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공주]][[분류:조선의 서예가]][[분류:1603년 출생]][[분류:1685년 사망]][[분류:성북구 출신 인물]] [include(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선조의 왕녀[br]{{{+1 정명공주 | 貞明公主}}}'''}}}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명공주 육필.jpg|width=100%]]}}} || ||<-2> {{{#ffd400 {{{-2 정명공주가 직접 쓴 글씨 '화정(華政)'}}}}}} || ||<|2> '''출생''' ||[[1603년]]^^([[선조(조선)|선조]] 36년)^^ [[6월 27일]]^^(음력 5월 19일)^^ || ||[[조선]] [[한성부]] [[정릉동]] 행궁[br](現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 ||<|2> '''사망''' ||[[1685년]]^^([[숙종(조선)|숙종]] 11년)^^ [[9월 8일]]^^(음력 8월 10일)^^[br](향년 82세) || ||[[조선]] [[한성부]] 북부 안국방 [[안동별궁]] || || '''묘소''' ||{{{#808080 고양 태산(高陽 胎山)}}}^^[[실전#s-2|{{{#808080 실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부왕''' ||[[선조(조선)|선조]] || || '''모친''' ||[[인목왕후]] || || '''부군''' ||영안위 [[홍주원]] || || '''자녀''' ||{{{#!folding 슬하 7남 1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홍태망(洪台望) {{{-3 요절}}}[br]차남 - 홍만용(洪萬容)[br]3남 - 홍만형(洪萬衡)[br]4남 - 홍만희(洪萬熙)[br]5남 - 홍태량(洪台亮) {{{-3 요절}}}[br]6남 - 홍태육(洪台六) {{{-3 요절}}}[br]장녀 - 홍태임(洪台妊)[br]7남 - 홍만회(洪萬懷) }}} || || '''봉호''' ||정명옹주(貞明翁主)[br]→ '''정명공주(貞明公主)'''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공주]]로, [[선조(조선)|선조]]와 [[인목왕후]] 김씨의 딸. [[영창대군]]의 친[[누나]]이며 [[광해군]]의 이복 여동생. 선조의 딸 14명 중에서 12번째 딸이자 첫 적녀(嫡女)이다.[* 한살 차이로 선조의 둘째 적녀이자 친여동생이 있다. 인목왕후의 삼남매 소생 중 영창대군이 막내. 안타깝게도 여동생은 난산으로 사산되었다] [[선조(조선)|선조]]‧[[광해군]]‧[[인조]]‧[[효종(조선)|효종]]‧[[현종(조선)|현종]]‧[[숙종(조선)|숙종]] 6대 조선 국왕과 시대를 함께 하며 82세까지 장수했지만, 그녀의 삶은 비운의 왕녀로 유명한 선조인 [[경혜공주]]나 후손인 [[덕혜옹주]] 못지 않게 기구하고 불운했다. == 생애 == === 고귀하지만 축복받지 못한 출생 === [[선조(조선)|선조]]는 첫 [[왕비]] [[의인왕후]] 박씨에게서 자녀를 보지 못하였으나, [[후궁]] 9명에게서 13남 10녀를 두었다.[* 계비 소생인 정명공주와 [[영창대군]] 제외.] 선조는 가장 총애하는 후궁 [[인빈 김씨]]의 차남이자 선조 자신의 4남인 [[신성군]][* [[인빈 김씨]]의 장남이자 [[선조(조선)|선조]]의 3남인 [[의안군]]은 일찍 죽었다.]을 세자로 삼고 싶어했으나 장남이 아닌 다른 아들을 세자로 삼을 명분이 없었기에, 약 20년 가까이 선조는 왕세자 책봉을 미루었다. 그러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둘러 후궁 [[공빈 김씨]]의 차남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했다. 서장자였던 [[임해군]]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부터 개망나니(…)로 유명했고, 유력한 왕세자 후보였던 [[신성군]]은 [[임진왜란]] 때 병으로 일찍 죽었다. 거기다 [[광해군]]은 임진왜란으로 민심을 얻는 데 성공했기에 광해군의 세자 지위가 안정되는 듯했으나, 왜인지 [[명나라]]에서는 광해군이 서장자가 아닌 차남이라는 이유로 반대했다.[* 이는 당시 [[명나라]]의 상황 때문이었는데, 명의 [[만력제]]는 [[선조(조선)|선조]]와 똑같이 [[후궁]]에게서만 아들을 봤다. 그리고 또 선조와 비슷하게, [[만력제]]는 장자가 아닌, 총애하는 후궁의 아들을 황태자로 삼고 싶어했다. 이에 명의 신하들이 "장자를 황태자로 삼으시라"고 요구했지만, 만력제는 "황후가 아들을 낳을 수도 있다"며 계속 미루던 상황이었다. 그 상황에서 광해군을 인정하면 이를 핑계삼아 만력제가 그 아들을 황태자로 삼는 것이 우려되어 반대한 것이었다. 결국 나중에 장자가 황태자가 되는 것으로 해결되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그랬다.] 그 핑계로 [[선조(조선)|선조]]는 광해군을 세자로 인정하지 않았는데, 사실은 떠오르는 태양처럼 민심을 얻는 광해군과 반비례되는 선조 자신의 추락한 왕권에 대한 열등감 때문이었다. [[광해군]]에 대한 선조의 열등감이 커갈수록 미움이 커졌고, 광해군 측 사람들의 불안도 점점 커졌다. 그런 상황에서 선조가 [[인목왕후]] 김씨와 재혼하자, 광해군 측 사람들은 혹시라도 [[인목왕후]] 김씨가 아들을 [[출산]]할까 두려워했다. 선조가 광해군을 [[왕세자]] 자리에서 쫓아내고 새로 태어난 아들을 세자로 삼을 가능성이 다분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1602년, 선조는 51살 때 19살이었던 [[인목왕후|김제남의 딸]]을 계비로 책봉했고, 약 1년 후인 1603년 6월 29일에 정비 소생의 첫 아이 정명공주가 태어났다. [[계축일기]]에 따르면, [[광해군]]은 자신보다 9살이나 어린 새어머니 [[인목왕후]]가 [[임신]]하고 있었을 당시, 유산시키기 위해 도깨비 소동이나 기왓장을 던저 소동을 일으켰다고 한다. 광해군 측에서는 얼마나 불안에 떨었는지 쉽게 짐작이 된다.[* 사실 [[계축일기]]가 정확한 사료는 아니지만, 분명 광해군 측에서는 [[인목왕후]]의 [[임신]] 소식이 환영할 만한 소식이 아니었다.] [youtube(ossMss3pZFQ)] 비록 아버지 [[선조(조선)|선조]]는 아들을 기대했으나 [[늦둥이]]로 태어난데다, 정비 소생의 첫 아이이자 유일한 적녀인 정명공주를 귀여워했다. 아버지와 딸 수준으로 나이 차가 엄청난[* 실제로 '''조카들보다도 나이가 어리다.''' [[광해군]]의 아들 폐세자 이질은 물론이요, [[인조]]도 정명공주보다 8살 많다. ] 이복오빠 [[광해군]]도, 여자라 경쟁자가 될 수 없는 처지였기 때문인지 여동생 정명공주를 귀여워하였다고 한다. [[계축일기]]에 따르면 정명공주와 [[영창대군]]이 어렸을 때, [[광해군]]은 [[인목왕후]]를 문안하며 공주는 가까이 해 쓰다듬어 주는 등 칭찬해 주었지만 같이 그 자리에 있던 대군은 본 체도 하지 않아, [[영창대군]]이 "나도 누님처럼 여자로 태어났어야 했다."라며 울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실 [[계축일기]]는 정확한 사료는 아니지만, [[광해군]]의 입장에서는 아버지의 편애를 받는 어린 이복동생들 중에서 적통이라고 해도 애초에 왕위 계승권 자체가 없는 정명공주보다 세자의 자리를 위협하는 [[영창대군]]이 더 미웠을 것이다. 거기다 인간적인 고뇌로 생각해보면, 왕권 문제뿐만 아니라 광해군 본인의 아버지 [[선조(조선)|선조]]에게 차별받는 서러움과 아버지에 대한 원망, 광해군 자신의 입지 문제 등이 애꿎은 영창대군에게 쏟아졌을 거다. 물론 광해군 역시 어린아이에 불과한 영창대군 본인이 잘못 없는 줄이야 알았을 테니, 역으로 보란 듯이 그 누나인 정명공주를 더 귀여워했다고 추측된다.] 실제로 영창대군이 태어나지 않았거나, 태어났어도 아들이 아닌 딸로 태어났다면 정명공주의 삶은 크게 달라졌고 광해군의 성격도 크게 뒤틀리진 않았을 것이다. === 서궁 유폐 시절 === [youtube(xnsPDiliX0c)] 정명공주가 6살, [[영창대군]]이 3살 때 아버지 [[선조(조선)|선조]]가 승하하자 [[소성대비]](=[[인목왕후]])[* [[인목왕후]]의 대비로서의 존호는 [[소성대비]]이지, 인목대비가 아니다.]와 광해군은 점점 소원해졌다. 결국 광해군 5년에 외조부 [[김제남]]이 [[영창대군]]을 옹립하려 했다며 벌어진 [[계축옥사]]로 영창대군은 폐서인이 되어, 강화도로 유배를 갔고 그곳에서 다음 해인 1614년(광해군 6년) 음력 2월에 의문사했다. 이때 외할아버지 김제남과 외숙부들(인목왕후의 형제들)까지 사사당하면서 외가도 거의 멸문되었다. 급기야 계축옥사 이후 5년 뒤 어머니 [[소성대비]]마저 서궁으로 강등당하면서 정명공주는 모후와 함께 [[덕수궁]]에 유폐되었다. "공주를 서인으로 궁에 두지 말고 사가로 내보내자." 라는 주장까지 제기되자, [[소성대비]]는 정명공주까지 빼앗길까 두려워 "정명공주는 이미 죽었다." 하고 거짓말까지 하였다고 한다. [[계축옥사]] 당시에 정명공주는 11살, [[영창대군]]이 죽었을 때는 12살이었다. 정명공주는 11살 때 [[천연두]]를 앓았다. 당시의 [[의학]]상 천연두에는 외출 금지는 물론 [[고기]]ㆍ[[과일]]ㆍ[[계란]] 등 금지된 [[음식]]이 많았는데[* 이렇다보니 천연두는 둘째치고 [[영양실조]]로 죽는 사람이 많았다.] <[[계축일기]]>에 따르면 [[김개시]]에게 포섭된 대비전 [[궁녀]]가 몰래 고기와 술을 먹였다고 한다.[* <계축일기>는 실제 인물의 이야기가 아닌 허구의 이야기이지만 만약 이 일화가 사실이라 가정하더라도 음모자들이 실제로 노린 (아마 천연두에 옮기라고 [[저주]]하는 등) 대상은 어차피 [[광해군]]의 [[왕위]] 경쟁자가 될 수 없는 정명공주가 아니라 [[인목왕후]]라고 추정된다.] [[계축옥사]] 당시 정명공주는 신분이 [[옹주]]로 낮춰졌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애매한게 조정 논의에서 "그래도 [[선조(조선)|선왕]]의 딸이니 옹주로 낮추자."하는 의견이 나왔지만 [[이이첨]]이 "[[죄인]]인 [[영창대군]]의 친누나이니 폐서인으로 대우해야 한다."라고 주장했고 광해군도 옹주로 낮추자는 주장에 불쾌해했다고 한다. 그래서 사실상은 폐서인되었지만 선조의 딸이니 혼인과 늠료에서만 옹주 대우를 해주겠다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그건 표면적인 대우였을 뿐 인목왕후가 공식적인 [[후궁]]이 아닌 [[역적]]의 대우로, 서궁이라는 이름을 받았듯이[* '''서쪽 사는 [[여자]]'''라는 뜻이다. 사실상 후궁도 아닌 폐서인 취급을 한 셈.] 정명공주 역시 폐서인이 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인목왕후는 정명공주마저 광해군이 빼앗아갈까 [[전전긍긍]]했으며 혹시라도 광해군이 정명공주의 소식을 알고자 하면, "이미 죽었다."라며 거짓말로 둘러대고는 해서 서궁 유폐 시절 정명공주는 공식적으로는 죽은 사람이었다. 유폐되었던 1618년 정명공주는 이미 16세였다. [[조선]] 시대의 [[공주]]들이 보통 10세 전후에 [[부마]]감을 간택했음을 생각하면 공주가 그 때까지 혼인을 하지 않았음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정명공주의 부마 간택이 미뤄지던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혼담이 오고 갈 [[나이]]인 11살 때 [[역모]] 사건이 일어나고 12살 때 영창대군이 죽고 정명공주는 천연두에 걸렸으니 아마 자연스럽게 혼담 이야기가 없어졌을 것이다. 아들을 빼앗기고 친정이 몰살당한 인목왕후가 딸마저 곁을 떠나는 것을 염려하여 혼인을 미루었든지, 인목왕후의 [[사위]]이자 영창대군의 자형이라는 지지 세력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광해군이 일부러 공주를 혼인시키지 않았다든지 하는 [[해석]]이 있다. 아무튼 정명공주는 유폐된 이후에도 혼인하지 못하고 계속 서궁에 갇혀 지내게 되는데 <계축일기>에 따르면 [[선조(조선)|선왕]]의 적녀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가난]]하게 생활했다고 한다. [[까마귀]]가 물어다 준 박씨를 먹고 살았다거나 추운 [[겨울]]에 우연히 들어온 면화 씨로 [[옷]]을 지었다고 한다. 이렇게 생필품에 생활비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한 채 인목왕후와 정명공주 모녀는 약 5년 동안 서궁에서 죽은 듯이 갇혀 지냈다. 유폐되어 생활하는 동안 정명공주는 어머니 인목왕후를 위로하기 위해 옆에서 크고 작은 [[글씨]]를 썼다고 한다. 남겨진 [[서예]] 작품은 '[[화정]](華政)' 두 [[글자]] 등이 전해지는데 [[남구만]]은 이 작품의 발문을 쓰면서 "선조의 글씨를 본떠 규합의 기상이 전혀 없다."[* 규합(閨閤)은 여성의 공간으로, 비유적으로 여자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즉 규합의 기상이 전혀 없다는 말은 [[남자]]다운 강한 기상이 느껴진다는 말이다.]라고 평가하였다. '화정(華政)'은 글자 하나의 사방이 각각 73cm나 되는 [[대작]]인데 연약한 여성의 [[체력]]으로 이런 글씨를 쓰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렇듯 [[힘]]과 기세가 펄펄 느껴지는 글자를 여성인 정명공주가, 그것도 서궁 유폐 시절에 썼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서궁 유폐 시절 어머니 인목왕후는 절망에 빠져 있었는데 [[사랑]]하는 아들 영창대군은 계축옥사가 일어난 해인 광해군 5년(1613)에 죽었으며 그 해에 친정아버지 [[김제남]]은 역적으로 몰려 죽음을 당했고 친정은 멸문되다시피 했다. 서궁에 유폐된 후 희망은 더욱 멀어졌는데 절망과 원한에 사무친 인목왕후에게 마지막 남은 위안은 하나뿐인 딸 정명공주뿐이었다. 그런 상황에서 죽은 듯 살아 있는 정명공주는 어머니 인목왕후의 절망과 원한을 풀어주려 애썼는데 그 방법으로 아버지 [[선조(조선)|선조]]의 [[어필]]을 본떠 크고 작은 글씨를 썼던 것이다. 10대를 서궁에 갇혀 보내야만 했던 정명공주는 그럼에도 희망을 놓지 않고 꿋꿋이 버텨낸 것이다. === [[인조반정]] 이후 === 존호가 복원된 [[소성대비]]는 공주로 복권된 정명공주와 약 5년 동안의 서궁 유폐 생활을 끝내고 [[창덕궁]]에 들어왔다. 인조는 [[광해군]]의 폐모살제(廢母殺弟)를 반정의 명분으로 삼았으므로 [[소성대비]]와 나이 어린 고모 정명공주[* 정명공주가 워낙 늦둥이였기 때문에 [[인조]]보다 8살 어렸다. 더군다나 인조는 궁녀출신 후궁이 낳은 서출 왕자의 차남이였고, 정명공주는 [[선조(조선)|선왕]]과 사대부 영애 출신 [[인목대비|중전]] 소생의 유일한 적녀였기 때문에 상당한 출신 차이가 있었다.]를 깍듯이 대우했다. ==== 뒤늦은 혼인 ==== [[인조반정]] 당시 정명공주의 나이는 당시 기준으로 혼기를 놓쳐도 한참 놓친 21살이였다. 물론 지금으로 따지면 [[조혼]]이지만 늦어도 10대 중후반엔 혼인했던 조선시대에 저 나이까지 처녀라는 건 그 사실만으로도 혼삿길이 막히는 수준의 결격 사유였기[* 어머니 [[소성대비]]도 [[임진왜란]]으로 혼기를 놓쳐 19살에 왕비가 되었을 당시 노처녀 취급을 받았다.] 때문에 [[인조반정]] 단 사흘 만에 [[부마]] 간택이 시작되는데, 당시 공신책봉같은 논공행상은 둘째치고 반정 자체의 뒷수습도 안 끝난 시점이라 [[광해군]]을 [[유배]]보내는 것조차 못했을 때였다. 그러나 [[부마]] 단자를 낸 사내들은 전국을 통틀어 겨우 9명 뿐이였고,[* 조선시대에서 [[부마]]가 된다는 것은 높은 작위와 많은 재산, 녹봉을 받으며 평생 윤택하게 살고 사후 지제 없이 대대로 [[제사]]를 받는 [[불천위]]가 된다는 의미였으나, 일반적으로 조정 권신이라든지 대대로 [[고관대작]]을 역임하는 집안에서는 꺼리는 일이었다. 명예상 높은 품계를 받는 대신 대과 응시를 통해 요직으로 진출하거나 정계에 참여할 수 없기 때문. 그래서 회피할 여지 자체를 피하기 위해서 조선시대에는 부마를 7~8세 가량의 아주 어린 나이에 미리 간택해 약혼시켜두고 나이가 좀 차고 난 뒤 [[공주]], [[옹주]]와 혼례를 올렸다.] 이후 전개를 보면 이 9명 중에도 왕실의 눈에 찰 만한 후보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공주가 당시 기준으로 과년한 [[노처녀]]였다보니 비슷한 나이의 사대부 청년들은 죄다 이미 결혼을 했거나 최소한 [[약혼]]은 한 상태에서 집안 사정상 혼례만 치르지 못했던 상황이였는데, 그 나이가 되도록 약혼조차 못한 사대부집 남자라면 피치못할 사정이 있는 것이 아닌 이상 정말 심각한 하자가 있는 경우라 할 수 있었다. 물론 일찍 [[사별]]한 같은 또래의 사대부 남성들도 있었겠지만 명색이 왕녀이자 선왕의 유일한 적출인 정명공주를 재취자리로 보낼 수는 없는 노릇이였다. 이미 결혼한 남자에게 그 결혼을 무르라고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공주를 하자 있는 남자에게 시집보낼 수도 없으니 약혼은 했지만 어떤 사정으로 아직 결혼까지는 못 한 사람들 중에 신랑감을 물색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약혼한 사람도 혼례를 치르지 않았다면 강제로 단자를 내게 만들어 간택을 다시 치뤘고, 결국 조모의 3년상을 치르느라 혼인을 미루고 있던 18살의 [[홍주원]]이 낙점되어 기존 약혼을 [[파혼]]시킨 다음 부마로 책봉했다. 이 과정에서도 홍주원의 부친 홍영이 간택에 대해 집안의 뜻을 굽히지 않자 귀양까지 가는 등, 마찰이 일어나기도 했다. [[소성대비]]는 이토록 어렵게 얻은 [[사위]]를 정말 예뻐했던 모양으로, [[홍주원|사위]]에게 왕만이 탈 수 있는 어구마까지 내려 비판받기도 하였다. [[인조]]는 자기 즉위의 대의명분인 [[소성대비]]를 우대하여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정명공주의 혼례를 매우 호화롭게 치러주었으며, 그 뒤에도 [[홍주원]]의 품계를 높여주거나 정명공주에게 상당한 땅과 재산을 하사하였다. [[일제강점기]]까지 [[암태도 소작쟁의|소작 분쟁이 이어진]] 곳인 [[암태도]] 근처인 하의도[* [[김대중]] 대통령의 고향.]·상태도·하태도도 정명공주가 받은 땅이이다. 이게 현대로 치자면 강남 호화 아파트와 번듯한 기업 계열사를 퍼준 셈인데, 당연히 많은 논쟁과 논란이 있었다. [[인조]]는 재위 초기 발생한 [[이괄의 난]] 때 나름대로 챙겨주던 [[흥안군]]이 냅다 [[이괄]]에게 달려가 합류한 이후 왕실의 방패가 되어야 할 종친들의 추가적인 이반을 막기 위해 신경을 많이 썼는데 정명공주 우대도 그중 하나였다. 게다가 정명공주와 홍주원도 처신을 조심해야 된다는 생각 자체가 별로 없었는지 매사에 아주 오만방자하게 자기 맘대로 하며 살았다. 집을 짓는다는 핑계로 이곳 저곳에서 돌과 나무를 차출해 와 [[길막|도로에 마구 쌓아두고]], 종들을 시켜 남의 집 담장 돌까지 도둑질하고 양반가 부녀자들을 능욕하는 등 만행이 한 두 가지가 아니었다. 이에 보다 못한 [[사헌부]]는 논의도 하지 않고 정명공주의 종들을 잡아 가두었는데, 백성들이 통쾌하게 여겼다고 한다. 실록에서는 홍주원이 나이가 어리고 교만하며 제멋대로이나 전혀 거리낌 없이 행동함을 [[https://sillok.history.go.kr/id/kpa_10303002_002|비판하고 있다.]] ==== [[인목왕후|어머니]]의 죽음과 위기 일발 ==== 그러한 비판에도 [[인조]]는 계속 정명공주를 우대했지만, 정명공주가 30살 되던 해인 인조 10년(1632년) 6월, [[소성대비]]는 49세의 나이로 [[인경궁]]에서 한 맺힌 삶을 끝냈다.[* 그러나 모순적이게도 그토록 증오하던 [[광해군]]보다 빨리 죽었다. 광해군은 무려 68세(1641년)까지 살았다.] 인조는 초상을 치르는 데 열중하여 정신적, 육체적으로 피폐해졌다. 그런데 [[인목왕후]]가 사망하고 반년도 채 지나지 않은 인조 10년 10월, 종친 [[회은군|회은군 이덕인]]의 역모 고변이 정국을 흔들어 놓았다. >회은군 이덕인이 고변하여 국청이 열리다 >‘동네에 [[임해군]]의 종 아내가 때로 출입하는데, 하루는 와서 말하기를, 「나라에 큰일이 있다.」고 하기에, 내가 자세한 것을 묻자, 답하기를 「경창군이 우리 궁(宮)의 양자(養子)를 위하여 계해년 일([[인조반정]]) 을 도모하려고 술사(術士)를 조치하여 거사(擧事) 시기를 선택하였는데, '''대비([[인목왕후]])께서도 이일을 알고 있다고 한다.''' 임해군의 부인이 항상 지극히 걱정하면서 말하기를 『내 생전에 이 따위 일을 보고 싶지 않다.』라고 했다.」 한다.’ 하였습니다. >---- >ㅡ [[인조실록]] 27권, 인조 10년 10월 16일 경진 2번째기사 1632년 [[명나라|명]] [[숭정제|숭정(崇禎)]] 5년 [[인조반정]] 이후 [[광해군]]에게 제거된 [[임해군]]을 복권시키는 조치가 따랐는데, 그에게 후사가 없어서 [[선조(조선)|선조]]의 서9남 [[경창군]]의 아들 [[양녕군]](陽寧君)을 양자로 입적시켜 대를 잇도록 했다. 광해군 2년에 열린 경창군의 혼례를 [[정원군]]이 맡아 주관했고, 인조반정 후 이뤄진 [[소현세자|원자]]의 관례는 경창군이 주관했을 정도로 둘이 가까운 사이라 신경 써준다고 한 조치였는데, 임해군이 선조의 맏아들이라서 졸지에 왕위 계승서열까지 높아지는 바람에 역모에 연루된 것이었다. 이 사건의 심각한 점은 '''폐모살제라는 [[인조]] 즉위 명분을 통째로 뒤흔들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인조의 사촌이 사건에 연루되어 있었는데 만약 이 사건이 커져서 사촌 [[양녕군]]이나 숙부 [[경창군]]이 화를 입는다면, 인조는 [[영창대군]]을 죽인 [[광해군]]과 다를 바 없어진다. 폐모살제에 찬동한 죄로 [[인조반정]]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공격받고 인조 6년 [[북인]]의 역모에 연루된 [[인성군]]을 어떻게든 살려주려 노력했다 실패한 인조에게, 스스로 이 사건을 키운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일이었다. 2번째는 [[인목왕후]]가 이 역모에 연루되었다는 사실이었다. 폐모살제를 명분으로 즉위한 [[인조]] 정권에서 대비의 위치는 인조의 정통성을 보증하는 캐스팅 보트였다. 만약 인목왕후가 인조를 제거하려는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면, 그것은 인조의 왕통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일이 된다. '''인목왕후의 사위, 그러니까 정명공주의 남편 [[홍주원]]의 삼촌''' 홍씨 집안도 이 사건에 연루되어 있었다.([[임해군]]과 홍씨 집안은 본래 옆집 이웃이었다.) 대비가 살아있어서 열심히 부인해줬으면 차라리 나았을 텐데, 하필 또 죽고 나서 터지는 바람에 부정도 못하니 더 골치아팠다. [[인조]] 입장에서 이 역모는 설사 사실이라도 사실이 아니어야 했다. 그러지 않으면 [[인목왕후]]가 자신의 왕위계승을 부정했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꼴이 되니까. 인조는 고변 접수 1주일만에 사건을 사실무근으로 결론짓고 종결시켰다. 그러나 사건을 덮으려는 노력도 헛되이, [[인경궁]]에서 백서삼폭(帛書三幅)이 발견되었다. 비단에는 “왕을 폐위하고 세우는 일과 같았다.”라는 문구가 있었다. 흉측한 백서가 나왔다고 하지만 [[인조]]가 곧 불에 태웠기에 자세한 사연은 아무도 몰랐고, "인조를 저주한게 아니라 유폐되어 있던 시기 [[광해군]]을 저주하며 쓴 글"이라는 풍문도 돌았으나[* [[인조실록]] 권27, [[인조]] 10년 10월 23일(丁亥)] 어차피 죽은 마당이라 진위 여부를 가릴 수가 없었다. [[인조]]는 국청을 설치하여 그 내용을 조사하도록 하였고, 땅에 묻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저주물을 찾는 작업도 진행되었다. 하필 또 '''이때 인조가 몸이 안 좋았다.''' 인조는 "그게 어떻게 저주 때문이겠냐"고 했지만 신하들의 강권도 있고, 저주 사건 자체의 파장이 크다보니 저주문이 발견된 [[경덕궁]]에 계속 있기엔 정치적 부담이 너무 컸다. 경덕궁에서 사건이 터졌는데 경덕궁에 왕이 계속 머무르면 입방아밖에 더 찍겠는가. 그래서 옮기긴 옮겨야 했는데 [[창경궁]]과 [[창덕궁]]은 없고, 별궁으로 눈을 돌리니 [[남별궁]]엔 다른 사람도 아니고 [[인목왕후]]의 혼전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래서 평소 좁다고 마뜩찮아 했던 [[이현궁]]으로 옮겨갔다. [[인조]]가 이미지가 안 좋아서 일련의 과정의 인조의 자작극으로 몰아가는 의견도 있는데, 정명공주와 [[소성대비]]를 끌어들여 자신의 즉위 명분 자체를 위협할 수도 있는 옥사를 조작하는 건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 인조에게 소성대비는 아무리 싫어도 그런 역모에 끌어들여서는 절대 안 되는 사람이었고, 고변도 스스로 1주일만에 묻어버리려 했다. [[소성대비]]는 죽기 2년 전부터 줄곧 병석에 누워 있었고, 역모를 꾸밀 정도로 주도면밀한 성품도 못 되었기 때문에, 화살은 자연히 소성대비의 딸인 정명공주에게 돌아갔다. 그 여파로 소성대비와 정명공주를 모신 [[궁녀]]들이 줄줄이 체포되어 수차례의 형문은 물론이고 압슬, 낙형까지 당해 고문 치사하는 등 수난을 겪었다. [[궁녀]]들이 끝내 입을 다물어 상전을 지켰기에 사건 자체는 흐지부지 되었지만, [[인조]]가 살아있는 이상 언제든 다시 비슷한 일이 생길 수 있는 일이었다. 그 후 정명공주는 살얼음판을 걷듯 아슬아슬 위험 속에서 살아야 했다. 이때부터 정명공주는 [[조보]][* 요즘 식으로 말하면 정부에서 발행하는 관보]를 받아 읽는 것을 그만 두었다. 자신이 정치에 아무런 관심도 없음을 보이려는 처신이었다. 또한 주위 사람들에게 뛰어난 실력이라고 평가받던 [[서예]]도 그만 두었다. 남들의 시선을 끌어서 좋을 게 없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 [[병자호란]] ====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35세였던 정명공주가 [[강화도]] 갑곶 나루로 건너가려 할 때, 이미 공주의 재화를 실은 배가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 피난 온 백성들이 몰려와 서로 배를 타려고 아우성이었다. 정명공주가 아랫 사람에게 “재화들을 다 내리고 백성들을 먼저 배에 태우라!”라고 명했다. 백성들은 앞다투어 배에 오르며 “과연 정명공주로다. 마음 씀씀이가 저러하니 후손들은 반드시 번창할 것이다.”라고 저마다 한마디씩 말했다고 한다. ==== [[인조]]의 견제 ==== 인조 17년, 나이 든 인조는 병에 걸렸다. 인조는 "내가 아픈 것은 저주 때문"이라며 저주물을 찾게 했다. 물론 아무리 [[조선]]시대라도 저주로 사람을 죽일 수 없다는 건 다들 알고 있었다. 인조 10년 백서삼폭이 발견되어 뒤숭숭할 때 마침 병에 걸리자 "어떻게 사기(邪氣)로 사람을 해치냐"며 부인했던 사람이 인조 본인이었다. [[조선]] 왕실 역사를 보면, 저주란 건 정적제거, 특히 왕실 여성들을 엮어넣은 사건에 많이 쓰이던 명분이었다.[* 남자들이야 관직생활을 하니 "볼온한 발언을 했다", "사람을 모았다" 식으로 몰아가곤 했다. 하지만 구중궁궐이나 대갓집 안에 있는 여자들은 그렇게 몰아갈 순 없으니, 몰래 기물 몇개 묻어서 조작할 수 있는 저주로 엮어넣는 일이 많았다.] 지난날 [[대북]]이 [[소성대비]]와 [[영창대군]]을 제거하기 위해 [[칠서의 옥]]을 꾸몄을 때 그러했고, 훗날 인조의 맏며느리 [[민회빈 강씨]]도 저주에 독살 혐의를 뒤집어 쓰고 제거되지 않았던가. 인조가 후기 정국을 자기 뜻대로 끌고가는 과정에서, 일단은 다른 사안들이 시급해서 묵혀 뒀던 견제를 다시 시작한 것이었다. 때마침 원손이 거주할 향교동 본궁에서 저주할 때 쓰는 물건이 발견되었다. [[인조]]는 이번 사건의 배후로 또 다시 정명공주를 지목했다. [[최명길(조선)|최명길]]과 장유[* [[인선왕후]]의 부친. [[봉림대군|효종]]의 장인.] 등 [[인조반정]] 공신들은 "[[인조반정|반정]]의 명분을 위해서라도 정명공주를 처벌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으나, 인조는 [[소성대비]]가 살아있을 때와 달리 대놓고 정명공주를 핍박하며 몰아붙였다. 만약 반정공신들이 [[인조]]를 말리지 못했다면, 정명공주 자신은 물론 남편 [[홍주원]]과 자식들도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정명공주는 10대 시절 서궁에 갇혀 보낸 것도 모자라, 30대와 40대를 서궁 유폐 시절보다 더 불안한 세월로 보내야 했다. 정명공주는 더 이상 글을 쓰지 않고, 여염집 여인들처럼 [[바느질]]에만 몰두하며 조용히 지냈다. 유폐 시절에는 종종 서예를 하곤 하였으나, 그때는 어차피 아무 힘도 없고 나이도 어린 소녀였고 방패막이 되어줄 어머니 [[소성대비]]도 있어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세상물정 다 아는 30대의 성인이 된 데다가 명문 [[풍산 홍씨]] 가문으로 시집을 간 상태로 [[인조]]의 견제를 받는 상황에서, 문장을 논하거나 양반들(즉, 관직에 있는 사람들)과 교류했다가는 의심을 받을 위험이 컸다. === 안정적인 삶의 말년 === [[인조]] 사망 후 [[봉림대군|효종]] 역시 [[소용 조씨|조 귀인]]의 저주 사건에 정명공주가 연루되었다고 몰아갔다. 아버지 인조와 마찬가지로 정통성 문제로 인한 것으로 보이는데, 뒤이어 즉위한 [[현종(조선)|현종]] 역시 견제를 멈추지 않았다. 그러나 정통성에서 누구도 비길 바 없었던 [[숙종(조선)|숙종]]은 정명공주를 종친의 큰 어른으로 대우했다. 참고로 숙종은 정명공주의 '''현손뻘'''이다.[* 정명공주가 늦둥이라 본인보다 8살 많은 [[인조]]가 조카였고 '''16살 어린 [[효종(조선)|효종]]이 조카손주, 38살 어린 [[현종(조선)|현종]]이 조카증손주'''였기 때문] === 죽음 === > 내가 원하건대 너희가 다른 사람의 허물을 들었을 때 마치 부모의 이름을 들었을 때처럼 귀로만 듣고 입으로는 말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다른 사람의 장점과 단점을 입에 올리고 정치와 법령을 망령되이 시비하는 것을 나는 가장 싫어한다. 내 자손들이 차라리 죽을지언정 경박하게 말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런 말이 들리지 않기를 바란다. >---- >정명공주가 80세가 되던 해에, 막내아들 홍만회에게 써 준 글. 정명공주는 [[계축옥사]]ㆍ[[인조반정]]ㆍ[[이괄의 난]]ㆍ[[정묘호란]]ㆍ[[병자호란]]ㆍ[[예송논쟁]] 2번ㆍ[[경신대기근]] 등 역사의 굴곡을 직접 겪기도 하고 거쳐 가기도 했다. 서궁에서 죽은 듯이 유폐 생활을 했고, [[인조]]를 저주한 장본인으로 지목되어 생사를 넘나들기도 했다. 권력의 비정함에서 침묵의 처세술을 배운 것이다. 그렇게 그녀는 1685년에 향년 82세를 일기로 파란만장한 일생을 마쳤다. 어린 나이에 비명횡사한 [[영창대군|남동생]]과 달리, 그녀는 조선의 [[왕녀]]들 중에서 가장 장수했다. == 평가 == > 공주는 부인의 존귀함에 걸맞게 겸손하고 공손하며 어질고 후덕해 오복을 향유했다. >---- > [[송시열]] [[송시열]]의 묘지 글대로라면 정명공주에게 오복은 ‘존귀함ㆍ겸손ㆍ공손ㆍ어짊ㆍ후덕’이었다. 한편 정명공주의 [[서예]]가 세상에 알려진 때는 정명공주가 세상을 뜬 이후였다. 정명공주의 막내아들 홍만회는 혹시라도 자신이 물려받은 작품이 사라질까 두려워 모각(募刻)하고, 그것을 여러 벌 탁본으로 떠서 친인척들과 지인들에게 나누어주었다. 그러면서 남구만에게 발문(跋文)을 써달라고 부탁하였다. 남구만은 발문에서 "작품을 받들어 감상해보니 진실로 [[선조(조선)|선조]] 대왕의 필법을 본받아 웅장하고 강건하며 혼후(渾厚)하여 규합(閨閤, 여인의 방)의 기상이 전혀 없다."[* 한 마디로 “여자가 썼다고는 믿기 어려운 힘 있는 글씨”라는 뜻이다.]하는 평을 남겼다. '''"아예 [[인생]]자체가 [[조선]]중기의 혼란 그자체를 설명하는 인물이자 [[조선]]의 [[미네바 라오 자비]]라고 요약할 수 있는 인물[* [[정명공주]]와 [[미네바 라오 자비|미네바]]의 인생은 닮은 구석이 많은데 살아온 인생이 그시대의 혼돈을 10대시절에 겪었으며 인생 전반부를 그시대의 크고작은 사건들에 직,간접적으로 휘둘린 공통점을 갖고있다.] '''" == 가족 관계[* [[http://royal.aks.ac.kr/Ge/JokboPageData?bookId=JSK_WJ_K21047&pid=63744|선원록]] 참고] == * '''부왕''' : [[선조(조선)|선조]](宣祖, 1552 ~ 1608) * '''모친''' :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 ~ 1632) * 남동생 : [[영창대군]] 이의(永昌大君 李㼁, 1606 ~ 1614) * 시부 : 예조참판(禮曹參判) 홍영(洪霙, 1584 ~ 1645) * 시모 : [[연안 이씨]](延安 李氏, ? ~ 1656) - [[이정귀]](李廷龜)의 딸 * '''남편''' : 영안위 [[홍주원]](永安尉 洪柱元, 1606 ~ 1672) * '''장남''' : 홍태망(洪台望, 1625 ~ ?) - 조졸 * '''차남''' : 홍만용(洪萬容, 1631 ~ 1692) * 며느리 : [[여산 송씨]](礪山 宋氏) - 송시길(宋時吉)의 딸 * 손자 : 홍중기(洪重箕, 1650 ~ ?)[* [[홍봉한]]·[[홍인한]]·홍상한의 조부, [[혜경궁 홍씨]]의 증조부, 영명위 홍현주[* [[숙선옹주]]의 남편]의 5대조] * 손녀 : 홍희임(洪喜妊, 1651 ~ ?) * 손녀 : 홍단임(洪端妊, 1655 ~ ?) * 손녀 : 홍묘임(洪妙妊, 1660 ~ ?) * 손자 : 홍중범(洪重範, 1662 ~ ?) * 손자 : 홍중연(洪重衍, 1668 ~ ?) * 손자 : 홍중주(洪重疇, 1670 ~ ?) * 손자 : 홍연희(洪然喜, 1672 ~ ?) * '''3남''' : 홍만형(吏曹左郞 洪萬衡, 1633 ~ 1670) * 며느리 : [[여흥 민씨]](驪興 閔氏) - 민광훈(閔光勳)의 딸[* [[인현왕후]]의 고모] * 손자 : 홍중모(洪重模, 1650 ~ ?? * 손자 : 홍중해(洪重楷, 1658 ~ ?)[* 홍창한(洪昌漢)의 조부, [[홍국영]]의 고조부] * '''4남''' : 홍만희(洪萬熙, 1635 ~ 1670) * 며느리 : [[창원 황씨]](昌原 黃氏) - 황연(黃沇)의 딸 * 손자 : 홍중석(洪重錫, 1643 ~ ?) * 손녀 : 홍가임(洪可妊, 1659 ~ ?) * 손녀 : 홍재임(洪再妊, 1660 ~ ?) * 손녀 : 홍필임(洪畢妊, 1662 ~ ?) * 손녀 : 홍효임(洪孝妊, 1666 ~ ?) * 손자 : 홍중익(洪重益, 1668 ~ ?) * '''5남''' : 홍태량(洪台亮, 1637 ~ ?) - 조졸 * '''6남''' : 홍태육(洪台六, 1639 ~ ?) - 조졸 * '''장녀''' : 홍태임(洪台妊, 1641 ~ ?) * 사위 : [[창녕 조씨|조전주]](曺殿周, 1640 ~ 1696) * 외손자 : 조하언(曺夏彦, 1657 ~ ?) * 외손자 : 조하기(曺夏奇, 1660 ~ ?) * 외손녀 : 조수해(曺壽亥, 1671 ~ ?) * 외손녀 : 조수인(曺壽寅, 1674 ~ ?) * 외손자 : 조하징(曺夏奇, 1675 ~ ?) * '''7남''' : 홍만회(洪萬懷, 1643 ~ 1710) - 판결사(判決事) * 며느리 : [[남양 홍씨]](南陽 洪氏) - 홍명일(洪命一)의 딸 * 손녀 : 홍애임(洪愛妊, 1662 ~ ?) * 손녀 : 홍계임(洪季妊, 1665 ~ ?) * 손자 : 홍중성(洪重聖, 1668 ~ ?) * 손녀 : 홍말임(洪末妊, 1672 ~ ?) * 손녀 : 홍정임(洪正妊, 1677 ~ ?) === 후손 === 남편 [[홍주원]]과의 사이에서 7남 1녀를 낳았다. 정명공주의 당부를 잘 지켜서 그랬는지, 그녀의 후손들은 [[조선]] 최고 명문가의 명성을 이어 갔다. [[사도세자]]의 정실부인 [[혜경궁 홍씨]]는 [[홍주원]]과 정명공주의 5대손으로, 《[[한중록]]》에서 종종 이를 언급한다. [[혜경궁 홍씨]]가 시집올 때 가져온 혼수 중에 정명공주가 사용하던 것들이 있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정원대원군]]은 [[영조]]의 5대조이다. 이렇게 놓고 보면 [[영조]]와 [[혜경궁 홍씨]]는 12촌이고,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는 13촌이다. 또한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아들인 [[정조(조선)|정조]]는 부계로도, 모계로도 선조의 직계후손이 된다. [[정조(조선)|정조]]의 측근 [[홍국영]]은 정명공주와 홍주원의 6대손이다. 혜경궁은 정명공주의 장남 홍만용의 후손이고 [[홍국영]]은 차남 홍만형의 후손이다. 그러니 혜경궁의 아들 정조와 홍국영은 12촌이 된다. [[고종(대한제국)|고종]]의 친형 [[흥친왕]]의 [[흥친왕비|첫 부인]]은 [[혜경궁 홍씨]]의 숙부 홍용한의 증손녀이자 정명공주 - [[홍주원]] 부부의 8대손이다. == 여담 == * 당시 21살이라는 늦은 나이에 혼인하는 바람에 조선의 왕녀들 중 가장 늦게 혼인한 것 같지만, 사실 그녀의 이복동생과 이복조카들은 '''정명공주보다 더 늦은 나이에 혼인했다.''' * 이복동생 정화옹주(貞和翁主)는 27살의 나이에 권대항(權大恒)[* 정화옹주보다 6살 연하]과 혼인을 하였고 이복질녀인 옹주[* [[광해군]]이 소의 윤씨에게서 얻은 외동딸로 5살 때 [[인조반정]]이 일어나 정식적으로 작호를 받지 못하였다.]는 25세의 나이로 박징원(朴澂遠)[* 옹주보다 6살 연하]과, 이복종손녀인 현주 이아기(李娥其)[* 폐세자 이지가 후궁에게서 얻은 딸로, [[광해군]]의 손녀이다. 6살 때 인조반정이 일어나 고모인 옹주와 마찬가지로 작호를 받지 못하였다.]는 26세의 나이로 김문거(金文擧)와 혼인을 하였다. * 정명공주가 혼인 때 궁방전으로 받은 하의도·상태도·하태도는 홍주원과의 후손에게 4대까지 수조권이 주어졌지만, 경종 때 후손들이 무단으로 현지 주민 몫의 땅을 빼앗아 농지를 독차지하고 구한말까지 수취권을 행사하면서 주민들은 조정과 지주인 홍씨에게 이중으로 수탈당했다. 이후 고종 초인 1870년에 당시 전라감사였던 이호준[* [[이완용]]의 양아버지.]은 당시 하의도 144결 중에서 주민 몫인 24결만 수취하도록 판결했고, 대한제국 선포 후인 1900년에는 [[이용익]]에 의해 하의3도 전체가 국유지로 지정됐다가 통감부의 역둔토 조사 때 풍산 홍씨인 홍우록을 거쳐 일본인 지주에게 넘어가는 바람에 주민들의 쟁의가 이어졌다. [[미군정]] 때도 군정 당국이 하의3도의 농지를 [[적산]]으로 처리하자 주민들이 반대운동을 벌였고, 제1공화국 수립 후인 1956년에 국유지를 제외한 하의3도 1,500정보를 평당 200원에 유상분배했다.[* 제헌국회에서는 무상분배를 결정했으나 6.25 후 유상분배로 바뀌었고, 오늘날에도 국유지 및 소유권 등기이전이 덜 돼서 붕 뜬 땅이 남아있다.] * 참고자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7762|1920년대 하의도 농민운동의 전개와 抗日 연대]] * 참고자료 2: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amhakdo&logNo=100003909060|하의도 소작쟁의 요약문]] * 참고자료 3: [[https://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M9-pvj22pCQJ: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AC3335A02B40415%3Fdownload&cd=13&hl=ko&ct=clnk&gl=kr|하의삼도 농민들의 토지 항쟁사]] == 대중매체 == * 1995년 [[KBS]] 드라마 <[[서궁(드라마)|서궁]]>에서는 배우 박루시아가 연기했다. * 2014년 [[tvN]] 드라마 <[[삼총사(tvN)|삼총사]]>에서는 배우 한민이 연기했다. * 2015년 [[MBC]] 드라마 <[[화정]]>에서는 아역은 [[허정은]], [[정찬비]], 성년은 [[이연희]]가 연기했다. * 2019년부터 [[카카오페이지]]에서 연재 중인 [[웹툰]] <마침내 푸른 불꽃이>에도 등장한다. * [[네이버 시리즈]]에서 연재 중인 TS물 대체역사소설 <정명공주>에도 등장한다.[[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nhn?productNo=6151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