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정대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본부이엔티 소속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1100, #ff1100)" {{{#ffffff '''정대세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EAFF E-1 풋볼 챔피언십|[[파일: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2008.gif|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4169E1; font-size: 0.9em" [[EAFF E-1 풋볼 챔피언십#s-2.5|{{{-2 {{{#ffffff '''2008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 || [[J2리그|[[파일:J2리그 엠블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41f4a; font-size: 0.9em" [[J2리그#s-2.5|{{{#ffffff '''2016 J2리그 득점왕'''}}}]]}}}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 || || || }}} || }}}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대세발라드림.jpg|width=100%]]}}} || || '''{{{#000000 이름}}}''' || '''{{{+1 정대세}}}[br]鄭大世|Jong Tae Se[* 북한 여권의 표기. 아래 이미지 참고.]|Chong Tese[* 일본에서의 영문 표기.]''' || ||<|2> '''{{{#000000 출생}}}''' ||[[1984년]] [[3월 2일]] ([age(1984-03-02)]세)[* 일본은 학기제가 4월이기 때문에 4월생까지 [[빠른 년생]]이다. 조총련계 조선학교 역시 일본의 학제를 따른다. 83년생들과 동갑이라 봐도 된다.] ||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 || '''{{{#0000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재일 조선인]] 부모에게서 태어났고 아버지가 대한민국 국적자이므로 속인주의 원칙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으며 2007년 [[조총련]]을 통해 [[북한 여권]]도 발급 받아서 공식적으로 [[복수국적|이중국적]]이 된 특이한 경우다. 다만 북한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단독 대한민국 국적자로 인식된다.] ([[영주권#s-7.5.2|일본 특별영주자]]) || || '''{{{#000000 본적}}}''' ||[[대한민국]] [[경상북도]] [[의성군]] || || '''{{{#000000 신체}}}''' ||180cm, 81kg || || '''{{{#000000 직업}}}''' ||[[축구 선수]] ([[중앙 공격수|스트라이커]] / 은퇴) || || '''{{{#000000 학력}}}''' ||도슌조선초중급학교 (1996~1999) [br] 아이치조선중고급학교 (1999~2002) [br] [[조선대학교(일본)]] (2002~2005) || || '''{{{#000000 소속 구단}}}''' ||'''[[가와사키 프론탈레]] (2006~2010)''' [br] '''[[VfL 보훔]] (2010~2012)''' [br] [[1. FC 쾰른]] (2012)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3~2015)''' [br] [[시미즈 S펄스]] (2015~2020) [br] → [[알비렉스 니가타]] (2020 / ^^임대^^) [br] [[FC 마치다 젤비아]] (2021~2022) || || '''{{{#000000 국가대표}}}''' ||33경기 15골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 2006~2011)^^ || ||<|2> '''{{{#000000 가족}}}''' ||부모님 | 형 정이세 || ||아내 [[https://instagram.com/myung_seohyun/|명서현]]^^(1987년생)^^[* 2013년 결혼][br]아들 정태주^^(2014년생)^^[br]딸 정서아^^(2016년생)^^|| || '''{{{#000000 링크}}}''' ||[[https://www.instagram.com/chong_tes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000000 병역}}}''' ||[[전시근로역]][* 대한민국에서 [[조선학교]] 학력을 인정하지 않음에 따른 학력미달 전시근로역 처분.] || [목차] [clearfix] == 개요 == [[재일 조선인]] 출신의 前 [[축구 선수]]. 선수 은퇴 뒤에는 [[방송인]]으로 활약하고 있다. 재일 조선인 3세로 [[한국]]과 [[북한]]의 [[이중국적|이중 국적자]]이며 일본에서 특별 영주권자 신분으로 거주한다. 그러나 한국과 북한이 서로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에서는 그를 한국 단독 국적자로 취급하며 북한에서는 북한 단독 국적자로 취급한다. 국가대표는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 뛰었다. 무지막지한 돌파력에서 따온 '''인민 [[웨인 루니|루니]](People's Rooney)'''라는 별명의 [[축구 선수]].[* 실제로 정대세의 별명이다! People's Rooney를 구글에서 검색하면 모두 정대세 관련 기사가 나온다. 또한 네이버에서도 저렇게 검색하면 정대세가 나온다.] 참고로 같은 팀인 [[지윤남]]의 별명은 로동[[메시]]다. 일본에서는 [[팬티스타킹]]을 뒤집어 쓴 강도처럼 생겼다고 해서 말 그대로 '''팬티스타킹'''이라고 불린다. 본인이 가장 닮고 싶어하고 존경하는 선수는 [[디디에 드록바]]. == 클럽 경력 == === [[가와사키 프론탈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ongtese_kawasaki.jpg|width=100%]]}}} || || [[가와사키 프론탈레]] 시절 || [[조선대학교(일본)|조선대학교]] 재학 시절 J리그 입단을 위해 각 구단 테스트를 받으러 다니다가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테스트 시합에서 5득점을 올리고 프로 계약을 맺게 되었다. 2006년 [[J리그]]의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데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총 114경기에서 42골을 터트렸다. 그리고 [[2010 FIFA 월드컵 남아공|2010 월드컵]]에서 북한을 44년만에 본선에 올려놓으며 해외 여러 팀들의 주목을 받았다. === [[VfL 보훔]] === 결국 2010년 7월 [[분데스리가]] 2부리그 소속 [[VfL 보훔]]과 2년 계약을 맺었다. 시범 경기에서 부터 좋은 모습을 보여주더니 시즌 1라운드 데뷔전에서 두 골을 터뜨리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후 보훔에서 총 10골 3도움을 기록하면서 주전으로서 맹활약했으나 4월초에 부상으로 5경기를 쉬게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ongtese_bochum.jpg]]}}}|| || [[VfL 보훔]] 시절 || === [[1. FC 쾰른]] === [[파일:chongtase_koln.jpg]] 2012년 1월 31일 [[1. FC 쾰른]]에서 [[루카스 포돌스키]]가 큰 부상을 당하면서, 대체자로 쾰른으로 이적하게 되었다. 그런데 알고 보니 당시 클럽 단장이[* 거의 20년을 SC프라이부르크의 감독을 맡았던 명장 [[폴커 핑케]]였다. 이 이적건으로 마찰이 생겨 이후 단장에서 은퇴.] 감독과 상의 없이 마음대로 지른 것이었다. 당시 쾰른 감독이었던 [[스톨레 솔바켄]]은 '''내가 원한 선수가 아니고 내가 원한 스타일도 아니다'''고 대놓고 얘기했고, 벤치에는 계속 들고 있지만 분명히 들어갈만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루카스 포돌스키를 제외하면 서른이 한참 넘은 노장에 장기부상 여파로 폼이 바닥을 치던 노바코비치 이외엔 네임밸류나 실력면에서 정대세보다 나은 공격수가 아예 없었음에도 벤치신세여서 더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데뷔전 기회조차 얻지 못하여 알력 싸움의 희생양이 되어버렸다. 결국 쾰른이 2011~12시즌에서 강등당하면서 다시 2부리그 소속이 되었다. 2012년 10월 31일 '겨울 이적 시장이 열리면 팀을 떠나겠다'고 선언했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12년 가을, 충분한 자금력을 갖춘 [[K리그]] 2개 클럽이 관심을 보였다는 기사가 떴다. [[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2103122345929§ion_code=10&key=&field=|기사보기]] 곧이어 2개 클럽은 [[수원 블루윙즈|수원]]과 [[울산 현대 호랑이|울산]]이라는 기사도 떴다. [[http://isplus.joinsmsn.com/article/195/9775195.html?cloc=|기사보기]] 이후 수원으로 이적이 거의 확실시 되는 상황에서 [[대전 시티즌]]이 구단주가 뭔 돈이 있어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독일까지 직접 가는 등 깜짝 영입을 시도하기도 했다.[* 아마 케빈 오리스를 이미 팔기로 결정난 상황에서 승부수를 던져본 것으로 보인다.][* 정대세 영입 불발 직후 나왔던 대전시티즌 관련 기사에 따르면, 당시 거액의 스폰서와 협상 중이었는데 이때 조건이 정대세의 영입이었다고 한다.] [[파일:/image/410/2013/01/10/20130110_1357794968.jpg_59_20130110141832.jpg|width=400]] 결국 2013년 1월, 정대세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입단이 확정됐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466527|#]] 2015년까지 3년 계약. 비록 북한대표팀에서 뛰고 있기는 하나, 대한민국 국적이기 때문에 수원 삼성으로서는 외국인 선수 자리를 차지하지 않는다는 엄청난 이점이 있다.[* 거기에 [[제난 라돈치치|라돈치치]]가 한국 귀화에 성공하면 수원은 무려 6명의 외국인선수를 보유 할 수 있게 된다!][* 정대세의 경우 대한민국 국적의 재일교포가 K리그의 진출할 경우 신인지명회의(드래프트)를 거치지 않지만 자국 선수로 인정되는 '[[박강조]] 룰(2000)'과 북한 국적자 및 조선적 북한 국가대표팀 출신 선수가 외국인선수로 등록되지 않는 '[[량규사]] 룰(2001)'이 모두 해당되는 특이한 케이스다. 박강조 룰의 경우 정대세가 엄연한 대한민국 국적자라 적용 가능하고, 비록 정대세가 북한 국가대표팀에서 뛴다 하더라도 이전의 량규사, [[안영학]]처럼 K리그 로컬룰 적용을 받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북한주민의 국적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례는 헌법 제3조 영토조항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때문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라는 국적을 가진 북한주민이라도 대한민국에서는 '조선'국적을 가진 외국인으로 보지 않는다. 왜냐하면, 대한민국 헌법상 북한도 대한민국의 미수복 영토이며 북한주민도 대한민국 국민으로 인정한다.] 독일 2부를 씹어먹던 실력인만큼 활약에 대한 기대 또한 크다. 다만, 위에서 언급된 쾰른에서의 문제로 인하여 1년 내내 경기를 아예 뛰지 못했기에 이에 대한 우려 또한 많다. ==== 2013 시즌 ==== [[AFC 챔피언스 리그]] 가시와 레이솔과의 경기에서 페널티킥 2개를 실축하며 2023년 현재까지도 다른팀 팬들에게 놀림받는 팀 6-2 패배의 원흉으로 등극했다. 자신이 얻어낸 PK 2개를 모두 자신이 날려먹었다. [[파일:/image/436/2013/05/27/073928311_%25C1%25A4%25B4%25EB%25BC%25BC-%25C8%25AF%25C8%25A3.jpg]] 다음 경기인 K리그 대구전에서 데뷔골을 신고했다.[* [[VfL 보훔]]시절 마지막으로 넣은 골 이후로 1년 4개월 여 만에 넣은 골이었다.] 그리고 맞이한 [[슈퍼매치]]에서 전반을 채 못지나서 화려하게 경고누적으로 퇴장당했다. 경기 초반 얻은 옐로우카드를 까먹고 있다가 일 저지르고 기억났으나 그때는 이미 늦었다고. 정대세에게는 다행이게도 수원은 후반 87분 [[제난 라돈치치|라돈치치]]의 동점골로 패배를 면하며 슈퍼매치 수원 무패행진은 끊기지 않았다. 부산과의 경기는 징계로 결장한뒤 대전전에 선발출장,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특히나 첫번째 두번째 골은 각각 [[홍철]]과 [[조지훈(축구선수)|조지훈]]의 중거리슛을 감각적으로 방향만 살짝 틀어서 넣으며 골키퍼를 벙찌게 만들었다. 2013 시즌 23경기 리그 10골 2도움을 기록. ==== 2014 시즌 ==== 인민 먹튀인줄 알았으나 시즌막판 귀신같이 인민 루니 모드로 되고 있다. 31라운드를 돈 시점에서 22경기 48슈팅 4골 1도움, 그나마도 1골은 페널티킥. 20경기 넘게 뛴 주전 원톱 스트라이커로는 역대 수원 최악에 손꼽힐 법한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하태균의 전역 이전까지는 로저와 더불어 팀에 단 2명뿐인 원톱이었는데, 상반기 로저의 부진과 정대세의 부진이 겹치며 수원은 깊은 시름에 빠져야 했다. 그나마 로저는 하반기돼서 살아나기라도 했지, 정대세는 하반기에 또 부상을 당하며 계속 죽어 있는 상태다. 이 와중에도 올스타전이나 친선경기, 연습경기 등 비정규 경기에서는 꾸준히 골을 넣으며 팬들의 분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전방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며 2선 공격의 활로를 뚫어놓는 로저와 달리 정대세는 위치선정 능력을 살려 적진에 자리를 잡는다. 그러나 이렇게 공을 받아놓고 어처구니 없이 날려먹는 경우가 많은지라 이왕 똑같이 결정력이 시망이라면 한창 물오른 산토스의 득점 능력에 추가로 기대해볼 수 있는 로저쪽이 더 꾸준히 기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인터뷰에서 에이전트에게 돈을 떼먹히고 후술하는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고발되는 등 여러 심적인 요소로 인해 위축됐었다고 밝히긴 했지만, 그 문제들이 해결되어도 과연 믿고 기댈 수 있는 스트라이커로 살아날지는 미지수다. 결국 28경기 7골 1도움을 기록했다. 마지막 골이 [[FC 서울]]의 아챔 진출을 도와주었다. 참고로 막판 3경기 연속골을 넣으며 후반기엔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는게 희망이다. 2015시즌을 기대해도 나쁘진 않을 것 같다. ==== 2015 시즌 ==== [[파일:external/www.bluewings.kr/221e1133788d4beb9ab203cda6019e48.jpg]] 시즌 개막 전 인터뷰를 보면 '자신이 팀에 많은 해를 끼쳤다', '난 쓰레기였다' 등의 발언으로 플레이 스타일을 바꾸고 팀에 더 녹아들 것을 암시했다. 그리고 진짜로 플레이 스타일을 바꿨다!! 지난 시즌들과는 달리 이제 스스로 무리한 슈팅이나 돌파 등은 자제하고 팀에게 도움이 되는 이타적인 플레이를 하기 시작해서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 수원 블루윙즈에서 없어서는 안될 선수로 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4월 18일 홈경기로 열린 리그 7차전 슈퍼 매치에서 2골 2도움을 기록하며 FC 서울을 5:1로 뭉개버리는 일등 공신이 됐다. 이후 '북[[카림 벤제마|제마]], 압[[디디에 드록바|록바]], 삐라[[마라도나|도나]],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레반동무스키]],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이보라우동무스키]]' 등등등 많은 별명이 생겨났다.[* 레반동무스키라는 별명은 차후 안병준에게 넘어갔다.] 10경기에서 2골 4도움을 기록 중이다. 6월7일 광주와의 홈경기에서 수비수 정준연과의 경합 도중 의식을 잃었으나 금방 깨어났다.(정준연은 경고 처리)[* 참고로 정준연은 당시 전반에 옐로카드가 한 장 나온 상황이라 경고 누적으로 퇴장 당했지만, 경기는 광주가 이겨 크게 까이진 않았다.] === [[시미즈 S펄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e06894dc31a32850980f63a255fa8473ac11bf5af0fe9eafeeb79a547cb05c87.jpg|width=50%]][[파일:external/402b19a7d647f2f4a764b834c74b3ea5a122133cdb8bcec2a6707a515754e372.jpg|width=50%]]}}}|| 그리고 7월 7일, 시미즈 S 펄스로 이적료 약 50만 달러 (5억 6,000만원)과 연봉은 수원에서 받는 금액의 2배 이상을 받는다는 조건 하에 이적, 3년 6개월 계약이 확정되었다. 정대세 스스로는 수원에 남아 있길 내심 바랐지만, 계약 연장 오퍼가 들어오지 않아 시미즈의 이적 제의를 받아들이게 됐다고 한다. ==== 2015 시즌 ==== 정작 시미즈 S펄스 이적 후에는 소속팀에서 11경기 무득점 1도움밖에 기록하지 못하는 등 부진해 팀 강등의 원흉으로 뽑히고 있다.[* 비록 2골을 넣으며 뭐라도 하려 했다만 [[공갈포|였다.]]] 그리고 팀도 리그 17위로 강등당해 16시즌에는 2부 리그에서 리그를 시작하게 되었다. ==== 2016 시즌 ==== 전년도에는 부진해서 큰 욕을 먹었으나, 팀이 2부 리그로 강등당하자 오히려 수준 차이를 보이며 큰 활약을 하고 있다. 결국 팀인 시미즈를 승격시켰고 본인도 26골로 [[J2리그]] 득점왕이 되었다. 득점왕이 확정된 후에는 울어버렸다. ==== 2017 시즌 ==== 2017시즌부터 시미즈 에스펄스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여담으로 축구팀에서 주장을 맡은건 초등학교 이래 처음이라고 하며 시즌 최종 성적은 26경기 출전 10득점. 시즌 팀내 최다득점이었고 [[가와사키 프론탈레]] 시절 이후 오랜만에 J1리그 두자릿수 득점에 성공했다. ==== 2018 시즌 ==== 시즌 시작부터 키타가와 코야와 [[SC 브라가]]에서 임대온 브라질 용병 [[크리슬란]]에게 밀려 교체자원으로 활용되었으며 가끔 선발로 나오면 골을 넣어서 기대감을 줬지만 7월 일왕9컵 경기에서 햄스트링 부상을 입고 6주 진단을 받았다. 10월 7일 29라운드 주빌로 이와타전 때 부상에서 회복하여 벤치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출장은 하지 않았다. 10월 20일 30라운드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 교체 출전하여 추가골을 기록, 부상 복귀를 알렸다. 최종 기록은 18경기 3골 3도움. ==== 2019 시즌 ==== 지난 시즌에서 이어 또 팔꿈치 부상을 당하면서 기회를 거의 잡지 못했다. 총 13경기 2골. ==== 2020 시즌 ==== 지난 시즌이 끝난 뒤 주전 공격수였던 더글라스가 [[비셀 고베]]로 이적하면서 2020시즌에도 잔류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반기까지 4경기 0골에 그쳤으며 그나마도 전부 교체로 출장하는 등 사실상 전력 외로 분류된 상태였기 때문에 결국 여름 이적 시장을 통해 [[J2리그]]로 강등된 [[알비렉스 니가타]]로 2021년 1월까지 임대 이적했다. [[https://twitter.com/Jleague_Bot/status/1298143327456333824|#]] 그러나 12월 23일 시미즈 펄스에서 방출되었다. === [[FC 마치다 젤비아]] === 2021년 1월 5일 J2리그 마치다로 이적했다는 오피셜이 나왔다. 마치다에서는 바로 주전으로 뛰며 33경기 출전해 5골 2도움을 기록하였고, 시즌이 끝나고 12월 17일 구단과 재계약을 발표했다. 이후 이듬해 2022 시즌 34경기 6골을 기록해 노익장을 계속 과시하였고, 시즌이 끝나면서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https://www.zelvia.co.jp/news/news-215876/|#]] === 클럽 통산 기록 === ||시즌||소속||출전[* 기존 팀과 이적한 팀에서의 출전 기록을 합산][* 리그, 컵, 대륙 대항전의 출전 기록을 합산]||득점[* 기존 팀과 이적한 팀에서의 득점 기록을 합산][* 리그, 컵, 대륙 대항전의 득점 기록을 합산]|| ||2006||가와사키 프론탈레||22||3|| ||2007||가와사키 프론탈레||40||19|| ||2008||가와사키 프론탈레||39||15|| ||2009||가와사키 프론탈레||47||21|| ||2010||가와사키 프론탈레||13||6|| ||2010-11||VfL 보훔||26||10|| ||2011-12||VfL 보훔/1. FC 쾰른||21||5|| ||2012-13||1. FC 쾰른||6||0|| ||2013||수원 삼성 블루윙즈||27||10|| ||2014||수원 삼성 블루윙즈||29||7|| ||2015||수원 삼성 블루윙즈/시미즈 S-펄스||42||15|| ||2016||시미즈 S펄스||38||27|| ||2017||시미즈 S펄스||26||10|| ||2018||시미즈 S펄스||26||6|| ||2019||시미즈 S펄스||20||2|| ||2020||시미즈 S펄스/알비렉스 니가타||30||9|| ||2021||FC 마치다 젤비아||33||5|| ||2022||FC 마치다 젤비아||34||6||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 [[자존심]]이 강해서 북한 대표팀 합류 초기에는 팀원들과의 갈등이 상당히 많았다고 한다. 이는 본인의 [[한국어]] 베이스가 남한 말투였던데다 교포 특유의 어색함이 섞인 것도 한 몫 하였다. 다른 조총련 계열 선수들과 커뮤니케이션이 상당히 중요한데 [[안영학]]이 잘 다리를 놓아준걸로 보인다.[* 정작 [[안영학]]은 [[조선적]]이다.] 그래도 [[왕따]]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골 세레모니 할 때도 혼자 남겨지는 경우가 많기도 하고. 하지만 대표팀 밖에서 그를 만난 기자들은 예의 바른 청년이라고 평했다. 공격 루트가 오직 역습밖에 없는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역습의 최전방에 위치해 북한의 남아공 월드컵 본선행을 이끌었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을 앞두고 언론에 "이왕이면 강팀들과 대결했으면 좋겠다"라고 수차례 발언했다가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이 속한 32강 본선 [[죽음의 조/축구|죽음의 조]]에 들어가면서 소원을 이뤘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 개막 직전, 남북한의 특수성과 국적 문제가 맞물리는 데다가, 북한 선수들 중에선 드물게 [[영어]]에도 능통할 뿐더러, 심지어 [[포르투갈어]] 구사도 가능[* 그런데 브라질과의 시합 이후 [[카카]]와 유니폼 교환이 하고 싶어 [[포르투갈어]] 공부까지 해갔지만([[브라질]]은 [[포르투갈어]]를 쓴다.) 카카는 정대세가 뭐라고 하는지 못 알아 들어서 실패했다. 나중에 어떤 일인지 알아낸 [[카카]]가 정대세를 브라질 라커룸으로 초대해 [[호비뉴]]의 유니폼과 자신의 유니폼을 선물했다고 한다.]한지라 외신 기자들의 인터뷰 세례를 받고 있다. 그리고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과의 [[2010 남아공 월드컵]] 32강 본선 첫 경기에서 세계 최고의 [[센터백]] 중 한명인 [[루시우(축구선수)|루시우]]와 맞대결을 펼치며 절대 밀리지 않는 막강한 피지컬로 인민 루니라는 별명이 허언이 아님을 증명했다. [[파일:external/img.chinasmack.com/jong-tae-se-crying-2010-south-africa-world-cup-vs-brazil-cctv.jpg]] 특히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전에서 [[애국가(북한)|국가]]가 흘러 나올 때 눈물을 흘린 모습이 화제가 되었다. 이 사진은 [[뉴욕타임스]]의 월드컵 사진 10선에도 뽑혔다. 본인의 말에 의하면 기적처럼 국가대표가 되고 또 월드컵에 진출한 그간의 파란만장한 일들이 주마등처럼 떠올라 감격해 운 것이라고 한다. 오랜만에 [[월드컵]] 본선 진출을 하게 된 탓인지, 2009년 12월에 북한 정부에서 주는 '인민체육인'[* 북한에서는 공로나 사회 기여가 큰 인사들에게 이런저런 칭호를 부여하는데, 체육인의 경우 공훈체육인과 인민체육인 두 가지가 있다. 격은 후자가 더 높다.] 칭호를 받았다.[* 참고로 같은 대표팀 멤버인 [[안영학]]과 감독 김광호도 같이 받았다. 하지만 원체 강팀들이 속한 조인 만큼 본선에서 광탈하면 박탈되지 않나 우려했지만 실제로는 본선 진출 만으로도 좋게 대접해줬다고 한다. 몇몇 반공단체가 보도하던 탄광행은 터무니없음이 드러났는데, [[FIFA]]까지도 사실 여부를 조사할 정도였다.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 잉글랜드 월드컵]] 당시 8강을 이끌고도 선수들이 [[숙청]]된 것은 사실이 아니다. 몇몇 선수들을 봐주던 정치적 배후 지지자들이 숙청되면서 따라서 축구계에서 숙청된 경우가 있을 뿐이다.] 과거 [[한겨레]] 신문 주말 매거진에 칼럼을 연재한 적이 있으며, 현재는 [[네이버]] 스포츠란에서 연재하고 있다. 특히 한겨레 칼럼에서는 그의 소탈한 글 스타일이 드러나며 인간적인 면모도 접해 볼 수 있다. === [[2011년 AFC 아시안컵]] === 그러나 2010년 12월. 북한을 위해 뛰지 않겠다고 선언. 세간의 주목을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0122905117|받았다]]. 하지만 이는 [[찌라시]]의 낚시였다. 사실은 북한이 미숙한 행정 탓에 공문을 제때 발송하지 못한 바람에 소속팀이 이를 근거로 아시안컵 차출을 거부하자 실망감을 표시한 것이다. 결국 팀을 설득해 북한 대표팀에 합류했다. 북한은 이란, 이라크, 아랍에미레이트와 함께 16개국 본선 D조에 속했는데, 승점 1점 1무 2패 무득점 2실점으로 아시안컵 12등으로 탈락했다. 정대세는 몸 상태를 최고로 끌어올리지 못한 상태에서 대회 내내 별반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자세한 내용은 [[2011년 AFC 아시안컵/조별리그 C조&D조]] 참조. == 플레이 스타일 == == 개인사와 국적 문제 == 정대세의 아버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의 [[한국인]](대한민국 국적자)이고 어머니는 [[조선적]]이다. 그는 아버지의 국적을 받아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축구 선수 데뷔 후 북한 대표팀에 합류하면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를 통해 [[북한]] 국적을 받았다. 아버지는 남과 북 어느 쪽도 지지하지 않는 '중립'이며 일본 학교에서 교육을 받아 한국어를 거의 구사하지 못 한다. 반면 그의 어머니는 어렸을 때부터 [[조선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에 호의적이다. 정대세 본인은 대한민국 국적보다는 조선적에 더 애착을 갖고 있으며, 일본에 있는 조총련계 [[조선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자란 관계로[* [[대한민국]]에 유대감을 갖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계열 학교는 적기 때문에, [[재일 한국-조선인]]나 교민들이 한국어(또는 조선어) 교육을 받기 위해 조총련계 학교를 가는 경우가 많았다. 참고로 정대세의 최종학력은 도쿄에 있는 조선대학교 졸업.] 2007년부터 북한 대표팀에서 뛰게 되었다.[[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425920.html|#]] 이 당시 국적 문제로 북한 대표팀이 [[FIFA]]에 정대세를 북한 대표팀 선수로 인정해줄 것을 요청하였는데, [[FIFA]]가 남북한의 상황을 감안해 바로 허락해주었다고 한다. [[힐링캠프]]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이런 사정 탓에 [[정체성]]에 혼란을 겪기도 한 모양이다. 일종의 [[이중국적]]자로 취급받아 [[블랙번 로버스 FC]]에서의 계약이 불발되었을 정도. [[북한]]은 [[대한민국|한국]]이나 [[일본]]이 [[미승인국가|승인한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북한 국적을 취득하였다는 것을 그 나라에서는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대한민국은 원칙적으로 이중국적을 인정하지 않으므로 자진해서 외국 국적을 취득하면 그 즉시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한다. 그러나 북한은 대한민국이 승인한 외국이 아니므로, 정대세는 본인이 원하건 원치 않건 대한민국과 북한 외의 제3국의 국적을 취득하지 않는이상 대한민국 국적 이탈이 불가능하다. 한편 북한 당국 또한 정대세를 북한 국적자로 취급한다. 북한의 국적법은 "공화국 창건(=북한 정부 수립) 이전에 조선의 국적을 소유하였던 조선인과 그의 자녀로서 그 국적을 포기하지 않은 자"를 전부 자국민으로 보기 때문에, 일본으로 귀화하지 않은 재일 조선인 전부(한국 국적 포함)를 출생에 의한 자국민으로 취급한다.[* 이건 대한민국의 실효지배 영토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적자들에게도 같다. 한국 정부가 북한 주민 전부를 내국인 취급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한국 정부는 조선적인 재일 조선인을 무국적 해외동포로 보며 특수한 지위로 취급하긴 해도 한국 국적자로는 인정하지 않는다. 정권에 따라 한국 입국을 거부하기도 한다.] 즉 정대세가 특별히 북한 '귀화' 절차를 밟을 필요는 없었다.[* 지금도 조총련 본부에서는 재일교포들에게 북한 여권을 발급해주고 있다. 꼭 조선적이 아니더라도 일본의 특별영주권자 신분이면 다 된다. 때문에 재일-조선인 중 북한 여권을 발급받은 사람의 수도 많은 편이며, 정대세처럼 한국-북한 이중국적자들도 있다.] [[파일:정대세 힐링캠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무려행용 여권 캡쳐본.jpg]] 정대세의 [[북한 여권]] 남북한의 여권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남북한은 [[미승인국가|서로 국가로 승인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호간의 법리상으로는 [[이중국적]]이 아니다. 외국에 나갈 때에는 북한 여권으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국가가 [[시궁창]]급으로 적기에 [[북한 여권]]과 [[대한민국 여권]]을 편의에 따라 번갈아가며 사용한다고 한다.[* 이건 정대세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이중국적자들이 자주 쓰는 방법 중 하나다. 예를 들어 [[뉴질랜드]]-[[미국]] [[이중국적]]자의 경우, [[미국 여권]]으로 북한 방문이 안 되기 때문에 [[뉴질랜드 여권]]을 들고 갈 수 밖에 없다.] 북한 여권의 처참한 현실은 [[북한 여권]] 문서 참고. 한국에서는 북한 여권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때는 [[대한민국 여권]]을 들고 온다. 일본은 다른 [[재일 한국-조선인|재일 조선인]]들과 마찬가지로 출국 시 재입국 허가서를 제출하고 나간다고 하는데, [[일본]]의 입관법 개정으로 인해 간이 재입국 허가를 받으면 특별영주자는 출국 후 2년 이내로 일본으로 돌아오면 재류자격 유지가 가능하다. 정식 재입국 허가서는 6년 안에 돌아오면 재류자격 유지가 가능하다. == 논란 == [[K리그 올스타전]] 출전 후보에 등록됐는데 일부에서는 정대세를 K리그 올스타에 내보내서는 안 된다며 투표에서 다른 선수에게 몰표를 주는 모습이 나타났다. [[2010 남아공 월드컵]] 전후 쯤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다큐멘터리에서 '''“[[김정일]]을 정말로 존경한다. 무슨 일이 벌어져도 그를 믿고 따를 것.”''' 이라고 말하는 영상이 나타난 탓이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고 실제 [[변희재]] 같은 인물은 [[검찰]]에 정대세를 고발하기까지 했으나 검찰에서는 무혐의 처리했다. == 은퇴 후 == 2022년 일본 언론과의 은퇴 기념 인터뷰에서 "[[서울특별시|서울]]로 이사를 갈 예정이며, [[골 때리는 그녀들|여자 셀럽 풋살 리그 프로그램]]에서 감독을 맡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2023년에는 [[일본]]의 [[OTT]]인 [[ABEMA]]에서 중계하는 [[프리미어 리그]] 방송의 해설가로 활동한다. [[미토마 카오루]]가 있는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경기를 주로 전담하고 서울과 일본을 오가면서 활동하고 있다. === [[골 때리는 그녀들]] 시즌 4 ~ === [include(틀:골 때리는 그녀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대세/골 때리는 그녀들)] [[골 때리는 그녀들]] 시즌4 2023년 3월 1일 방송분을 통해, 골때녀 챌린지리그 팀 [[FC 발라드림]]의 감독을 맡게 됐음이 알려졌다. 그러나 전술 부재를 드러내며 신생 팀 [[FC 스트리밍파이터]]와 맞붙은 챌린지리그 개막전에서 경기 종료 직전 [[앙예원]]에게 결정적인 [[카운터]] 한 방을 맞으며 패했고, 이 패전이 화근이 되어 [[FC 발라드림]]이 1승 2패 최하위로 시즌5 출전 정지의 수모를 당하며 혹독한 감독 신고식을 치러야 했다. == 여담 == * 형 정이세도 한국 국적이며 그 당시 [[한국 내셔널리그]]에 참여 중이던 [[충주 험멜]][* 2013년부터 2부 리그인 [[K리그 챌린지]]로 승격해 참여하다가 16년에 해체되었다.]에서 [[골키퍼]]로 뛰었다가 방출됐다. * 매스컴을 피하는 축구 선수가 많지만 정대세는 인터뷰를 너무 하고 싶어한다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매스컴에 나서는 것을 좋아한다. 그리고 친목질에 매우 열심이다. 독일서 뛸 당시 아무래도 일본에서 자랐다 보니 일본 선수들과 친한지 같이 독일에서 뛰던 일본인 선수들의 생일 파티에 참석했다. 심지어 네덜란드에서 뛰는 일본인 선수랑 노는 모습도 종종 트위터 등에 올라왔다. 한국인 선수로는 박지성을 가끔씩 만나는데, 맨유 경기 끝나고 뜬금없이 버스 옆에 정대세가 [[박지성]]에게 인사하러 왔다는 기사가 몇 번씩 뜨고 있다. 단순 인터뷰뿐 아니라 예능 출연도 많이 하는 편이다. 선수 은퇴 후에는 아예 방송인으로 전직한 듯, 종종 축구 관련 예능 프로그램에 얼굴을 비치고 있다. 물론 북한과 관련된 언급은 일절 피하고있다. * 2012년 [[SBS]]의 [[런닝맨]]과 [[힐링캠프]]에 출연한 적이 있다. 런닝맨에서는 [[개리(래퍼)/런닝맨|개리]]와 만나 나름 화제.[* 여담으로 이때 정대세의 부모님이 런닝맨을 보고는 정대세에게 '''남조선에 [[개리(래퍼)|너랑 닮은 친구]]가 있다'''라고 했다고 한다.] 아시안 드림컵 출전자 두명을 가리기 위한 최종 레이스에 참가했다. 힐링캠프에서는 일본에 MC들을 초대했다. 방영분은 총 1.5주분이었다. 참고로 런닝맨 출연 이후 새로 생긴 별명은 바로 '''개대세'''. * 눈물이 많은 편이다. 2010 남아공 월드컵 1차전 국가연주 당시 눈물을 흘렸던 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그 외에도 예능 프로그램이나 여타 경기에서 여러차례 눈물을 흘린 적이 있다. [[힐링캠프]]에 출연했을 당시 실제로 눈물이 많다고 인정했다.[* [[주몽]]을 보면서도 수차례 울었다고 한다. 특히 [[한혜진]]이 떠나는 장면을 보면서 울었다고...] * [[레이디스 코드]]의 [[권리세|리세]]와 같이 언급되는 경우가 있었다. 둘 다 재일조선인 3세에 [[조선학교]] 출신이며 이름도 비슷하다.[* 실제 정대세의 친형 이름은 정이세로, 두음법칙을 빼면 이름이 같다. 또 [[레이디스 코드]]의 대표곡인 [[예뻐 예뻐]]에 '''그래 내가 바로 대세''' 라는 리세의 파트도 있었다.] 또 권리세가 한창 활동하던 2011년-2014년[* 레이디스 코드로는 2013년에 데뷔했지만 이름이 알려진 건 2011년 [[위대한 탄생]]에 출연하면서부터다.]이 정대세가 한국에서 이름을 알리고 K-리그에서 뛰던 시기와 같았다. 둘이 한창 활동할 때는 재일교포 유명인하면 둘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았다. 권리세가 2014년 교통사고로 사망한 뒤에는 많이 잊혔다.[* 또한 정대세 역시 권리세 사후 1년 뒤인 2015년 한국을 떠나면서 자연스레 한국에서의 활동이 많이 줄어들었다.] * 무뚝뚝해 보이는 성격과는 달리 예능감은 의외로 괜찮은 편. 런닝맨에 출연했을 당시에도 입담을 풀어주며 프로그램의 분위기를 살려줬고, 예능감이 괜찮은 탓인지 계속 예능에 섭외되고 있고 2017년에는 [[동상이몽|동상이몽 2]]에 고정멤버로 출연했다. * 2015년 3월, 민속촌 '''벨튀''' 코너에 깜짝 등장했다. 정확히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 팀과 같이 온 것. 그래서 벨튀를 시도하는 방문객들도 대부분 블루윙즈 팬들이었는데 어떤 팬은 벨을 누르고 정대세가 나오자마자 그대로 포옹을 하기도 했다. * 머리도 상당히 좋고 공부도 열심이라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확인된 것만 5개 국어 이상이다. [[한국어]], [[일본어]], [[영어]], [[포르투갈어]], [[독일어]] 등. 정대세의 한국어는 북한보다 남한 쪽에 더 가까우며 [[재일 한국인]]이 쓰는 말투이다. [[추성훈]]과 말투가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아무래도 거주지나 평소 쓰는 언어 때문에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편하다고 한다. * 취미로 [[디제잉]]을 한다는데 그 투자와 공부의 수준이 장난 아니다. [[http://news.nate.com/view/20081119n28511|가정 배경부터 음악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 2013년 6월 20일 [[변희재]]에 의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고발되어 수원지검 공안부에서 수사에 착수한 바 있다.[[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date=20130620&rankingSectionId=102&rankingType=popular_day&rankingSeq=1&oid=001&aid=0006327177|#]] 이후 1년만에 무혐의 처리나면서 형식적인 수사로 마무리되었다. * 특이하게 응원가가 존재한다. J리그 가와사키 프론탈레 시절에는 일본의 전설적인 펑크밴드인 [[블루 하츠]]의 곡 [[TRAIN TRAIN]]의 후렴구를 개사했다. 가사는 '대세~ Get the goal~ 대세~ 오오오오~(반복)' 수원에서는 2014년부터 응원가가 등장했다. 원곡은 빈지노의 Boogie on&on. 가사는 '수원 정대세~ 수원 정대세~ 오오오 대세! 수원 정대세~(반복)' * 초중고 전체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조선학교]]에서 받았는데, 조선학교는 일본 정부가 정식으로 인정하는 학교가 아니다. 그래서 정대세의 공식 학력은 [[초등학교]][[무학#s-4|에 입학한 적도 없는 것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국적임에도 [[이청용]]과 같은 이유로 [[징병검사]] 없이 [[제2국민역]]으로 바로 빠져서 병역 문제에서 자유롭다. * SBS 프로그램 [[동상이몽, 너는 내 운명]]에 아내와 함께 출연한 적이 있다. [youtube(wmIA5OB7hbE)] * [[혜리]]와 함께 상쾌환 광고를 찍었다. * 2019년 1월 19일 [[놀라운 토요일]]에 게스트로 출연했는데 작품 속 커플을 맞추는 간식 게임에서 [[베지터]]가 나오자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을 외쳤다. * 2013년 남희석의 소개로 국내 항공사의 스튜어디스 출신인 지금의 와이프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그리고 아내 명서현은 SBS 프로그램 [[골 때리는 그녀들]]에서 맹활약 중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명서현이 밝힌 바로 아들 역시 축구 교실에서 축구를 배우며 축구 선수의 꿈을 키웠지만 여전히 현역인 아버지를 두고 먼저 은퇴했다고 한다. 그 이유가 조금 씁쓸한데 아들이 골을 넣자 코치가 '정대세 아들인데 그 정도는 넣어야 되는 거 아니냐?'라고 하며 칭찬도 해 주지 않고 골을 넣지 못하자 '정대세 아들이 그정도도 못 넣냐'라고 위로가 아닌 비난을 했다고 한다. 그 길로 바로 은퇴시켰다고 한다. * 최근 일본에서 김치 사업을 한다고 한다. * 북한 국가대표팀의 에이스이던 [[홍영조]]에게 락커룸에서 맞았다는 소문이 있다.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출전권이 걸린 [[2010년 AFC 챌린지컵]]에서 경기 중 정대세가 공격 타이밍을 끊어먹고 볼을 끌자 당시 북한의 주장이었던 홍영조가 이를 지적하며 언성을 높였고이후 라커룸에서 정대세를 때렸다는 내용이다. 북한 축구계가 매우 폐쇄적이라 폭력이 빈번하다는 것을 감안할 때 아주 낭설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특히 4.25 체육단은 [[조선인민군]]이 관리하는 군 산하 구단으로 더더욱 구단 문화가 경직된 곳이라 홍영조도 그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이므로 조총련 출신의 재일교포 정대세와는 문화적인 배경이 많이 다르다. 여담으로 정대세는 2011년 이후 북한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지 않고 있다. * 김종국의 한 남자를 아주 좋아하여 결혼식 축가로 부탁했다고 한다. 가사를 생각해 보면 노래의 광팬인 걸로 보인다. * 본인 인스타그램에 따르면 수원 생활은 좋았지만 그 사람 좋다는 [[서정원]] 감독이 유일하게 욕을 하게 하고 코칭 스태프와도 자주 다퉜을 정도로 불화는 있었던 모양이었으며 아마 재계약을 못 한 이유 중 하나로 추정된다. [[분류:1984년 출생]][[분류:나고야시 출신 인물]][[분류:재일교포]][[분류:복수국적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북한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스트라이커]][[분류:2006년 데뷔]][[분류:2022년 은퇴]][[분류:가와사키 프론탈레/은퇴, 이적]][[분류:VfL 보훔/은퇴, 이적]][[분류:1. FC 쾰른/은퇴, 이적]][[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은퇴, 이적]][[분류:시미즈 S펄스/은퇴, 이적]][[분류:알비렉스 니가타/은퇴, 이적]][[분류:FC 마치다 젤비아/은퇴, 이적]][[분류:북한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선수]][[분류: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선수]]