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의 성우)] ||<-2>
{{{#ffffff '''{{{+1 정동열}}}'''[br]鄭東烈 | Jeong Dong-yeol}}}[* 한자명은 1983년 제106호 '성우 인명사전' p178 참고.]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BS 15기 성우 정동열.jpg|width=100%]]}}} || || '''출생''' ||[[1946년]] [[8월 27일]] ([age(1946-08-2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속''' ||[[KBS 성우극회]] 15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전속: [[1977년]] ~ [[1979년]][br]프리랜서: [[1980년]] ~ 현재[* 2010년 중반 이후 활동이 매우 적다.]||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20190928_123455.jpg|width=400]] 대한민국의 성우. 1977년 [[KBS 성우극회]] 15기로 입사했으며 1980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김환진]], [[김새영]], [[이윤선]], [[이정구]], [[강미형]], [[안경진]], [[이진화]], [[한인숙]], [[장정진]], [[김정애]], [[성병숙]], [[이종구(배우)|이종구]]와 동기. == 연기 == 90년대 대원 비디오판에 [[유제상]], [[박상훈(1959)|박상훈]], [[임성표]]와 같이 많은 역할에 출연했던 성우이다.[* 대원 비디오판이 나오면 이 넷은 꼭 나왔었다.] 다만 동기인 [[김새영]]처럼 늦은 나이에 데뷔에 한 탓인지 청년 연기와 노인 연기가 차이가 안나는 경우가 많아서 평가는 좋지 않았다. '''음색부터가 젊은 청년 역할에는 전혀 어울리지가 않았음에도 활발히 활동했던 비디오판 더빙 애니들에서 청년 역할이 많았기 때문이다'''. 노인 배역에 최적화된 성우임에도 미스 캐스팅이 계속해서 이어진 셈이다. 같이 활약했던 [[임성표]]와 [[유제상]], [[박상훈(1959)|박상훈]]도 지나친 중복캐스팅과 무리한 강행군으로 인해 미스캐스팅이 종종 발생했지만[* 사실 저 시절 대원 비디오판은 강행군이 심하거나 지나친 중복 캐스팅 등 워낙 무리수를 많이 뒀기 때문에 고용된 성우들 중 미스 캐스팅이 없던 성우는 없었다고 봐야한다. 현재에도 활발히 활동하는 [[김환진]], [[성완경]], [[최문자]] 같은 성우들도 대원 비디오판을 돌아보면 연기나 음색 면에서 어색한 부분이 많이 들린다.] 정동열은 저 셋과 달리 캐릭터에 따른 연기 방식마저 차이가 거의 안나서 평가가 매우 안 좋았다. 특히 비디오판 [[드래곤볼 Z]]에서 맡은 [[천진반]]과 비디오판 [[슬램덩크(만화)|슬램덩크]] [[채치수]] 연기는 그야말로 '''[[미스캐스팅|최악]]'''이었는데 진중한 젊은 Z전사나 무게 있는 농구부 주장 목소리가 모두 '''동네 할아버지 같은 목소리'''가 나왔기 때문이다. 그래도 그 특이한 음색 덕분에 노인이나 개그 캐릭터를 연기했을 때는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일단 비노인 캐릭터들 중 그나마 괜찮았던 캐릭터 연기를 뽑아보자면 [[소년탐정 김전일]]에서 맡은 [[이츠키 요스케]]인데 나중에는 [[임성표]]로 교체되었다.[* 다만 이츠키 요스케 성우 중 제일 호평을 받은 건 후배 성우 [[문관일]]이다.][* 그 외에도 비노인 캐릭터들 중에서도 얍삽해보이거나 비겁해보이는 캐릭터에는 또 어울리는 편이다.] 또한 세일러문 비디오판에서 담당한 쿤차이트도 나름 쿤차이트의 성격을 잘 살려서 연기했다는 평을 들었지만 KBS판 성우인 [[구자형]]과 대원방송판 성우인 [[최낙윤]]의 연기가 더 호평받으면서 묻혀버렸다.[* 쿤차이트를 더빙했을 때에는 평소에 비해 더 미성으로 연기했고 쿤차이트의 고고한 성격도 나름 잘 살린 편이었다.] 그 외에도 드래곤볼 비디오판에서의 천진반은 임성표와 더불어 최악이었다는 평을 들었지만[* 임성표의 경우도 목소리 자체가 간사한 악역이나 노인에 어울리는 목소리다보니 평가가 안좋았다. 반면에 나중에 담당한 마인 부우는 호평 일색.] 중복으로 한 [[슈(드래곤볼)|슈]], [[기뉴]], [[일성장군]][* [[https://youtu.be/WJP2LaLl1w4|출처]]]은 좋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슈와 기뉴는 개그캐릭터여서 특유의 경박한 음색이 잘 어울렸고 일성장군은 평소 목소리와는 다르게 낮고 거친 목소리로 연기해서 제법 포스도 있고 괜찮은 편이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평이 안좋은 GT 비디오판에서 몇 안 되는 호평을 받았다. 과거에는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비디오에도 많이 출연했는데, 이 때는 노인이나 개그캐릭터가 대부분이라 평가가 좋았으며 사실상 이때가 정동열의 최대 전성기였다. 대표적으로 돼지발굽 대작전의 마우스[* 단역으로 원장선생님도 맡았었다.]와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의 닥터 때범벅이 있는데 특히 마우스는 괴팍한 노인연기가 굉장히 절륜해서 정동열의 인생 캐릭터라 해도 손색이 없다. 암흑마왕 대작전에서는 게이 형제의 맏형 로즈도 맡았는데 대원판의 [[유해무]]만큼은 아니더라도 나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사실 짱구 극장판 비디오판의 경우 아쉬운 건 대사 번역이다. 대부분 수위를 낮추다보니 몇몇 대사는 약간 어색하지만 일부 로컬라이징은 오히려 대원방송 재더빙판보다 훌륭한 편이었다.] 이 외에도 [[반딧불이의 묘]]에서 보여준 농부 할아버지와 나이든 순사 연기도 좋았다. 확실히 '''개그 캐릭터나 고령의 캐릭터 연기'''는 괜찮은 편. 2011년, 대원방송에서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원피스를 재더빙]]해서 오랜만에 애니메이션에 출연했지만[* 아무래도 정동열 성우가 한빛영상제작(주) 대표로 역임하고 있는데 이 대피스를 녹음한 외주업체가 이곳이니 만큼 게스트로 출연한 듯하다.] 여전히 비슷한 연기 스타일로 많은 캐릭터를 연기해서 혹평을 받았다. 다만 초창기 대원판 원피스의 퀄리티는 워낙에 개판이었고 다른 외부 성우들의 역량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으며 정동열에게도 전속들 못지않게 무리한 중복 캐스팅을 요구한 것을 감안해야 한다. 당장 [[상디]]의 성우였던 [[김일(성우)|김일]] 성우와 [[우솝]]의 성우인 [[김소형(성우)|김소형]] 성우만 해도 엄청나게 중복을 많이 했는데 둘 다 연기력이 좋은 성우들임에도 불구하고 중복으로 돌린 대부분의 캐릭터들의 연기 평이 상당히 좋지 않았다는걸 감안하면[* 김일, 김소형 성우는 KBS판 원피스에서도 중복 캐스팅을 자주 당했는데 그 당시에는 전체적으로 평가가 좋았다. 특히 김소형의 페루, 라피트 연기는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걸 생각하면 PD의 역량 문제인 것이다.] 단순 정동열의 연기력 탓으로는 볼 수 없다. 그래도 [[도크 Q]]의 경우엔 역대 한국판 성우들 중 가장 좋은 연기를 보여줬지만 2013년 이후, 아쉽게도 다른 후배 성우들로 교체되고 말았고 더 이상 대원판 원피스에 캐스팅되지 않고 있다. 종합하자면 연기폭이 좁긴 하지만 로즈, 기뉴, 도크 Q 등의 개그 캐릭터 및 마우스 같은 괴팍한 노인, 비열하지만 카리스마 있는 일성장군 같은 캐릭터는 잘 소화함에도 불구하고 미스캐스팅과 중복 캐스팅, 강행녹음으로 인해 연륜과 명성에 걸맞은 연기력이 묻히고 만 케이스라 볼 수 있다. 비슷한 경우로는 대원방송의 후배들인 [[고구인]], [[디도(성우)|디도]] 등이 있는데 이 둘도 초~중기 대원방송의 미스캐스팅으로 인해 큰 피해를 보았으며, 그런 미스캐스팅과 별개로 잘 어울리는 배역이 엄연히 존재했다. == 출연작(가나다순) == === 애니메이션 === * [[기동전사 건담 F91]](비디오) - [[빌기트 피리요]] * [[달의 요정 세일러문]](비디오) - [[쿤차이트(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쿤차이트]] * [[드래곤볼(애니메이션)|드래곤볼]](비디오) - [[나무(드래곤볼)|나무]], 휴, [[슈(드래곤볼)|슈]][* 미성을 잘 살려 의외로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 [[드래곤볼 Z]](비디오) - [[천진반]], [[우마왕(드래곤볼)|우마왕]], '''[[기뉴]]'''[* 중복 캐릭터가 너무 많아 평가가 안좋지만 그중에서 기뉴 역이 제일 평가가 좋다.], [[도도리아]], [[베지터왕]], [[인조인간 16호]](전기), [[신(드래곤볼)|신]][* 구극장판 비디오판에서 맡음.] * [[드래곤볼 GT]](비디오) - [[피콜로(드래곤볼)|피콜로]], 닥터 뮤, '''[[일성장군]]''', [[리루도 장군]] * [[란마 1/2]](1997년판 비디오) - 주진창([[텐도 소운]]) * [[루니 툰]]([[KBS]]) - [[포키 피그]] * [[루팡 3세 바이바이 리버티 위기일발]](비디오) - 지미 * [[마녀 배달부 키키]](극장) - 시계탑 할아버지 / 케토의 아빠 * [[마법기사 레이어스(TVA)|마법기사 레이어스]](비디오) - [[이노바]]/[[라파가]]/남혜진(류자키 우미) 아빠/[[마법기사 레이어스/등장 마신#s-2.3|윈덤]] * [[명왕계획 제오라이머]](비디오) - 타이하(타일러) * [[비스트 워즈]](비디오) - [[테러소어]] * [[사무라이 디퍼 쿄우]]([[XTM]]) - [[도쿠가와 이에야스/기타 창작물|도쿠가와 이에야스]] * [[소년탐정 김전일]](비디오) - 장수길([[이츠키 요스케]])[* 후에 [[임성표]]로 교체.][* 세일러문의 [[쿤차이트(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쿤차이트]]와 더불어 정동열의 비(非) 노인 캐릭터 배역 중 그나마 낫다는 평가를 들었다.] * [[슬램덩크(만화)|슬램덩크]] 대원비디오판 (52~101화, 극장판) - [[채치수]]/[[안한수|안선생님]] * [[신세기 에반게리온]](비디오) - 유조([[후유츠키 코조]]) * [[아르슬란 전기]](1994년판)(비디오) - [[안드라고라스 3세]] * [[트랜스포머 더 무비|유니크론과 변신로보트]](KBS) - [[재즈(G1)|재즈]] *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원피스]]([[대원방송]])[* 정동열 성우가 가장 최근에 출연한 작품이다.] *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원피스 Original]] 1기 [[이스트 블루]] 편 - [[가이몬]], Dr. 나코, [[존 자이언트]][* 9기에서 [[안효민]]으로 교체됐다가 14기에 [[김현욱(성우)|김현욱]]으로 변경.], 보쿠덴 *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원피스 Original]] 2기 [[위대한 항로]] 편 - [[크로커스(원피스)|크로커스]][* 11기에서 [[장성호(성우)|장성호]]로 변경.], [[Dr. 히루루크]][* 9기에서 [[이재범(성우)|이재범]]에서 교체됐다가 20기에 [[이창민(성우)|이창민]]으로 변경.] *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원피스 Original]] 3기 [[알라바스타]] 편 - 제니, 라이스, 오다마, 헨조, 이얀 *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원피스 Original]] 4기 [[스카이피아]] 편 - '''[[도크 Q]]'''[* 센고쿠, Dr. 히루루크, 크로커스, 간 폴 같은 다른 노인 배역들은 캐릭터 해석 없이 동네 할아버지 캐릭터로만 연기해서 혹평이 심한 반면, 노화되어가고 쇠약한 연기를 잘 살려 가장 호평을 받았다. 다만 문서에서도 보면 알 수 있듯이 도크 Q는 노인이 아니라 '''심각한 노안을 가진 20대'''라 다소 미묘한 평가도 존재한다.][* 이 배역만은 호평을 받았지만 아쉽게도 10기에서 [[이상헌(성우)|이상헌]]으로 교체됐다가 13기에 [[이현(성우)|이현]]으로 변경.], [[센고쿠(원피스)|센고쿠]][* 8기에서 [[김일(성우)|김일]]로 교체됐다가 14기부터 [[강구한]]으로 원상복귀.], 조보, [[간 폴]], [[파가야]], 겐보, [[제이가르시아 새턴 성]][* 아이러니하게도 대원판 성우들 중 제일 나은 평을 받은 캐릭터. 훗날 손자뻘 후배들이 젊은 톤이 묻어나는 연기를 선보이는 바람에 재평가가 되어버린 것. 아쉽게도 5기에서 [[김혜성(성우)|김혜성]]으로 변경되었다.] *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원피스 Original]] 5기 해군 요새 & [[폭시 해적단]] 편 - 메카오, 톤지트 * [[이나중 탁구부]]([[XTM]]) - 그 외(단역) * 지옥의 외인부대([[에어리어 88]])([[KBS]]) - 보리스 * [[크레용 신짱|짱구는 못말려]](비디오) - [[타카쿠라 분타|원장선생님]][* [[투니버스]], [[대원방송]]판은 [[현경수]].], [[코야마 요시지|짱구 외할아버지]][* [[투니버스]]판은 [[신용우]].], '''[[타마유라 브라더스#s-2.1|로즈]][* [[대원방송]]판은 [[유해무]].]''', '''[[마우스(크레용 신짱)|마우스]][* [[대원방송]]판은 [[김정호(성우)|김정호]].]''', '''[[닥터 아카마미레|닥터 때범벅]][* [[대원방송]]판은 [[신용우]].]''' * 천하무적 멍멍기사 - 아라미스 * [[청의 6호]](비디오) - 함장 * [[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비디오) - [[버언|대마왕 벨]] === 외화 === * [[데몰리션 맨]]([[SBS]]) - 경찰서장(스티브 카핸) * [[라붐]]([[KBS]]) - 라울의 아빠(자크 아르두앵) * [[람보(영화)|람보]]([[SBS]]) - 오벌(존 맥리암) * 레이싱 스트라이프스([[SBS]]) - 우지([[M. 에밋 월시]]) * 로미오 머스트 다이([[SBS]]) - 추싱(구형리) * [[리플리]]([[SBS]]) - 로베리니 형사(세르조 루비니) * [[메달리온(영화)|메달리온]]([[SBS]]) - 서점 주인(유조명) * 무기여 잘 있거라([[KBS]]) - 군인(헨리 아메타) * [[백야(미국 영화)|백야]]([[KBS]]) - 비행 부조종사(베니 영) / 시장 상인 / 소련 요원 * [[백 투 더 퓨처]]([[KBS]]) - 1955년 마티의 외할아버지(조지 디센조) / 제니퍼 아빠 / 흑인 밴드 멤버 * [[볼케이노(영화)|볼케이노]]([[KBS]]) - 스탠(존 캐럴 린치) * 블랙아웃([[SBS]]) - 술집 주인(드류 레치워스) * 수호전지 영웅본색([[SBS]]) - 임총의 하인 * 쇼타임([[SBS]]) - 윈십(프랭키 페이슨) * [[시네마 천국]]([[SBS]]) - 마을 사람(레오 굴로타) * [[쓰리]]([[SBS]]) - 타오 * [[아웃브레이크]]([[SBS]]) - 벤자민(자케스 모캐) * [[아일랜드(영화)|아일랜드]]([[SBS]]) - 고객(리처드 V. 리카타) * [[애니 홀]]([[KBS]]) - 앨비의 아버지(모데카이 로우너) / 의사(빈스 오브라이언) *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SBS]]) - 토마스 브라이언 레이놀즈([[존 보이트]])[* [[KBS]] 방영판에서는 [[박상일]].] * [[올리버 트위스트]]([[SBS]]) - 서장 * [[의적 실버 블레이드]]([[SBS]]) - 드라이스데일(이언 배넌) * [[이레이저]]([[SBS]]) - 시프 요원(마이클 파파존) * 이연걸의 [[탈출(영화)|탈출]]([[SBS]]) - 지휘관(단위륜) * [[레이더스(영화)|인디아나 존스: 잃어버린 성궤]]([[KBS]]) - [[마커스 브로디]]([[덴홈 엘리어트]])[* 3편인 [[인디아나 존스와 최후의 성전|최후의 성전]]에서는 [[김현직]], [[MBC]] 방영판에서는 [[권혁수(성우)|권혁수]].] * 제네비에브([[KBS]]) - 경찰(제프리 켄) * 조슈아 트리([[SBS]]) - 교도관(토니 에퍼) * [[코만도(영화)|코만도]]([[KBS]]) - 경비원(그렉 웨인 엘램) / 경찰(짐 페인터) * [[콘택트(영화)|콘택트]]([[SBS]]) - S.R.헤든([[존 허트]]) * [[칵테일(영화)|칵테일]]([[KBS]]) - 조던의 아버지(로런스 러킨빌) * 키스 더 걸([[SBS]]) - 샘슨(빌 넌) * 투 터프 가이즈([[SBS]]) - 구메르신도(안토니오 가메로) * 특공대작전([[KBS]]) - 군인(해롤드 코인) * 특전대 네이비 씰([[SBS]]) - 선장(나예프 라쉐드) * [[트윈스(영화)|트윈스]]([[KBS]]) - 그레인저(휴 오브라이언) * 풀 프루프([[SBS]]) - 해미쉬(윌리엄 하우스) === 라디오 드라마 === * 홍도([[KBS]] 라디오 극장) - 정여립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분류:한국 남성 성우]][[분류:1946년 출생]][[분류:1977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