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golfu.net/%EC%BB%A8%ED%8D%BC%EB%9F%B0%EC%8A%A4%EC%B2%AB%EC%A7%B8%EB%82%A0%EC%84%9C%EC%9A%B8_G20%EC%A0%95%EC%83%81%ED%9A%8C%EC%9D%98.jpg]] [[2010 G20 서울 정상회의]]의 모습 [목차] == 개요 == '''정상회담'''([[頂]][[上]][[會]][[談]]) 또는 '''정상회의'''([[頂]][[上]][[會]][[議]])는 두 나라 이상의 [[정부수반]] 또는 [[국가원수]]가 모여 여는 회담으로, 외교적 회담 중 가장 격이 높다. 대체로 양자 간 진행되는 경우에는 주로 '정상회담'을, 다자 간 진행되는 경우에는 '정상회의'를 사용한다. 격이 높은 회담인 만큼 비밀리에 협상하거나, 뭔가 구체적인 협정을 하기에는 어려운 형식이다. 보통 총론에서만 합의를 하고 실무회담이나 [[외무장관]] 회담을 따로 해서 합의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밟는다. 실무회담 차원에서 판이 깨지는 경우도 부지기수. 정상회담이 이견만 확인하고 결렬되었을 경우에는 "A사안에 대해 포괄적인 의견을 교환하였다."라는 정도로 공개한다. 즉, 의견교환만 했다는 것은 협상이 결렬되고 진척이 없다는 뜻이다. 재미있게도 '''정상회담'''이라는 표현은 [[한자문화권]]에서 [[한국]]만 사용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수뇌상봉'''(首腦相逢), [[일본]]에서는 '''수뇌회담'''(首腦會談/首脳会談)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중국]]에서는 '''수뇌회담''', '''수뇌회의''', '''(고)봉회'''[(高)峰会] 따위를 활용하고 있다. == 정례화된 정상회담 == * [[주요 7개국 정상회담]] (G7) * [[G20]] * [[2010 G20 서울 정상회의]] * [[APEC]] * [[ASEAN]] * [[G77]] * [[동아시아 정상회의]] * [[아시아 유럽 정상회의]] * [[한중일 정상회의]] * [[핵안보정상회의]] *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 [[ITU 통신망 국제 정상 회의]] * [[Quad]] === 개별 문서가 있는 정상회담 === * [[장제스-다나카 회담]](1927)[* 이 회담은 장제스가 잠시 사퇴한 후 일본을 방문한 시기에 이뤄졌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정상 회담'은 아니지만, 회담이후 장제스가 다시 중국으로 복귀해서 자리를 차지했으므로 ...] * [[카이로 회담]](1943) * [[테헤란 회담]](1943) * [[얄타 회담]](1945) * [[포츠담 회담]](1945) * [[2000 남북정상회담]] * [[2007 남북정상회담]] * [[2017년 한미정상회담]] *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 * [[2018 제2차 남북정상회담]] *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 [[2018년 북미정상회담]] * [[2019년 북미정상회담]] * [[2021년 한미정상회담]] * [[2022년 한미정상회담]] * [[2023년 한일정상회담]] * [[2023년 한미정상회담]] * [[2023년 북러정상회담]] [[분류: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