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선 제9대 왕 성종의 딸 정숙옹주, rd1=정숙옹주(성종))] [[분류:조선의 옹주]][[분류:서출]] [include(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0%, #94153e 20%, #94153e 80%, #751232)" '''조선 선조의 왕녀[br]{{{+1 정숙옹주 | 貞淑翁主}}}'''}}} || || '''출생''' ||[[1587년]] ^^([[선조(조선)|선조]] 20)^^ [[4월 16일]] || || '''사망''' ||[[1627년]]([[인조]] 5) [[12월 2일]][br](향년 40세) || || '''묘소''' ||광주 동면 사부촌 고낭리[* [[http://royal.aks.ac.kr/Ge/JokboContentData?bookId=JSK_WJ_K21047&contentId=JSK_WJ_K21047_gen010|선원록]]에 기재된 장소] (廣州 東面 莎阜村 古浪里)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부왕''' ||[[선조(조선)|선조]] || || '''생모''' ||[[인빈 김씨|경혜인빈 김씨]] || || '''부군''' ||동양위 신익성[* 본관 [[평산 신씨|평산]]. [[신흠]]의 장남이다.] (東陽尉 申翊聖, {{{-3 1588 ~ 1644}}}) || || '''자녀''' ||{{{#!folding 슬하 5남 4녀 [ 펼치기 · 접기 ] 장녀 - 신혜순(申惠順, {{{-3 1604 ~ 조졸}}}) 차녀 - 신경강(申敬康, {{{-3 1606 ~ 1649}}}) 장남 - 신면(申冕, {{{-3 1607 ~ 1652}}}) 차남 - 신변(申昪, {{{-3 1610 ~ 1664}}}) 3남 - 신경(申炅, {{{-3 1613 ~ 1664}}}) 3녀 - 신순강(申順康, {{{-3 1615 ~ ?}}}) 4녀 - 신지강(申止康, {{{-3 1617 ~ 1667}}})[* [[김석주]]의 어머니.] 4남 - 신최(申最, {{{-3 1619 ~ 1658}}}) 5남 - 신향(申晑, {{{-3 1623 ~ 1642}}})}}} || || '''봉호''' ||'''정숙옹주(貞淑翁主)'''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선조(조선)|선조]]의 옹주 == 인적사항 == 조선 [[선조(조선)|선조]]와 [[선조(조선)|선조]]의 수많은 후궁들 중에서도 가장 많은 총애를 받는 후궁이었던 [[인빈 김씨]]의 4남 5녀 중 삼녀로 태어났다. [[의안군]], [[신성군]], [[원종(조선)|정원군]], [[정신옹주]], [[정혜옹주]]의 친여동생이자, [[의창군(1589)|의창군]]의 친누나이자, [[정안옹주]], [[정휘옹주]]의 언니이며, [[인조]]의 고모이다. [[1587년]]([[선조(조선)|선조]] 20), [[선조(조선)|선조]]과 선조의 가장 많은 총애를 받는 [[인빈 김씨]]의 여섯째이자 삼녀이며 [[선조(조선)|선조]]의 14녀 중에서 서삼녀이다. [[평산 신씨]] 동양위 신익성(東陽尉 申翊聖, 1588년 12월 24일~1644년 9월 22일)에게 출가하여 5남 4녀를 두었다. [각주][include(틀:표절, version=1~10, source=위키백과)][include(틀:표절, version=23~25, source=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