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Edward Gaming/발로란트)] || '''정융캉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발로란트 인터내셔널 킥오프 우승자)] ---- [include(틀:VCT China 역대 우승 선수)] ---- [include(틀:VCT China 역대 정규시즌 MVP)]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DG_ZmjjKK_2023.png|width=100%]]}}} || ||<-2> '''Edward Gaming[br]{{{+1 ZmjjKK}}}''' || ||<-2> '''정융캉 (郑永康[* 한국 한자음으로는 정영강.] | Zheng Yongkang)''' || || '''출생''' ||[[2004년]] [[3월 3일]] ([age(2004-03-03)]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 '''ID''' ||ZmjjKK || || '''주 요원''' ||[[제트(발로란트)|[[파일:제트 초상화.png|width=30]]]] [[게코(발로란트)|[[파일:게코 초상화.png|width=30]]]] [[레이즈(발로란트)|[[파일:레이즈 초상화.png|width=30]]]] || || '''소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yal Never Give Up#s-2.3|Royal Never Give Up]][br](2020.05.27 ~ 2020.11.07) [[Royal Never Give Up#s-2.3|Royal Never Give Up]][br](2020.12.14 ~ 2021.??.??) CBT Gaming[br](2021.??.?? ~ 2021.??.??) 枝崽粉丝团[br](2021.05.15 ~ 2021.08.14) Qing Jiu Club[br](2021.08.14 ~ 2021.??.??) }}}'''[[Edward Gaming/발로란트|Edward Gaming]][br](2021.09.09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現 [[VCT CN]]의 [[Edward Gaming/발로란트|Edward Gaming]] 소속.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dh-T9uTZJ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OWh9JlV_gM)]}}} || 중국 발로란트 씬의 떠오르는 오퍼수로 평가받는 유망주중 하나이다. 캉캉의 장점중 단연 탑으로는 오퍼를 들었을때 나오는 폭발적인 피지컬과 미스하나 나지않는 샷을 꼽을 수 있다. CN지역의 특색 중 하나인 "얘는 뭐냐..?" 싶을 정도로 과감한 플레이와 화려한 에임을 보유하고 있다. 차별되는 점은 zmjjkk의 성공률은 월등히 높다는 것. 비정상적일 정도로 빠른 반응속도와 정확한 기계에임에서 오는 안정성은 무리수처럼 보이는 플레이들의 근거가 된다. == 수상 경력 == ||<-5><#8a2be2> '''{{{#fff 우승 기록}}}''' || ||<-5> '''FGC Valorant Invitational 2022: Act 2 우승''' || || [[Weibo Gaming/발로란트|Weibo Gaming]] || → || '''Edward Gaming''' || → || Edward Gaming || ||<-5> '''FGC Valorant Invitational 2022: Act 3 우승''' || || [[Edward Gaming/발로란트|Edward Gaming]] || → || '''Edward Gaming''' || → || ZHUQUE || ||<-5>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East Asia Last Chance Qualifier|2022 VCT East Asia LCQ]] 우승''' || || 대회 신설 || → || '''Edward Gaming''' || → || 대회 폐지 || ||<-5> '''[[2023 FGC VALORANT Invitational Act 2]] 우승''' || || [[Attacking Soul Esports]] || → || '''Edward Gaming''' || → || 미정 || ||<-5> '''{{{#white 준우승 기록 }}}''' || ||<-5> '''FGC Valorant Invitational 2022: Act 1 준우승''' || || 대회 신설 || → || '''Edward Gaming''' || → || KONE || ||<-5> '''FGC Valorant Invitational 2022: Epilogue 준우승''' || || KONE || → || '''Edward Gaming''' || → || [[Edward Gaming/발로란트|Edward Gaming]] || ||<-5> '''[[2023 FGC VALORANT Invitational Act 1]] 준우승''' || || [[Edward Gaming/발로란트|Edward Gaming]] || → || '''Edward Gaming''' || → || [[Bilibili Gaming#s-4|Bilibili Gaming]] || == 선수 경력 == === 2020 시즌 === RNG에서 데뷔한 2020 시즌은 큰 대회가 아닌 소규모 대회에서만 모습을 비췄다. 그러나 성적은 꽤 좋았던 편. 뱅가드 컵에서만 총 '''7번'''을 우승했다. 물론 우리나라로 치면 PC방 대회 같은 느낌의 대회이긴 하지만.. === 2021 시즌 === 그리고 2021 시즌에 들어서는 RNG에서 CBT Gaming으로 팀을 옮겨 자신의 커리어 첫 챌린저스에 데뷔했다. 첫 데뷔한 챌린저스 1, 2, 3은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기분좋게 파이널로 향했으나 패자조 2라운드에서 탈락하며 자신의 커리어 첫 마스터스는 무산되었다. 그러고는 21년도 말에 Qing Jiu Club으로 이적, FGC Valorant Invitational에 초대팀으로 출전했으나 플레이-인에서 KONE에게 2:0 석패를 당하며 21시즌을 마쳤다. === 2022 시즌 === 2022 시즌에는 [[Edward Gaming/발로란트|EDG]]로 이적했다. FGC Valorant Invitational 2022: Act 1에 EDG 소속으로 출전했으나 [[Weibo Gaming/발로란트|WBG]]에게 1:3으로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그러고는 VALORANT Spring Gauntlet Invitational 우승, FGC Valorant Invitational 2022: Act 2, 3과 심지어는 챔피언스 진출의 찬스가 걸려있는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East Asia Last Chance Qualifier|2022 VCT East Asia LCQ]]마저 우승해버리며 자신의 커리어 첫 챔피언스에 진출한다. 하지만 기분좋게 진출한 챔피언스에선 0-2, 전패를 당하며 그룹 스테이지에서 자신의 첫 챔피언스 커리어를 마무리했다. === 2023 시즌 ===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에 중국 초청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하지만 [[VALORANT Champions Tour Americas League|Americas]]의 [[100 Thieves]]에게 2:1로 패배하며 브라질의 여정을 일찍 마감했다. 그리고 참가한 [[2023 FGC VALORANT Invitational Act 1]]에서는 엄청난 기세로 승자조를 모두 뚫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패자조에서 꾸역꾸역 올라온 [[Attacking Soul Esports]]에게 풀꽉 접전까지 가는 끝에 패배하며 [[2023 VALORANT Masters Tokyo]]에 2시드로 진출했다.[* 하지만 마스터스 전에 치러진 [[2023 FGC VALORANT Invitational Act 2]]에서는 [[Bilibili Gaming#s-4|Bilibili Gaming]]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처음 진출한 마스터스에서는 헬조라고 불리는 A조에 배정되었다. 1경기에서는 자신의 엄청난 오퍼실력을 뽐내며 티원을 궁지까지 몰아넣었으나 아쉽게 패배하며 패자조로 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NAVI를 잡고 기세를 타더니 그 기세를 이어 자신들을 한번 격파했던 티원을 어마어마한 스코어로 박살내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 첫 상대는 Team Liquid, 2:1 접전까지 가는 끝에 패배하며 패자조로 떨어졌다. 하지만 패자조에서도 쉽지않은 난항이 예상되었는데. 상대는 다름아닌 작년 챔피언스 우승자, 락인 준우승의 주인공인 라우드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라우드를 무려 '''2:0'''이라는 스코어로 잡아내며 이번 시즌 마스터스의 '''최대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다.'''[* 그리고는 경기가 끝난 이후에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히며 많은 사람들을 울컥하게 했다.] 하지만 퍼시픽의 최강자, 페이퍼 렉스의 벽을 뛰어넘지 못하고 마스터스의 여정을 마무리 하게 되었다. == 여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ZmjjKK_at_the_VCT_2023_LOCKIN_São_Paulo.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EDward_Gaming_ZmjjKK_at_the_VALORANT_Champions_2022.jpg|width=100%]]}}} || * 아이디인 ZmjjKK는 '''캉캉''' 또는 KK(케이케이)로 부른다. "Zmjj" 부분은 친형의 게임 아이디인데, 이는 형의 지지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형의 아이디를 닉네임에 포함시킨 것이다.[* 비슷한 예로는 [[손선호|제타]]의 경우가 있다.] * 머리카락이 있을때와 없을때의 인상차이가 다르다는 말들이 있다. * 승리한 라운드마다 리액션이 정말 좋은걸로 알려져있다. 특히 2023 마스터스 그룹 스테이지 [[2023 발로란트 마스터스 도쿄/그룹 스테이지/A조#s-4.5|T1전]]에서 보여준 오퍼레이터 리액션은 덤. *사용하는 장비는 마우스 레이저 바이퍼 미니 시그니쳐 에디션을 사용중이며, 마우스 패드는 아타산 제로를 사용하고 있다. * 감도는 800 dpi, 인게임 감도는 0.4를 사용중이다. * 르세라핌, 그 중 특히 김채원을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개인 방송이나 대회 영상에서 르세라핌 노래를 부르는 모습도 보였다. [[분류:프로게이머/발로란트]][[분류:2004년 출생]][[분류:중국의 프로게이머/발로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