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정영석}}}[br]Jeong Yeong-seo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컬링 정영석.jpg|width=100%]]}}} || ||<|2> '''출생''' ||[[1995년]] [[4월 14일]] ([age(1995-04-14)]세) || ||[[경기도]] [[의정부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의정부중학교]][br][[의정부고등학교]][br][[숭실대학교]] 생활체육학과 || || '''종목''' ||[[컬링]] || || '''소속''' ||경기도컬링경기연맹 {{{-2 (2017~2021)}}}[* 비실업팀. 경기도컬링경기연맹 소속 당시 국가대표가 된 적이 있기에 비실업팀 경력을 따로 기재하지 않는 다른 선수들의 사례와 달리 추가.][br][[강원도청 컬링팀|강원도청]] {{{-2 (2021~현재)}}}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hi._.young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이며, [[강원도청 컬링팀]]의 서드이다. == 선수 경력 == 중학교 때 컬링을 시작했다. 동갑내기인 춘천의 [[이기복]]-[[이기정|기정]] 형제와는 학창 시절 라이벌 관계였다. 고교 졸업 후 당시 숭실대학교에서 컬링부를 운영하고 있던터라 대학 때까지 컬링을 했으나 그 이후가 문제였다. 당시 경기도에 [[경기도청 컬링팀|여자 컬링 실업팀]]은 있었지만 남자 실업팀은 없었기 때문이었다. 군복무까지 마쳤으나 기존 실업팀을 비집고 들어가긴 어려운 상황에서 중학교 시절부터 같이 컬링을 해왔던 1995년생 동갑내기들[* 김승민, 박세원, [[오승훈(컬링)|오승훈]], 정영석. 중학교 때부터 대학교 때까지 줄곧 같은 학교에서 컬링을 같이 해온 사이이다. 다만 박세원은 생계 때문에 원래 공장에 취업했었다가 컬링을 끝내 포기하지 못하고 2019년에 뒤늦게 합류했다.]이 합심해 2018년부터 비실업팀인 경기도컬링경기연맹 소속으로 활동했고 정영석이 스킵을 맡았다. 비실업팀이다 보니 [[의정부컬링훈련장]]에서 일반인 대상 강사를 하면서 틈틈이 훈련을 하거나 비시즌인 여름에는 [[일용직]]으로 일해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면서도 꾸준히 국내 대회에 출전했다. [[컬링/2019-2020 시즌|2019-2020 시즌]]에는 출전한 모든 대회에서 실업팀인 [[강원도청 컬링팀|강원도청]]을 3위권으로 밀어내고 준우승을 했다. 그 와중에 [[오승훈(컬링)|오승훈]]이 강원도청으로 스카우트되고 김승민이 개인 사정 때문에 컬링선수 활동 병행이 어려워졌다. 불과 [[2020 KB금융 한국컬링선수권대회|한국선수권]]을 2달 밖에 안 남겨둔 상황이었는데, 경기도연맹 믹스더블팀에서 활동하던 김산[* 믹스더블 파트너였던 박정화가 코로나 19 때문에 선수 활동이 어려워지자 중학교팀 코치를 맡으면서 파트너가 없는 상태였다.]과 이준형[* [[설예지]]가 경기도청에 입단하기 전 경기도연맹 소속으로 믹스더블을 했었는데 당시 믹스더블 파트너였다.]을 영입하면서 급한 불만 껐다. 그렇게 서로 호흡을 맞춘지 얼마되지 않아 열린 한국선수권에서 국내 남자 컬링의 최강팀으로 꼽히는 [[경북체육회 컬링팀|경북체육회]]를 꺾고 우승하면서 [[고진감래|오랜 노력의 결실을 이뤄냈다.]][* 정영석은 우승을 확정짓는 마지막 샷을 던지고나서 만감이 교차했는지 바닥에 주저앉아 눈물을 흘렸다.] 한국선수권 남자부 경기에서 비실업팀이 우승한 건 2008년 부산컬링협회[* 원래 경북도청 소속이었다가 [[김경두]]와의 갈등으로 팀에서 나왔던 이동건과 [[김수혁(컬링)|김수혁]] 등이 주축이었던 팀으로, 간판만 비실업팀이었지 실력은 실업팀 수준이었다. 이후 강원도청에서 이 당시 부산협회 선수들을 영입했다.] 이후 12년만이고, 실업팀 경험이 없는 선수들이 한국선수권에서 우승한 건 2007년 전북컬링경기연맹[* 따지고 보면 이쪽이 더 이변이었는데, [[전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전북사대부고]] 출신 고교생이 중심이었다.] 이후 13년만이었다. [[2021 세계컬링선수권대회|2021년 세계선수권]]에 출전하면서 우리나라 비실업팀으로는 처음으로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에도 출전했다. 캐나다를 꺾는 이변을 보였지만[* 당시 캐나다 대표팀이었던 브렌던 보처 팀 역시 첫 세계선수권 출전이었지만, 이미 [[그랜드 슬램(컬링)|그랜드 슬램]] 3회 우승을 경험했다.] 남자 컬링 국가대표팀의 2승 징크스[* 2018년 [[경북체육회 컬링팀|경북체육회]]를 제외하면 남자 컬링 대표팀은 세계선수권에서 최다 2승이었다.]를 넘지 못했다. [[2021 KB금융 한국컬링선수권대회|2021년 한국선수권]]에서는 최종 3위를 했다. 한국선수권 이후 [[강원도청 컬링팀|강원도청]]에 스카우트됐다. 처음에는 스킵을 맡았으나, 2023년 동계체전에서는 서드로 출전했다. == 수상 기록 == ||<-3>
[[범대륙컬링선수권대회|{{{#ffffff 범대륙선수권}}}]] || || 은메달 || 2023 켈로나 || 단체전 || ||<-3> {{{#ffffff 주니어 아시아태평양선수권}}} || || 은메달 || 2014 하얼빈 || 단체전 || == 기타 == * [[김초희]], [[설예지]]-[[설예은|예은]] 자매와 친하다. 이들보다 1살 더 많지만 같은 의정부 출신에 중학교 때부터 줄곧 같이 컬링을 해온 사이여서 그런듯. *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때 [[서민국]], 김승민, [[오승훈(컬링)|오승훈]] 등과 함께 휠체어 컬링 대표팀 전력분석원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69&aid=0000285059|맡았다.]] [[분류:대한민국의 컬링 선수]][[분류:의정부시 출신 인물]][[분류:1995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