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저스트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2> '''{{{+1 정웅인}}}[br]鄭雄仁 | Jeong Woong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opstarnews.net/news/photo/201805/403576_49595_5313.jpg|width=100%]]}}} || ||<|2> '''출생''' ||[[1971년]] [[1월 20일]][*빠른생일][* 음력 [[1970년]] [[12월 24일]]] ([age(1971-01-20)]세) || ||[[충청북도]] [[제천시]] || || '''거주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연일 정씨]] (延日 鄭氏) || || '''신체''' ||180cm, 74kg, [[O형]] || || '''가족''' ||배우자 [[https://instagram.com/jiiiiiiiiiiiiiiiiiiiiin|이지인]]^^(1983년 5월 12일생, 2006년 6월 3일 결혼 ~ 현재)^^[*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부]]를 졸업한 재원으로, 띠동갑 나이 차가 난다. 2006년 6월 3일 서울 임페리얼팰리스 호텔 두베홀에서 결혼식을 올렸다.][br]장녀 [[https://instagram.com/seyooonn|정세윤]]^^(2007년 5월 18일생)^^[br]차녀 [[https://instagram.com/dnrgxs.y|정소윤]]^^(2009년 1월 9일생)^^[br]삼녀[[https://instagram.com/dxjh7|정다윤]]^^(2012년 5월 16일생)^^ || || '''학력''' ||[[서울공릉초등학교|서울공릉국민학교]] {{{-2 (졸업)}}}[br][[원곡중학교]] {{{-2 (졸업)}}}[br][[양명고등학교]] {{{-2 (졸업)}}}[br][[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전문대학]] {{{-2 (연극과 / 전문학사)}}} || || '''소속사''' ||[[저스트엔터테인먼트]] ||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 [[요셉]])}}} → [[무종교]][* 한때는 가톨릭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장녀 정세윤이 [[asked|에스크]]를 통해 무종교라고 직접 밝혔다.] || || '''데뷔''' ||1996년 [[SBS]] 드라마 '천일야화'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서울예전]] 연극과를 졸업한 정통파 연기자로, 본래 [[정웅인(세 친구)|개그 캐릭터]]로 인지도를 얻고 두사부일체 등의 작품에 출연할 때만 해도 감초 역할, 조연급 역할에서 빛을 보고 있었으나 이후 '너의 목소리가 들려'에서 [[민준국|소름 돋는 악역 연기]]으로 출연하며 명품 악역 연기를 펼친 바 있다. 이 민준국 연기가 얼마나 강렬했던지, 2010년대 이전의 정웅인을 모르던 사람들은 정웅인을 악역 전문 배우라고 생각했을 정도. == 배우 활동 == 대학시절에는 서울예대 1989학번 중 가장 뛰어난 연기력을 가졌다는 평가를 동기들로부터 받았으나, 데뷔 후 20대 시절에는 [[무명]]을 전전했다. [[미지왕]]에서 [[조상기]] 친구로 잠깐 나왔고, [[정준(배우)|정준]]이 주연인 맛있는 청혼 에서 수타면을 뽑는 요리사 조연으로 나오기도했다. 이러던 정웅인이었으나 30대부터 배우인생이 풀린다. 1990년대말 히트드라마였던 [[은실이]][* 현재 [[이천희]]의 부인으로 유명한 [[전혜진(1988)|전혜진]]이 주인공 은실이 역할이었다. 당시 어린 나이에도 차분한 연기력으로 상당한 인정을 받고 인기를 끌었다.]라는 드라마에서 '빨간 양말' [[성동일]]과 함께 건달 역할을 맡아 코믹한 성동일과 진지한 정웅인의 케미가 폭발하여 상당한 관심과 주목을 끌었다.[* 주목의 정도야 당시 건달 생활 장면 중 겨울에 '빨간 내복'을 입고 자다가 일어나서 대사하는 장면이 대중들에게 대화제가 되었던 '빨간 내복 양정팔' 성동일 쪽이 '망치' 정웅인보다 한수 위긴 했지만, 코믹 건달인 성동일의 개그상황을 잘생기고 진지한 건달 망치 역할인 정웅인이 꽤 좋은 리액션으로 받아서 터뜨린 게 많아 연기력을 인정받게 된다. 성동일의 경우는 극중 건달생활용 별명이 '가오리'였음에도, 시청자들에게 가오리가 아니라 '빨간 양말'으로 불려 국민빨간내복 이미지를 얻었을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끌어, 정웅인과의 코믹 케미와, 짝사랑하는 간호사 영숙 역할을 한 여배우와의 코믹장면 케미 두 개를 매회마다 다 터뜨려 버렸기에 드라마 조연 전체를 통틀어 압도적 원톱 화제일 수 밖에 없었고, 정웅인은 기본은 진지하게 폼 잡는 역할이라 성동일만큼 압도적으로 주목받을 수는 없었다. 사실 정웅인은 무명때에도 전체적으로 연기력이 나쁜 편이 아니었다. 오히려 신인치고 연기호흡이 상당히 안정적인, 탁월함을 가진 배우였다. 과거 사생활의 폭로(대학시절 후배 구타) 등으로 이미지가 어느정도 나빠진 지금도 정웅인을 안 좋아하는 시청자들조차 정웅인이 연기력이 뛰어나다는 건 인정할 정도라, 신인 무명배우일 때도 발연기를 한 적이 한번도 없다는 사실을 납득할만하다.][* 극 중 잘생긴 건달 역할인 정웅인을 짝사랑하며 구애하던 상대역 여고생 역할을 했던 배우가 바로 [[타블로]]의 부인인 [[강혜정]]이다. 주인공 은실이의 이복언니 역할로, 당시 무명에서 벗어날 기회를 얻은 정웅인처럼 신인 여고생 배우 강혜정 역시 당찬 캐릭터를 안정적으로 소화해내어 연기력을 인정받는 작품이 된다. 주연급 배우로 거듭난 것은 대작영화인 올드보이였으나, 이미 은실이 시절에 연출자들 사이에서 어린 신인 강혜정은 포텐셜을 상당히 크게 인정받았었고 올드 보이 전까지 충분히 조연급으로 작품경험을 쌓게 된다.] 이후 [[SBS]] [[예능 프로그램]] [[좋은 친구들(예능)|좋은 친구들]]의 코너 중 하나인 흑과백에 [[박수홍]]과 함께 나오면서 "그래! 감 잡았어!"라는 유행어를 히트치며 본격적으로 정웅인이라는 이름 석자를 알리게 된다.[* 그런데 "그래! '''[[감자]] 봤어!"로 들리는데 정웅인 본인도 그렇게 들리게 발음하는게 포인트라고. 바리에이션으로 "감 못 잡아쒀!"도 있었다.] 이후 드라마는 [[세 친구]], 영화는 [[두사부일체]]를 기점으로 더욱 유명해져서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에 이르러서는 이름만 언급해도 사람들이 다 아는 유명 배우가 되었다. 2009년에서 2011년 사이에 맡은 그의 배역 두 개를 비교해보자면 완전히 정반대다.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에서의 [[미생(선덕여왕)|미생]]과 [[근초고왕(드라마)|근초고왕]]의 [[위비랑]]이 그것. 미생의 경우는 '''주먹 쓰는 것 말고는 다 잘하는 사람'''이 컨셉인 반면 위비랑은 그 반대로 '''주먹쓰는 것의 달인'''이 컨셉이다. 선덕여왕을 보면서 그 특유의 "누님~"이라고 말하는 그 정웅인에 익숙했던 시청자들은 위비랑을 보면서 적응하기 힘들 것이다. 두사부일체에서 이미 주먹쓰는 연기를 해 봤기 때문에 위비랑은 큰 논란이 없었지만, 미생의 경우 당시 그가 맡은 배역 중 제일 파격적이고 쇼킹한 배역이라 자칫 이미지 고정이 되는 게 아닐까 우려하는 사람도 있었을 정도. 그러나 전혀 다른 세계의 사람이라고 봐도 무방할 만큼 캐릭터가 상반된 미생과 위비랑의 연기 모두를 완벽하게 소화해 냈기 때문에 놀라워 한 사람은 많았지만 그 자체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뭐라 딱히 말할 수 있는 스타일의 배우라고 보긴 힘든, 연기의 폭이 넓은 만능형 배우이다. 어떠한 연기도 다 소화해내며 특히 대사를 구사하는 애드립능력은 발군이다. 그가 선덕여왕 39화에서 춘추와의 대화연기를 할 때의 애드립의 대사가 다음과 같은데 거의 달인 수준이다. >병충해가 있어서 수확량이 반으로 줄었는데 그걸 하종이 몽땅 세금으로 걷으니 열받은 백성이 가만히 있겠습니까? 당연히 폭동이 나고 황실은 하종이 감세해라, 하종은 황실 니네가 해라… 2013년에는 [[너의 목소리가 들려(드라마)|너의 목소리가 들려]]에서 살인마 [[민준국]] 역으로 나와 [[사이코패스]] 연기를 제대로 선보였다.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306270903771096_51cb81aab8b7c.jpg]] 특히 7화에서 [[어춘심|장혜성의 어머니]]를 몽키스패너로 테러하는 마지막 5분[* 정남규가 실제로 범행을 저지를때 몽키스패너를 사용했다.]은 '''거의 영화 [[추격자]]의 [[하정우]]를 연상케 할 정도로 많은 이들이 지렸다고 한다'''. 너목들의 민준국은 [[정남규(범죄자)|정남규]]와 [[강호순]]을 적절히 섞은 듯한 캐릭터이다. 성격은 강호순, 범행수법은 정남규에서 따왔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드라마)|너목들]]에서 [[이보영]]의 아역을 맡았었던 [[김소현(1999)|김소현]]도 이날 방송 끝난 후 [[http://gall.dcinside.com/list.php?id=yourvoice&no=10650|'''현실이랑 혼동되어서 울었다''']]고 트위터에 썼다. 한 네티즌에 의하면 어떤 시민은 동네 마트에 장보러 온 정웅인을 보고 벌벌 떨기도하고 경찰에 신고했다는 일화도 있다. 민준국의 연기를 할 때 손목이 잘린 이후에는 의수를 단 연기를 진짜 자신의 손으로 연기했다. 손을 아예 움직이지 않은 채로 휴대폰을 열기도 했다.[[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308151143173&mode=sub_view|#]] 원래 세 친구에서 크게 떠서 계속 웃긴 이미지가 강한 배우였으나, 선덕여왕에서 캐릭터의 120%를 보여주면서 흡사 본인의 성격이 그런줄 알정도로 얄미운 연기를 절륜하게 하더니, 너의 목소리가 들려 에서는 민준국을 연기하여 이미지 대 반전에 성공했다. 연기만 잘하면 이미지 따위는 뒤집을 수 있다는 걸 보여주었고 악역의 새로운 기대주로 떠올랐다. 반면 2012년 작인 KBS 드라마스페셜 SOS에서는 [[형사]]로 나왔다. 왕따 피해자 김청나의 아버지인 김은섭 형사로 자기 딸이 학교에서 벌어진 방화 사건으로 죽은 뒤 사건을 수사하고 무서운 [[학교폭력]]을 마주하게 된다.[* 이 드라마의 악역인 장민성을 연기한 아역배우 [[박시우|박소영]]의 연기가 [[남규만]]을 연기한 [[남궁민]]의 하위 호환 버전으로 느껴질 만큼 소름끼친다. 남규만과 장민성 둘 다 분노조절장애로 인해 뚜껑 열리면 한없이 난폭해지는데, 특히 장민성은 15세 여중생이라고는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 소름끼치는 연기(눈 부릅뜨고 노려본다든가 썩소를 날리는 등 성인 악역에게서나 볼 수 있는 표정연기)를 보여준다. 1997년생으로 촬영 당시 중3이었으나 또래에 비해 성숙해 보이는 외모인 데다 표정연기도 무서워서 딱 봐도 성격 안 좋은 애 내진 사이코로 보인다. 그만큼 연기가 일품이다.] 너목들 이후 [[기황후(드라마)|기황후]]에서 또 희대의 악역 연기를 했다. 배역은 염병국인데 노비 출신으로 어쩌다 출세하더니 주민들의 고혈을 짜먹는 악질관리로 등장한다. 아마 너목들에서 워낙 [[악역]] 연기를 잘해서 기황후에서도 똑같이 악역 연기를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다음 연기도 연달아 악역으로 역할이 낙찰 되었다. 기황후에 출연할 즈음 모바일 드라마 '러브인 메모리2-아빠의 노트'서 불치병에 걸려 시한부 삶을 사는 아버지역을 맡아 간만에 훈훈한 연기를 했다. 기황후서 그와 함께 콤비연기를 선보인 [[김형범(배우)|김형범]]이 친구역을 맡아 그를 뒷바라지하는 연기를 했다. [[슬기로운 감빵생활]]에서는 역대 드라마 영화에서 맡은 역할 중 가장 훌륭하고 정의로운 [[대인배]][* 주인공을 괴롭히려고 부상당한 주인공을 치료 못 받게 한 교도소장의 명령을 거부하고 주인공을 교도소 밖 병원으로 이송하려 하거나, 다른 특정 수용자의 인권을 짓밟는 처우를 하려는 교도소 내 최상위권 간부 보안과장에게 말단 교도관 신분으로 덤벼서 정면으로 맞서 싸우다가 중징계를 받을 뻔하는 등, 교도소 내 약자인 수용자의 인권을 위해 자신의 생계인 공무원이라는 소중한 직업을 걸어야 할 상황에서 정의를 위해 서슴없이 불의에 맞서는 모습을 보여준다. 정웅인 연기인생 뿐만 아니라 이 드라마 등장인물 중에서도 가장 정의롭고 훌륭한 인물 역할이다. 심지어 저런 나쁜 짓을 했던 교도소장조차 극 후반부에 정웅인이 맡은 교도관에 대한 평가로 "무릎팍의 도가니 같은 인간"이라며 어떤 세상이든 저런 사람은 있어야 한다고 인정했을 정도다.] 역할인 교도관 [[팽세윤]](친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한다.) 역할을 맡아 잘 소화하였다. 정말이지 만능 플레이어다. 세 친구에서는 두 친구의 뒷처리를 하는 역할의 웃기는 의사 역을, 그리고 근초고왕에서는 다혈질이나 주군에게 충성하는 위비랑 역, 그리고 너목들에서는 사이코패스 역을, 그리고 러브메모리에서는 불치병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았지만 그럼에도 아내와 딸을 사랑하는 자상한 남편과 절절한 부성애의 아버지 역할을 하기도 하는 등 [[선역]]부터 악역까지 정말 연기 스타일이 어디 하나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하다. 2019년에는 JTBC 드라마 [[보좌관(드라마)|보좌관]]에서 보좌관 오원식 역할을 맡아 역시 소름돋는 전개를 보여주었다. == 출연 작품 == === 영화 === || {{{#ffffff '''개봉 연도'''}}} || {{{#ffffff '''제목'''}}} || {{{#ffffff '''배역'''}}} || {{{#ffffff '''비고'''}}} || || 1995년 || 리허설 || 남단1 ||<|3> 단역 || ||<|3> 1996년 || 보스 || || || [[미지왕]] || || || 7악동 || 족제비 || 조연 || || 1998년 || [[조용한 가족]] || 눈길남 || 단역 || || 1999년 || [[북경반점(영화)|북경반점]] || 종식 ||<|2> 조연 || || 2000년 || [[반칙왕]] || 최두식 || || 2001년 || [[두사부일체]] || 김상두 ||<|6> 주연 || || 2002년 || 2424 || 최두칠 || || 2003년 || 써클 || 조명구/김광림 || || 2004년 || 돈 텔 파파 || 김철수 || ||<|4> 2006년 || [[투사부일체]] || 김상두 || || 마법사들 || 재성 || || 생날선생 || 조폭 두목 || 우정출연 || || 플러쉬 || 화이티 || 더빙 목소리 || || 2007년 || 미친 거 아냐 || 나대범 ||<|3> 주연 || || 2008년 || [[잘못된 만남]] || 강일도 || || 2009년 || [[유감스러운 도시]] || 이중대 || ||<|2> 2011년 || [[위험한 상견례]] || 맞선남 || 우정출연 || || [[가문의 수난]][* 가문의 영광4] || [[김현준(가문의 수난)|김현준]] || 조연 || || 2013년 || [[전설의 주먹(영화)|전설의 주먹]] || 재벌3세 손진호 || 주연 || || 2015년 || [[베테랑(영화)|베테랑]] || 배철호 기사 || 조연 || || 2016년 || [[시간이탈자]] || 강형철 || 특별출연 || || 2017년 || [[프리즌]] || 강형민 소장 ||<|2> 조연 || || 2019년 || [[가장 보통의 연애]] || 관수 || || 2020년 || [[슈팅걸스]] || 김수철 감독 ||<|4> 주연 || ||<|2> 2022년 || [[아이를 위한 아이]] || 승원 || || [[서울대작전]] || 부장검사 || || 미정 || 드라이브 || 나진수 || === 드라마, 시트콤 === || {{{#ffffff '''방영 연도'''}}} || {{{#ffffff '''방송사'''}}} || {{{#ffffff '''제목'''}}} || {{{#ffffff '''배역'''}}} || {{{#ffffff '''비고'''}}} || || 1997년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예스터데이(드라마)|예스터데이]] || || || ||<|2> 1998년 ||<|3>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은실이]] || 황춘식 || || || [[순풍산부인과]] || 각종 단역, 오대열 || || ||<|2> 1999년 || [[파도(SBS)|파도]] || 마남수 || || ||<|3>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국희]] || 상훈 || || || 2000년~2001년 || '''[[세 친구]]''' || '''[[정웅인(세 친구)|정웅인]]''' || || ||<|2> 2000년 || [[당신 때문에]] || 안수창 ||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빗물처럼]] || 지인 || || || 2001년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홍국영(드라마)|홍국영]] || 정후겸 || || ||<|2> 2005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드라마시티]] - 키다리 아저씨 || 스턴트맨, 호준 || || ||<|4>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발칙한 여자들]] || 정석 || || || 2006년 || [[문희(드라마)|문희]] || 하문호 || || || 2007년 || [[내 생애 마지막 스캔들]] || 장동화 || || ||<|2> 2008년 ||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 || '''[[미생(선덕여왕)|미생]]''' || || || [[tvN|[[파일:tvN 로고(2008-2012).svg|width=40]]]] || [[세 남자]] || 정웅인 || || ||<|3> 2010년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지붕뚫고 하이킥]] || 은행강도 정웅인 || 103회 특별출연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커피하우스(드라마)|커피하우스]] || 한지원 || ||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근초고왕(드라마)|근초고왕]] || [[위비랑]] || || || 2011년 ||<|3>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오작교 형제들]]''' || 황태식 || || ||<|2> 2012년 || [[드라마 스페셜]] - 아모레미오 || 강해창 || 4부작 || || [[드라마 스페셜]] 연작시리즈 - SOS || 김은섭 || 2부작 || ||<|3> 2013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너의 목소리가 들려(드라마)|너의 목소리가 들려]]''' || '''[[민준국]]''' || ||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감자별 2013QR3]] || 노철민 || 특별출연(목소리)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드라마 스페셜]] - Happy! 로즈데이 || 찬우 || || || 2013년~2014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기황후(드라마)|기황후]] || [[기황후(드라마)/등장인물#s-3.6|염병수]] || || ||<|3> 2014년 || || 러브 인 메모리 2 - 아빠의 노트 || 현수 || SNS 모바일 드라마 ||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끝없는 사랑]] || [[박영태(끝없는 사랑)|박영태]] || 작중 메인 악역 || || [[피노키오(드라마)|피노키오]] || 민준국 || 특별출연 || ||<|2> 2015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화정]] || [[이이첨]] ||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용팔이(드라마)|용팔이]] || [[이호준(용팔이)|이호준]] || || || 2015년~2016년 ||<|2>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달콤살벌 패밀리]] || 백기범 || || || 2016년 || [[몬스터(드라마)|몬스터]] || [[몬스터(드라마)/등장인물#s-2|문태광]] || [* 간만에 맡게 된 선역이다.] || || 2017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엽기적인 그녀(드라마)|엽기적인 그녀]] || 정기준 || || || 2017년~2018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슬기로운 감빵생활]]''' || [[팽세윤]] || || ||<|3> 2018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스위치 - 세상을 바꿔라]] || 금태웅 || ||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이별이 떠났다]] || [[정수철(이별이 떠났다)|정수철]] ||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미스 마:복수의 여신]] || 한태규 || || ||<|2> 2019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보좌관(드라마)|보좌관]] || 오원식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99억의 여자]] || 홍인표 || || ||<|2> 2020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날아라 개천용]] || 장윤석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KBS 드라마 스페셜/2020년#s-2.7|드라마 스페셜 - 나들이]] || 방순철 || || || 2021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IDOL [아이돌 : The Coup]#]] || [[IDOL [아이돌 : The Coup]/등장인물#마진우|마진우]] || || ||<|4> 2022년 || [[Apple TV+|[[파일:Apple TV+ 로고.svg|width=40]]]] || [[파친코(드라마)|파친코]] || 고종렬 || || ||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40]]]] || [[장미맨션]] || 장원석 || ||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인사이더(드라마)|인사이더]] || 재벌 2세 || 특별출연 || ||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40]]]] || [[카지노(드라마)|카지노]] || 강형철 || 특별출연 || ||<|6> 2023년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청춘월담]] || [[청춘월담/등장인물#조원보|조원보]] ||<|2> 조연 ||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나쁜엄마]] || [[나쁜엄마/등장인물#오태수|오태수]] ||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넘버스: 빌딩숲의 감시자들]] || 이성주 || 특별출연 || ||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40]]]] || [[잔혹한 인턴]] || 정태성 || 특별출연 || || [[ENA|[[파일:ENA 로고.svg|width=40]]]] || [[낮에 뜨는 달(드라마)|낮에 뜨는 달]] || [[낮에 뜨는 달(드라마)/등장인물#석철환|석철환]] || / 소리부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국민사형투표(드라마)|국민사형투표]] || 강지석 || 특별출연 || || 2024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멱살 한번 잡힙시다]] || 설회장 || || === 연극 === || {{{#ffffff '''연도'''}}}|| {{{#ffffff '''제목'''}}} || {{{#ffffff '''배역'''}}} || {{{#ffffff '''비고'''}}} || || 2015년 || [[술과 눈물과 지킬앤하이드]] || 지킬 박사 || || || 2018년 || 리차드3세 || 에드워드 4세 || || ||<|2> 2021년 || 얼음 ||<|2> 형사 1 || || || 얼음 - 성남 || || || 2023년~2024년 || 와이프 || 피터 || || === 예능 === *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코리아]] 시즌1(2011 ~ 2012) - 고정크루 * [[아빠! 어디가? 시즌2]] - 고정 출연[* 큰딸 정세윤과 함께 고정출연하였다.][* 논란이 많았던 [[김진표(가수)|김진표]]가 하차하게 되면서 합류하게 되었다. 또한 아빠! 어디가? 가족들 중 유일하게 딸만 있는 집안이라 더 관심을 받았다.] === 광고 === * 2000년 [[현대 베르나]] with [[박상면]], [[윤다훈]][* 전부 [[시트콤]] [[세 친구]]의 멤버들이다.] * 2000년 영림수 with 박상면 * 2014년 한화 설악워터피아 with 딸 정세윤 * 2014년 잭울프스킨 아웃도어 with 딸 정세윤 * 2014년 현대약품 버물리 둥근머리 버물리겔 with 딸 정세윤 * 2015년 슈퍼셀 [[붐비치]] with [[이선균]], [[성동일]], [[고창석]], [[곽도원]] [[https://www.youtube.com/watch?v=CCfHdlHiZh8|테러박사]][* 의외로 엄청 얄미운 연기를 절륜하게 해냈다.] * 2016년 KB매직카다이렉트 with [[손연재]] * 2016년 [[공익광고협의회]] 정보보호 실천 편[* 개인정보 불법복제 근절 내용인데, 정웅인이 수십여 명 복제되어 나오는 게 뭔가 코믹하다.] * 2020년 [[맘스터치]] [[https://youtu.be/EvdMytvXcD4|#]] == 수상 == * 1999년 [[S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은실이》 * 2000년 [[MBC 방송연예대상|MBC 코미디대상]] 시트콤부문 연기상 《세 친구》 * 2011년 [[KBS 연기대상]] 남자 조연상 《오작교 형제들》 * 2013년 제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최우수연기상 《너의 목소리가 들려》 * 2013년 제2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남자 연기상 《너의 목소리가 들려》 * 2013년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특별연기상 《너의 목소리가 들려》 * 2014년 [[MBC 방송연예대상]] PD 특별상 《아빠! 어디가?》 * 2014년 [[S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부문 남자 특별연기상 《끝없는 사랑》 * 2018년 [[SBS 연기대상]] 일일&주말 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미스 마:복수의 여신》 * 2019년 [[K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조연상 《99억의 여자》 == 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서울예술대학교|대학교]] 시절 후배 상습 폭행 논란 === [[서울예술전문대학]](현 서울예술대학교) 시절 연극과 [[학교 폭력|후배들을 상습적으로 괴롭히고 폭력을 행사]]했다. 여러 연예인들의 증언을 종합해 볼때, 이것은 도가 상당히 지나칠 정도의 상습 폭행 수준이었다. 특히 자신과 나이는 같지만 재수로 들어와 후배가 된 사람들을 집중적으로 괴롭히며 때렸다고 한다. 정웅인에게 상습 폭행을 당한 인물들의 면면은 무척 화려한데, [[안재욱]], [[류승룡]], [[김원희]], [[이철민]], [[신동엽]], [[황정민]], [[임원희]], [[정재영]] 등이 정웅인의 상습 폭행 대상자였다고 한다. 배우 [[안재욱]](1971년 10월생)은 정웅인(1971년 1월생)과 동갑이지만 정웅인이 빠른년생인 관계로, 정웅인의 대학 1년 후배였는데, [[안재욱]]은 [[예능 프로그램]]([[황금어장(MBC)|황금어장]] - [[무릎팍도사]])에 출연해서 정웅인의 대학 재학 시절의 여러 썰들을 폭로했다. 정웅인은 말 그대로 호랑이였는데, 정웅인 때문에 대학 생활이 무척 힘들었다고 고백했다. 정웅인은 자신을 비롯해 후배들한테 스트레스를 풀러 학교를 다니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많이 맞기도 했는데, [[술]] 먹고 또 심기가 불편해지면 맞았다고 한다. 그러면서 1989학번 개띠들을 89학번 개떼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그래도 방송인지라, 인사만 하는 선배들보다는 그런 추억이 있는 선배들이 지금도 더 편하고 친하게 느껴진다고 한다며 좋은 말로 마무리했다.] 이런 일로 인하여 [[안재욱]]은 정웅인을 반쯤 불구대천 취급을 하며 치를 떨고 있다. 안재욱의 이러한 발언을 들은 강호동은 운동선수 출신임에도 경악했다. 이에 대해 정웅인은 방송에서 "안재욱을 괴롭히긴 했다. 같은 학교에 동아리 후배라 잘못하면 내가 체벌(?1)을 했다."고 해명했다. 배우 [[이철민]]([[1970년]] [[7월]]생)은 정웅인보다 나이가 많지만[* 당시에는 빠른 연생을 동갑으로 쳐주는 경우가 많았지만 그럼에도 나이는 차이가 있었다는 인식이 있었다.] 재수로 들어와 정웅인의 대학 1년 후배였다. 이철민은 [[라디오스타]]에 출연하여 정웅인한테 툭하면 맞았다는 증언을 했다. 특히 자신과 [[류승룡]], [[김원희]]가가 요주 인물이었다고 말했다. 하도 많이 때렸는지 나중에 자기가 때린 애들이랑 같이 술 한 잔 하자고 이철민에게 말했는데 아무도 연락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 [[신동엽]](1971년 2월생)은 정웅인과 동갑이지만, 재수로 들어와 대학 1년 후배였다. 신동엽은 정웅인이 강제로 어떤 동아리에 넣어서 무리하게 [[다리찢기]]를 하는 바람에 가랑이 혈관이 터질 정도로 심하게 고통받았다. 신동엽이 얼마나 울분이 심했으면 정웅인이 신동엽에게 그런 권유를 한 번 더 하면 정웅인과 [[현피]]를 떠 버리겠다는 말까지 했다. 정웅인의 1년 선배인 [[김원해]]도 정웅인에 대해 증언하였는데, 정웅인의 학번을 개89라고 했으며, 주로 재수한 90학번(즉 89학번과 동갑)이 개89들의 타깃이었으며, 당시 재수 90학번으로는 [[이철민]]을 포함하여 [[신동엽]], [[황정민]], [[임원희]], [[정재영]] 등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관하여 정웅인은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 출연하여 '''폭행 사실을 전면 부인'''하며 어떠한 반성도 없이 피해자들의 진술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했으며, '''자신은 어떠한 거리낌도 없고 떳떳하다'''고 주장했다. 정웅인은 방송에서 "다 거짓말이다", "이런 말은 해명할 필요도 없다", "사실 해명하는 게 그 사실을 인정하는 것 같고 나는 떳떳하기 때문에 해명하지 않겠다", "후배들이 아주 작은 사실을 크게 부풀린 것이다", "저는 아무 거리낌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피장파장의 오류|정웅인 본인도 선배들에게 굉장히 많이 맞았고 코뼈가 나간 적도 있다]]고 말했다. 정웅인은 또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자신만 때린게 아니라 89학번 동기들이 함께 때렸다고 말하며 책임을 전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자 함께 출연한 서울예대 동기인 배우 [[장현성]], [[장항준]]은 빠르게 선을 그으며 "후배들 구타는 정웅인 혼자 했다."로 말했다. === 선배들에게 무례한 태도 === 그렇다고 선배들한테 깍듯했냐면 그건 또 전혀 아니고, 오히려 맞먹으려고 드는 등 선후배 막론하고 한 마디로 [[개차반#s-1|개차반]]스럽게 굴었다. 86학번 선배인 [[이영자]]와 돈텔파파 영화를 찍게 되자 다른 여배우를 추천하기도 하고, '''[[개소리|학교에서는 아무리 이영자 씨가 선배라도 영화계는 내가 선배니 내 말을 들어야 해!]]'''[* 이런 개논리라면 정웅인 본인은 1996년에 데뷔했는데, 대학 학번 기준으로 1년 후배인 [[정재영]]과 [[임원희]]는 1년 빠른 1995년에 연극으로 데뷔했고, [[안재욱]], [[황정민]]은 본인 보다 2년 빠른 1994년에 각각 드라마와 뮤지컬로 데뷔했고, [[신동엽]]과 [[이철민]]은 무려 5년 빠른 1991년에 코미디언과 영화로 데뷔했는데, 정웅인은 대학에서는 1년 선배이지만 배우 데뷔 자체는 위의 언급된 6명보다도 늦었기 때문에 반대로 정웅인이 이 6명에게 선배로 깍듯이 대해야 하는 게 맞다.] 식의 태도로 일관했다고 한다. 심지어 83학번 선배인 [[서승만]]에게는 사극 드라마인 [[홍국영(드라마)|홍국영]]에 캐스팅 된 것을 알자 '''[[하극상|이 드라마에 출연하지 마라]]'''는 욕설 못지 않은 괴발언을 했다. 이유인 즉, 진지해야 하는데 [[코미디언]]이 출연해서 진지함을 깨뜨린다는 말도 같지도 않은 이유에서이다.[* 이건 그냥 정웅인의 편견일 뿐이고 [[임하룡|코미디언에서 정극 배우로 멋지게 전환해서 성공적으로 배우 활동을 잘 하는 사람]]도 있다. 심지어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코미디언 출신 대통령]]도 있다.] 이에 서승만은 "그건 나나 네가 정할 일이 아니고 [[방송작가|(극본)작가 선생님]]이 결정하시는 문제다."로 일축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FoMZiAsQus|#]] === 음주운전 적발 === * 2009년 4월 7일, [[음주운전]]이 적발돼 운전면허 정지 처분을 받았다. [[서울]] [[종로경찰서]]는 술을 마시고 운전을 한 혐의(도로교통법 위반)로 정웅인을 불구속 입건하고 운전면허를 100일간 정지했다고 밝혔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2013631|#]][* 경찰에 따르면 정웅인은 지난 4월 4일 오전 1시 20분 경 자신의 [[현대 제네시스]] 승용차를 몰고 서울 종로구 사직동에서 서대문 방향으로 가던 중 경찰의 음주운전 단속에 적발됐고, 당시 혈중 알코올농도는 0.089%였다. 정웅인은 경찰 조사에서 "대리운전 기사를 불렀으나 40분이 넘게 오지 않아 직접 운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정웅인은 서울 대학로에서 자신이 출연중인 연극 '민들레 바람되어'의 앵콜 공연을 마친 뒤 지인들과 술을 마시고 운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 관련 문서 == * [[음주운전/명단/대한민국]] == 여담 == * [[콜린 퍼스]]와 눈과 눈썹사이를 제외하고 은근 닮은 꼴이다. 또한 미국의 배우 [[마이클 섀넌]]과 아주 흡사하다. 물론 섀넌의 마스크가 더욱 진한 느낌이다. 둘 다 명연기를 펼치는 배우이며 착한 역과는 거리가 좀 있는 역할들을 맡는 것도 공통점이다. * [[아우구스트 딜]]과도 닮았다. * [[은실이]]에서 강혜정이 [[말론 브란도]]를 닮았다는 대사를 하기도 한다. 실제로도 닮았다. * 띠동갑 연하의 일반인 이지인과 2006년 6월 3일 결혼식을 올렸고,[[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6032108093758122&type=1&outlink=1|#]] 2007년 5월 18일 첫 득녀했다. 2009년 1월 9일 둘째 득녀했다.[[http://m.star.mt.co.kr/view.html?no=2009010906165070099&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3년 뒤인 2012년 5월 16일 셋째 득녀를 했다.[[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205182012203&mode=sub_view|#]] * 첫째 딸 정세윤은 '''한국의 [[수리 크루즈]]'''라는 별명을듣고 다닌다. 젊은 시절의 정웅인을 보면 알겠지만 아빠의 미모를 빼닮은 듯 예쁘다. 그 덕분인지 딸하고 [[아빠! 어디가?]]에 출연하게 되었다. * 광고에서 한 '이거나 먹어라~' 가 차져서 밈으로 쓰인다. * 배우 [[추자현]]과 2002년에 공개연애를 했으나. 이듬해 결별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3/09/25/2003092570211.html|관련기사]] * MBTI는 [[ESFP]]라고 한다. 큰딸 정세윤이 [[asked|에스크]]를 통해 공개했다. * [[https://www.instagram.com/p/CsQWS_Ry7kN/?igshid=MzRlODBiNWFlZA==|1983년 원년부터 응원한 [[삼성 라이온즈]]의 팬이다.]] 그리고 2023년 6월 10일 토요일 삼성과 롯데와의 클래식시리즈 경기때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시구자로 초청되었다.--직관승리요정이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1971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연일 정씨]][[분류:제천시 출신 인물]][[분류:양명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무종교인]][[분류:SNL 코리아 역대 크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