소득을 보장받는다. '''활기찬 노후 생활''' 나는 내 능력・열정・욕구에 맞게 활기찬 인생 2막을 설계해 나갈 것이다. 내가 원하고 능력이 된다면 젊은이들과 함께 직장 생활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사회적 경제에 참여해 당당히 일하며 정당한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와 사회는 다양한 방식의 노후 일자리를 창출한다. 또한 내 욕구와 열정에 맞게 문화와 레저, 사회봉사 활동 등 즐거운 노후 생활을 계획하고 누릴 수 있으며 정부와 사회는 도시와 농촌에 다양한 노후 공동체를 지원한다. '''지역에서 제공되는 장기 요양''' 나는 장기 요양서 비스를 필요한 만큼 제공받는다. 나의 가족이 생계를 버리고 끝도 없는 간병에 매달리는 일은 없으며 어떤 경우라도 나 홀로 방치되지 않을 것이다. 나는 집에서 또는 내가 거주하거나 가족들과 가까운 지역사회에서 충분한 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시설 거주가 부득이할 경우에라도 나의 존엄성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받을 것이다. '''존엄한 죽음과 사회적 준비''' 나는 존엄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할 권리가 있다. 현대 의학으로 치료할 수 없어 죽음을 맞이하게 될 때 인위적으로 생명을 연장하기 위한 불필요한 조치들에 대해 나는 거부할 수 있다. 가족이나 지인, 의료인은 나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 죽음이 예고될 때 두려움 없이 죽음을 맞이할 수 있고, 평상시에도 죽음을 준비하고 삶을 돌아볼 수 있도록 병원과 사회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 == 정책 == * '''정치''' 정의당은 끊임없이 혁신하고 진화하는 진보정당이 될 것이다. 일하는 사람들과 사회적 약자들을 대변할 수 있는 정치체제를 만들어 민주주의를 발전시킨다. 시민의 다양한 정치 참여를 촉진해 각계각층의 요구가 제대로 반영된 정치제도를 만든다.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대통령 [[결선투표제]] 등 비례성과 대표성이 높은 선거제도 도입을 시작으로 과감한 정치 개혁을 추진해 나간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연계되는 정당정치의 발전을 위해 정당 참여와 활동을 제약하는 낡은 정당법과 정치관계법을 전면적으로 개혁한다. 승자 독식을 추구하는 정당과 세력에는 단호히 맞서고, 설득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정치를 통해 대한민국의 실질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확신한다. * '''경제''' 자본의 탐욕을 민주적으로 통제하고 분배의 정의를 실현하며, 한국 [[자본주의]]의 구조적 개혁을 이룬다. 경제 구조의 [[양극화]]를 극복하고 [[경제민주화]]를 실현한다. [[재벌]]의 소유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혁하고 부당한 방법을 통한 부의 세습을 끊어 낸다. 소득 주도 성장을 통해 모두를 위한 경제 성장을 이룬다. 노동에 대해 정당한 대가를 보장하고 차별을 해소하며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해 완전고용을 지향한다.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기본 조건을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제공한다. 국가와 사회는 필수적인 식량·에너지·문화·교육·복지·의료·안전은 물론 전파와 정보통신망 등의 [[공공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정하게 분배할 것이다. * '''노동''' [[최저임금]]을 대폭 높여 인간다운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고, 노동자 간 임금격차를 해소한다. 공공 부문에서부터 [[비정규직]] 사용을 금지하고, 민간 부문에서 비정규직 사용 사유를 엄격히 제한해 동일노동=동일임금을 실현한다. 노동에 대한 정당한 몫을 늘려 분배 정의를 실현한다. [[노동조합]]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조직화를 장려하고 촉진해, 노동과 자본 사이에서 힘의 균형이 이뤄지게 한다. 시민의 보편적 권리로서 노동권을 보호하고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든다. 일이 없는 사람에게는 일할 기회를 보장하며,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또한 키운다. 초·중등 과정에서부터 노동의 존엄함을 교육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노동의 참여를 촉진한다. * '''지방자치''' 지방 정부의 자치권을 대폭 강화해 중앙 정부와 수평적인 분업-협력 관계를 구현하고, 주민 참여를 확대해 풀뿌리 민주주의를 활성화한다. 수도권과 지방, 지방과 지방, 도시와 농촌 사이의 격차와 차별을 극복하고 균형 있고 특색 있는 발전을 도모한다. * '''인권''' 성별・성적 지향과 정체성, 장애, 병력, 소득, 연령, 언어, 국적, 인종, 피부색, 출신 지역, 용모, 신체 조건, 혼인 여부, 임신과 출산 여부, 가족 형태와 가족 상황, 종교와 사상, 학력과 학벌, 고용 형태에 대한 차별을 없앤다.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폭력을 근절하고 시민의 인권 감수성을 높이며, 물리적·사회적·문화적 환경을 개선해 안전한 사회를 만든다. 소수자들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고 더욱 확대하기 위한 제도와 문화를 만든다.[* 이 인권 부분에 호모포바아 공약을 내건 [[장대범]]은 이 때문에 정의당에서 제명되었다.] * '''교육'''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기 위해 질 높은 [[공교육]]을 무상으로 공정하게 제공한다.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을 전면 개선해 적성과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학 서열화를 없에고 수도권 대학이든 지방대학이든 세계적 수준의 대학교육을 받을 수 있게 만든다. 대학을 다니지 않아도 정부와 기업의 협력속에 적정한 직장이 보장되는 충분한 직업교육을 제공한다. * '''복지''' 생애 전 과정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누구나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스스로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공정한 환경과 기회를 제공하는 정의로운 복지국가를 만든다. * 보육・교육・일자리・주거・의료・노후에 있어 보편적 복지를 실현해 승자 독식 사회의 위험과 불안을 극복하고, 사회의 통합과 안정성을 높여 나간다. * 개개인이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사회·경제활동을 지원하고, 경제와 복지의 선순환을 이룬다. 복지 서비스의 공공 영역 비중을 대폭 높이고 민간 영역의 공공성과 책임성을 강화할 것이다. * 보편적 복지는 재정 규모 확대와 증세 없이 이룰 수 없다. 조세는 성장의 방해물이 아니라 소득 불평등을 완화해 정의를 실현하고 공동체의 가치를 창출하는 원천이다. 조세 정의에 입각한 복지 증세를 통해 복지국가의 단단한 기반을 만들어 낸다. * 노동시장 유연화와 [[양극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 가족 형태와 역할의 변화와 같은 새로운 도전에 맞서, 개개인의 특성과 욕구에 부응하는 복지 시스템을 만든다. 특히 노년을 돌봄의 대상만이 아니라 사회와 경제에 참여하는 주체로 세우고, 노년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여 나간다. * '''생태''' 토건 중심의 개발 체제를 끝낸다. 성장 일방주의에서 벗어나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나아간다. 모든 생명을 존중하고 생물의 다양성을 보호하며 동물 복지가 구현되는 사회를 만든다. 저탄소 대책에서 시작해 궁극적으로 석유 없는 사회로 나아간다. 수명이 다한 핵발전소를 폐쇄하고 핵발전소 신설을 멈추어 태양과 바람의 나라로 나아간다. * '''외교・안보''' 미・중 패권 경쟁과 일본의 재무장이라는 도전에 맞서, 우리는 어떠한 패권도 반대하고 일방에 서는 것을 거부한다. 군사 주권과 안보 주권을 되찾고 평화 협정을 체결해 전쟁을 종식시키며 동아시아 평화를 주도해 나간다. * '''통일''' 상호 존중의 원칙에 따라 교류와 협력을 확대해 평화를 정착시키며 정치・경제・군사・사회・문화적 통합을 점차 진전시킨다. 남북경제협력을 발전시켜 남북 경제 공동체, 환황해-[[환동해경제권]]을 형성하고, 유라시아 대륙 시대를 열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만들어 낸다. [[7.4 남북 공동 성명]], 남북 기본 합의서, [[6.15 남북 공동 선언]], [[10.4 남북 공동 선언]]을 비롯해 남과 북의 선행 합의를 모두 존중하고 실천한다. 대화와 협력을 통해 북한의 핵무장과 인권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해 나간다는 원칙을 분명히 한다.[* 정의당은 이 부분을 통해 북한의 인권 문제와 북핵문제에 대해 간접적인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 정의당의 이상 == 정의로운 복지국가는 함께 행복한 상생의 나라이다. 정의로운 복지국가로 가는 정치가 상생의 정치이다. 우선 '사람과 사람'의 상생을 추구한다. 차별은 없애고 차이는 존중하며 격차는 줄이고 연대는 단단해지도록 한다. '남과 북'이 상생하도록 한다. 전쟁의 공포를 극복하고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 것이다. '과거·현재·미래'의 상생을 추구할 것이다. 식민과 분단, 전쟁을 겪은 세대부터 지금의 청년 세대에 이르기까지 모두의 삶과 경험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아직 태어나지 않은 세대들이 겪게 될 문제의 해법 또한 현세대가 책임 있게 준비한다. 자유·평등·연대·생태·평화를 실천해 온 세계 [[진보]] 정당의 역사적 경험과, 복지국가를 이룩한 [[사회민주주의]]의 성과를 21세기 한국에 맞게 창조적으로 발전시켜 나간다. === 비전 === 정의로운 복지국가 7대 비전 * 민주주의를 위한 정치 개혁과 강한 정당 * 한국 자본주의의 민주적 개혁과 대안의 경제 체제 * 생태 기반의 지속가능 사회 * 시민의 보편적 권리, 노동권의 확대 * 누구나 존중받는 차별 없는 사회 * 전 생애와 영역을 뒷받침하는 보편적 복지 * 동아시아와 한반도 평화의 주도자 === 역대 선거 공약집 === *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공약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html?bbs_code=JS56&num=42783|#]] *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약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html?bbs_code=JS56&num=42784|#]] *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공약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html?bbs_code=JS56&num=45802|#]] *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공약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html?bbs_code=JS56&num=45766|#]] *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공약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html?bbs_code=JS56&num=63826|#]] *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공약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html?bbs_code=JS56&num=89561|#]] *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약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html?bbs_code=JS56&num=107839|#]] * [[2018년 재보궐선거]] 공약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html?bbs_code=JS56&num=108585|#]] *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공약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html?bbs_code=JS56&num=129935|#]] == 역사 == [include(틀:대한민국의 진보정당(박근혜 정부-문재인 정부))] [include(틀:대한민국의 진보정당(윤석열 정부-현재))] ||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width=60]],,{{{+2 {{{#000 ''' 역사 요약'''}}}}}},, || || [youtube(OZIuqh8QjCA)] || ||{{{#000,#fff * [[유시민]] 작가는 [[2013년]] [[2월 19일]] 정계 은퇴 후 평당원으로 지내다 [[2018년]] [[6월 13일]] 탈당했다.}}} || === [[진보정의당/전신 역사|전신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진보정의당/전신 역사)] === [[진보정의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진보정의당)] === '정의당'으로의 당명개정 === ||<-3><:>[[파일:정의당 초기 로고.svg|width=300]]|| ||<-3><:> '''{{{#fff 당명 개정 후 2014년 1월 14일까지 사용한 초기 로고}}}'''|| 2013년 7월 21일 전당대회를 통해 당명을 '진보정의당'에서 '정의당'으로 바꾸고[* 이 날은 [[진보신당연대회의]]가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으로 당명을 바꾼 날이기도 하다. 두 당 사이의 역사를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하다고 해야 하나, 공교롭다고 해야 하나...] 국민참여당 출신인 [[천호선]]이 당대표 경선에 단독출마해 96%의 찬성으로 당선되었다. 부대표로는 [[김명미]], [[이정미(정치인)|이정미]], [[문정은]]이 당선되었다. 진보정당에서 노동운동계 출신이 아닌 사람[* 천호선 대표는 노무현 대통령의 비서로 정치에 입문한 사람이지만, 학생운동 및 민주화운동을 했던 경력은 있다.]이 당 대표가 되는 경우는 처음이라는 점이 시대적으로 특이할만한 전례라 볼 수 있다. 이것으로 소위 1차적인 당 혁신은 끝마친 상황이나 이것이 당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인지는 미지수였다. 우선 당원이 2만 명도 안 되는 상황이 지속되는 정체기에 빠져 있었다. 당명 개정으로 인한 당내 갈등도 두드러지고 있었고, 홈페이지 내 게시판에서 그대로 표출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향후 행보에 따라 당의 미래가 정해질수 있는 갈림길에 서 있었다. 2013년 당대표 선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정의당/제2기 전국동시당직선거]] 문서 참고. 2013년 8월 [[통합진보당 내란선동 사건]]이 발생하면서 정의당은 '''찬성 당론'''으로 [[이석기#s-1]] 체포동의안 처리에 참여했다. 하지만 당내에서 이에 대한 이견을 제시하는 목소리가 나와[[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6477193|#]] 되려 계파갈등을 격화시키는 기폭제 노릇을 하고 말았지만 그러나 “체포동의안의 혐의 사실과 법 적용에 모두 동의하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당사자들의 해명을 다 인정한다해도 녹취록의 내용은 대부분 사실이라고 판단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그렇다면 국회의원의 특권을 방패막이 삼아서는 안 된다는 판단을 했다”라는 천호선 대표의 입장표명[[http://www.justice21.org/21770|#]]을 통해서 당 내외에서의 당론채택에 대한 반대 입장을 잠재울수 있었다.[* 정의당 자체가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부정경선 사건]]에소 탈당파를 중심으로 창당된 정당이기도 하기에 당원의 다수가 당론 채택에 반대했을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2013년 12월 6일, 전 [[동양대학교]][* 당시 현역] [[진중권]] 교수가 입당하여[[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0586514|#]] ‘정의당’, ‘진중권’과 같은 검색어들이 실시간 검색 순위 1위를 달성하면서 대외적인 관심과 주목을 받게 되었다. === [[2014년]] === 2014년 1월 6일, 철도파업 등에서 존재감을 나타낸 정의당은 새해 첫 정당지지율 조사에서 1.1%p 오른 3.0%를 기록하며 [[통합진보당]]을 제치며 지지율 3위를 기록했다.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01/06/20140106004754.html|#]] 2014년 1월 14일, 당의 상징색을 노랑색으로 바꾸고 당의 로고를 바꿨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401141341231|경향신문 기사]] 2014년 2월에는 심상정 원내대표가 비교섭단체 대표로 국회 연설에 나섰고[[http://www.justice21.org/bbs/board_view.php?num=28931|#]], [[사회민주당(일본)|일본 사회민주당]]의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를 한국으로 초청하는 등의 다양한 국제 연대 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등록후보수는 총 158명으로 노동당의 112명보다는 조금 많고, 통합진보당의 520명보다는 적은 수이다. 서울시장과 경기 도지사는 일찌감치 불출마 선언을 한 상태. 단체장은 1+3(울산시장 + 인천 남동구청장, 인천 동구청장, 경기 과천시장) 전략으로, 기초의원은 3·4인선거구 위주의 당선가능 지역을 위주로 지방선거를 준비하고 있다. 인천의 두 구청장[* 수도권 최초 기초단체장 두 명([[배진교]] 남동구청장, [[조택상]] 동구청장). 2010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으로 당선 되었었다.]의 경우 진보구청장으로서 많은 활약을 보여왔기에 당 내에서도 기대가 높다고 한다. 하지만 울산시장의 단일화 불발[[http://www.usdaily.co.kr/sub_read.html?uid=21934|#]]과 과천시장 단일화 경선에서의 패배[[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87665&PAGE_CD=R0601&CMPT_CD=S0016|#]]로 인한 지방선거의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인지라 지방선거를 포기하고 7.30 재보궐 집중으로 선거방침을 선회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 또한 나오고 있다. 그리고 그 불길한 예감대로 지방선거 결과는 정의당에게는 매우 뼈아팠다. 울산시장 [[조승수]] 후보는 선거 직전 새정치민주연합 [[이상범(1957)|이상범]] 후보와 단일화를 이뤄 범야권 단독후보로 나올 수 있었지만 노동당 [[이갑용]] 후보가 끝까지 단일화를 거부하였고 너무 늦게 이뤄진 단일화 효과로 새누리당 [[김기현(정치인)|김기현]] 후보에게 완패했다(조승수 26.4%, 김기현 65.8%). 또한 인천 동구청장 [[조택상]] 후보와 남동구청장 [[배진교]] 후보도 선거중반까지는 송영길이 앞서면서 당선이 될듯했으나 선거 막판에 유정복에게 밀리면서 같이(줄투표 효과로) 새누리당 후보에게 패하고 말았다. 특히 남동구청장 배진교 후보는 근소한 표차로 아깝게 낙선해서 더 아쉬움이 컸다. 결국 최종적으로 얻은 것은 기초의원 11명 뿐이다. (지역구 10명, 비례대표 1명) 7.30 재보궐이 미니총선으로 치러지는 만큼 (최소 12석 ~ 최대 18석) 노회찬 전대표를 비롯 당 내 유명인사가 총 동원되어 재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당 내외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편으로 같이 지선에서 부진한 노동당과 합당해서(노심조가 노동당에 사과해서라도 통합을 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왔다.) 일단 당세라도 불려 위기를 넘겨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노동당 내에서 노회찬-심상정-조승수 등 정의당 내의 주요 당직자들이 통합안이 부결되자 진보신당에서 탈당해서 일시적이나마 통진당에 합류했던 일과 참여정부에 대한 악감정으로 인해 감정의 골이 깊은 상태라 통합이 쉽지 않을 듯하다. [[2014년 재보궐선거]]에는 [[노회찬]] 의원의 의원직 상실과 [[강동원(정치인)|강동원]] 의원의 탈당으로 인해 창당 후 1년도 안 되어 2석이나 날려먹어 순식간에 원내4당으로 내려앉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기에, 재보궐 선거에 당 차원에서 사활을 걸 것이라고 천명했다. 서울특별시 [[동작구 을]] 지역에는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던 노회찬 전 의원을 공천하고, [[천호선]] 대표는 경기도 [[수원시 정]](영통구) 지역에 출사표를 던졌다. [[심상정]] 원내대표는 [[새정치민주연합]]에 야권연대를 제안했지만, 새정연 지도부가 야권연대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며 진전이 없자 정의당 지도부는 여섯개의 지역구에 독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소식을 들은 야권 지지자들은 야권 분열로 인해 어부지리로 여당이 이득을 볼까봐 노심초사하는 중. 정의당 측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지 야권연대에 대한 문은 선거 직전까지 열어 두겠다고 한다. 하지만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는 21일까지 [[새정치민주연합]]이 야권연대에 대해 여전히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자 야권연대 제안을 공식적으로 철회했다. 그러나 노회찬 후보가 "[[사전투표]] 첫째 날인 7월 25일 전까지 단일화에 진전이 없을 시 자신이 후보사퇴하고 기동민 후보를 지지하겠다"며 초강수를 내세운 것이 시발점이 되어 7월 24일 하루 만에 무려 '''세 곳'''의 지역구에서 [[새정련]]-정의당 간의 단일화가 이루어졌다. 서울특별시 [[동작구 을]] 지역구는 노회찬 후보, 경기도 [[수원시 정]] 지역구는 [[새정련]] 박광온 후보, [[수원시 병]] 지역구는 [[새정련]] 손학규 후보가 각각 해당 지역의 [[새정련]]-정의당 단일후보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이 단일화가 당대당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닌[* 물론 정의당은 적극적으로 추진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는 단일화에 부정적인 태도로 일관했다.] 후보 개개인이 성사시킨 것이라 당 차원의 협력은 어려울... 것 같았으나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 및 [[문재인]] 의원 등이 [[동작구 을]] 노회찬 후보의 지원유세에 참여했고, [[수원시 정]]에 출마했다가 단일화로 사퇴한 천호선 대표 또한 [[새정치민주연합]] 박광온 후보의 지원유세에 참여했다. 그러나 노회찬 후보는 낙선했다. 다른 지역 무효표와 비교할 때 대략 1,200표가 사퇴한 기동민 후보를 찍은 표로 추정된다. 나머지 지역구 후보들은 죄다 한 자릿대 초반 득표율에 머물렀다. 노회찬의 낙선으로 미래가 어두워진 정의당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으로의 합당까지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합당이 성사되려면 [[민주당(2013년)|민주당]]이 [[새정치연합]]과 합당했을 때 새정치연합에게 지도부의 지분을 보장한 것처럼, 정의당 측에도 일부 지분을 보장하고 지역구 및 비례대표 공천도 배려해야 하기 때문에 험난한 과정이 예상된다. 일단 지도부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과의 합당은 없다고 부인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비록 선거에서는 전원낙선이라는 성적표를 받았으나 인지도 자체는 재보선 이후 부쩍 상승하였다. 7.30재보선을 치른 바로 다음주에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6.5%를 찍었으며 이는 2014년 정의당 최고 지지율이다. 또 12월 현재까지 3~4%대에 머물러 있다. 2014년 초반 0%대에 머무른 적이 있던 걸 생각하면 상당한 상승세라 볼 수 있다. === [[2015년]] ===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서울 [[관악구 을]]에 출마를 선언한 [[이동영]]을 [[정동영]] 후보로 단일화 하고, 인천 [[강화군 을]], 광주 [[서구 을(광주)|서구 을]]에는 각각 박종현, [[강은미]]를 공천했다. 선거 결과, 모두 낙선했지만, 여권 강세인 인천 강화군 을에서 박종현 후보가 3%를 넘겼고, 광주 서구 을에서는 강은미 후보가 6%를 득표했다는 점에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보다 나아진 결과이다. 다만, 정의당이 출마한 두 지역구 모두 구 통합진보당계 후보들이 선거에 나오지 않아[* 광주 서구 을은 조남일 후보가 중도 사퇴했다.] 나온 결과일 수도 있기에 무조건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는 없는 상황. 그렇게 원내에 진입한 유일한 진보정당이 되었다. 재작년까지는 적은 당원 수로 인한 당비 모금과 펀딩실패로 재정난을 심하게 겪었지만, 2016년 총선 모금 펀드를 출범하여 하루만에 10억 이상의 펀딩을 모으는 기염을 토하며 빚 문제를 해결해가고 있었다.[* 과거 국민참여당이 펀드빚 8억 때문에 마비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10억이란 돈은 정의당 같은 작은 정당에겐 어마어마한 액수다.] [[새정치민주연합]]의 후신인 [[더불어민주당]]과의 야권연대가 붕괴되긴 했지만, 당 지지율이 작년에 비해 거의 두 배 이상 뛰면서 현상 유지는 그럭저럭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총선에서 무리 없이 야권 연대가 성사되고 통합진보당 깃발 아래 NL계열까지 전폭적인 지지를 했음에도 심상정은 간신히 당선되었고 천호선은 끝내 낙선하였던 것을 생각한다면, 현재로서는 단일화를 성공적으로 이끈 [[노회찬]]을 제외하고, 유일한 지역구 의원인 심상정 의원조차 다음 총선에서 당선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 19대 총선 당시 심상정 의원은 새누리당 [[손범규(법조인)|손범규]] 전 의원에게 개표 97%까지 200표 가량 뒤지고 있었으나 막판 해외부재자 투표자 개표에서 대거 득표하며 170표차로 극적인 역전을 거둬 당선되었다. 19대 총선 최고의 이변 중 하나로, 재선 안정권은 절대로 아니다. 다행인 점이라면, 20대 총선의 지지율 추이는 10%정도 심상정이 리드하고 있다.] 최악의 경우 지역구에서 전멸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정당 지지율은 2015년 11월 말의 여론조사도 대략 8% 정도이므로 어떻게든 비례대표 당선자는 3~4명 정도 나올 듯도 하나, 옛 통합진보당이 재창당될 경우 이 지지율도 뺏길 수가 있다.[* 이 부분은 [[민중연합당]]이 창당되면서 현실화 되는 듯 했으나, 오히려 PD, 비주사 NL계의 결집으로 정의당 지지율은 오히려 민중연합당 창당 이후로 상승세이다.] 결론적으론 정의당은 [[노회찬]], [[심상정]], [[유시민]], [[진중권]]이라는 이름 있는 인사들은 여럿 있지만, 반대로 그 사람들을 제외하면 인지도든 유권자들에게 어필할 만한 정책이든 내세울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다.[* 20대 총선에 아예 의석을 전부 잃고 정당 자체가 폐기될지도 모른다는 극단적인 추측도 있었다. 다행히 6석을 얻어 폐당이 아니라 의석수 증가까지 된 것을 보면 일단 미래가 있긴 한 듯.] 다만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펼쳐지는 19대 대선에서 진보정당 후보로는 이례적으로 두 자리수 지지율을 기록하기 시작하였고, 조심스럽게 15% 이야기가 나오는 등 정의당의 정책과 이념에 공감하는 사람들의 증가가 보이는 추세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참여계, PD, NL과 같이 출신 정당별로 뚜렷하게 각을 세우던 모습이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7052116255&code=990308|많이 사라지고]] 정의당 출범 이후에 유입된 당원들의 증가로 통합진보당 시절과 구분되는 정당 조직이 서서히 자리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 당직자의 말을 빌리자면 당원이 많이 늘어서 재정에 숨통이 트인 편이라고. 정의당에서 제작하는 팟캐스트 방송인 '[[노유진의 정치카페]]'의 인기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 듯하다. 지금도 간간히 참여계와 타 계파와의 갈등이 발생하나 초기의 대립에 비하면 확실히 약화되었다. 6월 4일 노동당, 국민모임, 노동정치연대와 함께 진보 4자 통합을 추진하기로 발표하였다. 늦어도 올해 안에는 통합을 마무리짓고 내년 총선에서 독자 후보를 낼 계획이라고 한다. 6월 9일 심상정 원내대표의 임기 만료로, [[정진후]] 의원이 원내대표로 선출되었다. 6월 10일에는 당대표와 부대표, 전국 의원과 대의원 등 당직에 대한 동시선거를 공고하였다. 일정은 6월 18일에서 19일 까지 후보등록을 하고 7월 6일부터 7월 11일 선출하며 결선투표가 진행시 7월 19일에 마무리된다고 한다. 투표 방식은 온라인과 현장투표로 진행되며 대표, 부대표 선거의 경우 마지막 날 미투표자에 대해 ARS 모바일 투표를 진행한다고 한다. 당 대표로서는 심상정 전 원내대표와 노회찬 전 정의당의원과 노항래 전 정책위원장[* 참여계 출신]과 [[조성주(정치인)|조성주]] 전 청년유니온 정책기획팀장이 출마의사를 밝히었다. 비례대표 의원들도 각자 지역구 사무소를 개설하여 총선 체제에 돌입하였다. 현재까지 서울 은평의 [[김제남(정치인)|김제남]] 의원, 수원 영통에 [[박원석]] 의원이 지역구 출마를 준비하고 사무소를 개소했다. 6월 28일 노동당이 정기 당대회에서 통합 총투표안을 부결하였다. 이로 인해 노동당은 내홍에 빠졌고, 당 전체가 아닌 노동당 탈당파만이 통합에 참가하여 의미가 퇴색되었다는 문제가 생겼다. 7월 6일 부터 치러진 당대표 선거에서는 [[조성주(정치인)|조성주]] 후보가 2세대 진보정치 담론을 주장하는 등 여론의 주목을 받았지만 7월 11일 공개된 당대표 선거 결과에서는 득표율 17.1%에 그쳤고[* 많은 사람들이 뉴비라고 생각하지만, 조성주는 뉴비가 아니다. 민주노동당 시절부터 [[최순영(정치인)|최순영]], [[홍희덕]] 의원실에서 일을 해왔고, [[통합진보당]] 시절에는 최순영과 홍희덕 등 당내 유력인사들을 멘토단으로 삼아 청년비례대표에 도전했다. 조직표 싸움에서 밀려 [[김재연]]에게 패배한 탓에 다시 무명생활을 했을 뿐이다.] 노항래 정책위원장은 8.7%에 그쳐 3등과 4등을 차지해 결선진출에 실패했다. 결국 노회찬 후보와 심상정 후보가 각각 43%와 31.2%의 득표율로 결선투표에 진출하게 되었다. 7월 13일 부터 7월 18일까지 치룬 결선투표에서는 심상정 후보가 52.5%로 47.5%의 노회찬 후보를 역전해 정의당의 세 번째 당대표가 되었다. 주어진 2년의 임기 가운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는 만큼 심상정 대표에게 당대표로서의 큰 책임이 요구될 것이다. 7월 6일부터 치러진 당대표 선거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정의당/제3기 전국동시당직선거]] 문서를 참고. 당장 지지율은 상승세를 보였다. 줄곧 4~5%대에 머무르던 지지율이 7월 24일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는 7%로 급상승한 것이다. 특히 전략 지역이라 볼 수 있는 호남 지역 지지율이 11%로 상승했다. 현재 [[새정치민주연합]]이 분당이니 신당이니 혁신이니 여러 가지로 악재가 겹쳐있는 가운데 새로운 당대표 선출 효과로 충분한 이득을 보는 것 같다. 허나 8월 1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는 다시 5%정도로 돌아갔다. 일단은 컨벤션 효과[* 전당대회나 당대표 선발같은 정당의 이벤트에 지지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어느 정도 가라 앉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의당의 지지율이 상승세인 것은 분명해보인다. 8월 10일 <리얼미터> 주간정례조사에서 정의당은 1.1%p 상승한''' 6.6%'''로 '''2012년 10월 진보정의당으로 분리 창당한 이래 <리얼미터> 집계 최고 지지율'''을 기록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목표를 [[교섭단체|원내교섭단체]] 구성으로 잡았으며 [[국민모임]], [[진보결집+|평등사회네트워크]], [[노동정치연대]]와 4자 간 통합을 추진중이며 11월 안으로 통합된 진보정당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07149.html]] 심상정 대표의 국정감사 발언이 화제에 오르면서 인터넷상에서 꽤 주목 받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6w0P1H82ME]] 2015년 11월 22일 드디어 4자 통합이 성사되어 진보 통합을 성공적으로 완수하였다. 상임대표에는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공동대표로 [[국민모임]] [[김세균]] 대표, [[진보결집+|평등사회네트워크]] [[나경채]] 대표가 취임했으며 당명은 과도기적 당명으로 정의당으로 하고 총선 이후 6개월 이내 당원총투표를 통해 새로운 당명으로 개정한다는 방침을 세우기로 합의하였다. [[http://www.justice21.org/56513|통합 결의문]] 2015년 11월 27일, 당원이 2만 명을 돌파했다. 이러한 당원증가는 총선 기간을 두고 늘어나는 새누리당, 새정치민주연합의 유령 당원 증가와 다르게 진보 결집과 노동조합과의 연계로 일어나는 활동가들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기존 민주당계, 민주노동당계의 표밭이었던 호남, 광주지역에서의 당원들, 이른바 '풀뿌리 조직'들의 발돋움이 눈여겨볼만 하다. 2015년 12월 내년 예산이 통과된 후 일부 지역에 건 [[http://m.gooddail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062&view_ad_control=1#04ys|당 현수막]]이 논란이 되었다. 예산안 가결에 반대한 것을 통과에 기여한 것처럼 홍보한 것은 물론 자신들의 업적이 아니거나 심지어는 [[http://www.fmkorea.com/656208210|타 의원들이 발의하고 정의당 모든 의원들이 발의한 것까지]] '정의당이 해냈다' 라고 현수막에 게시한 것이다. 내용들을 보면 효도예산, 철도예산, 교통난 해소 등 시민들이 진보정당의 치적으로 착각하기 딱 좋은 것들이다. === [[정의당/2016년|2016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2016년)] === [[정의당/2017년|2017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2017년)] === [[정의당/2018년|2018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2018년)] 당의 간판급 정치인 중 하나인 [[노회찬]] 의원이 사망하는 악재를 맞았다. 이후 추모 여론이 일면서 단기적으로 가파른 지지율 상승을 경험하기도 했으나 그 추세가 지속되지는 않았다. === [[정의당/2019년|2019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2019년)] [[2019년 보궐선거]]에서 진땀승을 거두며 노회찬의 지역구를 되찾아오는 데 성공했다. 한편으로는 선거제 개편을 위해 민주당 등과 공조했지만, 이 일환으로 [[조국 사태]] 당시 보인 옹호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 [[정의당/2020년|2020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거대 양당의 위성정당 창당 등의 요인으로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두었으며, 이를 계기로 [[더불어민주당]]과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었다. === [[정의당/2021년|2021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2021년)] === [[정의당/2022년|2022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연이어 부진한 성적을 거두며 당 안팎에 감돌던 위기감이 더 커졌다. === [[정의당/2023년|2023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2023년)] 당내 정파 [[새로운진보]]는 [[사회민주당(2024년)|사회민주당]]을 창당하며 [[기본소득당]], [[열린민주당(2022년)|열린민주당]]과 같이 [[개혁연합신당]]을 만들기로 밝혔고, [[세 번째 권력]]은 [[금태섭]] 전 의원 주도로 창당 준비 중인 [[새로운선택]]에 합류해 공동 신당을 창당하겠다고 선언했다. 당 소속 [[비례대표]] 국회의원인 [[류호정]] 의원 역시 [[세 번째 권력]] 소속으로 [[새로운선택]]과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 [[정의당 분당|대규모 분당 사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 분당)] [[제20대 대통령 선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에서 잇따라 참패를 겪은 이후 정의당의 방향을 놓고 당내에서 여러 계파가 싸우면서 시작되었다. 정의당 본진은 22대 총선을 앞두고 녹색당과의 선거연합정당인 [[녹색정의당]]으로 당명을 바꾸며 공식 출범했고, 참여계의 [[새로운진보]]는 [[사회민주당]]을 창당, 제 3지대로의 확장을 주장한 [[대안신당당원모임]]과 [[세 번째 권력]]은 각각 [[미래대연합]], [[새로운선택]]으로 합류했으며, 결과적으로 [[새로운미래]], [[개혁신당]]으로 흡수되었다. === [[정의당/2024년|2024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2024년)]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과 함께 진보좌파 선거연합정당인 '''[[녹색정의당]]''' 추진을 선언했다. 이 방침에 반발한 당내 제3지대 계파 [[대안신당당원모임]]의 상당수가 집단 탈당하여 [[미래대연합]]에 합류를 선언했다. 이후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인사들이 개별 입당 방식으로 합류하여 당명을 '[[녹색정의당]]'으로, 당색을 녹색과 노란색으로 바꾸면서 선거연합을 공식적으로 출범시켰다. 4월 10일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지역구 후보 17인 전원이 낙선하고, 정당 득표율 2.14%로 3%에 미치지 못해 비례대표 후보 역시 전원이 낙선하면서 '''원외 정당'''으로 떨어지면서 정치적 사형선고를 받았다. 선거연합체제 종료를 선언하면서 4월 27일부로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인사들이 다시 탈당해 원 소속 당으로 복귀하였고 당명을 '정의당'으로, 당색을 노란색으로 환원하며 되돌아왔다. 녹색당과 정의당이 다시 분리된 이후 실시된 2024년 5월말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1%로 자유통일당이나 진보당 같은 군소정당급으로 떨어졌다. 개혁신당이 3%, 조국혁신당 14%. 앞으로 원외정당인 정의당은 여론조사에서 기타정당으로 분류된데다 잇따른 참패로 인해 조직력이 아작났기에 이전에 비해 존재감이 더욱 더 약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총선 이후 실시된 당직 선거에서 이전과 달리 후보로 나서는 인물이 없어 난항을 겪었다. 이후 비대위에서 추대하려했던 [[권영국]] 변호사가 단독으로 당대표에 출마했으며, 22대 총선에서 경북 경산시 후보로 나섰던 시의원 [[엄정애]], 비례 후보로 나섰던 [[문정은]]이 각각 부대표에 입후보했다. 이후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권영국 대표는 다시 현장과 거리로 나갈 것을 천명했으며, 엄정애 부대표는 시의원에 여러 차례 당선되었던 경험을 살려 2년 뒤의 지방선거를 준비한다고 전했다. == 당직선거 / 경선 == === [[정의당/제2기 전국동시당직선거|제2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제2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정의당/제3기 전국동시당직선거|제3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제3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정의당/제4기 전국동시당직선거|제4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제4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정의당/제5기 전국동시당직선거|제5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제5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정의당/제6기 전국동시당직선거|제6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제6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정의당/보궐선거 및 청년정의당 대표 선거|보궐선거 및 청년정의당 대표 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보궐선거 및 청년정의당 대표 선거)] === [[정의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 [[정의당/제7기 전국동시당직선거|제7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제7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정의당/제8기 전국동시당직선거|제8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제8기 전국동시당직선거)] == 당 지도부 == [include(틀:정의당 대표)] || '''대수''' || '''이름''' || '''임기''' || || 제1대 || [[천호선]] (千皓宣) || 2013년 7월 21일 - 2015년 7월 18일 || || 제2대 || [[심상정]] (沈相奵) || 2015년 7월 18일 - 2017년 7월 11일 || || 제3대 || [[이정미(정치인)|이정미]] (李貞味) || 2017년 7월 11일 - 2019년 7월 13일 || || 제4대 || [[심상정]] (沈相奵) || 2019년 7월 13일 - 2020년 10월 12일[* 원래 임기는 2021년 7월까지이나, 리더십 교체와 당 개혁을 위해 혁신위원회를 구성하고 조기에 퇴임하였다.] || || 제5대 || [[김종철(1970)|김종철]] (金鍾哲) || 2020년 10월 12일 - 2021년 1월 25일[* 성추행 사건으로 인해 직위해제되었다. 이후 제명.] || || 대행 || [[김윤기]] (金潤起) || 2021년 1월 25일 - 2021년 1월 29일[* 최선임 부대표로서 대표 직무대행. 지도부 쇄신을 위해 부대표 및 대표 직무대행 사임.] || || 비대위 || [[강은미]] (姜恩美) || 2021년 1월 30일 - 2021년 3월 23일 || || 제6대 || [[여영국]] (余永國) || 2021년 3월 23일 - 2022년 6월 2일[* [[8회 지방선거]]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 || || 대행 ||<|2> [[이은주(1969)|이은주]] (李恩周) || 2022년 6월 2일 - 2022년 6월 12일 || || 비대위 || 2022년 6월 12일 - 2022년 10월 28일 || || 제7대 || [[이정미(정치인)|이정미]] (李貞味) || 2022년 10월 28일 - 2023년 11월 6일 || || 대행 || [[배진교]] (裵晋敎) || 2023년 11월 6일 - 2023년 11월 15일 || || 비대위 || [[김준우(변호사)|김준우]] (金俊佑) || 2023년 11월 15일 - 2024년 5월 27일 || || 제8대 || [[권영국]] (權英國) || 2024년 5월 28일 - || === 제2기 대표단[* 1기 대표단은 [[진보정의당]] 시기]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ffed00; font-weight: bold" {{{#ffc200,#ffed00 2013년 7월 21일 - 2015년 7월 18일}}}}}} * 대표: [[천호선]] * 원내대표: [[심상정]] → [[정진후]][* 2015년 6월 9일자로 원내대표가 되었다.] * 부대표 1. [[이정미(정치인)|이정미]] 1. [[김명미]] 1. [[문정은]] ---- * 사무총장: [[권태홍]] * 정책위의장: [[박원석]] ,,(-2014년 8월 27일),, → [[조승수]] === 제3기 대표단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ffed00; font-weight: bold" {{{#ffc200,#ffed00 2015년 7월 18일 - 2017년 7월 11일}}}}}} * 상임대표: [[심상정]] * 공동대표[* 2015년 11월 22일 4자통합 이후 제4차 임시 당대회를 통해 선출.] * --[[김세균]]--[* [[국민모임]] 출신, 2016년 9월 공동대표직 사퇴.] * [[나경채]][* [[평등사회네트워크]] 출신.] * 원내대표: [[정진후]] → [[노회찬]] * 부대표 1. [[이정미(정치인)|이정미]] 1. [[김형탁]] 1. [[배준호(강사)|배준호]] 1. 이병렬[* [[노동정치연대]] 출신으로 2015년 11월 4자 통합 이후 제4차 임시 당대회를 통해 부대표로 선출.] ---- * 사무총장: [[이혁재(정치인)|이혁재]] * 정책위의장: 김용신 === 제4기 대표단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ffed00; font-weight: bold" {{{#ffc200,#ffed00 2017년 7월 11일 - 2019년 7월 13일}}}}}} * 대표: [[이정미(정치인)|이정미]] * 원내대표: [[노회찬]] → [[윤소하]] ,,직무대행,, → [[윤소하]] * 부대표 1. [[강은미]][* 민주노동당에서부터 정의당까지 광주에서 활동한 [[광주전남연합]] 소속이다. 아마도 정의당 내 광주전남연합이 범 인천연합으로 분류되는만큼 이정미 대표를 보조하기 위해 러닝메이트 형식으로 출마했을 것으로 보인다.] 1. [[한창민]][* 정의당 대변인 출신이며,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대전세종충남 지역위원회 공동대표 경력이 있는 전형적인 [[참여계]]다. 문예위 사건 당시전국위원회에서 문예위의 행태에 대해 문제제기를 한 적이 있고, 참고로 정의당 여성주의자모임이 문재인을 디스한 것을 생각해보면 강경하게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 1. [[정혜연]][* 과거 문예위의 메갈리아 옹호 사태 때 메갈리아와 당 지도부, 당 내의 혐오주의를 동반한 일부 페미니스트들을 강하게 비판하고 성토했던 인물이다. [[레즈비언]]이며 성소수자위원회 위원장을 하다 문예위 사태 이후 임기 도중에 그만 둔 이력이 있다. 다만 이 때문에 당내 일각에서는 무책임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메갈리아 게이 비하 및 아우팅 시도 사건#s-4]] 문서에 인용된 글이 당시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_view.html?num=76441|탈퇴선언문]]의 일부이다. 비판과 견제에도 불구하고 정의당에서 부대표로 선출되면서 [[성소수자]]가 원내정당의 지도부에 진출한 첫 사례를 만들었다. 이와는 별개로 그가 이끄는 의견그룹 [[진보너머]]는 [[평등사회네트워크]]와 이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정의당 여성주의자 모임에서 가장 견제하는 그룹이다.] ---- * 사무총장: [[신장식]] * 정책위의장: 김용신 === 제5기 대표단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ffed00; font-weight: bold" {{{#ffc200,#ffed00 2019년 7월 13일 - 2020년 9월 27일}}}}}} * 대표: [[심상정]] * 원내대표: [[윤소하]] → [[배진교]] → [[강은미]] * 부대표 1. [[김종민(1970)|김종민]] 1. --[[임한솔]]--[* 직위해제 후 탈당] 1. [[박예휘]] ---- * 사무총장: [[권태홍]] → 조동진 ,,권한대행,, * 정책위의장: [[박원석]] === 제6기 대표단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ffed00; font-weight: bold" {{{#ffc200,#ffed00 2020년 9월 27일 - 2022년 9월}}}}}} * 대표 * [[김종철(1970)|김종철]][* 직위해제 후 제명] ,,(2020년 9월 27일 - 2021년 1월 25일),, → [[김윤기]][*사임] ,,직무대행 (2021년 1월 25일 - 2021년 1월 29일),, → [[강은미]] ,,비상대책위원장 (2021년 1월 30일 - 2021년 3월 24일),, → [[여영국]] ,,(2021년 3월 24일 - 2022년 6월 2일),, → [[이은주(1969)|이은주]] ,,직무대행 (2022년 6월 2일 - 2022년 6월 12일),, ,,비상대책위원장 (2022년 6월 12일 - ),, * 원내대표: [[강은미]] → [[배진교]] → [[이은주(1969)|이은주]] * 부대표 1. [[김윤기]][*사임] ,,( - 2021년 1월 29일),, → [[박창진]][* 보궐선거로 당선.] ,,(2021년 3월 30일 - 2022년 6월 2일),, 1. [[김응호]] ,,( - 2022년 6월 2일),, 1. [[배복주]] ,,( - 2022년 6월 2일),, 1. [[박인숙(1965)|박인숙]] ,,( - 2022년 6월 2일),, 1. [[송치용]] ,,( - 2022년 1월 29일),, * 청년정의당 창당준비위원장 → 청년정의당 대표: * 강민진 → [[정채연(정치인)|정채연]] ,,직무대행,, ---- * 사무총장: 권태훈 → [[박원석]] * 정책위의장: [[정연욱(1969)|정연욱]] → [[장혜영]] ---- * 비상대책위원회 * 위원장: 강은미 원내대표 * 비상대책위원 * [[배복주]][* 현 부대표] * --노창섭--[* 경남도당 위원장][* 2021년 2월 16일 사임.] * 문영미[* 인천시당 위원장] * 황순식[* 경기도당 위원장] 보통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도부 전체가 사퇴한 뒤 그를 대체하며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정의당의 당헌에도 그렇게 명시되어 있으나, 제6기 제4차 전국위에서 지도부 총사퇴 없이 비대위를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비상대책위원 중 배복주 부대표의 경우에는 김종철 당대표 성폭력 사건의 조사 책임자였기 때문에 위원으로 참여했다. ---- * 제20대 대선 선거대책위원회 * 대통령 후보: 심상정 * 상임선대위원장: 배진교, 이정미, 나경채, 강민진 * 선대위원장: 김응호, 배복주, 박창진, 송치용, 강은미, 류호정, 이은주, 장혜영, 김윤기, 황순식 * 후보 비서실장: 이은주, 김종대 * 대변인: 정호진, 김창인, 김지수, 박한기 * 청년대변인: 홍주희 ---- * 부산 선대위원장: 김영진, 박주미 * 인천 선대위원장: 문영미 === 제7기 대표단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ffed00; font-weight: bold" {{{#ffc200,#ffed00 2022년 9월 27일 - 2023년 11월 6일}}}}}} * 대표 : [[이정미(정치인)|이정미]] * 부대표 : [[이현정(정치인)|이현정]], [[이기중]], [[조귀제]] * 청년정의당 대표 : [[김창인]] === 비상대책위원회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ffed00; font-weight: bold" {{{#ffc200,#ffed00 2023년 11월 15일 - 2024년 5월}}}}}} * 비상대책위원장 : [[김준우(변호사)|김준우]] * 원내대표 : [[배진교]] * 비상대책위원 : [[김종대(정치인)|김종대]], [[나경채]], [[엄정애]] * 집행위원장 : [[정재민(정치인)]] * 정책위의장 : [[김종민(1970)|김종민]] * 청년정의당 대표 : 공석 === 임시 대표단 === [include(틀:정의당 중앙당)]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ffed00; font-weight: bold" {{{#ffc200,#ffed00 2024년 4월 27일 - 2024년 5월 27일}}}}}} * 대표 : [[김준우(변호사)|김준우]] * 부대표 : [[나순자]] * 원내대표 직무대행 : [[장혜영]] === 제8기 대표단 === [include(틀:정의당 중앙당)]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ffed00; font-weight: bold" {{{#ffc200,#ffed00 2024년 5월 28일 -}}}}}} * 대표 : [[권영국|권영국]] * 부대표 : [[문정은]], [[엄정애]] * 원내대표 직무대행 : [[장혜영]],,(2024년 5월 29일까지),, == 원내 지도부 == [include(틀:정의당 원내대표)] || 국회 || 기수 || 이름 || 임기 || ||<|3> [[제19대 국회|19대]] || 2기 ||<|2> [[심상정]] (沈相奵) || 2013년 7월 21일 - 2014년 6월 10일 || || 3기 || 2014년 6월 10일 - 2015년 6월 9일 || || 4기 || [[정진후]] (鄭鎭珝) || 2015년 6월 9일 - 2016년 5월 29일 || ||<|6> [[제20대 국회|20대]] || 1기 ||<|3> [[노회찬]] (魯會燦) || 2016년 5월 30일[* 선출은 5월 3일이지만 당시 의원이 아니라 법률상 '대표의원'이 바로 될 수가 없었기에 실제 취임은 20대 국회 임기 시작일인 5월 30일이다.] - 2017년 5월 30일 || || 2기 || 2017년 5월 30일 - 2018년 6월 19일 || || 3기 || 2018년 6월 19일 - 2018년 7월 23일 || || (대행) ||<|3> [[윤소하]] (尹昭夏) || 2018년 7월 23일 - 2018년 8월 21일 || || 4기 || 2018년 8월 21일 - 2019년 5월 30일 || || 5기 || 2019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7> [[제21대 국회|21대]] ||<|2> 1기 || [[배진교]] (裵晋敎) || 2020년 5월 30일[* 선출은 5월 12일이지만 당시는 의원이 아니라 당선인 신분이었기에 공식적 취임일은 5월 30일이다.] - 2020년 9월 1일 || || [[강은미]] (姜恩美) || 2020년 9월 9일 - 2021년 5월 4일 || || 2기 || [[배진교]] (裵晋敎) || 2021년 5월 4일 - 2022년 5월 4일 || || 3기 || [[이은주(1969)|이은주]] (李恩周) || 2022년 5월 4일 - 2023년 5월 9일 || || 4기 || [[배진교]] (裵晋敎) || 2023년 5월 9일 - 2024년 2월 14일 || ||<|2> (대행) || [[심상정]] (沈相奵) || 2024년 2월 20일 - 2024년 4월 11일 || || [[장혜영]] (張惠英) || 2024년 4월 11일 - 2024년 5월 29일 || === [[제19대 국회|19대 국회]] === * 원내대표: [[심상정]] ,,(2013년 7월 21일 - 2015년 6월 9일),, → [[정진후]] ,,(2015년 6월 9일 - 2016년 5월 29일),, * 원내수석부대표: [[박원석]] === [[제20대 국회|20대 국회]] === * 원내대표: [[노회찬]][* 사망] ,,(2016년 5월 30일 - 2018년 7월 23일),, → [[윤소하]] ,,직무대행,, ,,(2018년 7월 23일 - 2018년 8월 21일),, → [[윤소하]] ,,(2018년 8월 21일 -),, * 원내수석부대표: [[이정미(정치인)|이정미]] ,,(2016년 5월 9일 - 2017년 6월 6일),, → [[윤소하]] ,,(2017년 6월 7일 -),, * 원내대변인: [[김종대(1966)|김종대]] ,,(2016년 5월 9일 -),, === [[제21대 국회|21대 국회]] === * 원내대표: [[배진교]][*사임] ,,(2020년 5월 30일 - 2020년 9월 1일),, → [[강은미]] ,,(2020년 9월 9일 - 2021년 5월 3일),, → [[배진교]] ,,(2021년 5월 4일 - 2022년 5월 4일),, → [[이은주(1969)|이은주]] ,,(2022년 5월 4일 - 2023년 5월 9일),, → [[배진교]] ,,(2023년 5월 9일 - 2024년 5월 29일),, * 원내수석부대표 겸 원내대변인: [[강은미]] ,,(2020년 5월 30일 - 2020년 9월 9일),, → [[장혜영]] ,,(2020년 9월 9일 - 2021년 1월 26일),, → [[류호정]] ,,(2021년 1월 26일 - 2021년 5월 3일),, → [[이은주(1969)|이은주]] ,,(2021년 5월 4일 - 2024년 1월 25일),, → [[강은미]] ,,(2024년 1월 26일 - 2024년 5월 29일),, == 상임고문단 == [include(틀:정의당 상임고문)] == 소속 의원 == === 광역의회의원 === [include(틀:민선 8기 광역의회의원/정의당)] 둘 다 광역의회의원에 비례 자격으로 들어갔으며, 각각 전라북도의회(오현숙)와 전라남도의회(김미경)에 있다. === 기초의회의원 === * 인천광역시 * 김종호 [[동구(인천광역시)|동구]]의원 (만석동, 화수1·화평동, 화수2동, 송현1·2동) * 광주광역시 * 한윤희 [[광산구]]의원 - 마선거구(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 강원특별자치도 * [[윤민섭(정치인)|윤민섭]] [[춘천시]]의원 - 라선거구(효자2동, 석사동) * 전북특별자치도 * 한승우 [[전주시]]의원 - 마선거구([[완산구]] 삼천1동, 삼천2동, 삼천3동, 효자1동) * 전라남도 * 최현주 - [[목포시]]의원 마선거구(연산동, 원산동, 용해동) * 백동규 - 목포시의원 사선거구(부흥동, 신흥동, 부주동) * 박유정 - 목포시의원(비례대표) == 지지 기반 == === 연령 기반 === [[더불어민주당]][* 40대와 102030대 여성 강세, 102030대 남성과 60대 약세, 50대 경합]과 [[국민의힘]][* 102030대 남성과 60대 강세, 102030대 여성, 40대 약세, 50대 경합]과 달리 뚜렷하게 특정 연령에서 강세를 띠지 않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1020대 여성과 50대에서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하다. [[https://www.gallup.co.kr/dir/GallupKoreaDaily/Graph/Daily_466_24.png|#]], 이는 정의당이 노동자 인권 이슈와 여성 인권 이슈에 적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이며, 특히 1020대 여성인 경우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출구조사|출구조사]]에서 보듯이 정의당 지지세가 매우 강하다. 반면 1020대 남성과 3040대, 60대 이상에선 낮은 편인데, 일단 1020대 남성은 소위 정의당이 페미니즘에 친화적이다 보니 거부감을 띄는 경우가 많고[* 20대 이하 남성은 인터넷에서 많이 활동하다보니, 소위 [[트위터 페미니즘]]으로 대표되는 넷 페미니즘을 페미니즘 자체로 보고 치를 떠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30대 이상인 경우는 무덤덤한 게 대부분.], 3040대는 1020대보단 일자리, 육아 이슈 등에 대해 더욱 더 관심있는 것도 있을 뿐더러 상대적으로 민주당계 정당에 대한 지지세가 강하고 정의당-민주당계 정당 간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더불어민주당으로 쏠린 것이 있으며, 60대 이상은 보수정당의 지지세가 강한 것이 한몫했다.[* 다만 이제 586세대도 60대에 들어섰다보니 노조 활동을 했던 60대인 경우는 정의당을 지지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2023년 현재 기준으론 40대 이하는 여고남저, 5060대에선 남고여저로 요약이 가능하다, 물론 이유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여성 인권과 노동자 인권 이슈에 적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이다..[[https://www.gallup.co.kr/dir/GallupKoreaDaily/Graph/Daily_576_12_2.png|#]] 22대 총선 출구조사 기준으론 비례대표 기준 2030대 여성에서만 5% 정도로 유의미하게 지지세가 높고[* 이것도 사실 다른 세대에 비해서만 유의미하게 높았다는 뜻이지, 절대적으로 높았다는 뜻이 아니다. 적나라하게 말하자면 [[개혁신당]]을 지지한 2030대 여성보다도 고작 1.6배 정도로 높았으며, 개혁신당을 지지한 2030대 남성에 비해선 무려 1/3~1/5 정도로 낮았다. 여기보다 더 상황이 안 좋은 곳은 [[새로운미래]]밖에 없다. 하지만 새로운미래는 창당한지 1년도 안 되는 신생정당에 대중적인 인지도가 매우 낮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새로운미래보다 상황이 낫다는 점은 위안거리가 될 수 없다.], 나머지 세대에선 매우 지지세가 낮았다.[* 참고로 이는 다르게 말하자면 이전에 갖고 있었던 중공업 노조에서도 지지세를 잃었다는 뜻이다.] === 지역 기반 === 정의당의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곳을 요약하자면 '''적, 녹, 보라'''이다. 즉 노조세가 상대적으로 강하거나, 생태주의 이슈가 잘 통하거나, 미성년 여성[* 21대 총선 때 18세 여성에서 정의당이 비례대표에서 2위를 했었다.] ~ 청년 여성 인구가 많은 지역이 바로 정의당이 강세인 곳이라 보면 무방하다. 실제로 [[심상정]]이 있는 덕양구와 [[장혜영]]이 지지기반을 다지고 있는 마포구는 2030대 여성 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여영국]]의 기반이였던 창원시 성산구, [[조승수]]의 기반이였던 울산 북구, [[배진교]]의 기반이였던 인천 남동구는 중공업 노조의 세가 강한 곳이며, 역시 정의당이 상대적으로 강세인 제주시인 경우는 자연 생태 자원[* 한라산, 오름 등이 바로 그 예시다.] 관련 관광업으로 먹고 사는 지역 특성상 생태주의 이슈가 잘 통하는 곳이다. 그 밖에도 지역의 특성에 저 3가지가 안 들어가지만 인물론으로 강세인 곳도 있는데 바로 광주광역시 서구, 상당구, 연수구, 목포시, 경주시가 바로 그 예인데. 이는 [[강은미]], [[김종대(정치인)|김종대]], [[이정미(정치인)|이정미]][* 지역구 관리 능력이 매우 뛰어나서 정의당 내에서 심상정과 같이 보수성향 무당층에서도 지지를 받는 몇 안되는 사람이다. 실제로 민경욱-정일영-이정미 구도였던 21대 총선 때 보수성향이지만 민경욱을 껄끄러워한 보수성향 무당층 상당수가 이정미를 찍었을 정도.], [[윤소하]], [[권영국]]의 개인기가 꽤 잘 통하는 동네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상당구와 광주 서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모두 10%를 넘었으며, 연수구는 심지어 20%에 육박하였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결과를 봐도 이런 경향이 드러나는 데 실제로 3%를 넘는 지역을 잘 보면, 위에서 언급한 3가지 특성 중 한 가지라도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일단 서울 지역인 경우는 대학가 근처여서 여성 청년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곳이며, 고양시 덕양구는 심상정의 기반이기도 하지만 고양시에서 2030대 여성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이기도 하고, 세종특별자치시인 경우도 6급 이하 공무원에선 여성이 많은 특성상 여성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다.[* 물론 5급 이상은 남성 비율이 높지만, 6급 이하와 5급 이상 중에선 6급 이하에서 압도적으로 많다. 즉 전체적으론 여성이 우위다.] 그리고 창원시 성산구와 울산 동구, 북구는 공단의 영향으로 노조 조직력이 상대적으로 강하며[* 단 노조 조직력이 강한 남동구는 2.86% 정도에 그쳤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주특별자치도는 자연 생태자원 관련으로 관광업이 발달한 지역 특성상 생태주의 이슈가 꽤 잘 통하는[* 참고로 여기는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이 선전하는 몇 안되는 지역이기도 한다.] 지역이기도 한다. || {{{#000000 정의당 득표율}}} || '''[[지역]]''' || || {{{#000000 3.13% }}} || '''[[종로구]]''' || || {{{#000000 3.03% }}} || '''[[광진구]]''' || || {{{#000000 3.09% }}} || '''[[성북구]]''' || || {{{#000000 3.08% }}} || '''[[은평구]]''' || || {{{#000000 3.30% }}} || '''[[서대문구]]''' || || {{{#000000 3.67% }}} || '''[[마포구]]''' || || {{{#000000 3.34% }}} || '''[[관악구]]''' || || {{{#000000 3.32% }}} || '''[[덕양구]]''' || || {{{#000000 3.22% }}} || '''[[성산구]]''' || || {{{#000000 3.14% }}} || '''[[세종특별자치시]] [[동(행정구역)|동]] [[지역]]''' || || {{{#000000 3.51% }}} || '''[[울산 동구]]''' || || {{{#000000 3.70% }}} || '''[[울산 북구]]''' || || {{{#000000 3.40% }}} || '''[[제주시]]''' || || {{{#000000 3.21% }}} || '''[[서귀포시]]''' || 2024년에 치른 제22대 총선 기준 개표 결과에 의하면 서울과 제주에서만 2.68%, '''4.14%'''[* 유일하게 봉쇄조항을 넘은 곳이다.]가 나와서 여기서만 유일하게 2.5%를 넘었으며, 나머지 지역에선 1.13(전남)~2.29(인천) 정도로 2.5%도 넘는 곳이 없었다. 다만 심상정이 출마한 고양시 덕양구, 여영국에 출마한 창원시 성산구, 장혜영이 출마한 서울특별시 마포구에서는 5%를 넘는데 성공하였다. === 선거에서의 이점 === * 노동계의 지지 : [[진보정의당]] 시기부터 [[참여계|리버럴]]이 섞여 들어가고 나머지 구성원들도 [[민주노동당]],[[진보신당]] 때보다 보수화되면서 노동중심성에서 멀어졌단 비판을 받았지만, [[참여계|리버럴]]이 빠져나가고 제3지대 계열[* [[세 번째 권력]],[[대안신당당원모임]]]이 빠져나간 후 민주노총과의 연계성향이 강해지면서 노조 또한 버리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과 같이 민주노총 산별노조의 지지를 많이 받는 정당 중 하나며, 산별로는 [[화섬노조]], [[공공운수노조]], [[금속노조]]의 지지를 정파로는 [[민주노총]] [[중앙파]]에게서 지지를 받고 있다. * 진보언론과 여성계의 지지 :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과 같이 [[한겨레]], [[경향신문]][* 특히 경향신문은 한겨레와 달리 온전히 이들의 입장을 대변한다.] 등 진보언론의 푸시를 많이 받는 정당이며, 여기에 더해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나 [[여성신문]] 등 친페미니즘 언론과도 관계가 매우 좋은 상황이다. 다만 [[한국여성단체연합]]으로 대표되는 주류 진보 여성계인 경우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도 꽤 있다. * [[민주노총]] 주도의 단일화에 참여할 수 있다. 이는 단일화 성공시 진보당, 정의당, 녹색당 유권자들의 표심을 흡수하는 데 유리하다. * 환경단체의 지지 : 대한민국에서 가장 환경단체의 지지를 많이 받는 정당이 바로 녹색당과 정의당이다. 특히 진보당 강성희가 가덕도 신공항 관련 법안에 찬성을 하고, 기본소득당 용혜인과 민주당 양이원영 등이 기권을 하면서 녹색당과 정의당만 지켜세우는 경우가 꽤 있었을 정도다. 또한 이 정당과 녹색당이 연합해서 만든 [[녹색정의당]]이 인재영입 1호가 바로 기상과학자인 조천호 박사이며, 실제로 녹색정의당의 기후위기 대처 공약이 여러 언론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 성소수자의 지지 :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과 같이 성소수자들에게 지지를 많이 받는 정당이며, 유의미한 표를 기대하기 힘든 두 정당에 비해 정의당은 상당 규모의 세력이 존재하는 만큼 선거철에 성소수자 표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퀴어]]들이 많고 [[LGBT]] 이슈에 적극적인 [[트위터]]에서는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이 사실상 유일한 구세주로 취급받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은 '''트위터 여당'''이라고 불리는 정당이다. 트위터 내부에 지지자가 꽤 많기 때문이다.] === 선거에서의 불리점 === * '''너무 허약한 지역 조직력 + 비례대표 조직력''' : 대한민국의 선거는 [[소선거구제]] + 일부 [[비례대표제]] 채택으로, 다른 것보다도 지역의 조직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민주노동당]]이 그래도 제3정당 포지션을 가지고 심지어 일부 지역에선 제1야당 포지션을 가지고 있을 수 있던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특유의 강한 조직력 덕분이었을 정도다.하지만 정의당은 비례대표 쪽과 지역구 조직력 둘 다 없다.[* 이전까지는 비례대표 조직력이라도 있었지만, 22대 총선에서 2.1%에 그치면서 비례대표 조직력도 없었다는 게 드러났다.], 심지어 [[녹색당(대한민국)|같이 연대했던 정당]], [[노동당(대한민국)|이복형제 포지션의 정당]][* 둘 다 반양당 진보란 자강 포지션에 더해 [[진보신당|한 정당]]에서 갈라져 나왔기에 이복형제라고 봐도 무방하다.]처럼 당원 수도 후달리면서[* 2022년 기준 4만여명 정도지만, 2024년 현재는 당이 사분오열되었기에 진성당원의 수를 감안하면 3만명 이하 정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자체적인 조직력마저도 소멸한 상황이다. 현 정의당과 비슷한 행보를 걷고 있는 노동당, 녹색당인 경우는 고정적인 지지층도 미약할 뿐더러 지역 조직력이 그렇게 좋지 않아서 지방선거 때 기초/광역의회조차도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걸 감안하면 매우 치명적인 리스크다.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민주당계 정당]] 지지자의 교차 투표 가능성 부재''' : 사실 정의당인 경우는 지역 조직력이 양당에 비해 약했기에 소위 민주당 지지자의 교차투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 [[유시민]]의 탈당으로 인해 당내 [[참여계]] 입김은 많이 약화하였고[* 실제로 [[천호선]], [[박창진]], [[한창민]], [[신장식]] 처럼 탈당한 사례도 있으며. 이들은 [[조국혁신당]],[[더불어민주당]],[[사회민주당(2024년)|사회민주당]]으로 갔다. 여담으로 [[한창민]], [[신장식]]은 22대 국회에 입성했다.], 그 자리를 반양당과 진보정당끼리의 연대를 지향하는 진보주의자가 차지하면서[* 실제로 4자 통합으로 합류한 단체 중 [[국민모임]]이야 그나마 민주당계 인사들과도 있었기에 친민주라고 보긴 어렵긴 하더라도 반민주는 아녔던 반면, 나머지 두 단체, 즉 [[평등사회네트워크|노동당 탈당파]]와 [[노동정치연대]]의 성향은 친민주와는 거리가 멀었다. 물론 이들과 정의당 당내 좌파 모임들이 합쳐서 만든 [[전환(정의당)|전환]]의 성향은 알다시피 노동당, 녹색당과 맞먹을 정도로 반양당 성향이 강하다.] 민주당과의 접점이 약해지고 있었다.거기에다가 PD 계열이긴 하지만 그나마 민주당과 사이가 나쁘지 않았던 [[노회찬]]이 사망하면서 완전히 연결고리가 끊어졌고, 여기에 더해 2020년대에 들어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관련으로도 파열음이 생겼을 뿐만 아니라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이쪽은 5인 이하 기업과 50인 이하 기업에 대한 적용 문제에서 갈등이 벌어졌다, 정의당은 5인 이하도 적용해야 된다고 했지만, 민주당은 50인 이하에선 2년 유예, 5인 이하 기업은 아예 제외를 했기 때문이다, 괜히 누더기 법이란 말이 나온 게 아닌 것.], [[차별금지법]][* 후술하다시피 정의당이 노동당,녹색당과 같이 트위터 여당이 된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언론중재법]][* 사실 언론중재법 문서에서 보듯이 개정안에 대해선 찬반이 매우 크게 오갔다, 민주당의 입장을 일변도로 대변해주는 언론이 사실상 없는 반면, 정의당의 경우는 [[한겨레]], [[경향신문]], [[여성신문]]이란 정의당에 우호적인 태도를 일관되게 고수하는 언론도 있었기에 민주당과 달리 언론에 일정 부분 친화적인 점이 민주당 지지자와 정의당 지지자 사이에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보는 관점이 다른 것에 영향을 줬다. 해당 법안이 통과된다면 '아니면 말고'로 요약되는 [[기레기]]식 보도에 대해서 제재를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요소도 있지만, [[미투 운동]] 같이 객관적인 증거보다 피해자의 주장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내부 고발에 대해 혐의자, 혹은 피지목자가 해당 사건에 대해 입막음을 하거나 정치인의 부패에 관련된 의혹을 보도하기 어려워진다는 점도 있는데, 정의당은 후자를 반대 명분으로 내세운 것이다.] 등의 법안 처리에 있어서도 상당한 의견차를 보이면서 거리가 매우 멀어졌고, 이로 인해 더 이상 민주당계 정당 유권자들의 [[전략적 투표]]를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 어찌보면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과 똑같은 리스크가 생긴 것. 실제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13.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13.6%로 그래도 13% 정도의 교차투표가 있었던 반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3.9%'''[* 이 정도라도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정의당 진성 지지자 중 차악으로 민주당을 뽑는 경우도 어느정도 있었기 때문이다.]로 1/4 토막이 난 것이 그 근거다. 게다가 이제 민주당 지지자 입장에서도 [[사회민주당(2024년)|사회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처럼 2016~2018년 때의 정의당 포지션을 가져가겠다 선언한 정당도 있을 뿐더러, 설령 더 좌파적인 정당을 원한다고 해도 [[기본소득당]]이나 [[진보당(2020년)|진보당]]이 있기에 정의당에는 눈도 돌리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20대 지지층 궤멸'''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20대 남성은 '''1.7%''', 20대 여성은 '''5.1%''' 정도 나오면서 처참하게 망했다.[* 5.1% 정도가 뭐가 망했냐고 할 수 있지만, 양당 구도가 과열되었던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비해서도 1.8% 정도 떨어진 건 물론, 지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16.0%에 비해서 무려 1/3 토막이 났기 때문이다. 게다가 [[개혁신당]]에 불과 1.9% 앞선 건 덤이다. 이는 개혁신당이 20대 남성에서 무려 '''17%'''를 얻은 것과는 매우 상반된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만 해도 남성과 여성 모두 정의당에 대한 일정 지지세가 있었지만, 남성인 경우는 정의당이 [[래디컬 페미니즘]] 노선을 타면서 20대 남성에서 정의당에 대한 반감이 커졌다.[* 물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10.3% 정도로 그래도 어느정도 지지를 보냈지만, 대선 때는 '''1.7%'''로 완전히 추락했다.], 한편 여성층인 경우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전만 해도 넉넉한 지지를 보내줬지만[*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때는 비례대표 한정으로 20대 여성에서 무려 16.0%를 득표했으며, 18세 여성에선 더불어시민당에 이어서 2위였다. 또한 [[제20대 대통령 선거]]이 [[제18대 대통령 선거]]보다도 더 과열된 선거이고 제3정당이 부진했던 선거였음에도 불구하고 20대 여성에서만큼은 '''6.9%''' 정도로 꽤 선전했다.] 정의당은 그 후 무지성으로 반민주당을 외치며[* 사실 2020년부터 2024년 현재까지의 내부 당원 구성의 변화를 감안하면 충분히 예상이 가능했던 일이였다. 그나마 민주당에 우호적인 참여계 계열이 대규모로 탈당해서 친민주 계열의 지분이 줄고 반대로 민주당에 적대적이고 반양당 진보연대(일명 노녹정 연대)를 지향하던 당내 좌파의 영향력이 커진 것이 6기 당직선거와 7기 당직선거에서 제대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의 영향력은 계속 커져서 결국 더불어민주연합 참여 거부와 노동당과 같이 홀로서기에 도전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민주-정의 교차표를 던져준 유권자 표심을 완전히 무시했을 뿐 아니라,[* [[제20대 대통령 선거]] 출구조사에 나온 것처럼 정의당이 심상정이 있고 페미니즘에 가장 우호적인 정당이여서 지지한 젊은 여성층도 꽤 있었지만, 민주당의 좌측에서 민주당을 도와주는 정당이여서 찍는 [[교차투표]]도 있었다. 그런데 전자만 생각하고 후자를 생각하지도 않은 것이다.] 2022년에 당내에서 벌어진 성범죄 막장대응[* 2021년의 [[김종철(1970)|김종철]] 성추행 사건인 경우는 그래도 피해자의 의사를 감안해서 비록 법적인 해결은 없었을지라도 여성계에서 호평을 할 정도로 꽤 좋은 대처를 했으며 재보궐선거 무공천을 함으로써 더불어민주당이 [[피해호소인]] 드립을 하면서 공천을 강행한 것과는 상반된 대응을 하였던 반면, 2022년 지방선거 직전에 터진 사건인 경우는 [[정의당/사건사고|해당 문서]]에서 보듯이 당내 성범죄에 대한 피해자의 의견 자체를 묵살함과 동시에 한 가해자에겐 제명 처리를 했지만, 또 다른 가해자에겐 당원권 3년 정지라는 말 그대로 막장 수습을 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인 경우는 적어도 [[안오박]] 중 자살한 [[박원순]]을 제외하면 제명 처리를 한 것, 게다가 정의당이 더불어민주당 내부의 [[피해호소인]] 드립에 대해 2차 가해라고 날카롭게 비판을 했다는 걸 감안하면 말 그대로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를 나무라는 상황을 만든 것이다.]으로 남녀불문하고 "페미니즘을 외치면서 당내 성범죄에 대해 대응을 못한 내로남불 정당"으로 낙인이 찍히면서 젊은 여성 또한 떠나갔다. * 진보정당으로써 대표성 약화 : 사실 다른 진보정당 지지자들의 경우 봉쇄조항 3%에 대한 사표 심리[* 정의당도 이를 알고 있었는지 녹색당, 진보당 같은 진보 정당들이 봉쇄조항 인하를 이야기했던 것에 비해 정의당은 이야기했던 적이 없다.]로 정의당을 찍어오는 경우들이 종종 있었는데, 정의당이 [[정의당 분당|사분오열되면서]] 이들 지지층이 분산이 되가고 있으며, 지역 조직 확장은 [[진보당(2020년)|진보당]]에게, 의정 활동 주목도는 [[기본소득당]]에 밀리고 있다 보니[* 기본소득당과의 비교는 약간 애매한데, 정의당은 중대재해처벌법과 노란봉투법, 쌍특검법 등 발의한 법안이 상당하나 애초에 군소정당으로 스피커가 작고, 비슷하게 스피커가 작은 기본소득당은 더불어민주당과 밀착한 상태로 민주당 지지층의 호응을 끌어내기 때문이다. 특히 정의당이 민주당 2중대를 떨쳐내려 노력하면서 거대양당 지지층에서 비토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 일. 그에 비하면 기본소득당은 민주당 2중대론에 별로 신경쓰지 않는 편이다.] 기존엔 비교가 되지 않았던 두 정당과 지지율이 엎치락 뒤치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900310?sid=100|#]][[https://www.fnnews.com/news/202403041047497190|#]], 그리고 기본소득당과 진보당은 원내에 입성했지만, 정의당은 입성하지 못하면서 결국 이들에게 완전히 밀렸다 * 각종 사건사고에 대한 어설픈 대응 : 2024년 현재는 당원 인력풀이 매우 좁아지고 어느정도 당내 의견도 진보좌파-반양당[*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과 노선이 비슷하다.]으로 통일된 면이 있지만, 정의당이 지금보다 더 컸던 2016~2019년만 해도 당내 노선은 [[사회민주주의]]였지만, 내부 구성원이 매우 광범위했기에[* 당시 정의당은 진보판 [[더불어민주당]]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인력 풀이 넓었다. 사회자유주의자,민주사회주의자, NLPDR 등 정치 노선의 범위도 넓었고, 안티페미니스트와 페미니스트가 한 정당에 있다는 평을 들을 정도로 더불어민주당 뺨 칠정도로 노선의 범위가 광범위했다.] 친민주당과 반민주당 사이를 줄타기하는 경우가 많았고, 결국 이도저도 아닌 대응을 해서 양쪽에게 욕을 먹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이런 애매한 노선의 반복은 민주당을 지지하면서 정의당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반대로 정의당을 지지하지만 양당에 대해 껄끄러워하는 사람들 둘 다를 놓치는 결과를 자초하였고, 결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때 원외정당이 되는 가장 큰 원인이 되었다. 물론 전술했듯이 앞으로 이런 애매한 대응이란 리스크가 사라진다는 것이 정의당 입장에선 그나마 안도할 만한 상황. * 2016년에 일어났던 래디컬 페미니즘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어설픈 대응''' : 사실 정의당이 클로저스 성우 퇴출 사건 때 언급한 문예위 논평은 노동당이나 녹색당과 같이 '''메갈리아를 옹호하는 입장이 아닌 넥슨은 왜 표현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고 부당해고를 왜 하느냐'''가 주된 논지였다. 어찌보면 정의당 입장에선 괜찮은 논평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이에 반감을 느낀 당원들이 탈당이 일어나자 논평을 철회했으며, 이에 대해 오히려 당내 여성주의자가 거꾸로 반발을 해버리고 탈당을 해버리면서 말 그대로 혼파망을 만들고여 말았다. 비록 수습을 했지만 어설프게 해버렸고[* 그 여성주의 정당 선언이 바로 그것이다. 반발을 느끼는 당원들 입장에선 메갈리아를 지지하는 게 자랑이다란 의견을, 당내 여성주의자들에겐 페미니스트들은 노동권을 침해받아도 되냐 이런 의견을 듣게 되었다. 참고로 당내 여성주의자들이 [[노회찬]]을 증오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인데, 실제로 해당 클로저스 사건 때 논평을 철회하는 데 노회찬이 제대로 기여를 했기 때문이다.], [[오늘의 유머]]와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에서 같이 까는 흑역사가 되어버렸다. * 조국 임명에 대한 정의당의 '''어설픈 대응''' : [[문재인 정부]] 시절 [[조국]] 임명에 대해 '검찰의 희생양' 관점에서 찬성을 할 것인지 '입시 특혜' 관점에서 반대를 할 것인지 당론을 정하지 못하고 갈팡질팡했다. 처음에는 임명에 찬성을 했는데 정치 철학에 따른 이유가 아닌 청년 당원 위주로 탈당이 지속된다는[* 사실 조국에 대한 이미지는 4050대와 20대 내에서 매우 상반되었는데, 전자인 경우는 "검찰이 노무현 때처럼 조국을 표적수사했기에 조국이 희생양이다"에 가깝다면, 후자는 "[[최순실]]과 마찬가지로 입시의 공정성을 저해시킨 사람이다"에 가깝기 때문이다, 실제로 [[조국혁신당]] 문서에서 보듯이 2024년 현재도 1020대에선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고, 405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다.] 이유만으로 임명 반대로 선회했다. 이렇게 되자 오히려 중장년 당원 위주로 탈당이 일어났고 줏대 없는 정당이라는 이미지가 씌워졌다. 정의당이 그동안 '선명성'으로 어필해왔기에 이런 모습은 이미지에 큰 타격을 주었고, 결국 [[더불어민주당]]과 [[참여계|친민주당 계열 지지자]], 그리고 청년 당원들에게 양사이드로 욕을 퍼먹는 결말을 낳았다. * [[박원순 성폭력 사건]]에 대한 정의당의 '''어설픈 대응''' : 정확히는 [[심상정]]의 대응이 문제가 된 케이스다. [[류호정]], [[장혜영]]이 피해자와의 연대를 이유로 박원순 추모를 유보하자는 의도의 글을 남겼는데, 거기에 대해 당내 온건파 및 친민주당 지지자들이 그래도 추모를 해야 되지 않냐고 항의를 했었다. 반면에 대선 전후에 유입된 1020대 여성과 당내 강경파는 해당 글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었다. 하지만 이후 [[심상정]] 의원이 해당 글에 대해 사과를 함으로써 친민주당 지지자들의 반발은 누그러졌지만 이번엔 당내 강경파와 1020대 여성이 반발을 하는 결과를 낳았고, 심상정 대표는 오락가락 간재기만 한 모양새가 되고 말았다. 이러한 심상정의 행보가 비판을 받아 [[제20대 대통령 선거]] 경선 때 [[이정미(정치인)|이정미]]가 선전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는 시각이 있다.[* 심상정이 선출되었지만 단 3%p 차이로 갈렸다.] *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검수완박]]에 대한 정의당의 '''어설픈 대응''' : 민주당을 찍어왔지만 검수완박에는 거부감을 느낀 [* 실제로 아동/청소년 관련 인권 운동가들 중에 검수완박에 반대한 케이스가 꽤 있다. [[아동 성범죄]]나 [[아동 학대]] 등 아동 청소년 대상 범죄에 대한 수사역량 약화 우려가 그 이유다.]유권자들을 포섭할 기회였으나, 정의당은 또 다시 이도저도 아닌 태도로 기회를 날려먹으며 [[8회 지방선거]]에서 정당의 존립 여부를 걱정해야 하는 수준의 참패를 하고, 사실상 제도권 정치에서 존재감이 사라져가는 결과를 맞이했다. 이 역시 심상정 대표 시절에 발생한 일이며, 그 이후 [[정의당/제7기 전국동시당직선거|당직선거]]에서 당내 좌파가 선전하는 계기가 된다. 다만 공수처 설치는 노회찬 의원이 발의하려다 못하고 정의당에서 후속 발의했으며, 정의당은 애초에 문재인 정부 초기부터 검수완박 자체에 찬성이었고, 더불어민주당의 졸속처리[* 사실 반대측인 경우도 검수완박 자체에 대한 반대보다 졸속처리에 대한 반대를 한 것에 가깝다.]를 반대한 것에 가깝다. == [[정의정책연구소]] ==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외정당별 정책연구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정책연구소)] [[정의정책연구소]]는 정의당 산하의 [[정책연구소]]이다. == [[청년정의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청년정의당)] 정의당에서 혁신위원회를 통해 출범시키기로 한 당내당 성격의 청년 조직. 청년 당사자들이 독립적인 인사권, 예산권을 가지며 당대표, 부대표단과 함께 대표단을 구성한다. 당헌 상으로는 2020년 8월 30일 신설되었으나 그 당규와 하부조직, 조직의 형성에 있어 혁신위보다 청년 당사자들의 결정이 중요하다고 봤기에 창준위 상태로 있었다가, 정식적으로 창설한 건 2021년 3월 23일이다. 2023년 현재는 [[김창인]]이 [[청년정의당]] 대표였지만, 2023년 10월 16일 대표직 사퇴에 따라 대표는 현재 공석인 상태다. == 당내 의견그룹 및 정파 == [include(틀:정의당의 계파 분류)] 정의당은 정파 연합으로 시작한 역사 덕에 당 안팎으로 활동하는 의견그룹들이 많다. 이전 [[민주노동당]], [[통합진보당]]처럼 정파끼리 당을 해칠 정도로 싸우지는 않지만[* 과거처럼 [[NL(정파)|자주파]]대 [[PD(정파)|평등파]] 식으로 딱 나누어지지는 않고, 사안에 따라 많이 뒤섞인 상태. 자주파출신 그룹이 평등파출신 후보를 지지하거나, 반대의 경우도 드물지 않다], 주요 이슈나 당론에 대해서는 아직도 격렬하게 논쟁하며[* 특히 민주당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대해 논쟁을 많이 한다. 당내 좌파일수록 자강론을 주장하는 편이다. ], 볼드체 표시는 현재 공식적으로 활동을 홈페이지나 SNS를 통해 공유하고 있는 계파이다. 하지만 22대 총선을 앞두고 정의당의 지지율이 고전을 면치 못하자, 갈등이 표면으로 급부상했으며 [[정의당 분당]] 사태를 몰고 왔으며, 결국 자주파 계열과 당내 좌파, 중도파 계열만 당의 주류로 남게 되었다. * 구 [[NL(정파)|자주파]] 계열 * '''비상'''(구 [[인천연합(정파)|인천연합]]/[[광주전남연합]][* 전국연합이 해산됨에 따라 지역연합들은 공식적으로 해산]) [[https://www.facebook.com/%EB%B9%84%EC%83%81-100661955854754/|페이스북]] 정의당 내 최대 [[NL(정파)|NL]]출신 그룹이며, 정의당의 조직력을 책임지고 있다.[* 실제로 심상정의 지역구인 [[고양시]], 노회찬-여영국의 옛 지역구인 [[창원시]] [[성산구]]를 제외하고 정의당이 가장 많이 선전하는 곳이 바로 인천이다.] [[통합진보당]]이 분당될 때 [[인천연합(정파)|인천연합]][* 다수그룹이 정의당으로 합류. [[경기동부연합]]에 동조한 소수그룹은 현재 [[진보당(2020년)|진보당]] 인천시당을 형성]과 [[광주전남연합]][* 소수그룹이 정의당으로 합류. [[윤민호(1970)|윤민호]], [[김선동(1967)|김선동]] 등 다수그룹은 [[경기동부연합]]과 함께 진보당 광주광역시당/전남도당을 형성했다.]의 온건그룹이 정의당으로 들어왔다. 인천/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고, 인천연합의 [[이정미(정치인)|이정미]], [[배진교]], [[김응호]], 광주전남의 [[강은미]], [[윤소하]] 등이 그룹을 대표한다. 2022년 출범한 공개 의견그룹 '비상'으로 집결하였다. * '''[[함께서울(정의당)|함께서울]]'''[* 공식적으로는 해당 정파 구성원들이 만든 시민단체 이름이다.] [[https://www.facebook.com/seoultogether/|페이스북]] 인천연합과 의견을 함께하며 서울지역[* 특히 2000년대 초반 용산에서 활동을 시작한 사람들이 많다. 용산지구당 사태가 사실상 이 그룹의 뿌리.]에서 주로 활동해 온 그룹. 2010년대 초반까지는 인천연합으로 같이 활동하였으나 노선상, 활동상의 차이로 조금씩 분화를 보이다가, 2020년 6기 당직선거에서 인천연합은 당대표로 [[배진교]] 후보를, 함께서울은 [[김종민(1970)|김종민]] 후보를 각각 내세우며[* 결선에서도 같은 NL출신 배진교가 아닌, PD 출신의 김종철을 지지하였다.] 완전히 분리되었다. 김종민, [[정연욱(1969)|정연욱]], [[정재민(정치인)|정재민]] 등이 대표적인 정치인이다. ---- * 당내 중도파 * '''[[새진보통합연대|통합연대]]''' [[통합진보당]] 탄생 당시 [[진보신당]] 탈당파가 모태며, 정의당의 인지도를 책임지고 있다.[* 실제로 정의당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사람이 바로 [[심상정]]이다. 물론 2023년 현재는 [[이정미(정치인)|이정미]],[[권수정]]도 인지도가 꽤 많이 올라갔긴 하다.] [[심상정]],[[조승수]],[[노회찬]](즉 [[노심조]])가 주축이였지만, 노회찬 의원이 사망하고, 조승수도 음주운전으로 정치권에서 사실상 퇴출되면서 2023년 현재는 심상정과 그들의 지지자, 그리고 [[박원석]][* 하지만 후에 박원석은 [[배복주]] 전 부대표 등과 함께 [[대안신당당원모임]]을 결성해 외연 확장을 외쳤고, 이후 탈당해 [[미래대연합]]에 합류했다.] 등 심상정이 영입한 영입인사를 뜻하는 말이 되었다. 2018년 지방선거 때 당선된 [[박시동]] 등 [[고양시]] 기초의원들도 여기에 속한다. 물론 2023년 현재는 노동당 출신과 인천연합 출신도 상당히 많이 있다. 다만 심상정의 은퇴로 이전에 비해 영향력이 약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 * 당내 좌파 * '''[[전환(정치단체)|전환]]''' [[https://www.facebook.com/switchmove21/|페이스북]] [[https://switchmove.net/|홈페이지]] 2021년 출범한 당내 좌파의 통합 조직이다. [[노동정치연대]], [[평등사회네트워크]], [[모멘텀(정의당)|모멘텀]], 민주적사회주의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당내 좌파 조직들의 통합으로 이루어졌으며 [[양경규]], [[권수정]], [[김윤기]], [[나경채]] 등이 참여하고 있다. 민주당과 거리를 두고 자강론을 외치는 정파로, 사회운동 중심 생태주의, 사회주의 정당으로의 전환을 주장한다. ---- * 당내 우파 * [[참여계]] : 친 민주당 성향 [[통합진보당]] 탄생 당시 [[국민참여당]]에서 온 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자들 및 자유주의자들의 네트워크. [[참여계]] 구성원들이 더불어민주당으로 많이 나가면서 영향력이 약해지더니 [[유시민]] 전 장관이 정계은퇴하고 탈당한 후로는 정파로서의 성격은 상당 부분 잃었으며, 별도의 구심점 없이[* [[천호선]] 전 대표가 좌장격] 비 참여당 출신의 친 민주당 성향을 띈 당원들과 결합하여 느슨하게 세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이후 대다수가 [[사회민주당(2024년)|따로 살림을 차림으로써]] 소멸하였다. * [[세 번째 권력]] : 친 제3지대 성향 [[류호정]], [[장혜영]], [[조성주(정치인)|조성주]]가 주축이 되어 만든 정치단체, 참여계가 2022년 이전까지 당내 우파를 책임졌다면, 2023년부터는 이들이 당내 우파를 책임진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위의 전환과 같이 민주당과 거리를 두자는 의견에선 함께 하나, 전환 계열과 달리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제3지대 정당]]과의 연대를 주장한다. 이후 장혜영 의원은 의견차로 세번째 권력에서 탈퇴했으며, 나머지 대다수가 [[새로운선택]]으로 합류함으로써 소멸하였다. * [[대안신당당원모임]] : 친 제3지대 성향 [[박원석]],[[배복주]] 등이 주축이 되어 만든 정치단체, 세번째 권력과 마찬가지로 제3지대를 지향하지만, 그들과 달리 진보정당과의 연대론도 주장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들 중 [[김종대(정치인)|김종대]] 등 일부 인사를 제외하곤 [[미래대연합]]으로 합류함으로써 소멸하였다. 그 밖에 [[박웅두]]의 경우 [[한국농어민당]]으로 합류했다. === 당내 소조직 === * [[정의당예비당원협의체 허들]] 당 내 청소년 예비당원들로 구성된 조직. 주로 예비당원들의 당권 쟁취와 청소년의 정치참여 확대에 대한 의제 중심으로 움직인다. 현 위원장인 노서진 위원장은 당의 공식 기구인 청소년특별위원회 위원장을 겸하고 있다. * 정의당 여성정책 연구모임 - 노란페미 [[https://www.facebook.com/yellowfemi/|페이스북]] * 정의당 교통동호회 - 정가다 [[https://www.facebook.com/justicejeonggada/|페이스북]] 2018년 4월 21일 결성한 정의당 내부 교통동호회. 교통을 좋아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더 나은 정책과 시설을 설계해보는 데까지 나아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비당원을 포함한 당원이면서 진보적 교통문제에 관심이 있거나 혹은 [[철도 동호인]], [[버스 동호인]], 항공 동호인 등 [[교통 동호인]]이면 가입할 수 있다. [[http://www.redian.org/archive/139491|정가다 대표의 레디앙 기고]] == [[정의당/다른 정당과의 관계|다른 정당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다른 정당과의 관계)] == 노동조합과 정의당 == [[민주노총]]은 정의당과 상설 협의체를 만들고, 노조 출신 정의당 국회의원 지지성명을 벌이는 등, 협업을 계속하고 있다. 이미 정의당의 명망가라고 불리는 소위 노회찬, 심상정, 조승수가 민주노조 창립운동에서 이름을 날렸고[* 예를 들어 심상정 의원은 노동 운동 할때부터 민주노총 조합원이었고, 쭉 조합원 자격을 가지고 있다.], 민주노총의 정당창립운동에 앞장섰던 [[단병호]], [[권영길]] 등의 원로들이 [[통합진보당]]이 아닌 정의당을 선택한 만큼 지지관계일수밖에 없다. 하지만 옛 민주노동당 때와는 다르게, 노조 전체 차원에서 당에 가입한 것은 아니고, 각각의 산별노조([[금속노조]], 공공노조, 운수노조, 민주택시노조 등) 조합원들이 정의당에 대거 가입해 있다. 이는 정의당과 민주노총의 의견 차이 때문인데 대표적으로 정의당은 민주노총이 경사노위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는 반면에 민주노총은 경사노위에 참여하지 않았다. 또한 최근들어 이정미가 낙태를 14주까지 허용하는 법안을 발의하였을 때 이는 낙태죄 유지와 다름없다고 비판하였다. 그럼에도 2015년 현재 정의당 5만 당원 중에 4분의 1이 민주노총 조합원이다. [[http://wspaper.org/article/17147|#]] 민주노조원의 60% 이상은 [[7대 지선]]에서 정의당을 뽑았다.[* 이는 대선 당시 약 40%만 정의당을 지지했던 것보다 상승한 추세이며, 조합내에 약 30%를 차지하는 중앙파 이외의 다른 정파 소속 일부도 정의당을 지지한다는 이야기이다.] 그만큼 민주노조가 존재하는 자체만으로도 정의당에겐 큰 힘이 되는 우군인 것이다. 금뱃지를 달고 있으면 중소기업은 벌벌 떨고, [[삼성 X파일 사건|대기업은 가진 것을 총동원해서 싸워야 겨우 판정승을 받는다.]] 그런 만큼, 노조탄압이나 부당해고의 현장에 적극적으로 나가서 이들을 보호하는 식의 연대를 정의당과 민주노조가 하고있는 것이다. 노조 조직률이 10%도 안 되는 나라에서 진보정당과 노조가 연대하는 것은 당연한 일. 물론 [[민중당(2017년)|민중당]]-[[진보당(2020년)|진보당]]의 등장과 이들의 성장으로 인해 이제 정의당만이 민주노조와 연대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참여계가 더불어민주당 등으로 이탈하고 [[정의당 분당]] 이후 NL계열과 PD계열만 남아서 좌클릭함으로써 민주노조와의 관계가 다시 회복되었다.[* 앞에 언급한 진보당이 울산 동구에서의 이중단일화 문제와 민주당과의 연대 문제로 어느정도 금이 가기 시작 한 것과는 차이가 난다.] 한편 [[한국노총]]은 계속해서 [[새누리당]]에 비례신청을 하고, 때로는 [[민주통합당|민주당계와 연합]]하기도 하며, [[녹색사회민주당|독자정당을 구축]]하려 하는 등, 정의당과는 구별되는 지향을 가지고 있다.[* 지향이 비슷한 민주노총도 독자후보는 출마시켰다. 이는 민주노총과 정의당의 관계문제라기보다 정의당에 참가하지 않은 NL계 정치인이 민주노총 후보로 등단하고, 지역구에서 당선 가능성이 있는 민주노총계 무소속 후보인 그들을 단일화에서 밀어준 것에 가깝다. 아예 정의당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한국노총과는 거리가 멀다.] 애초에 양쪽 다 설립된 역사가 서로를 험악하게 보게 만들었다. 한쪽은 관제노조연맹이었고, 다른 한쪽은 거기에 반발해서 생겨난 노동운동 출신들이 그득하니까. 하지만 최근 들어 [[한국노총]]도 좌클릭을 시작하면서, 한국노총과 정의당도 다리가 생겼다. 2015년부터 한국노총과 정의당 [[심상정]] 전 대표가 회담을 가졌고[* 하지만 민주노총처럼 상설협의체를 건설한 정도는 아니다.], 2017년에는 민주노총-정의당-한국노총 연대 총파업에 들어서기도 했다. 심지어 2018년 지방선거에는 민주노총처럼 전폭적 지지는 아니지만, 인천, 경기 지역에서 정의당 후보를 지지하기까지 했다. 이는 그들이 건설하려고 마음먹었던 [[한국사회민주당]]이 지지부진한 데다 박근혜의 노동운동 탄압과 문재인 정부의 우클릭이 맞물려 생겨난 대외 투쟁의 동지를 찾기로 한 데서 나온 결과이다. 더 중요한 점은 정의당을 공개지지한 인천, 경기의 한국노총 활동가들은 흔히 '''민주파'''라고 불리는 한국노총내 좌파들이라서 그럴 수 있었던 것이다. 지금도 정의당은 파리바게트, 이랜드, 쌍용에서 한국노총이 벌이는 온건주의와 정면대결을 벌이고 있다. 그렇다고 오해하지 말자. 민주노총은 [[진보당(2020년)|진보당]],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정의당 지지를 공개적으로 표명하지만, 한국노총인 경우는 [[국민의힘]]에도 일부 인사들이 진출했는데다[* 대표적인 사례로 전직 [[구미시 갑]] 국회의원인 [[장석춘]]이 있다.], 민주노총처럼 운동권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는 것도 아니다. 쉽게 말하자면 "민주노총과 정의당의 관계는 말 그대로 동지고, 한국노총과 정의당의 관계는 민주노총과 정의당 정도로 좋은 편은 아니지만, 공공의 적인 보수정당과 전경련 등 기업 단체과 맞서는 적의 적은 나의 친구다." 이 정도로 요약이 가능하다. == 여담 == * 페이스북에 '정의당 X-File'이라는 이름의 개그 페이지가 있다. [[손학규]]의 대모험처럼 짤방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페이지. 대중 인지도가 거의 없는 정의당 정치인들로 고군분투하고 있다. 다른 정치 짤방들이 대중인지도 높은 정치인들을 위주로 구성되는 것과는 달리 구의원 후보, 당직자들을 짤방감으로 활용하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기관지화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운영자가 그 문예위의 2인방이라 결국은 잠정적으로 휴업하게 되었다.] * 한때 문화정의 페이지[* 이쪽은 20대 총선 당시 연예계 공약을 발표하면서 '''[[아이돌마스터]]'''의 실루엣을 도용한 적이 있었다. [[http://pgr21.com/?b=24&n=1356|#]] [[http://todayhumor.com/?sisa_703347|#]]], 정의당 중앙당 페이지, 정의당 한양대학교 학생위원회가 드립으로 유명했는데, 문화정의 페이지는 메갈리아 사태 이후 침묵했고, 중앙당 페이지는 관리자가 바뀌었는지 드립력이 폭락해서 유일하게 드립이 빵빵 터지는 SNS커뮤니티는 정의당 한양대학교 학생위원회뿐이 되었다. 페이지 관리자의 덕력이 꽤 되는지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의 황건적 드립부터 애니메이션 네타까지 다양하게 구사하였다.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862028123929570&substory_index=0&id=770740746391642|매도소녀 패러디]] 지금은 파라로 바뀌었다.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011192765679771&id=770740746391642|너의 정당은]] [[너의 이름은.]] 패러디도 한다.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026364640829250&id=770740746391642|#]] 자작 정의당 마스코트 문정이 퀼리티가 왠만한 만화동아리 급이다. * 진보정당 중에선 당비가 가장 비싸다. [[국민의힘]]이 월 1000원 이상, [[더불어민주당]] 일반당비가 월 1,000원 이상인데, 정의당은 일반당비가 월 10,000원 이상이다. 단, 월 수입이 150만원 이하라면 월 5,000원, [[기초생활수급자]] 당원이라면 월 1,000원 이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아니면 100만원을 한꺼번에 내고 평생당원이 되어 월 당비를 면제받을 수도 있다. 의외라 보긴 어려운 게 당비에도 규모의 경제가 적용되다 보니 국힘이나 민주당이 대기업이라면 정의당은 중소기업이라 이런 당비 책정이 될 수밖에 없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 정치 후원금은 소득 신고 때에 연간 10만원까지 세액 공제가 아닌 납입 금액 환급을 받을 수 있으며 초과분은 세액 공제를 받으므로, 실제 당비는 한 달에 1만 원씩 낼 경우 연간 12만원-10만원=2만 원에서 세금을 뺀 금액이다. 다만 당비 납부자와 과세자 모두 본인이어야 하고, 연간 소득 세액에 10만원 이하이면 내야 할 세금 만큼만 환급된다. 즉 면세점 이하인 무직자, 생활 보호 대상자, 본인 소득이 없는 전업 주부, 대학생은 세금을 안 내므로 당비를 만원을 내든 10만 원 내든 돌려 줄 수가 없다.] * 22대 총선 이후 오히려 탈당파가 더욱 더 인지도가 높은 정당이다. [[신장식]], [[유시민]], [[한창민]]이 바로 이들, 그나마 21대 총선 이후 22대 총선 이전엔 [[심상정]]이란 걸출한 인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그나마 인지도가 있는 인물이라 해봐야 [[장혜영]], [[이정미(정치인)|이정미]] 정도다. 실제로 이 정당의 문제점은 이들 세대 이후, 즉 포스트 [[심상정]]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주로 꼽힌다는 것. 앞으로도 이들 이후 세대를 만들기가 매우 힘들 것으로 보이는게 빚이 워낙 많아서 청년활동가를 지원할 정도로 당의 사정이 넉넉하지 못하다는 점에 더해, 그나마 이들이 노릴만한 지지층인 20대와 성소수자는 워낙 인원이 적을뿐더러, 20대는 심지어 정치적 무관심이 매우 높은 세대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중에서 [[이대남|20대 남성]]은 정의당이 주로 이끄는 이슈인 페미니즘, 정확히는 [[래디컬 페미니즘]]에 대한 [[안티페미니즘|반감이 매우 크기에]] 더더욱 지지를 얻기 힘드며, [[이대녀|20대 여성]]인 경우도 [[더불어민주당]]을 밀어주는 경향이 이전에 비해 강해졌기에[* 반면 이대남인 경우는 [[국민의힘]]보단 [[개혁신당]]을 밀어주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어찌보면 민주당을 좋아하진 않지만 페미니즘에 우호적인 진보성향 20대 여성과 [[차별금지법]] 지연 등으로 인해 민주당을 극히 혐오하는 성소수자 위주로 당을 유지해야 된단 뜻이기도 한다. *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과 마찬가지로 '''트위터 여당'''으로 불린다. 진보적이고 LGBT가 많은 트위터 특성상 이들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꽤 있기 때문이다. * 대한민국 군대를 [[모병제]]로 전환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최초의 원내정당이다. 원외 원내를 불문하고 이런 공약을 내세운 정당 자체가 없었다. 물론 엄밀히는 6개월은 의무로 다녀야 하기 때문에 이게 뭐가 모병제냐는 오해가 있을 수 있는데 [[징병제]]에서 의무기간인 군대를 안 가면 병역면탈자나 면제자가 되지만 모병제에서 의무기간인 군대를 안 가면 어떠한 사회적 불이익이 없으며 그러한 사회적 불이익을 조장하는 사람을 처벌할 수 있다. 실제로 지금 대한민국에서 군대를 안 간 사람에게 사회적 불이익이나 냉소적인 시선은 처벌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정부가 앞장서서 조장하는 것을 보면 매우 이례적인 일. 실제로 당 내부에서도 너무 급진적인 정책이라는 소리가 나왔다.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_view.html?num=63031|공약 보러 가기]] * 이 정당과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이 연대했을 때 만든 [[녹색정의당]]이,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과 같이 유이하게 기후위기 관련 정책, [[차별금지법]], [[비동의간음죄]] 공약을 내걸었던 정당이다.[* 그래서 [[개혁신당]]의 안티테제로 불렸을 정도다. 이유는 [[이준석|알다시피...]]] 그래서 트위터 내부에선 [[여성의당]]과 같이 호평이 있었고, [[여성신문]]과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등 일부 여성단체와 페미니즘 언론에서도 매우 우호적이였다. * 원내를 경험해본 정당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정당이다. [[국민의힘]]인 경우는 2020년[* [[미래통합당]] 창당일], [[더불어민주당]]은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창당일]인데 반해, 정의당은 2012년[* [[진보정의당]] 창당일]이였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도 2012년에 창당했다.], 물론 원내 경험을 해보지도 못한 원외정당까지 합치면 [[한국독립당(2022년)|한국독립당]]이 2007년[* [[국제녹색당]] 창당일]으로 가장 오래되었다. == [[정의당/비판|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비판)] == 선거 결과 == === 대통령 선거 === || 연도 || 선거명 || 대통령 후보 || 득표수(득표율) || 결과 || || 2017 || [[제19대 대통령 선거|제19대]] ||<|2> [[심상정]] || 2,017,458 (6.17%) || 낙선 (5위) || || 2022 || [[제20대 대통령 선거|제20대]] || 803,358 (2.37%) || 낙선 (3위) || === 국회의원 선거 === || 연도 || 선거명 || 지역구(비율) || 비례대표(득표율) || 총 의석(비율) || 결과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제20대]] || 2 / 253 (0.8%) || 4 / 47 (7.23%)[* 1,719,891표.] || 6 / 300 (2%) || 원내 4당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제21대]][*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 목록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후보자/정의당]] 참조.] || 1 / 253 (0.4%) || 5 / 47 (9.67%)[* 2,697,956표.] || 6 / 300 (2%) || 원내 5당[* 위성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을 제외한다면 원내 3당]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제22대]][*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 목록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후보자/녹색정의당]] 참조.] || 0 / 253 (0.0%) || 0 / 47 (2.14%)[* 609,313표.] || 0 / 300 (0%) || 원내 진입 실패 || === 전국동시지방선거 === || 연도 || 선거명 || 광역단체장 || 기초단체장 || 광역의원 || 기초의원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6회]] || 0 / 17(0%)[* 전국 합산 207,613표(0.91%).] || 0 / 226(0%) || 0 / 789(0%)[* 전국 합산 823,785표(3.61%, [[세종특별자치시]] 제외).] || 11 / 2898(0.4%)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 0 / 17(0%)[* 전국 합산 502,752표(1.98%).] || 0 / 226(0%) || 11 / 824(1.3%)[* 전국 합산 2,267,690표(8.97%, 전지역 출마).] || 26 / 2926(0.9%)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 0 / 17(0%)[* 전국 합산 251,926표(1.13%).] || 0 / 226(0%) || 2 / 877(0.2%)[* 전국 합산 916,428표(4.14%, 전지역 출마).] || 7 / 2988(0.2%) || === 재보궐선거 === || '''연도''' || '''국회의원''' || '''광역단체장''' || '''기초단체장''' || '''광역의원''' || '''기초의원''' || || [[201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2013년 10월]] || 0 / 2 ||<-4> || ||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2014년 7월]] || 0 / 15 ||<-3> || 0 / 1 || || [[2014년 하반기 재보궐선거|2014년 10월]] ||<-4> || 0 / 2 || ||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2015년 4월]] || 0 / 4 ||<-2> || 0 / 1 || 0 / 7 || ||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2015년 10월]] ||<-2> || 0 / 1 || 0 / 9 || 0 / 14 || || [[2016년 재보궐선거|2016년]] ||<-2> || 0 / 8 || 0 / 17 || 1 / 26 || || [[2017년 4월 재보궐선거|2017년 4월]] || 0 / 1 || || 0 / 3 || 0 / 7 || 0 / 19 || || [[2017년 5월 재보궐선거|2017년 5월]] ||<-3> || 0 / 1 || 0 / 4 || || [[2018년 재보궐선거|2018년]] || 0 / 12 ||<-4> || || [[2019년 보궐선거|2019년]] || 1 / 2 ||<-3> || 0 / 3 || || [[2020년 재보궐선거|2020년]] ||<-2> || 0 / 8 || 0 / 17 || 0 / 33 || || [[2021년 재보궐선거|2021년]] || || 0 / 2 || 0 / 2 || 0 / 8 || 0 / 8 || || [[2022년 3월 재보궐선거|2022년 3월]] || 0 / 5 ||<-4> || ||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2023년 하반기]] ||<-2> || 0 / 1 ||<-2> || == 지지율 == [include(틀:한국갤럽 2024년 정당지지율)] ---- [include(틀:리얼미터 2024년 정당지지율)] ---- [include(틀:전국지표조사 2024년 정당지지율)] ---- [include(틀:여론조사꽃 전화면접 2024년 정당지지율)] == 둘러보기 == [include(틀:정의당 관련 문서)] [include(틀:그린뉴딜 포럼 참여단체)] [include(틀: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참여단체)] [include(틀:기후위기 비상행동/참여 정당)] [include(틀:차별금지법/지지 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외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진보정당)] [include(틀:한국 진보진영 관련 문서)] [include(틀:제19대 국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제20대 국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제21대 국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대한민국 광역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목포시의회의 원내 구성)]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진보정의당, version=46)] [[분류:정의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