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천주교 교구장 주교)] [include(틀:역대 천주교 인천교구장)] ||<-3> '''제3대 [[천주교 인천교구|{{{#000000 천주교 인천교구}}}]]장''' [br] '''{{{+1 정신철 [[세례자 요한|{{{#000000 요한 세례자}}}]]}}}'''[br] '''鄭信喆''' | '''John Baptist Jung Shin-chul''' || ||<-3> [[파일:정신철 주교.jpg|width=100%]] || ||<|2> '''출생''' ||<-2>[[1964년]] [[10월 22일]] ([age(1964-10-22)]세) || ||<-2>[[인천광역시]] || || '''국적''' ||<-2>[[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 || '''사제 수품일''' ||<-2>[[1993년]] [[1월 29일]] ([age(1993-01-29)]주년) || ||<|2> '''주교임명일''' ||<-2>[[2010년]] [[4월 29일]] 보좌주교 임명[* 쿠이쿨 명의주교] || ||<-2>[[2016년]] [[10월 30일]] 교구장 임명 || ||<|3> '''재임기간''' ||[[천주교 인천교구|인천교구]] 보좌주교 ||[[2010년]] [[6월 16일]] ~ [[2016년]] [[6월 3일]] || ||인천교구장 서리 ||[[2016년]] [[6월 4일]][* 최기산 주교의 사망 후 교구 참사회를 통해 교구장 직무대행으로 선출됐고 다음 날인 6월 4일 프란치스코 교황으로부터 교구장 서리로 임명돼 정식 교구장 착좌 전까지 교구장 서리로 직무를 수행하였다.] ~ [[2016년]] [[12월 26일]] || ||인천교구장 ||[[2016년]] [[12월 27일]] ~ || ||<-3> [[파일:정신철 요한 세례자 주교 문장.jpg|width=300%]] || ||<-3> '''[[야훼|{{{#000000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 (1요한 4,16)]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 가톨릭|대한민국 가톨릭교회]]의 [[주교]]이자 제3대 [[인천교구]]장. 세례명은 '[[세례자 요한|요한 세례자]]'이다. [[1964년]] [[10월 22일]]생([age(1964-10-22)]세). [[인천광역시]] [[동구(인천광역시)|동구]] [[송림동(인천광역시 동구)|송림동]]의[* 인천교구장을 역임한 3명의 주교 중 유일한 [[인천광역시]] 출신이다. 초대 교구장 [[윌리엄 존 맥나흐톤 굴리엘모]] 주교는 [[미국인]]이다. (한국식 이름은 [[나길모]]. '나 굴리엘모'라고도 부른다.) 2대 교구장 [[최기산]] 주교는 [[김포시]] 출신이다. 다만 [[김포시]]도 [[천주교 인천교구]] 관내 지역이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 집안에서[* 정 주교의 어머니는 인천지역 복음화의 증거자로 알려진 박순집 베드로의 후손이다. 박순집의 아버지 박 바오로는 [[병인박해]] 때 [[순교]]했고, 박순집은 순교자들의 유해를 거두어서 묻어 주고,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고, [[선교]]에 힘썼다. 또한 박순집의 딸 박황월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수녀는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에 입회, 김해겸 마리아 쌘뽈 수녀와 함께 [[한국인]] 최초의 [[수녀]]가 되었다.] 차남으로 태어났다.[* 정 주교의 친형은 현재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근무 중인 정대철 교수다. 소아과 진료에서 상당한 실력자로 알려져 있다.] [[부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3년]]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 신학부]]에 입학해 [[1991년]] 학부를 졸업하고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1993년]] [[성품성사|사제품]]을 받으면서 [[사제(성직자)|사제]] 생활을 시작했다. 사제 수품 직후 1년간 [[부천시]] 삼정동성당 보좌신부를 역임한 뒤 [[프랑스]]에서 8년간 [[유학]] 생활을 했다. 프랑스 파리가톨릭대학교에서 실천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딴 뒤[* [[한국 천주교]] 사제 중에서 실천신학 전공 박사 학위를 취득한 것은 정 주교가 최초라고 한다.] [[2002년]] 귀국해 역곡2동성당 보좌신부를 맡았다. [[2003년]]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자리를 옮겨 [[2010년]]까지 교수신부로 지냈다. [[2009년]] [[천주교 인천교구]] 성소국장으로 부임한 후 [[2010년]]에 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됐다. 그러던 중 [[2016년]] [[5월 30일]] [[최기산]] 교구장 주교가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선종하면서 교구장 직무대리가 됐고 곧 교구장 서리가 됐다. 그리고 [[2016년]] [[11월 10일]] [[프란치스코 교황]]으로부터 [[천주교 인천교구]] 3대 교구장으로 공식 임명됐다.[* [[최기산]] 주교의 사망 당시 정신철 주교는 교계제도상 교구장직 자동 승계가 불가능한 보좌주교였다. 그래서 교구장 직무대리와 교구장 서리를 거쳐 교구장으로 착좌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전임 교구장인 [[최기산]] 주교는 처음에 주교로 성성될 당시부터 교구장직 자동 승계권을 가진 부교구장 주교였기에, [[윌리엄 존 맥나흐톤 굴리엘모|나 굴리엘모]] 주교의 은퇴 직후 자동으로 교구장직을 이어 받을 수 있었다.] [[2016년]] [[12월 27일]] [[답동성당|답동 성 바오로 주교좌 성당]]에서 열린 착좌식을 통해 교구장좌에 착좌하면서 제3대 인천교구장으로 공식 취임했다. 착좌 당시 나이가 '''만 52세'''였다. [[가톨릭]] 교회법에 규정된 정년으로 인한 교구장 사임 청원 시점이 만 75세부터인 점을 감안할 때, 정 주교가 건강히 사목 활동을 지속하면 최소 25년 이상 인천교구장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된다. 꽤 젊은 나이에 교구장에 오른 탓에, [[인천교구]]에는 정신철 주교의 선배 신부들이 상당히 많다.[* 대표적인 사례가 명강사 신부로 유명한 고 [[차동엽]] 노르베르토 신부. 차 신부는 정 주교보다 나이와 수품 기수 모두 선배이지만, 교구장인 정 주교에게 순명해야 한다. [[가톨릭]] [[성직자]]와 [[수도자]]는 [[성품성사]]/수도서원 때 청빈, 정결과 함께 순명을 서원하기 때문(이 3개를 복음삼덕이라 함).보통 순명서약은 교구장 주교의 착좌식때 하게된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는 사회주교위원회와 국내이주사목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 여담 == || [[파일:external/www.catholictimes.org/275771_7336_1.jpg]] || || [[사제(성직자)|사제]] 야구단 경기에서 [[투수]]로 등판한 정신철 주교 || 상당한 [[야빠|야구 마니아]]로, 이론과 실전에 모두 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인천광역시]] 출신답게 [[SSG 랜더스]]의 팬이다. 다른 지역 [[주교]]들과의 모임에서 [[야구]] 이야기가 나오면 [[SSG 랜더스]]를 응원하면서 뜨겁게 열변을 토한다고 한다. [[인천교구]]의 젊은 [[신부(종교)|신부]]들과 격의없이 소통하기 위해 사제 야구단에서도 직접 선수로 뛰기도 한다. 보통 [[투수]]로 활약한다고 한다. [[분류:천주교 인천교구장]][[분류:가톨릭대학교 출신]][[분류:1964년 출생]][[분류:동구(인천) 출신 인물]][[분류:부천고등학교 출신]] [[분류:가톨릭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