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정부서울청사]]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부종합청사)] ||<-2> [[대한민국 정부|[[파일:정부상징.svg|width=25px]]]][br] {{{+2 {{{#ffffff '''정부서울청사'''}}}}}}[br]{{{#ffffff 政府서울廳舍 / Government Complex Seou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utureheritage.seoul.go.kr/2013236_011.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정부서울청사, 너비=100%, 높이=200px)]}}} || || {{{#ffffff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세종로]]) ||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대지 면적'''}}} ||18,582㎡ || || {{{#ffffff '''건물 규모'''}}} ||지하 3층, 지상 19층 || || {{{#ffffff '''연면적'''}}} ||78,448㎡ || || {{{#ffffff '''층고'''}}} ||준층 3.5m, 최고 7m (지상 1층) || || {{{#ffffff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 || {{{#ffffff '''높이'''}}} ||지상 84m || || {{{#ffffff '''공사 기간'''}}} ||[[1967년]] [[7월 29일]]~[[1970년]] [[12월 23일]] || || {{{#ffffff '''총사업비'''}}} ||47억 원 || || {{{#ffffff '''근무 인원'''}}} ||3,736명 (2023년)[* [[공무원]] 2,590명 + 파견인력, [[공무직근로자|공무직]] 등 기타 현원 1,146명.] || || {{{#ffffff '''관리 주체'''}}} ||[[정부청사관리본부|[[파일:정부청사관리본부 로고.svg|width=150]]]] || ||<-2>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ffffff ''' 입주 기관 ''' }}} || || {{{#ffffff ''' 본관 ''' }}} ||[[통일부]], [[여성가족부]], [[금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정부서울청사관리소, 정부서울청사경비대[br]{{{-2 [[우편취급국]], [[NH농협은행|농협]], 구내식당·카페·매점, 체력단련실, 의무실, 건강지원센터, 마음건강센터, 이발소, 스마트워크센터}}} || || {{{#ffffff ''' 별관 ''' }}} ||[[외교부]] [br]{{{-2 [[NH농협은행|농협]], 구내식당·카페·매점, 체력단련실}}} || || {{{#ffffff ''' 후생관 ''' }}} ||비즈니스룸 || || {{{#ffffff ''' 창성동 ''' }}} ||[[대통령비서실]],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행정안전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세종로]])에 있는 정부종합청사. 정확히는 정부서울청사 본관, 정부서울청사 별관,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옛 이름은 건축 당시에는 '''정부종합청사'''였으며, 이후 [[정부과천청사]]가 만들어지자 '''정부중앙청사'''가 되었다. [[2013년]] [[1월 1일]], 대부분의 부처가 [[행정중심복합도시]] 계획으로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면서 명칭을 '정부서울청사'로 바꾸었다. 명칭 변경 당시 일부 사람들은 '[[수도(행정구역)|수도]] 서울을 버리는 속셈이지 않겠냐'며 반발했다고 한다. 조선 초기에는 처음에 [[삼군부]] 청사가 들어섰다가 [[예조]][* 현재의 교육부와 외교부를 합친 조직에 해당됨] 청사로 바뀌었고,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당시 예조가 이전하고 다시 삼군부 청사가 들어섰다. 삼군부 청사 건물은 일제강점기 이후 대부분 철거되었지만 [[삼군부 총무당]]과 [[삼군부 청헌당|청헌당]]은 다른 곳으로 옮겨져 남아 있다. == 설명 == [include(틀:박정희 정부)]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KKFFQJwg10)]}}}|| || {{{#fff '''준공 개청식 당시 영상[* [[대한뉴스]] 제808호]'''}}} || [[중앙행정기관]]은 과거 [[경복궁 광화문|광화문]]과 [[경복궁]] 자리에 있던 [[중앙청]](구 [[조선총독부 청사]])을 중심으로 사무공간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정부 기능의 다원화로 행정기구가 확대됨에 따라 청사 공간이 부족해졌고, 일반인 소유의 건물을 임차하여 사용하게 되었으며 청사 자체 보유 기관도 노후했다. 이에 각 부처를 집중 수용함으로써 행정 능률을 높이고 국민의 이용 편의를 증진하고자 정부청사 건립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파일:external/ce6089488eedee078ea377cd91a776729bd7d2cb100fe1ead9f112832360fff6.jpg]] ▲ [[1972년]] 당시. 사진은 중앙청(구 조선총독부 청사) 입구에서 촬영했으며, 옆에 보이는 문은 당시의 [[콘크리트]] 광화문이다.[* 이 콘크리트 광화문은 원래 위치가 아니라 과거 중앙청 정문 자리에 지어진 것인데, 결국 이런저런 문제로 인해 구 조선총독부 청사와 마찬가지로 철거되었으며, 이후 원래 위치에 이전하여 재복원되었다.] [[파일:정부서울청사 원경 2007.jpg]] ▲ 현재의 정부서울청사 원경. 왼쪽의 건물이 별관이다. 양쪽 건물을 잇는 구름다리가 잘 보인다. === 디자인 및 건물의 가치 === 본관은 1967년 착공하여 1970년 완공하였으며, 지하 3층, 지상 19층, 대지면적 20,396㎡, 최고높이 84m의 철골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총공사비 43억 8,950만 원이 소요되었다. [[현대건설]]이 시공하였기 때문에 종로구 [[재동]]에 있는 [[현대그룹]] 본사 빌딩과 디자인적으로 유사한 면이 있다. 청사 건물의 디자인은 [[모더니즘]] 형태이나 권위주의적 색채가 강해서 미적인 면에서는 큰 호평을 받지 못하고 있다. 아무래도 디자인을 공모해놓고서 받은 디자인을 멋대로 뜯어고쳐서 건축가들 입장에서는 뿔이 안날 수가 없는 모양이다. 게다가 위치 또한 [[경복궁]] 코앞이라 고궁(古宮)과의 균형이 흐트러진다는 지적까지 받기도 한다. 당장 경복궁에서 [[북한산]]을 등지고 전면을 바라보면 정부청사가 부담스럽게 서있다. 요즘 건축법 등 관계 법령의 규제 같으면 불가능했을 입지와 층고였으나 당시 시대상 그런 것 없었다.[* 다만 당시에는 거대한 [[조선총독부 청사]]가 있던 시절이니 지금의 뷰와는 근본적으로 달랐음을 감안하여야 한다.] 요즘의 넓은 오피스 공간과는 다르게 처음부터 작은 방으로 구획화가 많이 되어있어 약간 답답한 느낌이 있으며, 대신 기둥 등의 굵기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튼튼하고 굵다고 한다. 후진적인 건물의 기능적 측면, 주변 경관의 역사적 맥락을 무시한 입지 등으로 [[정부세종청사]]로 행정 각부 및 정부 기관들이 이전하고[* 기존 법령으로 제한되어 있던 [[행정안전부]]가 제한 대상에서 삭제되면서 이전 근거가 생겼고, 근시일 내에 [[중소벤처기업부]]가 이전한다.] 자리를 비우면 새로운 활용 내지는 철거를 모색해야 했을 건물이다. === 대통령 집무 공간 이전 논의 ===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공약사항으로 [[청와대]] 기능을 정부서울청사로 옮긴다는 내용이 있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8903711&isYeonhapFlash=Y&rc=N|#]] 실현될 경우 이곳이 기존 청와대의 업무까지 대신하게 될 예정이'''었'''다. 그리고 집권 후 한동안은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려 하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2&aid=0000255474|#]] 당시에 구관은 너무 오래 되어 안전 및 보안 문제가 제기되었기 때문에 구관 옆에 있는, 외교부가 사용하는 별관을 리모델링하는 것이 가장 유력한 방안이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77&aid=0003992351|#]]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로 이 공약은 결국 2019년에 '''보류'''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0562614&isYeonhapFlash=Y&rc=N|#]] 물론 그 후에 문 대통령은 이 공약에 대해 자신은 포기한 것이 아니라며 경제 문제, 그리고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재구성 등을 이유로 대긴 했다. 하지만 결국 2019년 1월 4일, [[유홍준]] '광화문 대통령 시대' 자문위원은 청와대 춘추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시설, 부지 등의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대통령 집무실 정부서울청사 이전과 청와대 개방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끝난 후에 장기적인 과제로 검토하겠다고 발표하여, 문재인 대통령의 대통령집무실 정부서울청사 이전 공약은 사실상 [[백지화]]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0562614&isYeonhapFlash=Y&rc=N|#]] 20대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가 같은 공약을 내세웠고, 윤석열이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광화문 대통령실 구상이 다시 추진되고 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127093951001?section=search|#]] 다만 결국 광화문이 아닌 [[용산구]] [[대통령실]]로 이전하였다. [[서울특별시청]]에서 추진하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에서 [[행정안전부]]와 서울시청 간의 다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사업 계획대로라면 청사 내 부지 일부를 [[도로]]로 바꾸거나 [[주차장]]을 공원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3/2019012303197.html|#1]],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60645&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2]] == 입주 기관 == 정부서울청사의 입주 기관은 총 4부 2실 3위원회[* 중앙행정기관이 아닌 위원회는 제외, 대통령 직속 위원회를 추가적으로 따지면 5개의 대통령직속 위원회가 행정적으로 서울청사에 소재한다.]이다. 일부 기관만 입주하지 않고 본부까지 온전히 소재한 경우를 따지면 3부 2위원회이다. === 본관 === [[파일:external/futureheritage.seoul.go.kr/2013236_011.jpg|width=100%]] * [[통일부]]: 5층, 6층, 7층, 8층 사용 * [[여성가족부]]: 17층, 18층 사용 - 이명박 정부 시절 [[무교동]]으로 1차 이전, 2014년 재이전. * [[행정안전부]][* 장·차관실 및 본부는 [[정부세종청사]]에 소재하며, 대부분의 업무는 세종청사에서 이루어진다.]: 2층, 11층, 13층, 19층 사용 - [[경찰국]], [[국무회의]]실, 의정관실[* [[국새]]와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직인을 보관하고 국무회의 관련 사무 또한 처리한다.], 서울상황센터, 정부서울청사관리소, 재난안전통신망관리과 * [[외교부]][* 장·차관실 및 본부는 서울청사 별관에 소재하며, 대부분의 업무는 별관에서 이루어진다.]: 11층, 14층 사용 - 재외공관안전팀, 공관회계팀, 국유재산팀, 디지털소통팀, 코로나19신국제협력T/F * [[중소벤처기업부]][* 장·차관실 및 본부는 세종파이낸스센터에 소재하며, 대부분의 업무는 거기서 이루어진다. 지원단은 소규모 부서라서 서울청사를 사용하는 것 같다.]: 3층 사용 - 중소기업 옴부즈만지원단 * [[금융위원회]]: 3층, 13층, 14층, 15층, 16층 사용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4층, 12층 사용 * [[국민권익위원회]][* 본부는 [[정부세종청사]]에 소재한다.]: 5층 사용 - 정부합동민원센터 * [[국무총리비서실]][* 본부는 [[정부세종청사]]에 소재한다.]: 9층 사용 - 국무총리 업무지원공간 * 대통령직속 [[국가교육위원회]]: 3층 사용 *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8층 사용 * 서울청사 한빛어린이집 === 별관 === [[파일:external/www.chonghap.com/1996.%EC%A0%95%EB%B6%80%EC%A4%91%EC%95%99%EC%B2%AD%EC%82%AC%EB%B3%84%EA%B4%80_re.jpg|width=100%]] * [[외교부]] 주소는 [[종로구]] [[도렴동]] 95-1(사직로8길 60). 건물 자체는 본관과 별도의 건물이지만, 길이 50m의 구름다리로 연결되어 있어 창성동 별관이나 구 문광부 청사(현재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물)와 달리 방호와 시설 관리를 본관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OECD]] 회원국으로서의 위상에 걸맞은 외교통상 전문 청사를 마련하고 정부중앙청사(당시)의 사무실 부족과 주차난 문제를 해결"하고자 [[1989년]]부터 건립을 추진하였다. [[https://gbmo.go.kr/chungsa/cm/cntnts/cntntsView.do?mi=1391&cntntsId=1180|#]]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740688|#]] 원래 이 자리에는 [[TBS|tbs 교통방송]] 사옥으로 활용되었던 [[경찰청]] 별관이 있었으나 1996년 철거됐다.[* 참고로 경찰청 본관은 1996년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미근동]]으로 옮겼다. 별관 역시 본관과 통합되었다.] 1997년 5월 착공해 2002년 12월 11일 완공식을 가졌다. 지하 6층, 지상 18층이다. 본관에 마땅한 강당이 없어서 본관 소속 기관들의 각종 행사, 가령 이취임식, 교육 등을 별관 2층의 강당에서 시행한다. === 창성동 별관 === [[파일:external/db.kookje.co.kr/20120625.22006201544i1.jpg]] 재건축 관계로 여기 있었던 기관들은 지금은 본관이나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해 있다. 원래는 [[국민대학교]] 캠퍼스였다. 건물 자체는 1959년 지어졌으며, 1981년 10월 총무처에서 매입하면서 정부청사로 쓰기 시작했다. 2004년경 리모델링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2021년 4월 재건축계획이 발표되었다. 기존 노후 건물을 철거하고 비슷한 규모로 신축되며, 2023년 말 준공 예정이라고.[[https://newsis.com/view/?id=NISX20210421_0001414111|관련기사]] == 타 위치로 이전한 부서 == *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 이명박 정부 때 국무총리실 이전에 따라 [[정부세종청사]]로 이전. 일부 사무실은 연락소 개념으로 남아있으며, 대부분의 서울 업무는 새로 만든 스마트워크센터를 활용하는 편이다. *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 2013년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했다. * 조세심판원 - 2014년 12월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했다. * [[인사혁신처]] - 2016년 4월 10일 세종특별자치시 내 민간임대건물로 이전했다. *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 2017년 5월 17일 [[정부과천청사]] 내 옛 환경부 자리로 이전했다. * [[행정안전부]] - 2019년 1월 24일 장·차관실 및 본부 세종특별자치시 내 민간임대건물로 이전했다. == 폐지된 부서 == * [[교육과학기술부]] -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 기존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일부 기능을 합쳐 만든 조직이나, 박근혜 정부에서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로 분할. 2017년 7월 이후로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명칭변경되어, 2019년 현재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세종청사]]에 있다. * 국정홍보처 - 공보처 시절부터 있었으나 2008년 이명박 정부 당시 문체부에 해당 업무를 전부 넘겨준 후 폐지되었다. * 총무처 - 1998년 옛 내무부와 행정자치부로 통합하여 폐지되었다. * [[국민안전처]] - 2014년 11월 19일 신설되었으며, 2017년 7월 26일 폐지되었다. *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 2017년 9월 5일 신설되었으며 2022년 5월 9일 폐지되었다. 사용했었던 3층은 [[국가교육위원회]]에게 넘겨줬다. *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2023년 7월, [[자치분권위원회]]와 통합되어 [[지방시대위원회]]로 재출범하였고 청사는 [[세종시]]로 옮겨갔다. * 대통령직속 [[자치분권위원회]] - 상술한대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통합하여 [[지방시대위원회]]로 재출범하였다. * 대통령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 2017년 8월 신설되었으나 2022년 8월 폐지되었다. 13층을 사용했었다. == 사건 사고 == === 청사 화재 === 1999년, 2003년, 2008년 본관에 화재가 발생했으며,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낙후된 소방 방재 시설로 인하여 소방관들이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 2012년 투신 자살 사건 === [[파일:/image/020/2016/04/07/77444192.1_99_20160407030419.jpg|width=300]] 2012년 10월 교과서의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진화론]] 관련해서 [[아르카이옵테릭스|시조새]] 내용 삭제에 불만을 품은 한 인물[* [[그것이 알고싶다]]의 보도 내용에 따르면 그는 피해망상이었고, 자신이 공무원이라는 [[암시]]를 하는(후술할 유사 출입증을 위조한 이유) 증세를 보였는데, 이 시조새 관련 조치가 그의 불타는 멘탈에 기름을 끼얹은 꼴이었다.]이 유사 출입증을 가진 채 18층 교육과학기술부에 방화, 투신자살한 사건이 있었다. 다행히 피의자가 협박성으로 사람들을 내쫓았기 때문에 본인을 제외한 추가 인명피해는 없었다. 이 사건으로 정부청사 출입보안에 대한 비난이 나왔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정부중앙청사 보안을 상당히 강화시켰다. 그러나, 이후 사건으로 이 말은 무색해졌다. === 2016년 [[공시생 성적조작 사건]] === 2012년 사건으로 보안을 [[청와대]] 수준으로 강화했다는 말이 무색하게 2016년 경악할 만한 사건이 벌어졌다. 공무원 공채시험 합격자 명단 조작을 시행한 한 공시생에게 보안이 뚫리는 [[공시생 성적조작 사건]]이 일어났다. 사건의 개요는 공시생 송모(26)씨가 청사 안 체력단련장 탈의실에 잠입 라커룸에서 공무원 출입증 3개를 훔치면서 시작되었다. 처음 송씨는 [[인사혁신처]]로 들어가 공무원 시험지를 훔치려다 실패했으며 이후 시험이 시행된 이후 합격자 명단을 조작하려고 시도했다. 송씨는 이 과정에서 최소 5차례 무단 침입을 했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7148044|기사]] 이 응시생은 대담하게 훔친 공무원 신분증으로 공무원 행세를 하며 사무실 열쇠 꾸러미를 건네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55&aid=0000395512|기사]] 경찰서 조사에서 송씨는 '''"잠금 장치(도어록) 가까이에 비밀번호로 보이는 숫자가 적혀있기에 혹시나 하고 눌러봤더니 열렸다."'''라고 진술했다. 이에 공무원들의 보안 의식에 큰 구멍이 뚫려 있음이 알려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25&aid=0002609898|기사]] 이 사건으로 여론의 큰 비난을 받은 행정안전부는 부랴부랴 정부청사의 보안 강화를 위해 얼굴 인식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도입 초기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나, 현재는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듯하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05/0200000000AKR20170405029300004.HTML|기사]] == 기타 == * '''[[국새]] 및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직인'''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도 이곳[* [[행정안전부]] 의정관실]에서 보관한다. 영화 [[한반도(영화)|한반도]]에서는 국무총리 일당의 시선을 끌고 조재현 일행이 국새를 발굴할 시간을 벌기 위해 폭파당하기도 했다. * 명색이 수도인데도 [[정부세종청사]], [[정부대전청사]], [[정부과천청사]]에 비해 상주부처의 수나 근무인원이 적어서 존재감이 낮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종로구 소재 관공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