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인)] ---- [Include(틀: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2> {{{#fff {{{+1 '''정약종'''}}}[br]'''丁若鍾'''}}}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약종.jpg|width=100%]]}}} || ||<-2> {{{-2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한 정약종 초상화'''[* 18세기 후반에 그려진 초상화로 같은 시대 천주교인이던 이희영(李喜英, 1756-1801)의 작품으로 짐작된다.[[https://museum.ssu.ac.kr/박물관소개/유물검색/?ssu_cate1=&ssu_cate2=&select=title&keyword=초상|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홈페이지]]][* [[정약용]]과 [[정약전]]의 얼굴을 추정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 || '''이름''' ||정약종(丁若鍾) || || '''본관''' ||[[나주 정씨(丁)|나주 정씨]] (羅州 丁氏)[*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23세 '''약(若)○''' 항렬.] || ||<|2> '''출생''' ||[[1760년]]([[영조]] 36) [[3월 10일]] || ||[[경기도]] [[광주시|광주부]] 초부면 마재리[br](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재마을) || || '''사망''' ||[[1801년]]([[순조]] 1) [[2월 26일]] (향년 40세) || || '''종교''' ||[[유교]]([[성리학]]) → [[기독교]] ([[천주교]] | [[세례명]]: [[아우구스티노]]) || || '''부모''' ||부친 - 정재원(丁載遠, {{{-3 1730 ~ 1792}}}) 모친 - [[해남 윤씨]](海南 尹氏, {{{-3 ? ~ 1770}}}) 윤덕열(尹德烈)의 딸|| || '''형제자매''' ||이복 형 - 정약현(丁若鉉, {{{-3 1751~1821}}}) 동복 형 - [[정약전]](丁若銓, {{{-3 1758 ~ 1816)}}} 동복 남동생 - [[정약용]](丁若鏞, {{{-3 1762 ~ 1836}}}), 정약횡(丁若鐄)|| || '''부인''' ||[[경주 최씨]](慶州 崔氏) [[한산 이씨]] - 이수정(李秀廷)의 딸 류소사(柳召史, {{{-3 1761 ~ 1839}}})[* 소사(召史)는 양민의 아내나 과부를 이르는 말인 [[조이]]를 한자로 음차하여 표기한 것으로, 류소사의 본명은 전해지지 않는다.]|| || '''자녀''' ||장녀 - 달성 배씨(達城 裵氏) 배윤문(裵允文)의 처 {{{-3 최씨 소생}}} 장남 - 정철상(丁哲祥, {{{-3 ? ~ 1801}}}) {{{-3 이씨 소생}}} 차남 - [[정하상]](丁夏祥, {{{-3 1795 ~ 1839}}}) {{{-3 류씨 소생}}} 차녀 - 정정혜(丁情惠, {{{-3 1797 ~ 1839}}}) {{{-3 류씨 소생}}}||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실학자]], [[가톨릭]]의 [[복자]].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이며 복자로서의 축일은 [[5월 29일]]이다. 조선 가톨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가톨릭 신자들이 많이 들어봐서 잘 알고 있는 세례명 "하상 바오로"[* 한국 사제들 중에도 하상 바오로가 있으며, 해외 사제 중에도 종종 세례명 하상 바오로를 쓰는 사제가 있다. 한국 정치인 중에는 [[안철수]]가 세례명으로 하상 바오로를 쓰고 있다.]가 그의 친아들이자 성인인 [[정하상]]이다. 정약종과 첫째 아들 정철상 가롤로는 [[1801년]]에 순교하여 복자가 되었지만, 살아남은 뒤 [[1839년]]에 순교한 정약종의 아내 유소사 체칠리아와 딸 정정혜 엘리사벳도 가톨릭 성인이다. == 생애 == 1760년(영조 36) 3월 10일 [[경기도]] [[광주시|광주부]] 초부면 마재리(現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재마을)에서 아버지 정재원(丁載遠, 1730. 6. 10 ~ 1792. 4. 9)과 어머니 [[해남 윤씨]](? ~ 1770. 11. 9)[* 윤덕열(尹德烈)의 딸이다.] 사이의 5남 3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해남 윤씨 소생으로는 세 아들 중 둘째이다. 큰형인 정약현(丁若鉉, 1751. 5. 6 ~ 1821. 9. 4)[* 어머니가 [[의령 남씨]](1729 ~ 1752. 10. 24) 남하덕(南夏德)의 딸이다.]은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형제의 이복형이다. [[정조(조선)|정조]] 재위 기간 중반인 1786년에 천주교에 입교해 [[세례성사]]를 받았으며, 정약현을 제외한 형제가 모두 입교했다. 정약현은 천주교 신자가 아니지만 딸인 정난주와 사위 [[황사영]]이 천주교 신자다. 이후 정약종은 그 후 평신도 단체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명도회&ridx=0&tot=57|명도회]]의 회장으로 취임하여 청국인인 [[http://maria.catholic.or.kr/sa_ho/list/view.asp?menugubun=saint&ctxtSaintId=6208|주문모]] 신부를 돕고 교리 요약서인 <주교요지>를 썼다. [[신유박해]] 때 큰아들 정철상(丁哲祥, ? ~ 1801. 2. 26) 가롤로와 함께 [[순교]]했다. 정약종이 순교할 무렵에 정약전과 정약용은 천주교를 배교하고 살아남았지만[* 물론 귀양은 갔다. 당시 배교를 하면 귀양을 보내고, 배교를 안하면 죽이는게 정순왕후와 안동 김씨의 정책(당시 왕은 어린이였던 정조의 아들 순조)이었다.], 정약종은 배교를 거부하여 사형당했다. 형제 중 정약종만 로마 가톨릭이 인정한 복자인 이유이다. 순교 후 2014년에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에 포함되어 시복되었다. == 가족관계 == * 아버지: 정재원 1730~1792 * 어머니: 해남 윤씨 1728~1770 * 이복형: 정약현 1751~1821 * 부인: 경주 이씨([[이벽]]의 누이) * 딸: 정난주(마리아) 1778~1848, 사위: [[황사영]](알렉시오) 1775~1801 * 형: [[정약전]](안드레아) 1758~1816 * 동생: [[정약용]](세례자요한) 1762~1836 * 정약종(아우구스티노)^^복자^^ 1760~1801 * 부인: 유소사(체칠리아)^^성녀^^ 1761~1839 * 아들: 정철상(가롤로)^^복자^^ ?~1801 * 아들: [[정하상]](바오로)^^성인^^ 1795~1839 * 딸: 정정혜(엘리사벳)^^성녀^^ 1797~1839 == 기타 == [youtube(9z3RyBzOJAY)] * 천주교 전승에 따르면, 정약종은 하늘을 보며 [[참수]]당했다고 한다. 실제로는 [[능지처참]]형을 받았으며, 전승이나 영화 [[자산어보(영화)|자산어보]]에 나온 것처럼 하늘 보고 누워 참수형 받은 건 아니다. 죄인이 원한다고 형 집행 방식을 바꿔 주지도 않으며 참수 절차상 그렇게 할 수도 없다. * 부인인 유소사 체칠리아와 다른 자녀인 정하상 바오로, 정정혜 엘리사벳은 박해에서 살아남아 천주교인으로 남았으나, 1839년 [[기해박해]] 때 그들도 모두 순교했다. 그래서 형제 중에서 정약종만 직계후손이 없다.[* 정약종의 자녀들은 모두 미혼이었다.] 한편 유소사 체칠리아, 정하상 바오로, 정정혜 엘리사벳은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한 때 시성되었다([[한국 103위 순교성인]]). * 정약종 형제의 생가인 [[http://www.majaesungji.or.kr|마재]]([[경기도]] [[남양주시]])는 천주교의 성지가 되었다([[http://www.koreanmartyrs.or.kr/shrine_view.php?num=91&area_code=&keyword=|마재성지 정보: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천주교 의정부교구]]에서 관리하고 있다. [각주] [[분류:조선의 인물]][[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복자]][[분류:남양주시 출신 인물]][[분류:나주 정씨(丁)]][[분류:1760년 출생]][[분류:1801년 사망]][[분류:가톨릭 순교자]][[분류:참수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