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환조의 후궁[br]{{{+1 정빈 김씨 | 定嬪 金氏}}}'''}}} || || '''출생''' ||연대 미상 || || '''사망''' ||[[1404년]] [[2월 28일]] || || '''능묘''' ||미상 || ||<|2> '''재위기간''' ||'''{{{#gold 조선 정안옹주}}}''' || ||[[1392년]] ~ [[1404년]] [[2월 28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경주 김씨]] || || '''휘''' ||고음가(古音加) || || '''배우자''' ||[[환조(조선)|환조]] || || '''자녀''' ||'''슬하 1남'''[br]장남 - [[의안대군(이화)|의안대군]](義安大君, {{{-3 1348 ~ 1408}}}) || || '''봉작''' ||정안옹주(定安翁主) → '''정빈(定嬪)'''[* [[https://db.itkc.or.kr/m/dir/view?grpId=&itemId=ST&gubun=book&depth=5&cate1=&cate2=&dataGubun=%EC%B5%9C%EC%A2%85%EC%A0%95%EB%B3%B4&dataId=ITKC_ST_Z0_A09_12A_01A_00240&viewDire=prev|링크]]]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추존왕 [[이자춘|환조]]의 후궁이자 [[태조 이성계]]의 서모(庶母). == 생애 == 본래 [[이자춘]]의 첩으로, [[1392년]]에 계자 [[이성계]]가 새 나라 [[조선]]을 건국하고 자신의 친아버지(이자 정빈 김씨에게는 남편)인 이자춘을 환왕(桓王)으로 추존하는 과정에서 왕의 후궁이 된 그녀는 ‘정안옹주(定安翁主)’에 봉해진다. 이후 [[1404년]]([[이방원|태종]]4년) [[2월 28일]] 사망한다. 그로부터 약 450년이 지난 [[1872년]]([[고종(조선)|고종]] 9년)에 정1품 ‘정빈(定嬪)’으로 추증된다. == 가족관계 == '''배우자 / 자녀''' * 남편 :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 1315년 ~ 1360년 * 아들 : [[의안대군(이화)|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 1348년 ~ 1408년 == 기타 == * [[이성계|태조]]는 자신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이화)|의안대군]]을 각별히 여겼다고 한다. 그러한 이유에서인지 그는 김씨를 만날 때마다 무릎을 꿇고 극진하게 대했다고 한다. 더불어 김씨의 노비 문서를 불태워 없애버리기까지 하였다.[* [[https://sillok.history.go.kr/id/kaa_000051|태조실록 1권, 총서 51번째기사]]] * 한편 [[태조]]가 젊었을 때, 김씨가 우연히 까마귀 5마리를 보고는 태조에게 활로 쏘아달라고 부탁하였다. 이에 태조가 화살 한 발로 까마귀 5마리를 동시에 맞추자, 김씨는 태조에게 절대로 이러한 일을 아무데에도 발설해서는 안된다고 했다는 일화가 [[태조실록|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aa_000029|태조실록 1권, 총서 29번째기사]]] [[분류:조선의 후궁]][[분류:140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